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816B1 - 스포이드형 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드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816B1
KR101890816B1 KR1020170032228A KR20170032228A KR101890816B1 KR 101890816 B1 KR101890816 B1 KR 101890816B1 KR 1020170032228 A KR1020170032228 A KR 1020170032228A KR 20170032228 A KR20170032228 A KR 20170032228A KR 101890816 B1 KR101890816 B1 KR 101890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pressing
container body
ba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남
Original Assignee
이종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남 filed Critical 이종남
Priority to KR1020170032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82Burettes; Pipettes mounted within a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01L3/0289Apparatus for withdrawing or distribut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fluid
    • B01L3/0293Apparatus for withdrawing or distributing predetermined quantities of fluid f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65D77/049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and retained at a distance of the inner side-wall of the outer container, e.g. within a bottl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8Upper closure of the 51-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이드관의 길이가 용기의 입구 부위로부터 바닥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는 스포이드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단에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결합되며 내캡과 외캡으로 구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캡의 상부로 돌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상부가 눌려지며 상기 내캡에 의해 지지되는 주름주머니와, 상기 주름주머니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스포이드관을 포함하되, 상기 스포이드관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다.

Description

스포이드형 용기{SPUIT TYPE CONTAINER}
본 발명은 스포이드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포이드관의 길이가 용기의 입구 부위로부터 바닥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는 스포이드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학약품, 의약품과 같은 분야에서는 소량의 저점도 액체 내용물을 흡입하여 원하는 양만큼을 토출하는데에 스포이드(pipette)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스포이드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등의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저경도 고무로 이루어진 헤드 부분과 헤드의 하단부에 관 형태의 유리나 플라스틱이 끼워져 있는 구조로, 사용자가 내용물과 직접 접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염 또는 위해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단순 구조의 정량 토출용 기구로 이용된다.
특히, 최근 들어 화장품과 같은 경우 고급감 부여의 일환으로 의약품 느낌을 차용한 포장 용기 형태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화장품의 경우에는 내용물의 특성상 다양한 종류의 오일류를 포함하고 있어, 제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내유성이 우수한 스포이드 고무를 적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장품에 이용되는 스포이드 구조의 포장 용기는, 대부분 탄성 재질의 고무 헤드 부분과, 이 고무 헤드 하단에 끼워지는 유리나 플라스틱 소재의 얇은 관과, 이 고무 헤드가 끼워지는 뚜껑 그리고 이 뚜껑과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되는 용기로 구성된다.
그런데, 기존의 스포이드형 용기를 살펴보면, 스포이드관이 용기에 비해 매우 짧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스포이드가 결합된 뚜껑을 용기에 결합시 용기의 입구의 길이만큼 스포이드관의 단부가 용기 바닥에 접근하기 때문이다. 즉, 스포이드관이 길 경우, 스포이드가 결합된 뚜껑을 용기에 결합시 뚜껑이 완전히 결합되기 이전에 스포이드관의 단부가 용기 바닥에 닿음으로써 뚜껑과 용기가 완전결합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뚜껑과 용기를 완전 결합시 스포이드관의 단부가 파손되거나 용기의 바닥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포이드관의 길이가 짧은 관계로 용기 내에 내용물이 얼마남지 않을 경우, 남아있는 내용물을 스포이드관 내에 흡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포이드관의 길이가 용기의 입구 부위로부터 바닥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는 스포이드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결합되며 내캡과 외캡으로 구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캡의 상부로 돌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상부가 눌려지며 상기 내캡에 의해 지지되는 주름주머니와, 상기 주름주머니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스포이드관을 포함하되, 상기 스포이드관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상기 