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989B1 -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989B1
KR101694989B1 KR1020150075835A KR20150075835A KR101694989B1 KR 101694989 B1 KR101694989 B1 KR 101694989B1 KR 1020150075835 A KR1020150075835 A KR 1020150075835A KR 20150075835 A KR20150075835 A KR 20150075835A KR 101694989 B1 KR101694989 B1 KR 10169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housing
spring
container
over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916A (ko
Inventor
김성환
김민구
서정연
손수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5007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98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오버캡의 중앙부에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할 수 있는 내용물 인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오버캡의 본연의 기능은 물론, 오버캡을 하우징으로부터 탈리시킨 후, 거꾸로 뒤집어 내용물 인출부를 하우징에 삽입시에는 내용물 인출부를 통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The containe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its content}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오버캡의 중앙부에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할 수 있는 내용물 인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오버캡의 본연의 기능은 물론, 오버캡을 하우징으로부터 탈리시킨 후, 거꾸로 뒤집어 내용물 인출부를 하우징에 삽입시에는 내용물 인출부를 통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며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캡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캡을 분리시킨 후, 용기본체의 배출구를 아래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중 간장과 같은 조미료가 수용되는 용기와 같은 경우, 음식의 레시피에 따라 컵 또는 숟가락에 일정량을 덜어 사용하게 되는데, 간장을 한 큰술 또는 한 컵을 넣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용기본체의 기울이는 속도 또는 각도의 조절을 실패하여 요구하는 내용물의 양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내용물이 배출되어 불필요한 내용물이 소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한 큰술 또는 한 컵보다 더 많은 간장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집중하여 용기를 기울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강세척을 위한 가글액과 같은 경우,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캡의 내측 공간에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용기본체를 기울이는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시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 후, 캡을 용기본체에 결합시에 캡의 내측 공간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흘러내려 용기를 더럽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용량의 액체 세제가 저장된 세제 용기의 경우,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캡의 내측 공간에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무거운 세제 용기를 기울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가 등록특허 제10-1454748호(이하, '등록특허'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어 펌핑작동을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핑부재;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가이드하되,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일정량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용물 저장컵;을 포함하되,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용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가압 여부에 따라 수축 이완되며 펌핑작동을 수행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저장컵을 지지하는 펌핑가이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등록특허는 내용물 저장컵을 통해 액상의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펌핑부재가 결합부, 주름관 및 펌핑가이드부재로 구성되며, 하우징의 내측에 펌핑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야 하는 등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용기의 단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버캡의 중앙부에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할 수 있는 내용물 인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오버캡의 본연의 기능은 물론, 오버캡을 하우징으로부터 탈리시킨 후, 거꾸로 뒤집어 내용물 인출부를 하우징에 삽입시에는 내용물 인출부를 통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저장하되,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내용물 인출부가 구비되는 오버캡;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오버캡의 내용물 인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스프링캡;을 포함하되,
상기 오버캡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리시킨 후, 오버캡을 뒤집은 상태로 상기 내용물 인출부를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시키고, 상기 결합부의 상단을 가압시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인출부로 유입되며, 상기 결합부의 상단 가압을 해제시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내용물 인출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하우징의 내주면을 감싸며 가이드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내용물 인출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내용물 인출부의 승하강시 비틀림을 방지하는 상부비틀림방지돌기 및 하부비틀림방지돌기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하부비틀림방지돌기는 상기 스프링캡의 상단을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캡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인출부의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사용자 가압 여부에 의한 내용물 인출부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되, 링 형상의 하부지지체 및 상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와 상부지지체 사이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인출부의 가압여부에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지지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버캡의 중앙부에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할 수 있는 내용물 인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오버캡의 본연의 기능은 물론, 오버캡을 하우징으로부터 탈리시킨 후, 거꾸로 뒤집어 내용물 인출부를 하우징에 삽입시에는 내용물 인출부를 통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용기본체(100), 하우징(200), 오버캡(300), 스프링(400), 스프링캡(500), 가이드관(600)이 포함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배출부(110)의 내측에는 배출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하우징(200)이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배출부(110)에 결합되며, 후술할 스프링(400) 및 스프링캡(50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스프링캡(500)의 승하강에 따른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용물 이동홀(210)에는 스프링캡(500)의 승하강에 따라 내용물 이동홀(210)을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22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 하부에는 스프링(400)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턱(230)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230)의 상부에는 스프링(400)의 하부지지체(41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턱(24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의 하단에는 펌핑가이드부재(300)의 승하강시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내용물 흡입관(260)이 결합되는 결합관(250)이 구비된다.
상기 오버캡(300)은 하우징(200)의 개방된 상단을 폐쇄하며 상기 하우징(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200)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3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버캡(300)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200)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내용물 인출부(320)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내용물 인출부(320)의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2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321)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사용자 가압에 의한 내용물 인출부(32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내용물 유입홀(321)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322)가 설치된다.
