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198B1 -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198B1
KR101467198B1 KR1020130059231A KR20130059231A KR101467198B1 KR 101467198 B1 KR101467198 B1 KR 101467198B1 KR 1020130059231 A KR1020130059231 A KR 1020130059231A KR 20130059231 A KR20130059231 A KR 20130059231A KR 101467198 B1 KR101467198 B1 KR 101467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housing
cup
storage cup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9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30059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내용물 저장컵의 상승시에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며, 내용물 저장컵의 하강시에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을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저장컵을 승하강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The containe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its content}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용물 저장컵의 상승시에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며, 내용물 저장컵의 하강시에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을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저장컵을 승하강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며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캡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캡을 분리시킨 후, 용기본체의 배출구를 아래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중 간장과 같은 조미료가 수용되는 용기와 같은 경우, 음식의 레시피에 따라 컵 또는 숟가락에 일정량을 덜어 사용하게 되는데, 간장을 한 큰술 또는 한 컵을 넣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용기본체의 기울이는 속도 또는 각도의 조절을 실패하여 요구하는 내용물의 양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내용물이 배출되어 불필요한 내용물이 소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한 큰술 또는 한 컵보다 더 많은 간장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집중하여 용기를 기울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강세척을 위한 가글액과 같은 경우,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캡의 내측 공간에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용기본체를 기울이는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시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 후, 캡을 용기본체에 결합시에 캡의 내측 공간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흘러내려 용기를 더럽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 저장컵의 상승시에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며, 내용물 저장컵의 하강시에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을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저장컵을 승하강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되, 상승시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시키며, 하강시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하는 내용물 저장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밀착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되,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상승시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강시에는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실캡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캡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상승시 실캡이 상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캡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을 감싸며 상기 고정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버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단에는 내용물 저장컵의 하강시 상기 하우징에 유입된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내용물 인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인출홀의 상단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강시에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노즐팁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승제한턱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승제한턱에 맞닿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 저장컵의 상승시에는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며, 내용물 저장컵의 하강시에는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을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저장컵을 승하강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용기본체(100), 하우징(200), 내용물 저장컵(300)이 포함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110)에는 배출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후술할 하우징(200)을 배출부(110)에 고정시키는 고정체(500)가 결합되는데, 고정체(500)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외주면에 고정체(500)의 결합홈(510)과 결합되는 고정돌기(11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500)의 외주면에는 내용물 저장컵(300)의 개방된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내용물 저장컵(300)을 감싸는 오버캡(6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오버캡(600)의 내측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단을 가압하는 가압돌기(61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체(500)의 내측 상부에는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시 내용물 저장컵(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50)의 상단을 지지하여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승제한턱(5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배출부(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내용물 저장컵(300)이 승하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시에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유입홀(210)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 유입홀(210)에는 내용물 저장컵(30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내용물 유입홀(210)을 개폐하는 체크밸브(2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의 하단에는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시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내용물 흡입관(250)이 결합되도록 결합관(240)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내용물 저장컵(300)의 승하강시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실캡(400)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실캡(400)은 내용물 저장컵(30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밀착 형성되어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시에는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며,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강시에는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300)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실캡(400)의 외주면에는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시 실캡(400)이 상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캡(400)을 상기 하우징(200)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410)가 실캡(40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410)와 결합되는 고정홈(26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상기 실캡(40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내주면을 둘러싸며 다수의 안착돌기(230)가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며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은 상승시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시키며, 하강시에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단에는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강시 상기 하우징(200)에 유입된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300)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내용물 인출홀(320)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용물 인출홀(320)의 상단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강시에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노즐팁(330)이 위치한다.
상기 노즐팁(330)은 평상시에 상기 내용물 인출홀(320)을 폐쇄시킨 상태로 위치하다가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내용물 인출홀(320)을 개방시키는 원형상의 개폐판(331)과, 상기 개폐판(331)의 하단 중앙부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단 중앙에 형성되는 중공(310)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331)을 지지하는 지지대(332)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판(331)은 내용물 인출홀(320)을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접히며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탄성력을 지니는 고무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332)의 하부에는 중공(310)의 하단과 맞닿는 부분에 고정턱(333)이 형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노즐팁(330)이 상기 중공(31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노즐팁(33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탈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외주면에는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시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체(500)의 상승제한턱(520)에 맞닿는 걸림턱(35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내용물 저장컵(300)을 승하강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3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최초, 고정체(500)로부터 오버캡(600)을 제거한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300)의 손잡이부(340)를 파지한 상태로 내용물 저장컵(3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하우징(200)의 내측에서 내용물 저장컵(300)의 외주면에 밀착된 실캡(400)에 의해 하우징(200)의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여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물 유입홀(210)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여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300)을 가압하여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강에 따라 하우징(200) 내부에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220)가 내용물 유입홀(210)을 폐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부로 이동하려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개폐판(331)의 끝단부가 상방향으로 접히며 내용물 인출홀(320)을 개방하여 내용물 인출홀(320)을 통해 내용물 저장컵(300)의 내부로 일정량의 내용물이 인출된다.
다음으로, 내용물 저장컵(300)의 내부로 일정량의 내용물이 인출된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30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220)가 내용물 유입홀(210)을 개방하여, 다음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강에 의해 내용물 저장컵(300)의 내부로 유입될 내용물을 용기본체(100)로부터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내용물 저장컵(300)의 내부로 일정량의 내용물이 저장되면 내용물 저장컵(300)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하게 되는데, 내용물의 사용을 완료한 후, 오버캡(600)을 고정체(500)에 결합하게 되면, 오버캡(600)의 내측에 형성된 가압돌기(610)가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단을 가압하여 내용물 저장컵(300)을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하우징(200)에 유입된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300)의 내부로 일정량 인출되어 내용물 저장컵(300)에 다음 사용을 위한 내용물의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내용물 저장컵(300)을 승하강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내용물 저장컵(300)으로 일정량의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간장과 같은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조미료 용기에 적용할 경우, 내용물 저장컵(300)을 승하강시에 한 큰술 또는 한 컵에 해당하는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300)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가글액이 수용되는 용기에 적용할 경우, 내용물 저장컵(300)을 승하강시에 1회 가글시 적정량에 해당하는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300)에 저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배출부
111: 결합돌기 200: 하우징
210: 내용물 유입홀 220: 체크밸브
230: 안착돌기 240: 결합관
250: 내용물 흡입관 260: 고정홈
300: 내용물 저장컵 310: 중공
320: 내용물 인출홀 330: 노즐팁
331: 개폐판 332: 지지대
333: 고정턱 340: 손잡이부
350: 걸림턱 400: 실캡
410: 고정돌기 500: 고정체
510: 결합홈 520: 상승제한턱
600: 오버캡 610: 가압돌기

