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662A -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662A
KR20190133662A KR1020197019562A KR20197019562A KR20190133662A KR 20190133662 A KR20190133662 A KR 20190133662A KR 1020197019562 A KR1020197019562 A KR 1020197019562A KR 20197019562 A KR20197019562 A KR 20197019562A KR 20190133662 A KR20190133662 A KR 20190133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material
storage container
material storage
li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4134B1 (ko
Inventor
가즈마사 이쿠시마
Original Assignee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1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93Hand tools of the syring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465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3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n element bursting upon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container being excee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8Venting occurring during initial closing or opening of the container,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e.g. interrupted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61M2005/3104Caps for syringes without nee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의 부상의 문제 및 파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게다가 착탈 작업성이 양호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의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플랜지부 및 대경 개구를 덮는 상방 판부와, 상방 판부의 중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저류통의 대경 개구를 폐색하는 마개부와, 덮개 폐색 시에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단변의 측면과 맞닿는 한 쌍의 제1 측방부와, 한 쌍의 제1 측방부로부터 상기 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덮개 폐색 시에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단변의 하면과 맞닿는 한 쌍의 훅부와, 한 쌍의 제1 측방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압상 조작부를 포함하고, 훅부의 길이가, 훅부와 상방 판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상기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
본 발명은, 액체 재료 저류(貯留)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서는, 사용하는 액체 재료를 저류하는 용기로서 시린지(syringe)라 불리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시린지는, 내부에 액체가 저류되는 원통형의 보디부(저류통)과, 보디부의 한쪽의 단부(端部)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보디부의 플랜지부와는 반대 측의 단부에 형성되는 보디부 내부와 연통하는 구멍과 나사부를 가지는 장착부로 주로 구성되고, 보디부 내부에 액체 재료를 충전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시린지는, 사용하지 않을 때나 운반할 때는, 플랜지부 측과 장착부 측의 양단에 덮개(캡)를 장착한다. 특히, 플랜지부 측에 사용하는 덮개(캡)로서, 이하에 예로 드는 기술이 지금까지 제안되어 왔다.
특허문헌 1에는,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수용하는 실린더(시린지)와, 실린더에 형성한 노즐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한 노즐 캡과, 실린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헤드 캡과, 실린더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 페이스트상 조성물을 압송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펜서용 주사 통으로서, 헤드 캡은 실린더의 내부와 외부의 기압차를 없애기 위한 통기부를 가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개방 단부와 개방 단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대향하여 배치된 이부(耳部)를 구비한 시린지 통체를 가지는 시린지형 토출 장치용의 엔드 캡으로서, 환형 칼라(collar)부와, 칼라부의 양측에 설치된 제1 걸어맞춤 훅부(hook part) 및 제2 걸어맞춤 훅부와, 칼라부의 반경 방향 내측의 가요성 중앙 부분으로서, 통체의 이부를 덮도록 걸어맞춤 훅부를 스냅핏시키기 쉽게 하도록 휘어 변형할 수 있는 가요성 중앙부를 구비하는 엔드 캡이 개시되어 있다.
출원인도, 특허문헌 3에 있어서, 베이스와, 베이스의 대략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폐색부와, 베이스의 중앙으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설치된 훅부를 구비하고, 상단의 대경(大徑) 개구와 하단의 소경(小徑) 개구를 가지는 저류통과, 저류통의 상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칼라를 구비하는 저류 용기의 대경 개구를 폐색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의 덮개 폐색 도구로서, 훅부는, 베이스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측방 부재와, 측방 부재로부터 폐쇄부 측으로 연장되는 칼라 유지 훅과, 칼라 유지 훅이 연장되는 측의 측방 부재의 측면인 칼라 맞닿음면으로 구성되고, 칼라 맞닿음면이 칼라의 측면과 맞닿아 저류 용기에 대한 덮개 폐색 도구의 회전 위치를 규정하고, 칼라 유지 훅이 덮개 폐색 도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의 덮개 폐색 도구를 제안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175353호 공보 일본공표특허 제2009-539607호 공보 특허 제4986600호 공보
종래의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는, 시린지 내압의 상승이나 불의의 접촉으로 덮개(캡)가 들뜨고, 최악의 경우에는 분리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타입의 캡은, 시린지 내주면(內周面)과 캡 외주면(外周面)(혹은 외주면에 설치된 볼록부)의 마찰만으로 걸리므로, 상기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한편으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에 덮개(캡)를 훅으로 견고하게 걸면, 덮개본체나 훅이 파손되거나, 착탈 작업성이 악화되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타입의 캡은, 훅부가 길고, 각이 예리하므로, 탈착 시에 깎여서 찌꺼기가 나와 액체 재료에 혼입되면 불량의 원인으로 된다는 문제도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의 착탈 작업성의 개선도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의 부상(浮上)의 문제 및 파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착탈 작업성이 양호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는, 상단의 대경 개구와 하단의 소경 개구를 가지는 저류통과, 저류통의 상단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의 대경 개구를 폐색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로서,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대경 개구를 덮는 상방 판부와, 상기 상방 판부의 중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저류통의 대경 개구를 폐색하는 마개부와, 덮개 폐색 시에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단변(短邊)의 측면과 맞닿는 한 쌍의 제1 측방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부로부터 상기 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덮개 폐색 시에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단변의 하면과 맞닿는 한 쌍의 