누름부의 외주연 일측에는 제 1 돌출부를 갖되,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캡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상기 내캡의 일측이 상기 주름주머니 방향으로 휘어져서 상기 주름주머니의 외측에 돌출된 제 2 돌출부와 상기 주름주머니에 연결되고, 상기 내캡의 타측은 상기 내캡의 일단 부위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후 타단이 누름부 측으로 휘어지며 상기 외캡의 내면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주름주머니를 누르도록 상기 내캡의 일측에는 상기 누름부의 외주연을 하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누름 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상기 누름부의 내면에는 상기 누름부를 누르는 누름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의 외주연 하단은 상기 내캡의 일측에 걸려 상기 주름주머니의 누름을 제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걸쳐지며, 바닥이 상기 스포이드관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관통되는 컵 형상의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의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걸쳐지는 부위에 걸쳐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상기 주름주머니는 복원력이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특히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NBR(acrylonitrilebutadienerubber)고무 또는 실리콘고무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주름주머니의 측면은 자바라 형상의 주름진 형상을 가져 압축 및 수축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상기 캡 및 상기 용기 본체가 결합될 경우, 상기 스포이드관이 바닥에 닿음으로써 상기 주름주머니의 자바라 형상의 주름진 측면이 압축되며, 상기 누름부의 누름 지지부에 의해 상기 주름주머니의 상부가 눌러짐으로써 상기 스포이드관의 내부에 내용물이 흡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상기 캡 및 상기 용기 본체가 분리될 경우, 상기 주름주머니의 자바라 형상의 주름진 측면이 이완되며 상기 누름부의 누름 지지부에 의해 눌려졌던 상기 주름주머니의 상부가 펴짐으로써, 상기 스포이드관의 내부로 내용물이 더 흡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포이드관의 길이가 용기의 입구 부위로부터 바닥 부위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내에 내용물이 얼마남지 않을 경우, 남아있는 내용물을 스포이드관 내에 흡착하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 내에 내용물이 담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에서 캡을 용기로부터 연 상태에서 스포이드 누름부를 누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에서 스포이드와 결합된 캡이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에 사용되는 일반 스포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 A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내용물(500)이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00)와,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30)에 결합되며 내캡(220)과 외캡(210)으로 구성되는 캡(200)과, 캡(200)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캡(200)의 상부로 돌출되는 누름부(230)와, 누름부(230)의 누름에 의해 상부가 눌려지며 내캡(220)에 의해 지지되는 주름주머니(320)와, 주름주머니(3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500)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스포이드관(3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포이드관(310)은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30)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된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100) 내의 내용물(500)이 얼마 남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스포이드관(310)의 내부로 남아있는 내용물(500)을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에서, 누름부(230)의 외주연 일측에는 제 1 돌출부(232)를 갖되, 제 1 돌출부(232)는 누름부(230)가 캡(2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누름부(230)의 외주연은 추후 설명하는 누름 안내부(240)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누름부(230)와 대면하는 캡의 내면에 제 1 돌출부(232)가 걸리기 때문에, 누름부(230)가 캡(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내캡(220)의 일측(221)은 주름주머니(320) 방향으로 휘어져서 주름주머니(320)의 외측에 돌출된 제 2 돌출부(321)와 주름주머니(320)에 연결되고, 내캡(220)의 타측(222)은 내캡(220)의 일단 부위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후 타단(223)이 누름부 측으로 휘어지며 외캡(210)의 내면에 연결된다. 또한, 내캡(220)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나사산은 용기 본체(100)의 본체 나사산(140)과 나사결합된다. 또한, 제 2 돌출부(321)는 주름주머니(320)의 상부 측 외주연에 돌출되어 있고, 이러한 제 2 돌출부(321) 상에 내캡(220)의 일측(221)이 위치한다. 이때, 내캡(220)의 일측(221)과 주름주머니(320)의 제 2 돌출부(321)는 서로 분리되지 않게 강한 접착력으로 연결되어 있다. 물론, 일측(221)과, 제 2 돌출부(321)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보조 부재(예를 들면, 피스나 못 등)를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다.
