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8168B1 -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 Google Patents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8168B1
KR101238168B1 KR1020110094436A KR20110094436A KR101238168B1 KR 101238168 B1 KR101238168 B1 KR 101238168B1 KR 1020110094436 A KR1020110094436 A KR 1020110094436A KR 20110094436 A KR20110094436 A KR 20110094436A KR 101238168 B1 KR101238168 B1 KR 10123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ump
tube
pump dispenser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대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Priority to KR1020110094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8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8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05B11/029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located on top of the remaining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펌프디스펜서를 분해조립하는 과정에서도 내용물이 펌프디스펜서를 이루는 실린더와 흡입튜브 등의 외벽에 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용기본체(210)와; 용기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중앙부위에는 펌프디스펜서(100)의 대캡(120)이 나사 결합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네크(221)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에어홀(222)이 천공된 용기덮개(220)와; 용기본체(210)의 내벽에 가장자리가 밀착되도록 배치되면서 용기본체(210)에 담긴 내용물이 빠져나감에 따라 하강하며, 중앙부위에는 용기덮개(220)의 네크(222)와 대응하도록 관통홀(232)이 천공된 용기피스톤(230)과; 최상단에는 네크(221)의 상단에 걸리도록 외향플랜지(241)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펌프디스펜서(100)의 흡입튜브(110)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텅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용기피스톤(230)의 관통홀(232)을 밀착하면서 통과하여 용기본체(210)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튜브가이드(240)와; 튜브가이드(240)의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튜브가이드(240)의 하단을 폐쇄하되, 펌프디스펜서(100)의 장착 시 흡입튜브(110)를 통해 밀려나와 분리되는 튜브캡(2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A PUMP BOTTLE FOR PUMP-DISPENSER}
본 발명은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푸시헤드를 반복적으로 눌러 내용물을 흡입/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펌프디스펜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펌프디스펜서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시켜 사용하는 펌프용기가 화장품, 세제, 삼푸, 식품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펌프용기에는 펌프디스펜서의 대캡이 나사결합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수나사가 형성된 네크가 마련된다. 그리고 펌프디스펜서의 실린더 하부에는 펌프용기 저부까지 연장되도록 흡입튜브가 결합된다. 따라서 펌프용기의 네크에 펌프디스펜서를 장착하면, 흡입튜브가 펌프용기 저부까지 연장되어 이를 통해 내용물을 흡입/펌핑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펌프용기에는 펌프디스펜서가 대캡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펌프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펌프디스펜서를 분리한 후 이를 내용물이 채워진 새로운 펌프용기에 결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펌프용기 구조에서는 펌프디스펜서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흡입튜브 및 실린더 외벽에 내용물이 묻어나와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즉, 펌프디스펜서의 흡입튜브 및 실린더는 펌프용기의 내용물에 함침된 상태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이들의 외벽에는 내용물이 달라붙게 되며 이것이 펌프용기로부터 펌프디스펜서를 분해 조립하는 과정에서 주변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단점은 펌프용기에 담기는 내용물이 고점도 일수록 더욱 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디스펜서를 재사용하기 위해 분리하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흡입튜브 및 실린더 등에 묻어 나오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 사용을 보다 깨끗하게 할 수 있는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펌프디스펜서의 조립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튜브를 통해 내용물을 흡입/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디스펜서가 대캡을 통해 장착되는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중앙부위에는 상기 펌프디스펜서의 대캡이 나사 결합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네크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에어홀이 천공된 용기덮개와; 상기 용기본체의 내벽에 가장자리가 밀착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내용물이 빠져나감에 따라 하강하며, 중앙부위에는 상기 용기덮개의 네크와 대응하도록 관통홀이 천공된 용기피스톤과; 최상단에는 상기 네크의 상단에 걸리도록 외향플랜지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펌프디스펜서의 흡입튜브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텅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기 용기피스톤의 관통홀을 밀착하면서 