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3716B1 -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3716B1
KR101533716B1 KR1020130138176A KR20130138176A KR101533716B1 KR 101533716 B1 KR101533716 B1 KR 101533716B1 KR 1020130138176 A KR1020130138176 A KR 1020130138176A KR 20130138176 A KR20130138176 A KR 20130138176A KR 101533716 B1 KR101533716 B1 KR 101533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pace
lid
support
flow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5785A (ko
Inventor
이중배
Original Assignee
(주) 이루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루팩 filed Critical (주) 이루팩
Priority to KR102013013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7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5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5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는 화장품이 담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유제가 일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담긴 상기 화장품이 타측으로 배출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일부가 상기 덮개부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유동부 및 상기 유동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주면 및 삽입홀은 상기 내부공간의 벽면 및 상기 이동부와 밀착되며 상기 덮개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덮개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한 공기의 양만큼 상기 유동부를 따라 상승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Description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Press Type Cosmetic Case}
본 발명의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캡을 가압하여 압력에 의해 화장품이 배출되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림타입으로 형성된 화장품을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들은 주로 그 내부에는 화장품이 담길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에는 뚜껑이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시에는 용기의 뚜껑을 열고 용기 내부에 담긴 화장품을 찍어서 바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상당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용기의 뚜껑을 열면 용기 내부의 화장품이 외부에 노출되어 불순물이 침투될 우려가 있고, 화장품을 사용할 때 손가락이 화장품에 접촉되면서 세균과 같은 병균들에 의하여 화장품이 감염되어 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여러 사람이 화장품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점의 발생 빈도가 상당히 높아진다.
물론,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용기 상부에 펌프식으로 형성된 별도의 압착구를 설치하여 압착구를 눌러주면 압착구 하부에 연결된 안내관을 통해 압착구의 배출공으로 화장품이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구성도 상당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화장품이 토출되는 배출공은 그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있더라도 외부와 노출되어 세균에 감염될 수 있으며, 화장품이 안내관을 통해 이송되는 관계로 화장품이 이송되는 안내관의 하단부에 접촉되지 않는 부위에 수납되는 화장품은 토출되지 않고 용기 내부에 잔류하기 때문에 화장품을 끝까지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위생적으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화장품을 남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는 용기부, 덮개부, 지지부, 유동부 및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에는 화장품이 담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유체가 일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담긴 상기 화장품이 타측으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덮개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일부가 상기 덮개부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유동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주면 및 삽입홀은 상기 내부공간의 벽면 및 상기 유동부와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덮개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덮개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한 공기의 양만큼 상기 유동부를 따라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장품은 상기 덮개부와 상기 이동부 사이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캡 및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덮으며, 상기 유동홀과 연통되도록 개구되고, 상기 캡의 일측에는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캡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되고, 상기 유동부의 유동홀과 연통되는 벤트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홀의 일측에는 하방향으로만 공기를 유동시키는 원웨이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웨이 밸브는 유동차단부재와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싱기 유동차단부는 서포트부, 가압부, 탄성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서포트부는 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동부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서포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서포트부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서포트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며 상기 가압부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부, 상기 탄성부, 상기 가압부는 서로 밀착되어 가압부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를 유동시키킬 수 있다.
상기 스톱퍼는 상기 유동차단부재의 상부에 상기 서포트부와 밀착되게 구비되며, 내경이 상기 가압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탄성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의 일측에는 상기 캡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탄성을 가지도록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의 상면은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중앙부의 직경이 나머지 부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의 벽면과 상기 이동부 사이의 마찰력은 사용자가 상기 덮개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화장품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외부의 공기가 화장품과 닿지 않으며, 외부로 배출된 화장품이 다시 용기 내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화장품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에 의하면 이동부의 상면과 캡의 하면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지게 이루어져 화장품을 남김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원웨이밸브 중 유동차단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가 가압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배출구를 나타낸 확대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이동부가 상부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에 담긴 화장품을 모두 사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는 용기부(100), 덮개부(200), 지지부(400), 유동부(500) 및 이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00)에는 화장품(10)이 담기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00)는 용기부(100)의 상부에서 내부공간(110)을 덮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200)는 일방향으로만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덮개부(200)를 가압하면 내부공간(110)에 담긴 화장품(10)이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덮개부(2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부(400)는 덮개부(20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400)는 덮개부(200)의 하부에 덮개부(200)와 밀착되도록 구비되나, 일부가 덮개부(200)와 이격되어 공간(420)을 형성할 수 있다.