훅부와,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압상(押上)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훅부의 길이가, 상기 훅부와 상기 상방 판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상방 판부,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부, 상기 한 쌍의 훅부 및 상기 압상 조작부가,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방부의 한쪽에 설치된 제2 측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방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부의 양 단변으로부터 상기 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장변(長邊)의 측면과 맞닿는 한 쌍의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압상 조작부가, 상기 제2 측방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상기 제1 측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방부의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측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방부의 각각이,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부의 양 단변으로부터 상기 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장변의 측면과 맞닿는 한 쌍의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압상 조작부가, 상기 제1 측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 및 상기 제1 측방부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방부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마개부의 전부(全部)가 보이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훅부의 한쪽을 상기 플랜지부의 한쪽의 단변에 걸고, 상기 마개부를 상기 대경 개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상방 판부를 누르면 상기 한 쌍의 훅부가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단변에 걸어맞추어지는 것, 상기 압상 조작부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손가락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압상 조작부 측에 있는 훅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훅부의 길이가 상기 훅부의 두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훅부의 길이가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의 하단보다 상방의 측주면(側周面)에 설치된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상방 판부가, 상기 저류통의 내압이 높아졌을 때 파괴되어 상기 내압을 해방하는 박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가, 하단에 개구를 가지는 통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에 있어서, 상기 저류통을 한쪽의 손으로 쥔 상태에서 상기 압상 조작부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압상 조작부 측에 있는 훅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액체 재료 저류 용기는,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가 장착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로서, 상단의 대경 개구와 하단의 소경 개구를 가지는 저류통과, 저류통의 상단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경 개구의 내주면에 확경부(擴徑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는, 상단의 대경 개구와 하단의 소경 개구를 가지는 저류통과, 저류통의 상단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를 포함하는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로서, 상기 대경 개구의 내주면에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는, 상단의 대경 개구와 하단의 소경 개구를 가지는 저류통과, 저류통의 상단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를 포함하는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로서, 상기 대경 개구의 내주면에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 상기 마개부가, 상기 저류통의 내압이 높아져 상기 상방 판부가 탄성 변형했을 때 상기 상방 판부가 파괴되기 전에 상기 확경부로부터 상기 내압을 해방하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의 높이가 상기 제1 측방부의 높이의 1.2∼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상방 판부가 상기 플랜지부와 상사형(相似形)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에 있어서, 상기 훅부와 상기 상방 판부의 거리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의 부상의 문제 및 파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착탈 작업성이 양호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의 정면도이다.
[도 2]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의 바닥면도이다.
[도 3]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의 상면도이다.
[도 4] 도 3의 A-A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5]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를 사용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를 사용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의 상면도이다.
[도 7]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를 액체 재료 저류 용기에 장착할 때의 조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여기에서, 도 7의 (a)는 마개부가 저류통에 끼워맞추어지기 시작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덮개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를 액체 재료 저류 용기로부터 분리할 때의 조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여기에서, 도 8의 (a)는 압상 조작부를 밀어올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의 가스 제거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여기에서, 도 9의 (a)는 용기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방 판부가 변형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9의 (b)는 변형이 더 진행되어 마개부의 환형 볼록부가 저류통 내벽으로부터 멀어져 압력이 해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의 (a)가 상면도, 도 10의 (b)가 정면도, 도 10의 (c)가 바닥면도, 도 10의 (d)가 도 10의 (a)의 B-B선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 제3 실시형태에 관한 덮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의 (a)가 상면도, 도 11의 (b)가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1) 덮개(1)의 구조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덮개(1)는 마개부(2)와, 상방 판부(3)와, 제1 측방부(4)와, 훅부(5)와, 제2 측방부(6)와, 압상 조작부(7)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방 판부(3) 측을 「상」, 마개부(2) 측을 「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마개부(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부재이고, 상단에서 상방 판부(3)의 하면과 접속한다. 마개부(2)의 하단 근방의 외주면에는 환형 볼록부(8)가 설치되고, 저류 용기(20)의 내벽면(31)과 접촉함으로써 밀봉의 역할을 수행한다. 마개부(2)는 중공(中空)으로 되어 있어, 하단이 개구되어 있다. 마개부(2)의 측벽은 얇고 탄성 변형하므로, 마개부(2)의 외경을 저류통(2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으로 구성해도, 착탈은 용이하다. 또한, 마개부(2)의 개구에 저류통(21)의 내압이 인가되면, 마개부(2)의 측벽이 내벽면(31)에 가압되어 밀봉력이 증가한다는 작용이 발휘된다.