상기 내용물 인출부(320)는 상기 결합부(310)의 상단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서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는데, 사용자가 결합부(310)의 상단을 가압시 그 하부에 위치하는 스프링캡(500)으로 그 압력을 전달하여 스프링캡(500)과 함께 하강하며, 사용자가 결합부(310)의 상단 가압을 해제시에는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캡(500)과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인출부(320)는 상기 하우징(200)에 삽입,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일정량의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하우징(200)으로부터 인출하여 내용물을 사용한 후, 하우징(200)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오버캡(30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내용물 인출부(320)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3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오버캡(300)의 내측에는 결합부(310)가 하우징(200)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200)의 내주면 상부에 접촉되어 씰링 기능을 제공하는 씰링돌기(340)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버캡(300)의 내용물 인출부(320)가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용물 인출부(4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간단하게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부지지체(410), 상부지지체(420), 탄성체(430)로 구성되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스프링(400)을 구성하는 하부지지체(410), 상부지지체(420), 탄성체(430)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으로서, 하부지지체(410), 상부지지체(420), 탄성체(430)가 합성수지재질로 일체로 사출성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금속 재질의 스프링보다 생산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링(400)은 금속 재질보다 가벼운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용기 자체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링(400)은 하우징(200)에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내용물과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금속재질이 아닌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400)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지지체(410)는 탄성체(430)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하우징(200)의 안착턱(230)에 안착되어 스프링(400)의 원활한 탄성작동을 가능하게 하는데,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는 내용물이 하우징(200)에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지지체(420)는 탄성체(430)의 상단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스프링캡(500)이 결합되는데, 오버캡(300)의 결합부(310) 상단 가압시에는 내용물 인출부(320)의 하강에 의해 스프링캡(500)이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하며 그 압력을 탄성체(430)로 전달하며, 결합부(310)의 상단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체(430)의 탄성력을 스프링캡(500)으로 전달하여 내용물 인출부(320)가 복원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부지지체(420)는 상기 하부지지체(11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430)는 상기 하부지지체(410)와 상부지지체(420) 사이에 연결형성되어 오버캡(300)의 결합부(310) 상단 가압여부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430)는 상기 하부지지체(410)의 상단에서 상기 상부지지체(420)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탄성체(431) 및 제2탄성체(432)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탄성체(431)와 제2탄성체(432)는 상기 하부지지체(410)의 상단 양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나선형을 이루며 상기 상부지지체(420)의 하단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되는데, 사용자 가압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체(420)의 하강시 제1탄성체(431) 및 제2탄성체(432)가 상호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탄성체(431)의 상부는 제2탄성체(432)의 하부와 엇갈리며 위치하도록 탄성 변형되며, 제2탄성체(432)의 상부는 제1탄성체(431)의 하부와 엇갈리며 위치하도록 탄성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탄성체(431) 및 제2탄성체(432)는 서로 맞닿지 않고 엇갈리며 위치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축, 이완 과정에서 상호 접촉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하여도 원활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400)은 사용자 가압에 의해 하강한 스프링캡(5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다음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 인출부(320)의 내부로 유입될 내용물을 용기본체(100)로부터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스프링캡(500)은 상기 스프링(400)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오버캡(300)의 결합부(310) 상단 가압여부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캡(500)은 그 외주면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펌핑작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스프링캡(500)은 오버캡(300)의 결합부(310) 상단 가압에 의해 하강시에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하우징(200)에 저장된 내용물이 내용물 인출부(320)로 유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결합부(310)의 상단 가압을 해제하여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시에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가이드관(600)은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 상부에서 하우징(200)의 내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 인출부(32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관(600)의 내주면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내용물 인출부(3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내용물 인출부(320)의 승하강시 비틀림을 방지하는 상부비틀림방지돌기(610) 및 하부비틀림방지돌기(62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상부비틀림방지돌기(610) 및 하부비틀림방지돌기(620)는 내용물 인출부(320)의 내주면에 밀착 형성됨으로써, 스프링캡(500)의 중공(510)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는 내용물이 내용물 인출부(320)와 하우징(200)의 내벽이 형성하는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씰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비틀림방지돌기(620)는 상기 스프링캡(500)의 상단을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캡(500)의 상승을 제한함으로써, 스프링(400) 및 스프링캡(500)이 하우징(200)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먼저, 오버캡(300)과 하우징(200)의 나사결합을 해체하여 용기본체(100)로부터 오버캡(300)을 분리시킨 후, 오버캡(300)을 거꾸로 뒤집어서 내용물 인출부(320)를 하우징(200)의 내측에 삽입하여 스프링캡(500)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오버캡(300)의 결합부(310) 상단을 가압하였다가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캡(50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여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캡(300)의 결합부(310) 