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656Y1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656Y1
KR200405656Y1 KR2020050029007U KR20050029007U KR200405656Y1 KR 200405656 Y1 KR200405656 Y1 KR 200405656Y1 KR 2020050029007 U KR2020050029007 U KR 2020050029007U KR 20050029007 U KR20050029007 U KR 20050029007U KR 200405656 Y1 KR200405656 Y1 KR 200405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air
outer cylinder
valve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2020050029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6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6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7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outlet o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용기내의 내용물이 실린더 내에 충진되어 실린더가 압축공기에 의해 밀리면서 내용물이 분출되어 용기가 어떠한 자세로 되어 있더라도 내용물이 용이하게 분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는 내용물 및 공기압이 충진되는 용기부와 용기부의 상부에 조립되어 공기압에 의해서 내용물을 분출시키는 벨브부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용기부는 공기가 충진되는 외통과, 내용물이 충진되며 외통속에 내장되면서 그 상단부가 외통의 개방부에 걸쳐지고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주사기 형태의 내통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벨브부에서 벨브가 개방되면, 외통에 충진된 공기가 내통을 가압하여 그 안의 내용물을 벨브를 통해 분출시키며 공기압이 다른방향으로 벨브를 통해 내용물과 합쳐지면서 미세하게 분무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펜서{Dispens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벨브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벨브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펜서 110 : 용기부
112 : 외통 115 : 내통
117 : 피스톤 130 : 벨브부
131 : 벨브하우징 140 : 공압조절기
139 : 체크벨브 150 : 마운팅캡
160 : 트윈노즐 170 : 누름버튼
본 고안은 공기압에 의해 유체의 분출이 가능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 욱 상세하게는 용기내의 내용물이 실린더 내에 충진되어 실린더가 압축공기에 의해 밀리면서 내용물이 분출되어 용기가 어떠한 자세로 되어 있더라도 내용물이 용이하게 분출될 수 있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의 용기와, 용기의 개방부에 누름버튼에 의해서 개폐되는 벨브로 구성된다. 그리고 벨브의 하단부에는 용기내로 연장되는 스트로우가 장착되어 내용물을 벨브측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디스펜서의 용기내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내용물이 충진되는데, 이러한 내용물을 벨브를 통해 분출시키기 위해 가스나 압축공기 등이 내용물과 함께 충진된다. 따라서 누름버튼을 눌러 벨브를 개폐시키면 벨브를 통해 내용물과 가스 또는 압축공기가 분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디스펜서는 내용물을 안내하는 스트로우가 용기의 바닥면에 거의 닿도록 연장되는데, 이러한 구조로 인해 용기를 거꾸로 들었을 때에는 내용물이 원활히 분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용기내의 내용물은 분출되지 못하고 가스나 압축공기만이 분출되어 실질적으로 내용물은 많이 들어 있지만 가스나 압축공기가 없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내에 내용물만 충진되는 실린더를 구비하고 실린더의 외부에 압축공기를 충진하여 벨브를 열었을 때, 압축공기가 실린더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분출되도 록 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용물 및 공기압이 충진되는 용기부와 용기부의 상부에 조립되어 공기압에 의해서 내용물을 분출시키는 벨브부로 이루어진 디스펜서에 있어서,
용기부는 공기가 충진되는 외통과, 내용물이 충진되며 외통속에 내장되면서 그 상단부가 외통의 개방부에 걸쳐지고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주사기 형태의 내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그리고 벨브부는 내통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지며 내통과 연통되는 내용물출입로 및 외통과 연통되는 공기출입로가 형성된 벨브하우징과, 벨브하우징을 외통에 결합시키는 마운팅캡과, 벨브하우징의 내측에 탄력지지되면서 선택적으로 내용물 및 공기압을 분출시키는 트윈노즐과, 트윈노즐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트윈노즐을 눌러주는 누름버튼과, 공기출입로의 외측에 설치되어 분출되는 공기압을 일정하게 하는 공압조절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공압조절기의 반대측에는 공기압을 충진할 때에 사용되는 체크벨브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통은 상, 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하단부 내측에는 공기압에 의해서 상, 하 이동되는 피스톤이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 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벨브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벨브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용기부(110)와, 벨브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용기부(1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통(112)과, 내통(115)으로 이루어진다. 외통(112)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개방부의 내측에 돌출된 원형의 돌출링(113)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외통(112)에는 압축공기가 충진되며, 압축공기를 충진하기 위한 충전벨브(114)가 외통(112)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다. 그리고 내통(115)은 외통(112)의 개방부에 걸쳐지면서 외통(112)의 내부로 끼워지는 것으로 내용물이 충진된다. 이때, 내통(115)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이며, 하단부의 내측에 피스톤(117)이 상, 하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내통(115)의 상단부에는 외통(112)의 돌출링(113)에 걸쳐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링(116)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통(115)의 하단부에는 피스톤(117)이 개방된 하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된 방지턱(118)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용기부(110)의 상부에 벨브부(130)가 조립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벨브부(130)는 벨브하우징(131)과, 마운 팅캡(150)과, 트윈노즐(160)과, 누름버튼(170)과, 공압조절기(140)로 이루어진다.
