KR102527876B1 -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 Google Patents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876B1
KR102527876B1 KR1020210083826A KR20210083826A KR102527876B1 KR 102527876 B1 KR102527876 B1 KR 102527876B1 KR 1020210083826 A KR1020210083826 A KR 1020210083826A KR 20210083826 A KR20210083826 A KR 20210083826A KR 102527876 B1 KR102527876 B1 KR 10252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tte
container body
pipe
dropp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196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펌텍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펌텍코리아(주) filed Critical 펌텍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1008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876B1/ko
Priority to CN202111216212.XA priority patent/CN115593754A/zh
Priority to PCT/KR2022/006499 priority patent/WO2023277332A1/ko
Publication of KR20230001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1Pipettes, i.e. with only one conduit for withdrawing and redistribut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41Drop counters; Drop formers
    • B01L3/0272Droppe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2Specific details about materials
    • B01L2300/123Flexible; Elastome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입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 배출하는 스포이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스포이드부는 용기본체와 체결되는 내캡과, 상기 내캡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캡과, 상기 내캡과 외캡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스포이드관연결체와,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단부에 흡입배출구가 형성된 스포이드관 및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와 스포이드부의 착탈 시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스포이드관 단부가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내캡의 내측으로 흔들림방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스포이드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Dropper container to prevent residual quantity}
본 발명은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포이드부와 용기본체의 착탈 시 스포이드관연결체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스포이드관 단부가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또는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을 말한다.
이러한 화장품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기초 화장품, 기능성 화장품과 색조 화장품으로 나뉜다.
상기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거나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고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화장품을 지칭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능성 화장품은 대부분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화장품 내용물을 바르고자 하는 부위에 정확히 정량으로 공급하여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며, 종래와 같이 화장품 내용물을 손바닥에 덜어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바닥에 흡수되는 화장품 내용물의 양이 많기 때문에, 고가의 화장품 내용물이 낭비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기능성 화장품은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 내용물이 오염에 매우 취약하여 일반 크림 타입의 화장품과 같이 손으로 찍어서 내용물을 사용하거나, 로션과 같이 용기 개구부를 손바닥에 닿게 하여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하게 되면 손에 있는 오염물질이 화장품용기 본체 내로 침투하게 되어 화장품 내용물이 변질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할 때에는 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너무 많거나 적게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피부에 부작용을 초래하거나 효과가 없게 되어 내용물을 정량으로 추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포이드(Spuit)형 화장품 용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스포이드로 화장품 내용물을 빨아들인 다음 바르려고 하는 피부 부위에 화장품을 배출시켜 바를 수 있도록 한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내용물을 사용할 때마다 매번 용기뚜껑을 연 후, 버튼을 눌러 화장품 내용물을 흡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정도에 따라 스포이트관을 통해 흡입하는 화장품 내용물의 양이 매번 다르기 때문에 사용할 때마다 일정한 양을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0441호로 "자동 스포이드 용기"를 출원, 등록한 바 있는데, 상기 종래의 자동 스포이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내캡과 외캡으로 구성되는 뚜껑과, 상기 뚜껑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뚜껑의 상부로 돌출되는 누름주머니와, 상기 누름주머니에 결합되며, 뚜껑과 누름주머니의 내측에 상, 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푸시관과, 상기 푸시관의 외측에 장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푸시관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 배출하는 스포이드관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스포이드관의 단부가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면과 떨어져 있어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대부분 사용하고 나면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 부분에 내용물이 남아 있게 되는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본체를 어느 한쪽으로 기울이면서 스포이드관으로 흡입을 시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결국 용기본체 내부에 일부 내용물이 남아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0816호로 "스포이드형 용기"가 개시되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결합되며 내캡과 외캡으로 구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캡의 상부로 돌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상부가 눌려지며 상기 내캡에 의해 지지되는 주름주머니와, 상기 주름주머니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스포이드관을 포함하되, 상기 스포이드관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용기 본체와 캡의 결합 시 주름주머니가 내용물 배출 방지부재에 완전히 밀착되는 구조로, 상기 내용물 배출 방지부재의 내주연에 남아있는 내용물 또는 상기 내용물 배출 방지부재를 통과한 내용물이 주름주머니의 표면에 묻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주름주머니의 표면에 묻은 내용물이 사용 시 흘러내려 주변이 지저분해지거나, 외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등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탄성 재질의 주름주머니의 단부에 스포이드관이 결합되어 있어 스포이드관을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삽입 또는 분리하거나, 피부에 대고 사용할 때, 상기 스포이드관이 외력에 의해 내캡으로부터 어느 한 쪽으로 휘어지면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0441호(2016. 