유동부(500)는 지지부(400)의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지지부(4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동부(500)는 내부공간(110)의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부(500)에는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의 공간(420)으로부터 내부공간(110)의 저면까지 연통되는 유동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200)을 가압하면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 공간(420)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 공간(420)에 존재하던 공기가 유동부(500)의 유동홀(510)을 통하여 내부공간(11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300)는 내부공간(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동부(300)의 외주면이 내부공간(110)의 벽면과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300)에는 유동부(500)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삽입홀은 유동부(500)와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400)와 이동부(300) 사이의 공간은 밀폐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밀폐된 지지부(400)와 이동부(300) 사이 공간에는 화장품(10)이 채워질 수 있다.
이동부(300)는 덮개부(200)를 가압함에 따라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의 공간(420)으로부터 유동홀(510)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한 공기의 양만큼 유동부(500)를 따라 상승하며 화장품(10)을 밀어낼 수 있다.
이동부(300)가 상승하면 지지부(400)와 이동부(300) 사이에 채워진 화장품(10)은 압력에 의해 배출구(2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212)를 통하여 배출된 화장품(10)의 양은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의 공간(420)으로부터 유동홀(510)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한 공기의 양과 같을 수 있다.
덮개부(200)를 가압하면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의 공간(420)에 존재하는 공기가 유동홀(510)을 통과하여 이동부(300)의 하부로 이동하여 이동부(3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동부(300) 하부가 밀폐 상태가 되지 않는다면 버튼(214)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함과 동시에 화장품(10) 및 이동부(300)의 자중에 의하여 이동부(300) 하부의 공기가 다시 유동홀(510) 및 후술할 벤트홀(220a)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면서 이동부(300) 또한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0)가 아래로 이동하면 내부공간(110)에 음압이 발생하여 배출구(21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장품(10)의 변질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동홀(510)의 일측에는 하방향으로만, 즉 이동부(300)의 하부로만 공기를 유동시키는 원웨이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원웨이 밸브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덮개부(200)는 캡(210) 및 탄성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캡(210)은 용기부(100)의 상부에서 내부공간(110)을 덮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캡(210)에는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화장품(10)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캡(210)의 일측에는 캡(210)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버튼(2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214)은 탄성을 가지도록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리브(21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214)을 가압하면 복수개의 탄성리브(215)는 탄성력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고, 버튼(214)을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다.
캡(210)은 단단하면서도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캡(210)의 재질로는 폴리프로필렌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캡(2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캡(210)의 형태를 유지하되 탄성리브(215)는 충분한 탄성을 가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탄성체(220)는 적어도 배출구(212)와 버튼(214)을 덮도록 캡(210)의 상부에 밀착되게 구비되며, 화장품(10)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212)와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되는 절개선(222)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20)의 재질로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탄성체(220)의 재질로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체(220)에는 유동홀(510)과 연통되는 벤트홀(22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캡(210)의 상부에 탄성체(220)가 구비됨으로써 용기부(100)의 내부공간(110)은 배출구(212) 및 벤트홀(220a)을 제외하면 밀폐 상태가 될 수 있다.
벤트홀(220a)은 버튼(214)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버튼(214)의 가운데 부분을 가압하게 되는데, 벤트홀(220a)이 버튼(214)의 중앙에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버튼(214)을 가압 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벤트홀(220a)이 폐쇄될 수 있다.