마개부(2)의 높이(H2)는, 후술하는 착탈 조작의 회전 동작 시에, 마개부(2)의 하단이 저류 용기(20)의 대경 개구(26)의 내주면과 충돌하지 않는 정도이면 되지만, 후술하는 압력 해방 작용의 관점에서는 짧은 쪽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제1 측방부(4) 높이(H1)의 1.2배∼2배, 혹은 1.5배∼2배로 하는 것이 개시된다.
상방 판부(3)는, 마개부(2)의 상단 측방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위에서 봤을 때(도 3)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1장의 판과 같이 되어 있고 (타원의), 원호형의 한 쌍의 짧은 변(9)을 가지는 가늘고 긴 형상인 것으로부터 보트형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상방 판부(3)의 형상은,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의 형상과 상사형이고, 후술하는 제1 및 제2 측방부(4, 6)를 설치하는 분량만큼 플랜지부(22)보다 한 바퀴 커지고 있다. 상방 판부(3)의 하면은, 덮개 폐색 시,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의 상면과 접한다.
제1 측방부(4)는, 상방 판부(3)의 짧은 변(9)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하방향(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위에서 보면 (타원의) 원호형이다. 제1 측방부(4)의 높이(H1)는, 상방 판부(3)의 두께와,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의 두께(H5)와, 후술하는 훅부(5)의 두께(H3)를 서로 더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1 측방부(4)의 폭(W1)은 상방 판부(3)의 짧은 변(9)의 폭과 같다. 도 2 중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방부(4)의 내측면은 (타원의)원호형이고, 덮개 폐색 시,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의 단변의 측면과 접한다.
훅부(5)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부재로서, 제1 측방부(4, 4)의 각각의 하단부로부터 마개부(2)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훅부(5)는, 바닥면에서 보면 제1 측방부(4)와 상사형이고, (타원의)원호형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5)의 길이(L1)는,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에 걸리는 정도로 짧으면 되고, 예를 들면, 2㎜ 이하(바람직하게는 0.1∼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1㎜)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다른 관점에서는, 훅부(5)의 길이(L1)는, 훅부 두께(H3)보다 짧으면 되지만, 예를 들면, 훅부 두께(H3)의 1/20∼3/4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3/4,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3로 하는 것이 개시된다.
한편, 훅부(5)의 폭은 제1 측방부(4)의 폭(W1)과 대략 같게 되어 있다. 훅부(5)의 상면은, 덮개 폐색 시,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의 하면과 접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훅부(5)와 상방 판부(3)의 거리는, 플랜지부(22)의 두께(H5)와 같다. 훅부(5)와 상방 판부(3)의 거리는, 훅부(5)의 길이(L1)보다 항상 크고, 예를 들면, 훅부(5)의 길이(L1)의 3∼12배다. 훅부(5)의 한쪽을 플랜지부(22)의 한쪽의 단변에 걸고, 마개부(2)를 대경 개구(26)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방 판부(3)를 누르면 한 쌍의 훅부(5, 5)가 플랜지부(22, 22)의 한 쌍의 단변에 걸어맞추어져 덮개가 폐색된다. 또한, 덮개 폐색 시에는, 압상 조작부(7)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손가락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압상 조작부 측에 있는 훅부(5)와 플랜지부(22)의 단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제2 측방부(6)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제2 측방부(6)는, 제1 측방부(4)의 2개의 단변(도 2 중, L2의 표시 부근에 있는 2개의 단변)과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바닥면에서 보면, 제1 측방부(4)의 2개의 단변(2개의 단부)으로부터 상방 판부(3)의 긴 변(10)을 따라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제2 측방부(6)는, 2개 있는 제1 측방부(4) 중, 하나의 제1 측방부(4)에만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방부(6)의 길이(L2)는, 후술하는 가이드 기능 및 회전 정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되지만, 예를 들면, 정면으로부터 볼 때 마개부(2)의 전체가 보이는 정도, 혹은, 상방 판부(3)의 긴 변(10)의 길이의 1/4 이하, 혹은 1/6 이하로 하는 것이 개시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측방부(6)와 제1 측방부(4)가, 바닥면에서 볼 때 대괄호 ("[" 또는 "]") 형 또는 실질적으로 C자형으로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제2 측방부(6)의 높이는 제1 측방부(4)와 같게 되어 있다. 제2 측방부(6)는, 덮개 폐색 시,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의 긴 변의 측면의 일부와 접한다.