벨브하우징(131)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외통(112)의 개방된 상부로 끼워져 내통(115)의 내측으로 끼워진다. 이러한 벨브하우징(131)의 상단부에는 외통(112)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방사상으로 돌출된 링 형상의 안착링(132)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벨브하우징(131)의 하부면상 중앙부에는 내통(115)과 연통되어 내용물이 입, 출되는 내용물출입로(133)가 형성된다. 또한, 벨브하우징(131)의 상부측 외주면상의 어느 일측에는 소정의 설치공간(135)이 형성되며, 이 설치공간(135)으로 구멍이 천공되어 압축공기가 출, 입되는 공기출입로(134)가 형성된다.
이러한 벨브하우징(131)이 외통(112)의 상단부에 안치된 후, 마운팅캡(150)이 벨브하우징(131)과 외통(112)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결합시킨다.
트윈노즐(160)은 마운팅캡(15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벨브하우징(131)의 내측으로 끼워져 노즐스프링(166)에 의해서 탄력지지된다. 이러한 트윈노즐(160)의 내부에는 벨브하우징(131)의 하부에 형성된 내용물출입로(133)와 연통되도록 통상적인 내용물오리피스관(161) 및 내용물분출관(162)이 형성되고, 벨브하우징(131)의 측면에 형성된 공기출입로(134)와 연통되도록 통상적인 공기오리피스관(163) 및 공기분출관(164)이 동시에 형성된다. 이때, 트윈노즐(160)의 하부측 외경은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벨브하우징(131)의 내경에 비해 조금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내용물오리피스관(161)의 외주면상에는 내용물오리피스관(161)을 단속하기 위한 내용물단속패킹(167)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설치공간(135)과 외통(112)이 연통되기 위하여 내통(115)과 외통(112)의 결합부위에는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통로 (13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오리피스관(163)의 외주면상에는 공기오리피스관(163)을 단속하기 위한 공기단속패킹(168)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누름버튼(170)은 트윈노즐(160)을 눌러주어 내통(115)내의 내용물 및 외통(112)내의 공기를 분무시키는 것으로 트윈노즐(160)의 내용물분출관(162) 및 공기분출관(164)과 연통되는 분무관(171)과, 분무관(171)의 연장부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분무시키는 분무노즐(172)을 구비한다.
