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159A -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159A
KR20150134159A KR1020140061157A KR20140061157A KR20150134159A KR 20150134159 A KR20150134159 A KR 20150134159A KR 1020140061157 A KR1020140061157 A KR 1020140061157A KR 20140061157 A KR20140061157 A KR 20140061157A KR 20150134159 A KR20150134159 A KR 20150134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jaw
cylinde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윤석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펌텍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펌텍코리아 (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Priority to KR102014006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4159A/ko
Publication of KR20150134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1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스포이드파이프의 내부로 빨아들여 정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의 용기캡 구조를 개선하여 작동 불량 없이 내용물을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캡을 분리해 내는 과정에서 내용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포이드파이프 상부에 실린더가 내측으로 조립 형성되어지고, 이 실린더 내부에 스프링의 반발력을 받는 내용물배출버튼과 체결되어 연동하도록 된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은 용기의 제어턱에 대하여 걸림과 해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내캡의 레버가 상기 용기의 제어턱을 벗어나 실린더의 플랜지에 가해졌던 압박감이 해소되어지면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실린더가 하향 이동할 때 실린더 내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 내로 빨려들 수 있도록 한 용기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usable quantitative absorbing contents}
본 발명은 내용물을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용기캡에 스포이드를 갖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스포이드파이프의 내부로 빨아들여 정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의 용기캡 구조를 개선하여 작동 불량 없이 내용물을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용기캡을 분리해 내는 과정에서 내용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개구부에 장착된 뚜껑을 분리해 낸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내용물을 따라 사용하는 타입의 화장품이 있는가 하면, 용기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있는 내용물 배출 펌프를 통해 배출 사용하는 타입의 화장품 용기로 대분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대분되어지는 화장품 용기는 포장단위가 대용량이고 용기에 수용되어지는 내용물이 스킨 또는 로션과 같이 1회 사용량이 많은 화장품류에 주로 사용되어 진다.
반면, 에센스 또는 아이크림이나 노화 및 주름살방지제 등과 같은 고기능성 화장품은 대개 내용액이 고가이고, 또 포장 단위가 소량이어서 이를 수용하는 기존의 화장품 용기 또한 콤팩트한 사이즈가 대부분이며, 용기의 구조 또한 단순히 용기와 마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의 유출공을 통해 내용액을 손에 묻혀 해당 피부에 바르게 되는 것으로 이는 토출량의 조절이 어렵고, 손에 묻어 낭비되는 양만큼 고가의 내용액이 손실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스포이드(spuit) 방식으로 내용액을 추출하여 해당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스포이드(spoid)의 고유 기능은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진공의 힘으로 흡입하였다가 원하는 위치로 다시 토출시켜 내용물을 옮기기 위한 분급(分給)수단의 기구로서, 각종 실험실이나 의료기관 등에서 실험액, 약품 등을 분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되어지는 스포이드는 내용물 유실을 최소화하면서 정량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스포이드를 적용한 종래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로는 선등록발명 제10-1202092호의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가 있다.
상기 선등록발명은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는, 상부에 연결플랜지(11)가 형성된 긴 관형상의 스포이드 파이프(10)와; 하부는 개구되고, 상부는 돔형상부(21)가 형성되며 중앙 외주면은 접철 가능한 주름(22)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10)의 연결플랜지(11)의 외주면에 하부 개구가 삽입 연결된 자바라(20)와; 하부는 개구면(31)이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자바라(20)의 돔형상부(21)의 상면을 커버하는 볼록한 형상면(32)을 갖는 버튼(30)과; 상기 버튼(30)의 하부 개구면(31)과 하부에서 접촉 및 이격되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하부면(41)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10)의 연결플랜지(11)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된 상하가이드(40)와; 상기 상하가이드(40)의 하부에서 접촉 및 이격되고, 화장품 용기(1)의 입구부(1a)와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내캡(50)과; 상기 버튼(30), 상하가이드(40) 및 내캡(5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는 상기 버튼(30)의 볼록한 형상면(31)만 돌출되도록 내측 외주면으로 내측 걸림돌기(61)가 형성되고, 개구된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내캡(5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 내주 결합돌기(62)가 형성된 외캡(6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드옥발명은 버튼이 눌려짐에 의해 상하이동 하는 상하가이드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간격을 제한함으로써 스포이드 파이프를 통해 화장품액이 정량씩 토출되도록 하여 과도한 사용에 의한 화장품의 낭비를 없애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반면, 자바라(20)에 의해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구조이어서 오랜시간 사용할 