압상 조작부(7)는, 제2 측방부(6)가 설치되는 측과는 상이한 측의 제1 측방부(4)로부터, 상방 판부(3)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형의 부재이다. 압상 조작부(7)는, 덮개(1)를 떼어내기 위한 압상 조작을 하는 부위가 된다. 압상 조작부(7)를 제1 측방부(4)로부터 돌출시킬수록, 압상 조작에 필요한 힘은 작아지게 되지만, 돌출량(L3)이 지나치게 커지면 반송 시에 방해되므로, 돌출량(L3)은 적당한 크기로 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압상 조작부(7)의 제1 측방부(4)로부터의 돌출량(L3)은, 압상 조작부(7)의 두께와 같은 정도로 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압상 조작부(7)의 최내부를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압상 조작부(7)의 폭은 제1 측방부(4)의 폭(W1) 및 상방 판부 짧은 변(9)의 폭과 같게 되어 있다. 다만, 압상 조작부(7)의 폭은, 제1 측방부(4)의 폭(W1)과 같을 필요성은 없고, 예를 들면, 상방 판부 단변(9)의 중심 부분에 제1 측방부(4)의 폭(W1)보다 짧은 폭의 압상 조작부(7)를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압상 조작부(7)를 설치하지 않아도, 덮개(1)를 떼어내는 것은 가능하지만, 분리 용이성이 저하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압상 조작부(7)를 제1 측방부(4)의 하단으로부터 연장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압상 조작부(7)를 제1 측방부(4)의 상단이나 상단과 하단 사이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시켜도 된다. 압상 조작부(7)의 높이(H4)는, 덮개(1)를 떼어내기 위한 압상 조작 시에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두께이면 되고, 예를 들면, 훅부의 두께(H3)로부터 제1 측방부(4)의 높이(H1)의 범위에서 설정된다. 다른 관점에서는, 압상 조작부(7)는, 제1 측방부(4)의 높이(H1)를 전술한 돌출량(L3)에 상당하는 분량만큼 수평 방향으로 두껍게 하는 것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2 측방부(6)와 압상 조작부(7)는, 마개부(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하나씩 설치하고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도 10), 제2 측방부(6)와 압상 조작부(7)를 마개부(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설치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의 덮개(1)는, 탄성 변형하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 재료(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로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덮개(1)를 구성하는 각 요소[즉, 마개부(2), 상방 판부(3), 제1 측방부(4), 훅부(5), 제2 측방부(6), 압상 조작부(7)]는 일체 형성되어 있다.
(2) 액체 재료 저류 용기(20)의 구조
제1 실시형태의 덮개(1)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20)에 사용된다. 이 액체 재료 저류 용기(20)는, 내부에 액체가 저류되는 원통형의 저류통(21)과, 저류통(21)의 대경 개구(26)가 형성된 측의 단부(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22)와, 저류통(21)의 플랜지부(22)와는 반대 측의 단부(하단부)에 형성되고, 노즐 또는 노즐 캡이 장착되는 장착부(23)로 주로 구성되는 용기이다. 그리고, 도 5는, 중심선(30)으로부터 우측에 단면도, 좌측에 정면도를 나타낸다. 액체 재료 저류 용기(20)의 저류량에는 변화가 있고, 예를 들면, 5cc용, 10cc용, 30cc용, 50cc용 등이 있다.