누름부(230)가 주름주머니(320)를 누르도록 내캡(220)의 일측(221)에는 누름부(230)의 외주연을 하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누름 안내부(240)를 포함한다. 누름 안내부(240)는 내캡(220)의 일측(221)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며, 누름부(230)의 외주연을 지지함과 아울러 하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누름부(230)의 내면에는 누름부(230)를 누르는 누름 지지부(231)를 더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름부(230)를 누르면 누름지지부(231)가 하강하여 누름안내부(240)의 상부를 누르게 된다.
이때, 누름부(230)의 외주연 하단이 내캡(220)의 일측(221)에 걸림으로써, 주름주머니(320)의 누름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누름안내부(240)의 길이에 따라 누름부(230)의 외주연 하단이 내캡(220)의 일측(221)에 걸려 주름주머니(320)의 누름을 제한하게 될 수도 있지만, 누름부(230)의 제 1 돌출부(232)가 누름 안내부(240)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주름주머니(320)의 누름이 제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30)에 걸쳐지며, 바닥이 스포이드관(31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관통되는 컵 형상의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400)는 캡(200)이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될 경우, 스포이드관(310)의 외부에 묻어있는 내용물(500)이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뿐만 아니라 캡(200)이 용기 본체(100)에 분리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100)가 넘어지더라도 다량의 내용물이 용기 본체(100)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반대로,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400)의 측면은 캡(200)과 용기 본체(100)의 결합시 주름주머니(320)가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400)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 2 돌출부(321)는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400)에서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300)에 걸쳐지는 부위에 걸쳐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에서, 스포이드관(310)이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30)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되더라도 주름주머니(320) 상부에 내캡(220)의 일측(221)이 연결되고,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30)가 내캡(220)의 내면과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400)의 외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스포이드관(310)의 하단이 파손되거나 용기 본체(100)의 바닥면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름주머니(320)는 복원력이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특히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NBR(acrylonitrilebutadienerubber)고무 또는 실리콘고무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름주머니(320)의 측면은 자바라 형상의 주름진 형상을 가져 압축 및 수축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 내에 내용물이 담긴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에서 캡을 용기로부터 연 상태에서 스포이드 누름부를 누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에서 스포이드와 결합된 캡이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즉,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에서 스포이드가 결합된 캡을 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동작 관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500)이 가득차 있으며, 캡(200)과 용기 본체(10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스포이드관(310)이 바닥에 닿음으로써 주름주머니(320)의 자바라 형상의 주름진 측면이 압축되며 누름부(230)의 누름 지지부(231)에 의해 주름주머니(320)의 상부가 일부 눌러지게 된다. 이에 의해, 스포이드관(310)의 내부에 내용물(500)의 일부가 투입된다. 다음, 캡(200)과 용기 본체(100)가 결합되어 있는 스포이드형 용기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0)을 회전시켜 용기 본체(100)와의 결합을 푼다. 이때, 캡(200)과 용기 본체(100)가 분리되면, 주름주머니(320)의 자바라 형상의 주름진 측면이 이완되며 누름부(230)의 누름 지지부(231)에 의해 눌려졌던 주름주머니(320)의 상부가 펴지게 된다. 즉, 누름 지지부(231)에 의해 눌려졌던 주름주머니(320)의 상부가 펴지게 됨으로써, 스포이드관(310)의 내부로 내용물(500)이 더 흡입된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스포이드의 누름주머니(320)를 눌렀다가 손가락을 제거했을 때 스포이드관(310)의 내부로 내용물이 흡입되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포이드가 결합된 캡(200)을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하면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0)이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스포이드관(310) 내부의 내용물(500)을 모두 사용하면, 스포이드관(310)을 용기 본체(100) 내에 삽입 후, 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름부(230)의 상부를 누르면 된다. 이와 같이 누름부(230)의 상부를 누르면 누름 지지부(231)가 주름주머니(320) 상부를 눌러 스포이드관(310)의 내부에 다시 내용물(500)이 투입되고 이를 사용하면 된다. 선택적으로, 캡(200)이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스포이드관(310) 내부의 내용물(500)을 모두 사용하면, 캡(200)과 용기 본체(100)를 다시 결합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캡(200)과 용기 본체(10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부(230)의 누름 지지부(231)에 의해 주름주머니(320)의 상부가 일부 눌러지게 되고, 이에 의해, 스포이드관(310)의 내부에 내용물(500)의 일부가 다시 투입되게 된다. 사용자는 다시 캡(200)과 용기 본체(100)를 분리한 후 스포이드관(310) 내부의 내용물을 사용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스포이드관(310) 내부로 내용물(500)을 흡입시키는 방법이 2가지이다. 첫째는, 캡(200)과 용기 본체(100)를 결합하면, 누름부(230)의 누름 지지부(231)에 의해 주름주머니(320)의 상부가 일부 눌러지게 되고, 이에 의해, 스포이드관(310)의 내부에 내용물(500)의 일부가 흡입되는 방식이다.