05. 26.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890816호(2018. 08. 22.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포이드부가 용기본체와 착탈되면서 자동으로 작동되어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고, 이와 동시에 스포이드관연결체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스포이드관 단부가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남김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캡과 외캡의 결합 구조를 통해 누름버튼 및 스포이드관연결체를 고정하고, 상기 내캡의 내측으로 흔들림방지부를 돌출 형성하여 스포이드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포이드관을 용기본체에 삽입 또는 분리하거나 사용할 때 상기 스포이드관이 어느 한 쪽으로 휘어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입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 배출하는 스포이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스포이드부는 용기본체와 체결되는 내캡과, 상기 내캡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캡과, 상기 내캡과 외캡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스포이드관연결체와,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단부에 흡입배출구가 형성된 스포이드관 및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와 스포이드부의 착탈 시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스포이드관 단부가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내캡의 내측으로 흔들림방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스포이드관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는 스포이드관의 외주연에 묻은 내용물을 훑어내는 와이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캡은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본체의 입구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내캡의 단부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스포이드관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누름버튼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는 누름버튼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로부터 연장되어 그 형태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부 및 상기 탄성변형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스포이드관과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의 탄성변형부는 내캡의 내주연에 접촉되어 있다가, 스포이드관에 의해 밀리면서 탄성 변형되어 내캡의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포이드관의 단부 측벽에는 용기본체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과 스포이드관연결체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내캡과 외캡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포이드부의 스포이드관을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스포이드관의 단부가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눌리는 동시에 스포이드관연결체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버튼과 스포이드관연결체의 내부 체적이 줄어들어 그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고, 스포이드관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하면 압축되어 있던 스포이드관연결체가 복원되면서 상기 누름버튼과 스포이드관연결체의 내부 체적이 커져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이 스포이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포이드부가 용기본체와 착탈되면서 자동으로 작동되어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고, 이와 동시에 스포이드관연결체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스포이드관 단부가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남김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줄이고, 분리배출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내캡과 외캡의 결합 구조를 통해 누름버튼 및 스포이드관연결체를 고정하고, 상기 내캡의 내측으로 흔들림방지부를 돌출 형성하여 스포이드관의 외주연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포이드관을 용기본체에 삽입 또는 분리하거나 사용할 때 상기 스포이드관이 어느 한 쪽으로 휘어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포이드관의 단부에 형성된 흡입배출구와 인접한 측벽에 유입홀을 형성하여 상기 스포이드관이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더라도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유입홀을 통해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기본체와 스포이드부의 체결을 해제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기본체로부터 스포이드부의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포이드부로부터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는 모습은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기본체로 스포이드부의 스포이드관을 삽입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기본체와 스포이드부를 체결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는 용기본체(10) 및 스포이드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스포이드부(30)는 내캡(40)과 외캡(50)과, 스포이드관연결체(60)와, 스포이드관(70) 및 누름버튼(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는 경질의 원통 형태로써, 스포이드 용기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물론, 상기 용기본체(10)가 경질의 원통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 또는 사용성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스포이드관(70)을 삽입해야 하는 만큼, 폭이 좁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가 수용되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일측에는 입구부(12)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내용물이 충전되고, 스포이드부(30)의 스포이드관(7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 외주연에는 스포이드부(30)와의 체결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 내측에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의 와이퍼(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20)는 스포이드부(30)의 스포이드관(70) 외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스포이드관(70)이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스포이드관(70)의 외주연에 묻은 화장료를 훑어내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스포이드관(70)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20)는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에 안착되는 안착턱(22)과, 스포이드관(70)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밀착부(24) 및 상기 안착턱(22)과 밀착부(24)를 연결하는 측벽(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턱(22)은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 상단에 