저류통(21)의 플랜지부(22)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에는, 대경 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 개구(26)의 내주면은, 장착부(23)와는 반대 측을 향하여 확경되는 확경부(27)가 설치되어 있다. 확경부(27)에 의해, 덮개(1)에 설치된 마개부(2)나, 압축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어댑터 등을 끼워맞추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확경부(27)는, 후술하는 압력 해방 작용을 실현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장착부(23)는, 저류통(21)의 내부 공간과 연통(連通)하는 소경 개구(24)와, 나사부(25)와, 내통(28)과, 외통(29)을 구비하고 있다. 소경 개구(24)는 관형의 내통(28)에 형성되고, 그 주변을 외통(29)이 둘러싸고, 외통(29)의 내주면에 나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운반 시나 보관 시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덮개(캡)를 나사부(25)에 나사장착한다.(특허문헌 1의 노즐 캡 참조, 여기서는 상세는 생략함)
(3) 착탈 조작
제1 실시형태의 덮개(1)를 액체 재료 저류 용기(2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먼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방부(6)가 설치된 측의 훅부(5)를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에 걸고, 도면부호 "40"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중심[지점(支點)]으로서 압상 조작부(7) 측을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에 근접하도록 눌러서 회전 동작시킨다. 그렇게 하면, 압상 조작부(7) 측의 훅부(5)가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에 걸어맞추어지기 전에, 마개부(2)의 환형 볼록부(8)가 저류 용기(20)의 대경 개구(26)의 내주면[확경부(27)]과 맞닿고, 끼워맞추어지기 시작한다. 마개부(2)의 높이는, 마개부(2)의 하단이 저류 용기(20)의 대경 개구(26)의 내주면[확경부(27)]에 충돌되는 일이 없는 높이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때, 2개의 제2 측방부(6)가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의 장변을 끼워넣도록 접하고 있으므로, 덮개(1) 전체가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 측방부(6)가 있는 것에 의해, 덮개 폐색 시, 제1 측방부(4)와 함께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덮개(1)가 도면부호 "30"으로 나타내는 축(도 5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 정지의 역할도 행한다. 그리고,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상 조작부(7) 측을 밀어내리도록 힘을 가하면, 덮개(1)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해, 훅부(5)가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에 걸어맞추어지고, 장착(덮개 폐색)이 완료된다. 이 때, 마개부(2)는 저류 용기(20)의 대경 개구(26)에 완전히 끼워맞추어진다. 또한, 마개부(2)의 환형 볼록부(8)가 저류 용기(20)의 내벽면(31)에 접하여 확실하게 실링된다. 훅부(5)가 짧기 때문에 덮개(1) 자체의 변형도 작아도 되므로, 가하는 힘도 작아도 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의 덮개(1)를 액체 재료 저류 용기(20)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조작한다. 먼저, 도 8의 (a)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압상 조작부(7)를 아래에서 밀어올리도록 힘을 가하면, 도면부호 "41"로 나타내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고, 그 점으로부터 압상 조작부(7) 측이 회전 동작을 하고(상승하고), 압상 조작부(7) 측의 훅부(5)와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것은, 덮개(1)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하지만, 훅부(5)가 짧기 때문에 덮개(1)의 변형도 작아도 되고, 가하는 힘도 작아도 된다. 그대로 힘을 계속해서 가하면,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방부(6)가 설치된 측의 훅부(5)가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에 걸린 상태에서, 도면부호 "40"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덮개(1) 전체가 회전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저류 용기(20)의 대경 개구(26)로부터 마개부(2)가 벗어나고, 덮개(1) 전체가 벗어나면, 분리(덮개 개방)가 완료된다. 이 때, 장착할 때와 마찬가지로, 2개의 제2 측방부(6)가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의 장변을 끼워넣도록 접하고 있으므로, 덮개(1) 전체가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로부터 어긋나지 않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다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압상 조작부(7)를 밀어내리거나, 또는 밀어올리는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덮개(1)가 착탈(개폐) 가능하므로, 한쪽 손이라도 용이하게 조작을 할 수 있다. 즉, 저류통(21)을 4개의 손가락으로 쥔 상태에서, 압상 조작부(7)를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함으로써 덮개(1)를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덮개(1)는, 훅부(5)를 사람이 손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착탈할 수 있는 길이로 구성하고, 마개부(2)를 그 하단이 저류 용기(20)의 대경 개구(26)의 내주면[확경부(27)]에 충돌되는 일이 없는 높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덮개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방부를 설치하여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고 있으므로, 어긋나지 않게 착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훅부를 사람이 손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착탈할 수 있을 만큼 짧게 구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절삭 찌꺼기가 나오기 어렵고, 절삭 찌꺼기의 액체 재료로의 혼입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4) 압력 해방 작용
제1 실시형태의 덮개(1)는 액체 재료의 증발이나, 주위 기압의 저하 등에 의해, 덮개 폐색 시에 액체 재료 저류 용기(20) 내의 압력이 과잉하게 향상되었다고 해도, 이하에 나타내는 압력 해방 작용에 의해, 인위적 조작에 의하지 않고 벗어나 버리는 일은 없다.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류 용기(20)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마개부(2) 상면[상방 판부(3)의 중앙 하면]에 압력이 가해지고, 마개부(2)가 들어 올려진다(도면부호 "45"). 그렇게 하면, 상방 판부(3)의 마개부(2)로부터 외측이, 변형되어 팽창한다(도면부호 "46"). 이 때, 훅부(5)는 저류 용기(20)의 저류통(21) 측으로 밀어 넣어지도록 움직이고(도면부호 "47"), 플랜지부(22)와의 걸어맞춤은 강해지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즉, 저류 용기(20) 내의 압력이 높아져도 덮개(1)가 벗어나는 일은 없다.