둘째는, 스포이드관(310)을 용기 본체(100) 내에 삽입 후, 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름부(230)의 상부를 누르면 누름부(230)의 누름 지지부(231)가 주름주머니(320)의 상부를 눌러 스포이드관(310)의 내부에 내용물(500)이 흡입되는 방식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에 사용되는 일반 스포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일반 스포이드를 캡(200) 내부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현재 판매되는 일반 스포이드와도 호환 가능하게 제작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포이드형 용기는 스포이드관(310)이 용기 본체(100)의 입구부(130)로부터 용기 본체(100)의 바닥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100) 내의 내용물(500)이 얼마 남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스포이드관(310)의 내부로 남아있는 내용물(500)을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용기 본체
110 : 내용기 본체
120 : 외용기 본체
130 : 입구부
140 : 본체 나사산
200 : 캡
210 : 외캡
220 : 내캡
221 : 일단
222 : 타단
223 : 제 2 돌출부
230 : 누름부
231 : 누름 지지부
240 : 누름 안내부
300 : 스포이드
310 : 스포이드관
320 : 주름주머니
321 : 제 2 돌출부
400 :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
500 : 내용물

Claims (10)

  1. 내용물이 수용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결합되며 내캡과 외캡으로 구성되는 캡과,
    상기 캡의 내측에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캡의 상부로 돌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누름에 의해 상부가 눌려지며 상기 내캡에 의해 지지되는 주름주머니와,
    상기 주름주머니의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 또는 배출하는 스포이드관과,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걸쳐지며, 바닥이 상기 스포이드관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관통되는 컵 형상의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내캡의 일측은 상기 주름주머니 방향으로 휘어져서 상기 주름주머니의 외측에 돌출된 제 2 돌출부와 상기 주름주머니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가 상기 내캡의 내면 및 상기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의 외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스포이드관은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로부터 바닥까지 연장되고,
    상기 캡 및 상기 용기 본체가 결합될 경우, 상기 스포이드관이 용기 본체의 바닥에 닿음으로써 상기 주름주머니의 자바라 형상의 주름진 측면이 압축되고, 상기 누름부의 누름 지지부에 의해 상기 주름주머니의 상부가 눌러짐으로써 상기 스포이드관의 내부에 내용물이 흡입되는 스포이드형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외주연 일측에는 제 1 돌출부를 갖되,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캡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포이드형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의 타측은 상기 내캡의 일단 부위와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후 타단이 누름부 측으로 휘어지며 상기 외캡의 내면에 연결되는 스포이드형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가 상기 주름주머니를 누르도록 상기 내캡의 일측에는 상기 누름부의 외주연을 하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누름 안내부를 포함하는 스포이드형 용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내면에는 상기 누름부를 누르는 누름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의 외주연 하단은 상기 내캡의 일측에 걸려 상기 주름주머니의 누름을 제한하는 스포이드형 용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내용물 배출 방지 부재의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걸쳐지는 부위에 걸쳐지는 스포이드형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주머니는 복원력이 있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천연고무, 엘라스토머, NBR(acrylonitrilebutadienerubber)고무 또는 실리콘고무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주름주머니의 측면은 자바라 형상의 주름진 형상을 가져 압축 및 수축이 이루어지는 스포이드형 용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용기 본체가 분리될 경우, 상기 주름주머니의 자바라 형상의 주름진 측면이 이완되며 상기 누름부의 누름 지지부에 의해 눌려졌던 상기 주름주머니의 상부가 펴짐으로써, 상기 스포이드관의 내부로 내용물이 더 흡입되는 스포이드형 용기.