안착되고, 상기 밀착부(24)는 측벽(26)으로부터 그 안쪽으로 기울어져 스포이드관(70)의 외표면에 묻은 내용물을 훑어내며, 상기 측벽(26)은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스포이드부(30)는 일부분이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부분이 용기본체(10)의 상부로 체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10)와 스포이드부(30)의 체결 또는 체결 해제 및 스포이드부(30)에 의한 내용물의 자동 흡입 또는 배출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이드부(30)는 내캡(40)과, 외캡(50)과, 스포이드관연결체(60)와, 스포이드관(70) 및 누름버튼(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스포이드부(30)의 세부 구성들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캡(40)은 용기본체(10)와 체결되며, 외캡(50)과 함께 스포이드관연결체(60)와 누름버튼(8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내캡(40)은 스포이드관(70)이 관통하도록 중공형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캡(40)은 체결부(42)와 상기 체결부(42)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부(44) 및 상기 안착부(4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로 삽입되는 삽입부(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캡(40)의 체결부(42)는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체결부(42)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에 형성된 나사산과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용기본체(10)와 내캡(40)은 스크류 결합 이외에도, 서로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다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결합 방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2)의 상부 즉, 안착부(44)를 중심으로 체결부(42)의 반대편에는 외벽(48)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벽(48)의 안쪽으로 스포이드관연결체(60)와 누름버튼(8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캡(40)의 안착부(44)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체결부(42)와 삽입부(46)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어느 일면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 상단 또는 와이어(20)의 안착턱(22) 상단으로 안착되고, 다른 일면에는 스포이드관연결체(6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44)와 삽입부(46)의 연결 부분은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캡(40)의 삽입부(46)는 체결부(42)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되며, 내측에는 흔들림방지부(4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흔들림방지부(46a)는 내캡(40)의 단부 내주연으로부터 그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스포이드관(70)의 외주연에 밀착되는데, 상기 흔들림방지부(46a)는 스포이드관(70)의 표면과 마주하는 내캡(40)의 외주연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링형 돌기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포이드관(70)을 용기본체(10)에 삽입 또는 분리할 때, 그리고 스포이드관(70)을 용기본체(10)로부터 빼내 사용할 때 상기 스포이드관(70)이 어느 한 쪽으로 휘어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포이드관(70)은 탄성 재질로 된 스포이드관연결체(60)를 통해 스포이드부(30)의 하부에 연결되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거나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밖에 없고, 이에 내캡(40)의 단부에 흔들림방지부(46a)를 형성하여 스포이드관(70)의 외표면을 잡아주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포이드관(70)이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흔들리면서 나타나게 되는 내구성 문제 또는 사용상 불안정성 문제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삽입부(46)에는 스포이드관(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직선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캡(50)은 내캡(40)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그 외측에 고정 결합되고, 스포이드부(30)를 사용 또는 작동시키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외캡(50)의 상부 중앙에는 관통홀(5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52)을 통해 누름버튼(8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이드관연결체(6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내캡(40)의 내측에서 스포이드관(70)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된다.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는 누름버튼(8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버튼(80)의 개방된 하부를 막는 동시에 스포이드관(70)과 누름버튼(80)을 연결한다.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는 누름버튼(80)에 끼워지는 끼움부(62)와, 상기 끼움부(62)로부터 연장되어 그 형태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부(64) 및 상기 탄성변형부(64)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스포이드관(70)과 연결되는 연결부(6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는 스포이드관(70)에 의해 밀리면서 그 형태가 변형되는 구조이므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깔때기(hopper)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가 위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누름버튼(80)과 스포이드관(70)의 결합 구조 또는 변형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끼움부(62)는 누름버튼(80)의 하부 외측으로 결합되어 내캡(40)의 외벽(48) 내측으로 삽입되고, 탄성변형부(64)는 내캡(40)의 안착부(44)와 삽입부(46)의 연결 부분과 대응되도록 부드러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66)의 내주연에는 결합홈(66a)이 형성되어 스포이드관(70)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돌기(76)가 결합되고, 중앙에는 공기유통구멍(66b)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통구멍(66b)을 통해 스포이드부(30)의 내부 공기가 이동된다.
이때,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탄성변형부(64)는 내캡(40)의 내주연에 접촉되어 있다가, 스포이드관(70)에 의해 밀리면서 탄성 변형되어 내캡(40)의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끼움부(62)는 누름버튼(80)에 결합된 상태로 내캡(40)과 외캡(50)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반면, 연결부(66)는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에 눌려지는 스포이드관(70)에 의해 상부로 들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탄성변형부(64)가 누름버튼(80)의 내부 공간으로 솟아오르면서 탄력적으로 접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포이드관(70)은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일측에 결합되어 스포이드부(3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스포이드관(70)은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탄성 변형에 따른 누름버튼(80)의 내부 체적 변화 또는 누름버튼(70)의 직접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구성으로, 용기본체(10)와 체결 시 내캡(40)과 와이퍼(20)의 중앙을 관통하며, 외표면이 내캡(40)의 흔들림방지부(46a) 및 와이퍼(20)의 밀착부(24)와 밀착된다.