저류 용기(20) 내의 압력이 더 높아지면,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개부(2)가 더 들어 올려져(도면부호 "48"), 상방 판부(3)의 마개부(2)로부터 외측의 팽창도 커진다(도면부호 "49"). 이 때, 마개부(2)의 환형 볼록부(8)가, 저류 용기(20)의 대경 개구(26)의 내주면에 형성된 확경부(27)에 다다르면, 마개부(2)의 환형 볼록부(8)와 저류 용기(20) 내벽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이 간극으로부터 기체의 일부가 방출된다(도면부호 "50"). 저류 용기(20) 내의 기체가 방출됨으로써 압력이 내려가므로, 마개부(2)를 들어 올리는 힘이 약해지고, 덮개(1) 자체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도 7의 (b) 참조], 혹은 도 9의 (a)와 같은 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마개부(2)의 높이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기체 방출 시의 저류 용기(20) 내의 압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전술한 착탈 조작에 지장이 생기는 높이로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덮개(1)는 압력 해방 작용하므로, 덮개가 저류 용기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저류 용기(20) 내의 압력을 해방하는 작용에 의해, 덮개(1)의 변형의 한계를 넘어 파괴되는 일도 없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의 덮개(51)는, 압상 조작부(7) 및 제2 측방부(6)를 상방 판부(3)가 연장된 양단의 각각에 설치하는 대칭인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덮개(51)는, 제1 실시형태의 덮개(1)와 상이하게, 제2 측방부(6)와 압상 조작부(7)를 모두 제1 측방부(4)의 각각의 단부에 설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실시형태의 덮개(51)는, 마개부(2)를 사이에 두고 대칭인 형상을 하고 있다. 마개부(2), 상방 판부(3), 제1 측방부(4) 및 훅부(5)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저류 용기(20)로의 착탈 조작은 기본적으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양단에 압상 조작부(7) 및 제2 측방부(6)를 설치하고 있는 것에 의해, 방향을 신경쓰지 않고, 어느 측으로부터도 착탈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2개 있는 덮개(51)의 단변의 어딘가에 설치된 훅부(5)를 저류 용기(20)의 플랜지부(22)에 걸어도, 덮개(51)를 장착할(덮개 폐색할) 수 있고, 2개 있는 덮개(51)의 단변의 어느 쪽을 밀어올려도 덮개(51)를 떼어낼(덮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덮개(51)는 마개부(2), 상방 판부(3), 제1 측방부(4) 및 훅부(5)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압력 해방 작용도 당연하게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덮개(51)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의 덮개(1)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덮개(51)에 의하면, 2개 있는 덮개(51)의 단변의 어느 측을 조작해도, 덮개(51)를 탈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편리성이 우수하다.
[제3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의 덮개(100)는, 덮개 폐색 시에 액체 재료 저류 용기(20) 내의 압력을 해방하는 수단으로서, 파괴되는 압력 해방 기구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덮개(100)는, 마개부(2) 상면에 다른 부분보다 두께를 얇게 한 박막부(101)를 형성하여 압력 해방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마개부(2), 상방 판부(3), 제1 측방부(4) 및 훅부(5)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액체 재료의 증발이나, 주위 기압의 저하 등에 의해, 덮개 폐색 시에 액체 재료 저류 용기(20) 내의 압력이 과잉하게 향상되면, 박막부(101)가 파단되어 내부의 압력을 해방한다. 박막부(101)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해방 시의 압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마개부가 들어 올려져 훅부(5)와 플랜지부(22)의 걸어맞춤이 강해지는 작용[도 9의 (a) 참조]과 병용해도 된다. 박막부(101)는 예를 들면, 직경 1㎜ 전후, 두께는 수십㎛로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박막부(101)를 상방 판부(3)의 상면과 동일면으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방 판부(3)의 하면과 동일면으로 하는 것이나, 상방 판부(3)의 상면과 하면의 사이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덮개(100)가 저류 용기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일은 없다. 또한, 압력을 해방하는 작용에 의해, 변형의 한계를 넘어서 박막부(101) 이외의 부분을 파괴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부동 플런저(부동 피스톤)가 장착된 상태라면, 파괴된 박막부(101)로부터 액체 재료가 유출되는 일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예에는 다양한 변경·개량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부가한 형태인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제1 실시형태의 덮개
2 : 마개부
3 : 상방 판부
4 : 제1 측방부
5 : 훅부
6 : 제2 측방부
7 : 압상 조작부
8 : 환형 볼록부(실링부)
9 : 상방 판부 짧은 변
10 : 상방 판부 긴 변
20 : 저류 용기
21 : 저류통
22 : 플랜지부
23 : 장착부
24 : 소경 개구
25 : 나사부
26 : 대경 개구
27 : 확경부
28 : 내통
29 : 외통
30 : 중심선
31 : 내벽면
40 : 제1 회전 중심
41 : 제2 회전 중심
45 : 마개부 들어 올림
46 : 상방 판부의 변형
47 : 훅부의 밀어 넣음
48 : 마개부의 들어 올림
49 : 상방 판부의 변형
50 : 기체 방출
51 : 제2 실시형태의 덮개
H1 : 제1 측방부 높이
H2 : 마개부 높이
H3 : 훅부 두께
H4 : 압상 조작부의 높이
H5 : 플랜지부의 두께
L1 : 훅부 길이
L2 : 제2 측방부 길이
100 : 제3 실시형태의 덮개
101 : 박막부

Claims (20)