KR1020170032228A 2017-03-15 2017-03-15 스포이드형 용기 KR101890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228A KR101890816B1 (ko) 2017-03-15 2017-03-15 스포이드형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228A KR101890816B1 (ko) 2017-03-15 2017-03-15 스포이드형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816B1 true KR101890816B1 (ko) 2018-08-22

Family

ID=6345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228A KR101890816B1 (ko) 2017-03-15 2017-03-15 스포이드형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81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7369A (zh) * 2020-05-06 2020-08-18 宁波卓荣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防儿童开启的滴管瓶
CN112896780A (zh) * 2021-01-08 2021-06-04 安徽华容药品包装有限公司 一种防回旋螺纹口玻璃滴管瓶
KR20230001196A (ko) 2021-06-28 2023-01-04 펌텍코리아 (주)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KR20230122262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신우 가압버튼을 구비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357U (ja) * 1992-12-15 1994-07-0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KR20100001590U (ko) * 2008-08-04 2010-02-12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의 누름주머니 구조
KR101162644B1 (ko) * 2011-09-23 2012-07-09 최종서 화장품 용기의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357U (ja) * 1992-12-15 1994-07-05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KR20100001590U (ko) * 2008-08-04 2010-02-12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의 누름주머니 구조
KR101162644B1 (ko) * 2011-09-23 2012-07-09 최종서 화장품 용기의 캡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7369A (zh) * 2020-05-06 2020-08-18 宁波卓荣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防儿童开启的滴管瓶
CN112896780A (zh) * 2021-01-08 2021-06-04 安徽华容药品包装有限公司 一种防回旋螺纹口玻璃滴管瓶
KR20230001196A (ko) 2021-06-28 2023-01-04 펌텍코리아 (주)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WO2023277332A1 (ko) * 2021-06-28 2023-01-05 펌텍코리아(주)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KR102527876B1 (ko) * 2021-06-28 2023-05-10 펌텍코리아(주) 잔량 방지 스포이드 용기
KR20230122262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신우 가압버튼을 구비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658991B1 (ko) 2022-02-14 2024-04-19 주식회사 신우 가압버튼을 구비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816B1 (ko) 스포이드형 용기
KR10178957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178596B1 (ko) 스포이트 용기
KR102128583B1 (ko) 내용물 토출 용기
US7314329B1 (en) Cosmetics case
US20180178232A1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powder
EP2826398A1 (en) Tubular cosmetic container
CN101932263A (zh) 手动滴瓶
KR101533716B1 (ko)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KR101270347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JP5938828B2 (ja) 定量引出及び吐出が可能なスポイトを備える化粧品容器
JP2024506302A (ja) 内容物吐出容器
KR200487644Y1 (ko)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1194450B1 (ko) 시린지를 갖는 용기
CN217885342U (zh) 化妆品容器
KR200468901Y1 (ko) 잎맥형 화장 전용 스포이드 용기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US20220331823A1 (en) Dispenser
KR102085881B1 (ko) 화장품용 피펫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CN207226096U (zh) 便携式滴管
JP2013095439A (ja) 吐出容器
RU25266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нанесения жидких препаратов
KR102546106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WO2017043367A1 (ja)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ポイト付き容器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