상기 스포이드관(70)의 단부에는 흡입배출구(7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배출구(72)를 통해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배출구(72)와 인접한 스포이드관(70)의 측벽에는 용기본체(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홀(7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스포이드관(70)의 단부가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도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흡입 또는 배출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스포이드관(60)은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상이면서,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로 흡입되는 화장료의 종류, 사용성, 내구성 및 디자인적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이드관(70)은 적어도 일부분이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를 통과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스포이드관(70)의 일측 단부 즉, 흡입배출구(72)의 테두리 부분은 용기본체(10)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이드관(70)의 단부는 스포이드부(30)와 용기본체(10)의 체결 또는 체결 해제 과정에서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탄성 변형을 통해 용기본체(10)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따라 스포이드부(30)와 용기본체(10)의 체결 해제 및 이와 병행되는 내용물의 자동 흡입 시 상기 스포이드관(70)이 용기본체(10)의 바닥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스포이드부(30)의 스포이드관(70)을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스포이드관(70)의 단부가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눌리는 동시에 스포이드관연결체(60)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버튼(80)과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내부 체적이 줄어들어 그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고, 스포이드관(70)을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하면 압축되어 있던 스포이드관연결체(60)가 복원되면서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탄성력에 의해 스포이드관(70)의 단부가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누름버튼(80)과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내부 체적이 커져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이 스포이드관(70)으로 유입된다.
상기 스포이드관(70)의 흡입배출구(72) 반대편은 개방되고,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공기유통구멍(66b)를 통해 누름버튼(8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누름버튼(80)은 스포이드관연결체(60)에 결합되고,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한다.
상기 누름버튼(80)은 외캡(50)의 관통홀(5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부(82)와 누름부(8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스포이드관연결체(60)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8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84)는 결합의 안정성을 위해 누름부(82)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벌어져 외캡(5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누름버튼(80)과 스포이드관연결체(6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내캡(40)과 외캡(5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와 누름버튼(80)은 용이하게 압축, 복원되면서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데,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에폭시(epoxy) 수지, 아미노 수지, 페놀(phenol)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수지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아크릴수지(Acryli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테프론(Teflon), 나일론(Nylon), 폴리아세탈수지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엘라스토머(elastomer) 계열의 TPE(Thermo Plastic Elastomer)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와 누름버튼(80)은 상술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정한 탄성을 갖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의 사용을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기본체와 스포이드부의 체결을 해제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기본체로부터 스포이드부의 분리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스포이드부로부터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는 모습은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기본체로 스포이드부의 스포이드관을 삽입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용기본체와 스포이드부를 체결하는 모습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로부터 외캡(50)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용기본체(10)와 스포이드부(30)의 체결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와 스포이드부(30)의 체결을 해제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탄성변형부(64)가 탄력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누름버튼(80)과 스포이드관연결체(60) 사이의 내부 체적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이 스포이드관(70)의 흡입배출구(72)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는 그 탄성력으로 스포이드관(70)을 용기본체(10)의 바닥을 향해 밀게 되어, 상기 스포이드관(70)의 단부가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이드부(30)를 용기본체(10)로부터 분리하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름버튼(80)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스포이드관(70)으로부터 배출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스포이드부(30)의 내캡(40)에 형성된 흔들림방지부(46a)가 스포이드관(70)의 표면 둘레를 따라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포이드관(70)이 어느 한 쪽으로 휘어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화장이 끝난 후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이드부(30)의 스포이드관(70)을 용기본체(10)의 입구부(12)로 삽입하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포이드부(30)의 외캡(50)을 회전시켜 용기본체(10)와 스포이드부(30)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포이드부(30)를 용기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하면서 체결하게 되면 상기 스포이드관(70)의 단부가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눌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포이드관(70)에 의해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연결부(66)가 밀어올려지면서 의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탄성변형부(64)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동시에, 상기 누름버튼(80)과 스포이드관연결체(60)의 내부 체적이 줄어들어 그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용기본체 20: 와이퍼
30: 스포이드부 40: 내캡
42: 체결부 44: 안착부
46: 삽입부 46a: 흔들림방지부
50: 외캡 60: 스포이드관연결체