통과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튜브가이드와; 상기 튜브가이드의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튜브가이드의 하단을 폐쇄하되, 상기 펌프디스펜서의 장착 시 상기 흡입튜브를 통해 밀려나와 분리되는 튜브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튜브가이드의 하단부 내측에 상기 펌프디스펜서의 장착 시 상기 흡입튜브 외벽이 밀착되면서 관통하도록 상부에서 아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원통 형태의 밀착-립이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튜브가이드에서 분리되는 튜브캡이 상기 흡입튜브의 하단에 의해 눌리면서 걸리도록 걸림스톱퍼가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상기 용기본체의 바닥면을 떠받치도록 연장된 받침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에 의하면; 펌프디스펜서의 실린더와 흡입튜브의 대부분은 튜브가이드에 수용 배치되고 흡입튜브의 최하단부만이 펌프용기의 내용물에 닿도록 함침됨으로써, 펌프디스펜서를 분해하더라도 내용물이 묻어나오지 않아 깨끗한 상태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펌프디스펜서를 분해하는 과정에서도 흡입튜브의 최하단부 외벽은 밀착-립에 의해 닦여지기 때문에 제품사용을 보다 깨끗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에 의하면; 대캡을 통해 용기덮개의 네크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실린더와 흡입튜브가 튜브가이드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이의 조립이 보다 정확하면서 견실하게 이루어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에 펌프디스펜서가 완전하게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에서 네크 뚜껑을 분해한 후 펌프디스펜서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본 발명은 대캡을 통해 펌프디스펜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펌프용기에 관한 것으로, 펌프디스펜서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의 구성 설명>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200)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는 피스톤 메카니즘을 통해 내용물을 일정량씩 흡입/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펌프디스펜서(200)가 대캡(120)을 통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펌프디스펜서(200)는 푸시헤드(140)와 함께 피스톤(150)이 눌려지면서 실린더(130)의 내용물을 배출한 이후 다시 푸시헤드(140)가 상승하는 순간 흡입튜브(110)를 통해 내용물이 다시 흡입되어 채워지는 것으로; 후술하는 펌프용기(100)의 네크(221)에 착탈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대캡(120)과, 이 대캡(120)의 내측에 동축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피스톤(150)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린더(130)와, 이 실린더(130)의 흡입구에 결합되어 내용물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튜브(110)와, 피스톤(150)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일체로 동작하며 내부에는 배출구(141)가 마련된 푸시헤드(140)와, 이 푸시헤드(140)를 탄성 지지하여 초기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한 코일스프링(160)을 갖추고 있다. 미설명 부호 "111"은 흡입튜브(110)의 하단에 마련된 톱니홈으로, 이를 통해 내용물이 용이하게 흡입되게 된다.
이러한 펌프디스펜서(100)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2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본체(210)와, 이 용기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용기덮개(220)와, 용기본체(220)의 내벽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용기피스톤(230)과, 용기본체(210)의 중앙에 세워져 설치되는 튜브가이드(240)와, 이 튜브가이드(240)의 하단부에 끼워져 이를 폐쇄하는 튜브캡(250)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디스펜서(2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를 통해 성형 제작된 것으로, 이하에서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용기본체(21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210)의 바닥면(211) 중앙에는 튜브가이드(240)에서 분리되는 튜브캡(250)이 흡입튜브(110)의 하단에 의해 눌리면서 걸리도록 걸림스톱퍼(212)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걸림스톱퍼(212)를 원 형태로 성형하여 원반 형태의 튜브캡(250)이 용이하면서 견실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용기본체(210)의 하단에는 바닥면(211)을 떠받치도록 연장된 받침벽(213)이 마련되는데, 이것은 내용물이 채워진 펌프용기(200)가 떨어져 바닥에 부딪히더라도 용기본체(210)의 바닥면(211)이 직접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용기덮개(220)는 용기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부품으로, 이의 중앙에는 펌프디스펜서(100)의 대캡(120)이 나사 결합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수나사 형태의 네크(221)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에어홀(222)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펌프용기(200)를 적용한 제품 생산 시 용기덮개(220)의 네크(221)에는 뚜껑(260)이 결합되며, 사용자는 뚜껑(260)을 분리한 후 펌프디스펜서(100)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에어홀(222)은 내용물이 점차 빠져나가 용기피스톤(230)이 하강함에 따라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용기본체(210) 내부를 적정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용기덮개(220)는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된 스커트벽(223)이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용물이 담긴 용기본체(210)의 개방된 상부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체결된다.