  1. 상단의 대경(大徑) 개구와 하단의 소경(小徑) 개구를 가지는 저류(貯留)통과, 저류통의 상단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의 대경 개구를 폐색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로서,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대경 개구를 덮는 상방 판부;
    상기 상방 판부의 중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저류통의 대경 개구를 폐색하는 마개부;
    덮개 폐색 시에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단변(短邊)의 측면과 맞닿는 한 쌍의 제1 측방부;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부로부터 상기 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덮개 폐색 시에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단변의 하면과 맞닿는 한 쌍의 훅부(hook part); 및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압상(押上) 조작부;
    를 포함하고,
    상기 훅부의 길이가, 상기 훅부와 상기 상방 판부의 거리보다 짧은,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상방 판부,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부, 상기 한 쌍의 훅부 및 상기 압상 조작부가, 합성 수지 재료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방부의 한쪽에 설치된 제2 측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방부가,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부의 양 단변으로부터 상기 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장변(長邊)의 측면과 맞닿는 한 쌍의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상 조작부가, 상기 제2 측방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상기 제1 측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방부의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제2 측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측방부의 각각이, 상기 한 쌍의 제1 측방부의 양 단변으로부터 상기 마개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장변의 측면과 맞닿는 한 쌍의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상 조작부가, 상기 제1 측방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판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제1 측방부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방부가,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마개부의 전부(全部)가 보이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의 한쪽을 상기 플랜지부의 한쪽의 단변에 걸고, 상기 마개부를 상기 대경 개구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상방 판부를 누르면 상기 한 쌍의 훅부가 상기 플랜지부의 한 쌍의 단변에 걸어맞추어지고,
    상기 압상 조작부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손가락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압상 조작부 측에 있는 훅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의 길이가 상기 훅부의 두께보다 짧은,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의 길이가 2㎜ 이하인,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의 하단보다 상방의 측주면(側周面)에 설치된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판부가, 상기 저류통의 내압이 높아졌을 때 파괴되어 상기 내압을 해방하는 박막부를 구비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가, 하단에 개구를 가지는 통형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통을 한쪽의 손으로 쥔 상태에서 상기 압상 조작부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기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압상 조작부 측에 있는 훅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15. 제11항에 기재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가 장착되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로서,
    상단의 대경 개구와 하단의 소경 개구를 가지는 저류통과, 저류통의 상단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경 개구의 내주면(內周面)에 확경부(擴徑部)가 형성되어 있는,
    액체 재료 저류 용기.
  16. 상단의 대경 개구와 하단의 소경 개구를 가지는 저류통;
    저류통의 상단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 및
    제11항에 기재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를 포함하는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로서,
    상기 대경 개구의 내주면에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
  17. 상단의 대경 개구와 하단의 소경 개구를 가지는 저류통;
    저류통의 상단부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 및
    제12항에 기재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를 포함하는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로서,
    상기 대경 개구의 내주면에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개부가, 상기 저류통의 내압이 높아져 상기 상방 판부가 탄성 변형되었을 때 상기 상방 판부가 파괴되기 전에 상기 확경부로부터 상기 내압을 해방하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는,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의 높이가, 상기 제1 측방부의 높이의 1.2∼2배인,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판부가 상기 플랜지부와 상사형(相似形)인,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와 상기 상방 판부의 거리가, 상기 플랜지부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은, 덮개가 부착된 액체 재료 저류 용기.