버튼(214)을 가압하면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의 공기가 이동부(30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420)은 버튼(21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20)가 캡(21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캡(210)의 상부에서 버튼(214)을 가압하면 버튼(214)이 변형을 일으키며 공기를 하부로 밀어내게 되고, 버튼(214)을 가압함에 따라 이동부(300)의 하부로 이동한 공기의 양만큼 이동부(300)가 상승하면서 내부공간(110)에 채워져 있던 화장품(10)이 배출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캡(210)에서 힘을 제거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원웨이밸브 중 유동차단부재(61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원웨이 밸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원웨이 밸브는 유동차단부재(610)와 스톱퍼(6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차단부재(610)는 서포트부(610a), 가압부(610c), 탄성부(610b)로 형성될 수 있는데, 서포트부(610a)는 링형의 형상을 가지며 유동부(50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 가압부(610c)는 서포트부(610a)의 내측에 위치하며 서포트부(610a)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610b)는 서포트부(610a)와 가압부(610c) 사이에 구비되어 서포트부(610a)와 가압부(610c)를 연결하며 가압부(610c)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서포트부(610a), 탄성부(610b), 가압부(610c)는 서로 밀착되어 가압부(610c)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를 유동시키킬 수 있다.
스톱퍼(620)는 유동차단부재(610)의 상부에 서포트부(610a)와 밀착되게 구비되며, 내경이 가압부(610c)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가압부(610c)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버튼(214)을 가압하면 사용자에 의해 벤트홀(220a)이 폐쇄되면서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 공간(420)의 공기가 가압부(610c)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610c)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탄성부(610b) 또한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때, 서포트부(610a)와 탄성부(610b), 탄성부(610b)와 가압부(610c) 사이로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 공간(420)에 존재하던 공기가 유동홀(510)을 따라 이동부(30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가 가압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버튼을 가압하였을 경우 본 실시예의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버튼(214)을 가압하면 복수개의 탄성리브(215)는 탄성력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벤트홀(220a)이 폐쇄되면서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 공간(420)의 공기가 가압부(610c)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차단부재(610)의 가압부(610c)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탄성부(610b) 또한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때, 서포트부(610a)와 탄성부(610b), 탄성부(610b)와 가압부(610c) 사이로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 공간(420)에 존재하던 공기가 유동홀(510)을 따라 이동부(30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300)의 하부로 이동한 공기는 이동부(300)를 상부로 밀어 올리고, 이동부(300)에 의해 줄어든 내부공간(110)의 부피만큼 화장품(10)이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배출구를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배출구(212)에는 탄성체(22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리브(216)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210)을 가압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10)이 외부로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탄성체(220)의 절개된 부분이 상부로 들리면서 탄성체(220)의 절개된 부분이 벌어지고, 그 사이로 화장품(10)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 탄성체(220)가 지지리브(216)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탄성체(220)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개선(222)들이 서로 맞닿아 내부공간(110)을 다시 밀폐함으로써 절개선(222)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2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화장품(10)이 배출구(212)를 통해 다시 내부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배출된 화장품(10)을 찍어 바르더라도 내부공간(110)에 위치하는 화장품(10)이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이동부가 상부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버튼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였을 경우 본 실시예의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버튼(214)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리브(215)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버튼(214)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 공간(420)에 음압이 발생하여 벤트홀(220a)을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차단부재(610)의 가압부(610c)가 탄성부(610b)의 복원력에 의해 서포트부(610a)에 대하여 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214)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이동부(300) 및 화장품(10)의 자중에 의해 이동부(300) 하부에 위치하는 공기가 다시 유동홀(510)을 통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가압부(610c)는 이동부(300) 하부의 공기가 다시 배출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스톱퍼(620)에 의해 가압부(610c)의 상방향 이동이 제한되어 가압부(610c) 및 탄성부(610b)는 서포트부(610a)와 플레이트 형태를 이루는 원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300) 하부에 위치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없으며, 이동부(300) 하부는 밀폐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에 담긴 화장품을 모두 사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동부(300)의 상면과 지지부(400)의 하면은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굴곡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300)가 내부공간(110)에서 완전히 상승한 상태에서 이동부(300)의 상면과 지지부(400)의 하면이 서로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내부공간(110)에 잔류하는 화장품(10) 없이 전량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부(400)의 버튼(214)과 대응되는 부분, 즉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의 공간(420)에 대응하는 부분은 하부로 약간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300)의 상면 또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300)는 중앙부의 직경이 나머지 부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이동부(300)의 상부와 하부 테두리(310) 부분이 약간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이동부(300)의 상부와 하부 테두리(310) 부분에서는 내부공간(110)의 벽면을 향하여 탄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동부(300)는 내부공간(1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동부(300)의 상부와 하부 테두리(310) 부분이 약간의 탄성을 가짐으로써 제작 시 발생하는 공차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이동부(300)가 내부공간(110)에 끼워짐으로써 내부공간(110)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내부공간(110)의 벽면과 이동부(300) 사이의 마찰력은 사용자가 덮개부(200)를 가압함에 따라 화장품(10)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클 수 있다.