용기피스톤(230)은 용기본체(210)의 내벽에 가장자리가 밀착되도록 배치되면서 용기본체(210)에 담긴 내용물이 빠져나감에 따라 점차 하강하는 것으로, 이의 중앙부위에는 용기덮개(220)의 네크(221)와 대응하도록 관통홀(232)이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피스톤(230)의 가장자리는 용기본체(210) 내벽에 밀착되도록 립 형태의 밀착부(231)가 마련되고, 관통홀(232)은 튜브가이드(240)가 관통하는 부위로 이의 주변부에도 튜브가이드(240)의 외벽과 밀착되도록 립 형태의 밀착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피스톤(230)은 내용물이 점차 빠져나감에 따라 하강하면서 용기본체(210)의 내벽 및 튜브가이드(240)의 외벽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깨끗하게 닦아내면서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튜브가이드(240)는 내부에 펌프디스펜서(100)의 흡입튜브(110)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텅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최상단에는 네크(221)의 상단에 걸리도록 외향플랜지(241)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튜브가이드(240)의 하단은 용기피스톤(230)의 관통홀(232)을 밀착하면서 통과하여 용기본체(210)의 바닥면(211)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데, 이는 흡입튜브(110)가 관통하여 용기본체(210)의 바닥면(211)에 근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튜브가이드(240)의 하단부 내측에는 펌프디스펜서(100)의 장착 시 흡입튜브(110)의 외벽이 밀착되면서 관통하도록 상부에서 아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원통 형태의 밀착-립(242;lip)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튜브캡(250)은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며 튜브가이드(240)의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튜브가이드(240)의 하단을 폐쇄하는 부품으로, 펌프디스펜서(100)의 장착 시 흡입튜브(110)를 통해 밀려나와 분리되게 된다. 튜브가이드(240)에서 분리되는 튜브캡(25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흡입튜브(110)의 하단에 의해 눌리면서 용기본체(210) 바닥면(211)의 걸림스톱퍼(212)에 걸리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의 사용상태 및 작용효과 설명>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200)에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채운 후 용기덮개(220)의 네크(221)에 뚜껑(260)이 결합된 상태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펌프용기(200)에 펌프디스펜서(100)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용기덮개(220)의 네크(221)로부터 뚜껑(260)을 푸는 방향으로 돌려 분해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덮개(220)의 네크(221)를 통해 펌프디스펜서(100)를 흡입튜브(110)측을 상부에서 끼우면, 실린더(130)와 흡입튜브(110)는 튜브가이드(240)에 수용 배치되면서 펌프디스펜서(100)의 대캡(120)은 용기덮개(220)의 네크(221) 직상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펌프디스펜서(100)의 대캡(120)을 잠그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디스펜서(100)는 네크(221)를 통해 펌프용기(200)에 견실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흡입튜브(110)의 하단은 밀착-립(242)을 관통하면서 튜브캡(250)을 밀어내 용기본체(210)의 저부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용기본체(210)에 담긴 내용물은 밀착-립(242)에 의해 튜브가이드(240) 내측으로는 밀려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펌프디스펜서(100)를 사용하더라도 실린더(130)와 흡입튜브(110)의 외벽은 깨끗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튜브가이드(240)에서 빠져나온 튜브캡(250)은 흡입튜브(110)의 하단에 의해 눌리면서 걸림스톱퍼(212)에 걸려 그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펌프용기(200)에 담긴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여 펌프디스펜서(100)를 분해하는 과정에서도 흡입튜브(110) 하단은 튜브가이드(240)의 밀착-립(242)에 의해 외벽이 깨끗하게 닦여지면서 빠져나오게 된다.