Claims (7)

  1.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10)가 구비되는 용기본체(100);
    상기 배출부(11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유입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유입홀(210)을 개폐하는 체크밸브(220)가 설치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승하강되되, 상승시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시키며, 하강시에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저장하는 내용물 저장컵(300); 및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밀착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는 실캡(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캡(400)은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시에는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며,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강시에는 상기 하우징(200)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캡(4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시 실캡(400)이 상방향으로 함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캡(400)을 상기 하우징(200)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410)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돌기(410)와 결합되는 고정홈(2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0)을 상기 배출부(110)에 고정시키는 고정체(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을 감싸며 상기 고정체(5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버캡(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단에는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강시 상기 하우징(200)에 유입된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300)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내용물 인출홀(320)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인출홀(320)의 상단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하강시에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노즐팁(330)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50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승제한턱(520)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저장컵(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상승제한턱(520)에 맞닿는 걸림턱(3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20130059231A 2013-05-24 2013-05-24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467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231A KR101467198B1 (ko) 2013-05-24 2013-05-24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231A KR101467198B1 (ko) 2013-05-24 2013-05-24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198B1 true KR101467198B1 (ko) 2014-12-01

Family

ID=52677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231A KR101467198B1 (ko) 2013-05-24 2013-05-24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1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16A (ko) * 2015-05-29 2016-12-0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90018915A (ko) * 2017-08-16 2019-02-26 (주)아이디플라텍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307A (ja) * 2008-03-24 2009-10-08 Sunstar Inc カップ付容器
KR20100116457A (ko) * 2009-04-22 2010-11-01 (주)연우 액체보관용기용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7307A (ja) * 2008-03-24 2009-10-08 Sunstar Inc カップ付容器
KR20100116457A (ko) * 2009-04-22 2010-11-01 (주)연우 액체보관용기용 디스펜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16A (ko) * 2015-05-29 2016-12-0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694989B1 (ko) 2015-05-29 2017-01-10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90018915A (ko) * 2017-08-16 2019-02-26 (주)아이디플라텍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KR101989618B1 (ko) * 2017-08-16 2019-06-17 (주)아이디플라텍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785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JP6402944B2 (ja) 液体容器用定量吐出装置
KR101452982B1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101083262B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EP3123897A2 (en)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KR200484156Y1 (ko) 정량취출 기능을 갖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1328457B1 (ko) 잔류량 사용을 위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130062124A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785716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46719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JP5938828B2 (ja) 定量引出及び吐出が可能なスポイトを備える化粧品容器
KR200465590Y1 (ko) 스포이트 타입의 화장품용기
CN111918824B (zh) 液体容器用定量排出装置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KR200494062Y1 (ko) 화장품 드로퍼
KR1016949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4547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040074663A (ko)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2007119012A (ja) 液注出容器
KR1017688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238168B1 (ko)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JP5242494B2 (ja) 中栓付容器
KR10168861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210043540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