만약, 내부공간(110)의 벽면과 이동부(300) 사이의 마찰력이 사용자가 덮개부(200)를 가압하는 힘보다 작다면, 사용자가 덮개부(200)를 가압함에 따라 이동부(300)가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에 화장품(10)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내부공간(110)의 벽면과 이동부(300) 사이의 마찰력은 사용자가 덮개부(200)를 가압함에 따라 화장품(10)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커서 버튼(214)을 가압해도 이동부(300)가 하부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버튼(214)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내부공간(110)에 위치하는 화장품(10)이 배출구(2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부(400)와 이동부(300) 사이의 내부공간(110)에 화장품(10)이 가득 채워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214)를 가압하면 버튼(214)의 탄성리브(215)가 하부로 휘어지면서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 공간(420)에 존재하는 공기가 유동차단부재(610)의 가압부(610c)를 가압하여 가압부(610c)가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610c)와 탄성부(610b), 탄성부(610b)와 서포트부(610a) 사이에 형성되는 틈으로 공기가 이동하여 유동부(500)에 형성된 유동홀(510)을 통하여 이동부(300)의 하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홀(510)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한 공기의 양만큼 이동부(300)가 상승하면서 지지부(400)와 이동부(300) 사이에 채워진 화장품(10)을 가압할 수 있다. 이동부(300)의 상승에 따른 압력에 의해 화장품(10)은 배출구(2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배출구(2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화장품(10)의 양은 사용자가 버튼(214)을 가압함에 따라 이동부(300)의 하부로 이동한 공기의 양과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한 만큼 화장품(10)이 모두 배출된 후에는 탄성체(220)가 다시 아래로 내려오지만, 탄성체(220)가 지지리브(216)에 의해 하부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탄성체(220)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개선(222)들이 서로 맞닿아 내부공간(110)을 다시 밀폐함으로써 절개선(222)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내부공간(110)으로 유입되거나 화장품(10)이 내부공간(110)으로 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214)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리브(215)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덮개부(200)와 지지부(400) 사이 공간(420)에는 음압이 발생하여 벤트홀(220a)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차단부재(610)의 가압부(610c)는 탄성부(610b)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며, 이 때 가압부(610c)는 유동차단부재(6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톱퍼(62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원래의 플레이트 상태로 되돌아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300) 하부는 밀폐 상태가 되어 이동부(300) 하부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이로써, 이동부(300)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장품(10)을 모두 사용하면 이동부(300)의 상면이 지지부(400)의 하면과 맞닿기 때문에 화장품(10)을 남김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화장품 100: 용기부
110: 내부공간 200: 덮개부
210: 캡 212: 배출구
214: 버튼 215: 탄성리브
216: 지지리브 220: 탄성체
220a: 벤트홀 222: 절개선
300: 이동부 310: 테두리
400: 지지부 420: 공간
500: 유동부 510: 유동홀
610: 유동차단부재 610a: 서포트부
610b: 탄성부 610c: 가압부
620: 스톱퍼

Claims (11)

  1. 화장품이 담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덮는 형태로 구비되며, 일방향으로만 유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어 사용자가 가압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담긴 상기 화장품이 타측으로 배출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되 일부가 상기 덮개부와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유동홀이 형성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주면 및 삽입홀은 상기 내부공간의 벽면 및 상기 유동부와 밀착되며, 상기 덮개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덮개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유동홀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한 공기의 양만큼 상기 유동부를 따라 상승하는 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품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이동부 사이에 채워지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2. 재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덮으며, 일부가 상기 유동홀과 연통되도록 개구되고, 일측에는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캡; 및
    상기 캡의 개구된 부분과 상기 배출구를 덮도록 상기 캡의 상부에 밀착되게 구비되며, 상기 화장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부분이 절개되고, 상기 유동부의 유동홀과 연통되는 벤트홀이 형성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의 일측에는 하방향으로만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원웨이 밸브가 구비되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원웨이 밸브는,
    상기 유동부의 일측에 지지되는 링형의 서포트부, 상기 서포트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서포트부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압부, 상기 서포트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서포트부와 상기 가압부를 연결하며 상기 가압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부, 상기 탄성부, 상기 가압부는 서로 밀착되어 가압부의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플레이트 형상의 유동차단부재;