100..펌프디스펜서 110..흡입튜브 120..대캡
130..실린더 140..푸시헤드 150..피스톤
160..코일스프링 200..펌프디스펜서 210..용기본체
211..바닥면 212..걸림스톱퍼 213..받침벽
220..용기덮개 221..네크 222..에어홀
223..스커트부 230..용기피스톤 232..관통홀
240..튜브가이드 241..외향플랜지 242..밀착립
250..튜브캡 260..뚜껑

Claims (4)

  1. 흡입튜브(110)를 통해 내용물을 흡입/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디스펜서(100)가 대캡(120)을 통해 장착되는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20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용기본체(210)와;
    상기 용기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중앙부위에는 상기 펌프디스펜서(100)의 대캡(120)이 나사 결합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네크(221)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에어홀(222)이 천공된 용기덮개(220)와;
    상기 용기본체(210)의 내벽에 가장자리가 밀착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용기본체(210)에 담긴 내용물이 빠져나감에 따라 하강하며, 중앙부위에는 상기 용기덮개(220)의 네크(222)와 대응하도록 관통홀(232)이 천공된 용기피스톤(230)과;
    최상단에는 상기 네크(221)의 상단에 걸리도록 외향플랜지(241)가 마련되고, 내부에는 상기 펌프디스펜서(100)의 흡입튜브(110)가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텅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단은 상기 용기피스톤(230)의 관통홀(232)을 밀착하면서 통과하여 상기 용기본체(210)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튜브가이드(240)와;
    상기 튜브가이드(240)의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튜브가이드(240)의 하단을 폐쇄하되, 상기 펌프디스펜서(100)의 장착 시 상기 흡입튜브(110)를 통해 밀려나와 분리되는 튜브캡(2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가이드(240)의 하단부 내측에는 상기 펌프디스펜서(100)의 장착 시 상기 흡입튜브(110) 외벽이 밀착되면서 관통하도록 상부에서 아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원통 형태의 밀착-립(242)이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10)의 바닥면(211) 중앙에는 상기 튜브가이드(240)에서 분리되는 튜브캡(250)이 상기 흡입튜브(110)의 하단에 의해 눌리면서 걸리도록 걸림스톱퍼(212)가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210)의 하단에는 상기 용기본체(210)의 바닥면(211)을 떠받치도록 연장된 받침벽(213)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디스펜서의 펌프용기.
KR1020110094436A 2011-09-20 2011-09-20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KR10123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36A KR101238168B1 (ko) 2011-09-20 2011-09-20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36A KR101238168B1 (ko) 2011-09-20 2011-09-20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8168B1 true KR101238168B1 (ko) 2013-02-27

Family

ID=4790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436A KR101238168B1 (ko) 2011-09-20 2011-09-20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81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754A (ko) 2021-10-05 2023-04-12 김남례 절약형 펌프 디스펜서 용기
FR3131511A1 (fr) * 2022-01-03 2023-07-07 L'oreal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un produit, notamment d’un produit cosmétique
KR102616893B1 (ko) 2023-04-12 2023-12-27 주식회사 프리아이디어 분리 세척이 가능한 디스펜서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083A (ja) * 1995-04-21 1996-11-05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用のディップチューブ
KR20000011578U (ko) * 1998-12-04 2000-07-05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의 구조
JP2004307048A (ja) 2003-04-10 2004-11-04 Kamaya Kagaku Kogy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付き二重容器
KR200405656Y1 (ko) 2005-10-12 2006-01-10 김용수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083A (ja) * 1995-04-21 1996-11-05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用のディップチューブ
KR20000011578U (ko) * 1998-12-04 2000-07-05 김선수 펌프 디스펜서의 구조
JP2004307048A (ja) 2003-04-10 2004-11-04 Kamaya Kagaku Kogy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付き二重容器
KR200405656Y1 (ko) 2005-10-12 2006-01-10 김용수 디스펜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754A (ko) 2021-10-05 2023-04-12 김남례 절약형 펌프 디스펜서 용기
FR3131511A1 (fr) * 2022-01-03 2023-07-07 L'oreal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un produit, notamment d’un produit cosmétique
KR102616893B1 (ko) 2023-04-12 2023-12-27 주식회사 프리아이디어 분리 세척이 가능한 디스펜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785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19260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US5031802A (en) Metering bottle
US20170238675A1 (en)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EP3195757A1 (en) Pump-type compact container
JP5158705B2 (ja) 液体噴出器
KR101238168B1 (ko)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KR200452316Y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584514B1 (ko) 내용물의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샴푸 용기
JP2004149195A (ja) 付け替え用容器
KR10115406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JP6189694B2 (ja) レフィルタイプの吐出容器
CA3041638A1 (en) Material dispenser/applicator
JP2008201419A (ja) ポンプ付き容器
JP3980277B2 (ja) 液吐出容器
JP6328914B2 (ja) 注出容器
KR10123902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JP6266410B2 (ja) スポイト容器
JP2011116423A (ja) ポンプ付き容器
JP6057336B2 (ja) 2剤混合容器
JP2011011752A (ja) 定量ポンプ
JP4675720B2 (ja) 液注出容器
JP5850500B2 (ja) 液体吐出器
JP2004298804A (ja) 液体噴出器
JP6708494B2 (ja) 内容物取出し手段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