경우, 복원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내용물의 정량인출이 불가능해 질 뿐만 아니라, 자바라가 고무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사용지역 열대지방이거나, 보관장소에 따라 내용물의 변질 우려가 내포되어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선등록발명의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내용물의 흡입방식을 피스톤 방식으로 대체함에 따라 내용물의 안정적 정량 사용이 가능해 졌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안정된 반발력으로 내용물배출버튼의 작동 불량 없는 사용이 가능해 졌으며, 내용물이 고무재와 접촉되어지는 것을 해소함에 따라 열대지방과 같이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 변질의 우려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내용물을 흡입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용기캡의 가동체의 제어를 용기의 개구부에 형성된 제어턱과 제어턱으로부터 나선형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에 의한 원터치 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용기캡을 열고 닫는 동작만으로 내용물 인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정량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스포이드를 구비한 용기캡을 포함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스포이드파이프 상부에 실린더가 내측으로 조립 형성되어지고, 이 실린더 내부에 스프링의 반발력을 받는 내용물배출버튼과 체결되어 연동하도록 된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은 용기의 제어턱에 대하여 걸림과 해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내캡의 레버가 상기 용기의 제어턱을 벗어나 실린더의 플랜지에 가해졌던 압박감이 해소되어지면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실린더가 하향 이동할 때 실린더 내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용기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 내로 빨려들 수 있도록 한 용기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몸체의 상부로 형성된 개구부 외주면에 내캡의 레버에 형성된 제어걸림턱이 걸림과 해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턱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되, 일측 단부에는 회전멈춤턱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상기 레버의 제어걸림턱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상기 회전멈춤턱에 대하여 이격된 제어걸림턱해정가이드가 나선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캡은 용기의 내부로 위치하여지는 스포이드파이스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지고, 용기 개구부로 얹혀지는 플랜지를 하부로 구비하며, 상부가 확관되어 스프링의 하단이 지지되어지는 확관턱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플랜지와 확관턱 사이에는 내캡의 활동공간에서 활동되어지는 활동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로 위치하여 흡입력을 생산시키는 피스톤이 조립봉에 관삽입 조립 형성되어 있고, 외측테주리벽 하단에는 내캡의 상부 걸림턱이 걸림되어지는 걸림단턱이 확관 형성되어 있는 내용물배출버튼과;
상기 내용물배출버튼의 걸림단턱에 걸림되어지는 걸림턱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용기의 개구부 외측면으로 형성된 제어턱에 걸림되어지는 제어걸림턱을 포함하는 레버가 형성되어 있는 내캡과;
상기 내캡의 외측으로 조립 형성되어지되, 상기 내캡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는 누름버튼을 포함하는 외캡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스포이드파이프(20) 상부에 실린더(110)가 내측으로 조립 형성되어지고, 이 실린더(110) 내부에 스프링(125)의 반발력을 받는 내용물배출버튼(120)과 체결되어 연동하도록 된 피스톤(121)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121)은 내캡(130)의 레버(133) 제어걸림턱(134)이 용기(200)의 제어턱(220)에서 해정되면 용기(200)의 개구부(210)에 압박되어 있는 실린더(110)의 플랜지(111)가 압박감에서 해소되어져 상기 피스톤(121)을 내로로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110)가 스프링(125)의 반발력에 의해 하향 이동을 하면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용기(200)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230) 내로 빨려들도록 한 것으로써, 내용물의 흡입방식을 피스톤 방식으로 대체함에 따라 내용물의 안정적 정량 사용이 가능해 졌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안정된 반발력으로 내용물배출버튼의 작동 불량 없는 사용이 가능해 졌으며, 내용물이 고무재와 접촉되어지는 것을 해소함에 따라 열대지방과 같이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 변질의 우려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내용물을 흡입 인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 용기캡의 가동체의 제어를 용기의 개구부에 형성된 제어턱과 제어턱으로부터 나선형 형태를 이루는 가이드에 의한 원터치 작동이 가능하게 하여 용기캡을 열고 닫는 동작만으로 내용물 인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스포이드파이프를 가지는 용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의 단면도로써, 내캡의 레버 제어걸림턱이 용기의 제어턱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의 단면도로써, 내캡의 레버 제어걸림턱이 용기의 제어턱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본 예로써 내캡의 레버 제어걸림턱이 용기의 제어턱을 벗어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의 단면도로써, 내캡의 레버가 용기의 제어턱을 벗어나 내용물을 흡입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내의 내용물을 흡입한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는, 스포이드파이프(230)의 상부로 형성된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시키는 피스톤(121)이 설치되어 있는 내용물배출버튼(120)과, 내용물배출버튼(120)과 함께 연동하는 내캡(130) 및 내캡의 외측으로 조립 형성되는 외체(140)로 이루어진 용기캡(100)과, 용기캡(100)의 내캡(130)를 제어하는 제어턱(220)을 개구부(210) 구비한 용기(2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캡(100)의 실린더(110)는 용기(200)의 내부로 위치하여지는 스포이드파이스(230)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진다.