KR1020197019562A 2017-03-27 2018-03-23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 KR102574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1714 2017-03-27
JP2017061714A JP6808229B2 (ja) 2017-03-27 2017-03-27 液体材料貯留容器用蓋および液体材料貯留容器
PCT/JP2018/011615 WO2018180956A1 (ja) 2017-03-27 2018-03-23 液体材料貯留容器用蓋および液体材料貯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662A true KR20190133662A (ko) 2019-12-03
KR102574134B1 KR102574134B1 (ko) 2023-09-01

Family

ID=6367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562A KR102574134B1 (ko) 2017-03-27 2018-03-23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117713B2 (ko)
EP (1) EP3604161B1 (ko)
JP (1) JP6808229B2 (ko)
KR (1) KR102574134B1 (ko)
CN (1) CN110494369B (ko)
MY (1) MY194454A (ko)
PH (1) PH12019550198A1 (ko)
SG (1) SG11201908216QA (ko)
TW (1) TWI785028B (ko)
WO (1) WO20181809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929B1 (ko) * 2019-08-14 2021-05-13 문병휘 누설 방지구조를 가지는 시린지의 엔드캡
JP6961113B1 (ja) * 2021-02-05 2021-11-05 田中貴金属工業株式会社 螺合接続方法及び螺合装置
CN115339757A (zh) * 2021-05-13 2022-11-15 羽钛有限公司 容器组合及其盖体
JP2024050262A (ja) * 2022-09-29 2024-04-10 小林製薬株式会社 キャッ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4886A (ko) * 1971-08-06 1973-03-30
JP2003175353A (ja) 2002-11-26 2003-06-24 Hitachi Chem Co Ltd ディスペンサー用注射筒及びペースト状接着剤
US20050209562A1 (en) * 2002-02-08 2005-09-22 Yong-Nyun Kim Liquid supply apparatus
US20070287965A1 (en) * 2006-06-13 2007-12-13 Nordson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syring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9445A (en) * 1975-10-09 1978-10-18 Karlan J Bottle closures
US5638972A (en) * 1988-06-17 1997-06-17 Druitt; Rodney Malcolm Linerless closure for carbonated beverage container
US5222947A (en) * 1990-04-18 1993-06-29 Amico Elio D Self recapping injection needle assembly
JP4788076B2 (ja) * 2001-07-03 2011-10-05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ディスペンサー用注射筒及びペースト状接着剤
JP4986600B2 (ja) 2006-12-20 2012-07-25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閉蓋具および液体材料貯留容器
CN102348476B (zh) * 2009-03-13 2014-06-25 伊莱利利公司 注射之后注射器自动缩回的用于注射药物的装置
US8460268B2 (en) * 2010-08-22 2013-06-11 Mercy Medical Research Institute Needle safety guard adapted to attach to a liquid container
US20140263403A1 (en) 2013-03-15 2014-09-18 Nordson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Syrin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24886A (ko) * 1971-08-06 1973-03-30
US20050209562A1 (en) * 2002-02-08 2005-09-22 Yong-Nyun Kim Liquid supply apparatus
JP2003175353A (ja) 2002-11-26 2003-06-24 Hitachi Chem Co Ltd ディスペンサー用注射筒及びペースト状接着剤
US20070287965A1 (en) * 2006-06-13 2007-12-13 Nordson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syringe
KR20090020592A (ko) * 2006-06-13 2009-02-26 노드슨 코포레이션 액체 투여 주사기
JP2009539607A (ja) 2006-06-13 2009-11-19 ノードソン コーポレーション 液体吐出シリ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04161A4 (en) 2021-01-27
EP3604161A1 (en) 2020-02-05
US11117713B2 (en) 2021-09-14
TWI785028B (zh) 2022-12-01
US20200039698A1 (en) 2020-02-06
CN110494369B (zh) 2021-07-27
WO2018180956A1 (ja) 2018-10-04
PH12019550198A1 (en) 2020-06-29
MY194454A (en) 2022-11-30
SG11201908216QA (en) 2019-10-30
JP6808229B2 (ja) 2021-01-06
TW201840368A (zh) 2018-11-16
EP3604161B1 (en) 2023-05-03
JP2018162101A (ja) 2018-10-18
KR102574134B1 (ko) 2023-09-01
CN110494369A (zh) 2019-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3662A (ko) 액체 재료 저류 용기용 덮개 및 액체 재료 저류 용기
CN108367840B (zh) 重新填装容器
US6189688B1 (en) Multi-chamber dispensing container for storing at least two substances, the extemporaneous mixture of these substances, and distribution of the mixture
EP1980498A1 (en) One-piece dispensing spout with a cap attached to a tube with a breakable web of material
EP3718914B1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JP5744681B2 (ja) 注出キャップ
US9546084B2 (en) Apparatus for the emptying of containers
US5472112A (en) Quick-pour container
JP6183683B2 (ja) 注出容器
JP5250492B2 (ja) レフィール容器及び吐出容器
JP4269254B2 (ja) 二剤混合滴下容器
JP5394209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01063781A (ja) 液体噴出器
JP5427501B2 (ja) レフィール容器及び吐出容器
US7677413B2 (en) Pierceable dispenser container and closure
KR102382964B1 (ko)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
KR102614204B1 (ko) 저장 및 디스펜서 기기
JP7446057B2 (ja) 打栓キャップ
JP2014129100A (ja) 詰め替え容器
JP5804849B2 (ja) 逆止弁付注出具及びこれのキャップ
JP2011084282A (ja) 流動物押出用容器
SK17922000A3 (sk) Predplnená nádržka
JP7134683B2 (ja) 詰め替え容器
JP2023110790A (ja) 混合容器
CN110621588B (zh) 用于流体容器的分配闭合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