상단을 더 가압하게 되면, 스프링캡(500)의 외주면이 하우징(200)의 내벽을 따라 하강함에 따른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제1체크밸브(220)가 내용물 이동홀(210)을 폐쇄하게 되며, 제2체크밸브(322)는 내용물 유입홀(321)을 개방하여 내용물 유입홀(321)을 통해 내용물 인출부(320)의 내부로 내용물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내용물 인출부(320)의 내부로 내용물의 유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오버캡(300)의 결합부(310) 상단을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캡(500) 및 내용물 인출부(3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1체크밸브(220)가 내용물 이동홀(210)을 개방하여 다음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 인출부(320)의 내부로 유입될 내용물이 용기본체(100)로부터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내용물 인출부(320)의 내부로 일정량의 내용물이 저장되면 오버캡(300)을 하우징(200)으로부터 인출하여 내용물 인출부(320)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 인출부(320)의 승하강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가이드관(600)이 내용물 인출부(3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내용물 인출부(320)를 지지함으로써, 내용물 인출부(320)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좌,우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배출부
200: 하우징 210: 내용물 이동홀
220: 제1체크밸브 230: 안착턱
240: 제한턱 250: 결합관
260: 내용물 흡입관
300: 오버캡 310: 결합부
320: 내용물 인출부
321: 내용물 유입홀
322: 제2체크밸브 330: 손잡이부
340: 씰링돌기 400: 스프링
410: 하부지지체 420: 상부지지체
430: 탄성체 431: 제1탄성체
432: 제2탄성체 500: 스프링캡
510: 중공 600: 가이드관
610: 상부비틀림방지돌기
620: 하부비틀림방지돌기

Claims (6)

  1.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저장하되,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하우징에 저장되는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내용물 인출부가 구비되는 오버캡;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오버캡의 내용물 인출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며 중공이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스프링캡;을 포함하되,
    상기 오버캡을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리시킨 후, 오버캡을 뒤집은 상태로 상기 내용물 인출부를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시키고, 상기 결합부의 상단을 가압시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인출부로 유입되며, 상기 결합부의 상단 가압을 해제시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내용물 인출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하우징의 내주면을 감싸며 가이드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의 내주면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내용물 인출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내용물 인출부의 승하강시 비틀림을 방지하는 상부비틀림방지돌기 및 하부비틀림방지돌기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하부비틀림방지돌기는 상기 스프링캡의 상단을 지지하여 상기 스프링캡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인출부의 중앙에는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사용자 가압 여부에 의한 내용물 인출부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되, 링 형상의 하부지지체 및 상부지지체와, 상기 하부지지체와 상부지지체 사이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인출부의 가압여부에 따라 탄성 변형되도록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지지체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20150075835A 2015-05-29 2015-05-29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694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35A KR101694989B1 (ko) 2015-05-29 2015-05-29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35A KR101694989B1 (ko) 2015-05-29 2015-05-29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16A KR20160139916A (ko) 2016-12-07
KR101694989B1 true KR101694989B1 (ko) 2017-01-10

Family

ID=5757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835A KR101694989B1 (ko) 2015-05-29 2015-05-29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732A (ko) 2021-06-29 2023-01-05 임종수 펌프 디스펜서용 합성수지제 스프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02219B (zh) * 2018-05-08 2022-05-24 株式会社Lg生活健康 抽吸容器及容器盖
CN111513601A (zh) * 2018-10-26 2020-08-11 常开喜 一种生抽调味料定量出液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748B1 (ko) 2013-05-24 2014-10-2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467198B1 (ko) 2013-05-24 2014-12-01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2048Y2 (ja) * 1993-01-28 1999-12-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計量器付き容器
KR20130096132A (ko) * 2012-02-21 2013-08-29 이성근 액체 세제가 흘러 내리지 않은 액체 세제 보관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748B1 (ko) 2013-05-24 2014-10-2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467198B1 (ko) 2013-05-24 2014-12-01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732A (ko) 2021-06-29 2023-01-05 임종수 펌프 디스펜서용 합성수지제 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16A (ko) 201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6824B1 (en) Vented tap dispenser for liquid
KR101587785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US20080019762A1 (en) Cosmetics case
KR1016949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TWI623485B (zh) 飲料配送器
EP2826398A1 (en) Tubular cosmetic container
EP3123897A2 (en)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CN111712329B (zh) 双重容器
KR20150010306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65590Y1 (ko) 스포이트 타입의 화장품용기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JP6219088B2 (ja) 注出容器
US20120000942A1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KR101850856B1 (ko)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WO2015152251A1 (ja) 注出ポンプの支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注出ポンプと注出容器
KR1017688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4547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46719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EP1497194A1 (en) Dispensing cap for liquid container
KR101681018B1 (ko) 파우더 토출 용기
JP7311527B2 (ja) ディスペンサアダプタ
US10737870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KR1017130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70001498U (ko) 휴대용 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