    상기 유동차단부재의 상부에 상기 서포트부와 밀착되게 구비되며, 내경이 상기 가압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의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환형의 스톱퍼;
    를 포함하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탄성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일측에는,
    상기 캡의 가압이 용이하도록 버튼이 형성되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탄성을 가지도록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리브를 포함하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상면은,
    상기 지지부의 하면과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굴곡지게 이루어지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저면과 이격되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중앙부의 직경이 나머지 부분보다 작게 형성되는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의 벽면과 상기 이동부 사이의 마찰력은,
    사용자가 상기 덮개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화장품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큰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KR1020130138176A 2013-11-14 2013-11-14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KR101533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176A KR101533716B1 (ko) 2013-11-14 2013-11-14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176A KR101533716B1 (ko) 2013-11-14 2013-11-14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785A KR20150055785A (ko) 2015-05-22
KR101533716B1 true KR101533716B1 (ko) 2015-07-03

Family

ID=5339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176A KR101533716B1 (ko) 2013-11-14 2013-11-14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7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98B1 (ko) * 2016-05-30 2016-12-07 이종석 기능성 화장품 파우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665A1 (ko) * 2017-08-11 2019-02-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003714B1 (ko) * 2017-10-17 2019-07-25 옴니시스템주식회사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1942665B1 (ko) * 2017-10-17 2019-01-2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토출구가 형성된 가압 플레이트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1942664B1 (ko) * 2017-10-17 2019-01-2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노즐이 형성된 파우치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2134989B1 (ko) 2019-01-24 2020-07-16 강성일 일체형 체크밸브
KR102415090B1 (ko)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하나 크림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356Y1 (ko) * 2001-10-08 2002-01-24 기근서 피스톤 방식의 공기 밀폐용 보관 용기
KR200302327Y1 (ko) * 2002-10-08 2003-01-30 조휘철 저장용기용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356Y1 (ko) * 2001-10-08 2002-01-24 기근서 피스톤 방식의 공기 밀폐용 보관 용기
KR200302327Y1 (ko) * 2002-10-08 2003-01-30 조휘철 저장용기용 체크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98B1 (ko) * 2016-05-30 2016-12-07 이종석 기능성 화장품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5785A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716B1 (ko)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EP3205228B1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KR101508499B1 (ko)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EP3480130B1 (en) Discharge container
EP2848551B1 (en) Mouth plug for liquid container
EP3405407B1 (en) Dispensing closures and dispensers
EP3023026A1 (en) Container for cream-type cosmetic
US9788633B2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KR101270347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CN110352166B (zh) 盖的密封结构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6576622B2 (ja) 注出容器
EP3222547A1 (en) Double-walled container for highly viscous liquid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101599612B1 (ko)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KR20140006232U (ko) 누액 방지 기능을 갖는 화장품 펌프용기
KR101763405B1 (ko) 액체용기의 액체 펌핑장치
JP6165664B2 (ja) 二重容器
CN110366527B (zh) 带狭缝阀的盖
KR20070047941A (ko)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RU27426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текучего продукта
JP7266962B2 (ja) 吐出容器
KR100998069B1 (ko) 밀폐성이 향상된 액상체용 디스펜서
KR200431896Y1 (ko) 튜브용기의 실링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튜브용기뚜껑
KR20150134159A (ko)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