상기 용기(200) 개구부(210)로 얹혀지는 플랜지(111)를 하부로 구비하며, 상부가 확관되어 스프링(125)의 하단이 지지되어지는 확관턱(112)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111)와 확관턱(112) 사이에는 내캡(130)의 활동공간(131)에서 상하로 활동되어지는 활동플랜지(1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실린더(110)에 흡입력이 발생되어지도록함과 동시에 흡입된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내용물배출버튼(120)은,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로 위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121)이 조립봉(122)에 관삽입 조립형성되어 있고, 외측테주리벽(123) 하단에는 내캡(130)의 상부 걸림턱(132)이 걸림되어지는 걸림단턱(124)이 확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내캡(130)은 내용물배출버튼(120)의 걸림단턱(124)에 걸림되어지는 걸림턱(132)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에는 용기(200)의 개구부(210) 외측면으로 형성된 제어턱(220)에 걸림되어지는 제어걸림턱(134)을 포함하는 레버(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캡(13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실린더(110)의 활동플랜지(113)가 활동되어지는 활동공간(1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내캡(130)의 레버(133)는 탄성스냅경첩(135)을 매개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용기(200)는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몸체의 상부로 형성된 개구부(210) 외주면에 내캡(130)를 구성하는 레버(133)의 제어걸림턱(134)이 걸림과 해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턱(220)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턱(220)은 일측 단부에는 회전멈춤턱(22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상기 레버(133)의 제어걸림턱(134)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고 상기 회전멈춤턱(220a)에 대하여 이격되어서 제어걸림턱해정가이드(220b)가 나선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용기캡(100)을 이용하여 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사용 할 때에는 용기캡(100)이 용기(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체(140)를 잡고,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준다.
상기와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용기캡(100)은 내캡(130)의 제어걸림턱(134)이 용기(200)의 제어턱(220)에 걸림되어 있는 상태이다.(도2, 도3 참조)
상기와 같이 용기캡(100)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레버(133)의 제어걸림턱(134)이 제어턱(220)으로부터 벗어나 도5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즉, 내캡(130)을 구성하는 레버(133)의 제어걸림턱(134)이 제어턱(220) 일측단으로 형성된 회전멈춤턱(220a) 부딪쳐 회전을 멈춤과 동시에 제어걸림턱해정가이드(220b)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내캡(130) 레버(133)의 제어걸림턱(134)이 용기(200)의 제어턱(220)을 벗어나면, 실린더(110)의 플랜지(111)에 가해져 있던 압박감이 해소되어 지면서, 내용물배출버튼(120)과 실린더(110)의 확관턱(112)사이로 설치되어진 스프링(125)의 반발력에 의해 실린더(110)가 하향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내용물배출버튼(120)으로 장착되어 있는 피스톤(122)이 상기 실린더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향 이동되어지는 실린더(110)는 플랜지(111)와 확관턱(112) 사이로 형성되어 있는 활동플랜지(113)가 내캡(130)의 활동공간(131) 내에서 상,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용기(200)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230) 내부로 흡입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스포이드파이프(230) 내부로 내용물이 흡입 되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용기캡(100)을 용기(200)로부터 분리해낸 후 스포이트파이프(230)내의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게 된다.