62: 끼움부 64: 탄성변형부
66: 연결부 70: 스포이드관
72: 흡입배출구 80: 누름버튼

Claims (10)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입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 배출하는 스포이드부로 구성되되,
    상기 스포이드부는 용기본체와 체결되는 내캡과, 상기 내캡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캡과, 상기 내캡과 외캡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스포이드관연결체와,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단부에 흡입배출구가 형성된 스포이드관 및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본체와 스포이드부의 착탈 시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스포이드관 단부가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내캡의 내측으로 흔들림방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스포이드관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는 누름버튼에 끼워지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로부터 연장되어 그 형태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부 및 상기 탄성변형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스포이드관과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포이드관연결체의 탄성변형부는 내캡의 내주연에 접촉되어 있다가, 스포이드관에 의해 밀리면서 누름버튼의 내부 공간으로 솟아올라 탄력적으로 접히는 동시에, 내캡의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는 스포이드관의 외주연에 묻은 내용물을 훑어내는 와이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용기본체의 입구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방지부는 내캡의 단부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스포이드관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누름버튼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관의 단부 측벽에는 용기본체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과 스포이드관연결체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내캡과 외캡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부의 스포이드관을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스포이드관의 단부가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눌리는 동시에 스포이드관연결체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누름버튼과 스포이드관연결체의 내부 체적이 줄어들어 그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고, 스포이드관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하면 압축되어 있던 스포이드관연결체가 복원되면서 상기 누름버튼과 스포이드관연결체의 내부 체적이 커져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이 스포이드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KR1020210083826A 2021-06-28 2021-06-28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KR10252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826A KR102527876B1 (ko) 2021-06-28 2021-06-28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CN202111216212.XA CN115593754A (zh) 2021-06-28 2021-10-19 无残留滴管容器
PCT/KR2022/006499 WO2023277332A1 (ko) 2021-06-28 2022-05-06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826A KR102527876B1 (ko) 2021-06-28 2021-06-28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96A KR20230001196A (ko) 2023-01-04
KR102527876B1 true KR102527876B1 (ko) 2023-05-10

Family

ID=8469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826A KR102527876B1 (ko) 2021-06-28 2021-06-28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27876B1 (ko)
CN (1) CN115593754A (ko)
WO (1) WO20232773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1009B1 (ko) 2023-01-20 2024-05-30 펌텍코리아(주)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3869B2 (ja) 1998-09-25 2009-01-07 株式会社資生堂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KR101785716B1 (ko) * 2017-05-18 2017-10-16 (주)연우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890816B1 (ko) * 2017-03-15 2018-08-22 이종남 스포이드형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357U (ja) * 1992-12-15 1994-07-0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KR101178596B1 (ko) * 2010-04-28 2012-08-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포이트 용기
KR200480441Y1 (ko) 2014-11-04 2016-05-26 펌텍코리아(주) 자동 스포이드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3869B2 (ja) 1998-09-25 2009-01-07 株式会社資生堂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KR101890816B1 (ko) * 2017-03-15 2018-08-22 이종남 스포이드형 용기
KR101785716B1 (ko) * 2017-05-18 2017-10-16 (주)연우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93754A (zh) 2023-01-13
KR20230001196A (ko) 2023-01-04
WO2023277332A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283B1 (ko) 크림타입 화장품 토출용 튜브형 화장품용기
CN108285007A (zh) 防溢漏饮用容器盖装置
US10328451B2 (en)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JP2007050242A (ja) パウダー吐出用化粧品ケース
KR102527876B1 (ko)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WO2003055372A3 (de) Wischvorrichtung zum wischen von zu reinigenden flächen
US5746348A (en) Hair treatment timer receptacle with detachable timer
US20120093567A1 (en) Diaper rash cream applicator
ES2527116T3 (es) Envase de aplicación mejorad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WO2007040618A2 (en) Nail polish remover kit
US20080314405A1 (en) Structure of a make-up container
KR101790033B1 (ko) 스포이트관에 메쉬망 조립이 간편한 스포이트용기
CN107411314A (zh) 化妆品瓶子及包含该瓶子和化妆品用涂抹器的涂抹器组件
JP6342958B2 (ja) 臨時貯蔵所を有するフロックチップを具備したスポイト容器
KR200433681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2671009B1 (ko)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KR10235431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87397Y1 (ko) 화장품 용기
CN116490097A (zh) 内容物容器
CA2482755A1 (en) Device for administering or ingesting fluids or powder-type substances in addition to a replacement element for said device
KR20220148504A (ko)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KR101971918B1 (ko) 임시저장소를 갖는 플로킹팁을 구비한 스포이드 용기
KR20170115904A (ko)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US20200253458A1 (en) Stemware cleaning device
EP3415036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 hand held device comprising a 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