도 6은 내용물을 배출 사용하는 상태의 예로써, 내용물배출펌프(120)를 눌러주면, 피스톤(121)이 실린더(110) 내에서 하향 이동하면서 스포이드파이프(230) 내의 내용물을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용기(2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전술한 과정을 통해 인출 사용을 한 후, 용기캡(100)의 내캡(130)를 구성하는 레버(133)의 제어걸림턱(134)이 용기(200) 개구부(210) 외주면으로 형성된 제어턱(220)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눌러주면 도2 내지 도3에서와 같이 제어걸림턱(134)이 제어턱(220)을 넘어서 걸림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후 용기(200)에 용기캡(100)을 안전하게 장착 보관하였다가 지속적으로 반복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100 : 용기캡 110 : 실린더
111 : 플랜지 113 : 활동플랜지
120 : 내용물배출펌프 121 : 피스톤
122 : 조립봉 123 : 외측테두리벽 124 : 걸림단턱 125 : 스프링 130 : 내캡 131 : 활동공간
132 : 걸림턱 133 :레버
134 : 제어걸림턱 135 : 탄성스냅경첩
140 : 외캡 200 : 용기
210 : 개구부 220 : 제어턱 220a : 회전멈춤턱 220b : 제어걸림턱해정가이드

Claims (3)

  1. 화장품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정량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스포이드를 구비한 용기캡을 포함한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스포이드파이프(230) 상부에 실린더(110)가 내측으로 조립 형성되어지고, 이 실린더(110) 내부에 스프링(125)의 반발력을 받는 내용물배출버튼(120)과 체결되어 연동하도록 된 피스톤(121)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피스톤(121)은 용기(200)의 제어턱(221)에 대하여 걸림과 해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걸림턱(134)이 형성되어 있는 내캡((130)의 레버(133)가 상기 용기(200)의 제어턱(220)을 벗어나 실린더(110)의 플랜지(111)에 가해졌던 압박감이 해소되어지면 스프링(125)의 반발력에 의해 실린더(110)가 하향 이동할 때 실린더(110) 내에 흡입력이 발생하여 용기(200)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230) 내로 빨려들 수 있도록 한 용기캡(1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00)는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몸체의 상부로 형성된 개구부(220) 외주면에 내캡(130)의 레버(133)에 형성된 제어걸림턱(134)이 걸
    림과 해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어턱(220)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되, 일측 단부에는 회전멈춤턱(22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상기 레버(133)의 제어걸림턱(134)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상기 회전멈춤턱(220a)에 대하여 이격된 제어걸림턱해정가이드(220b)가 나선형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100)은 용기(200)의 내부로 위치하여지는 스포이드파이스(230)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지고, 용기(200) 개구부(210)로 얹혀지는 플랜지(111)를 하부로 구비하며, 상부가 확관되어 스프링(125)의 하단이 지지되어지는 확관턱(112)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플랜지(111)와 확관턱(112) 사이에는 내캡(130)의 활동공간(131)에서 활동되어지는 활동랜지(113)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로 위치하여 흡입력을 생산시키는 피스톤(121)이 조립봉(122)에 관삽입 조립 형성되어 있고, 외측테주리벽(123) 하단에는 내캡(130)의 상부 걸림턱(132)이 걸림되어지는 걸림단턱(124)이 확관 형성되어 있는 내용물배출버튼(120)과;
    상기 내용물배출버튼(120)의 걸림단턱(124)에 걸림되어지는 걸림턱(132)이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용기(200)의 개구부(220) 외측면으로 형성된 제어턱(220)에 걸림되어지는 제어걸림턱(134)을 포함하는 레버(133)가 형성되어 있는 내캡(130)과;
    상기 내캡(130)의 외측으로 조립 형성되어지되, 상기 내캡(130)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키는 누름버튼(141)을 포함하는 외캡(1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20140061157A 2014-05-21 2014-05-21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1501341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157A KR20150134159A (ko) 2014-05-21 2014-05-21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157A KR20150134159A (ko) 2014-05-21 2014-05-21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159A true KR20150134159A (ko) 2015-12-01

Family

ID=5488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157A KR20150134159A (ko) 2014-05-21 2014-05-21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41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556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케이알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20220002782A (ko) *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태성산업 스포이트 정량 펌핑 캡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556A (ko) * 2017-06-23 2019-01-03 주식회사 케이알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20220002782A (ko) *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태성산업 스포이트 정량 펌핑 캡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4946B2 (ja) 詰め替え容器
KR10178957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10850291B2 (en) Pump dispenser and system comprising a refill cartridge and the pump dispenser
JP5714224B2 (ja) ポンプ付き容器
CN104603019A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US10758924B2 (en) Receptacle for mixing of different materials
EP3137226B1 (en) Refill cartridge and system comprising the refill cartridge and a pump dispenser
KR101589677B1 (ko)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KR101855948B1 (ko) 2웨이 체크밸브를 구비한 용기마개
KR101387624B1 (ko)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립글로스 화장품 용기
KR101533716B1 (ko) 가압식 화장품 케이스
KR101599612B1 (ko)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KR101465886B1 (ko) 자동충전 스포이드형 용기캡
KR200487644Y1 (ko)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20150134159A (ko)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190133662A (ko)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
KR101355654B1 (ko) 공기분출형 화장품 용기
KR101817163B1 (ko) 화장품 용기의 배출 장치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6949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70065938A (ko)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KR20180074733A (ko) 저장 및 디스펜서 기기
US10737870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