한편, 공압조절기(140)는 벨브하우징(131)의 측면에 형성된 설치공간(135)에 형성된다. 이러한 공압조절기(140)는 공기출입로(134)측에서부터 피스톤 형상을 갖는 받침대(141)와, 필터(145)와, 조정볼트(146)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설치한다. 받침대(141)는 그 끝의 외경이 설치공간(135)의 내경과 동일한 원판(144)과, 원판(144)의 후위측으로는 길다랗게 연장되는 돌출봉(143)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원판(144)의 어느 외주면상에는 양측으로 관통되는 흐름공(144)이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대(141)의 돌출봉(143)의 외측에는 필터(145)가 둘러쌓여 배치되고, 필터(145)의 후위에는 조정볼트(146)가 결합된다. 조정볼트(146)는 설치공간(135)과 나사결합되도록 그 외주면상에 나사가 형성되며, 내부는 양측으로 중공된 관통공(147)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147)의 타측에는 렌치(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체결공구가 끼워지도록 체결홈(148)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147)은 받침대(141)의 돌출봉(143)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공압조절기(140)는 공기통로(136)에서 관통공(147)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돌출봉(143)과 관 통공(147)의 직경차이로 인한 틈새로 공기가 흘러들어가고 다시 필터(145)를 통과하여 원판(144)의 흐름공(144)을 지나 공기통로(136) 및 공기오리피스관(163)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공압조절기(140)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살펴보면, 공압조절기(140)는 조정볼트(146)를 죄여주고 풀어줌으로 인해 필터(145)가 압축되고 또는 팽창되면서 그 필터(145)의 내부공간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조절은 디스펜서(100)가 조립되기 전에 미리 조정볼트(146)를 조여주어 설정된 다음 설치공간(135)에 설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공압조절기(140)를 3.5Kg/cm2의 압력으로 조정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디스펜서(100)는 공기를 충진시킬 때, 높은 압력으로 충진시키게 되는데, 외통(112)으로 충진되는 공기의 압력이 아무리 높아도 공압조절기(140)에 의해서 일정한 양만큼만 충진되기 때문에 충진되는 시간이 늦게 되는 문제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공압조절기(140)의 반대편에 또 다른 제 2 설치공간(137)을 형성하여 제 2 설치공간(137)에 체크벨브(139)를 설치함으로써 충진되는 공기의 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우선, 제 2 설치공간(137)은 벨브하우징(131)의 타측으로 형성되며, 제 2 설치공간(137)과 벨브하우징(131)의 내측과 연통되는 제 2 공기출입로(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설치공간(137)은 설치공간(135)측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공기통로(136)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연통된다. 이러한 설치공간(135)내에 체크벨브(139) 를 설치하여 체크벨브(139)가 일방향으로만 작동되도록 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디스펜서(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우선,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100)에 내용물을 충진한다. 내용물은 트윈노즐(160)의 내용물분출관(162)으로 충진시키며, 충진되는 내용물은 내용물분출관(162)을 타고 내용물오리피스관(161)을 지나 내용물출입로(133)를 통해 내통(115)으로 유입된다. 또는 내용물은 내통(115)을 조립하기 전에 미리 채운 후에 내통(115)을 조립해도 무관하다.
위와 같이 내용물이 충진되면, 공기를 충진시킨다. 공기는 보통 9Kg/cm2의 압력으로 충진시키는데, 외부의 콤푸레샤(도시되지 않음)에서 트윈노즐(160)의 공기분출관(164)과 공기오리피스관(163)을 지나 내용물출입로(133)와 설치공간(135) 및 제 2 설치공간(137)을 지나 공기통로(136)를 통해 외통(112)으로 유입된다. 여기에서 설치공간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설치공간(135)에 설치된 공압조절기(140)에 의해 적은 양만 충진되며, 대부분의 공기는 그 반대편에 설치된 체크벨브(139)를 통해 외통(112)으로 충진된다. 또는 압축공기는 외통(112)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 충전벨브(114)를 통해 충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내용물과 압축공기가 충진되면, 누름버튼(170)을 결합시켜 사용할 준비가 된다.
먼저, 누름버튼(170)을 누르면 트윈노즐(160)이 하강하면서 내용물단속패킹(167) 및 공기단속패킹(168)으로부터 각 오리피스관(161, 163)이 개방되면서 트윈노즐(160)의 내용물분출관(162) 및 공기분출관(164)이 동시에 열리게 된다. 따라서 내통(115)속에 있던 내용물과 외통(112)속에 있던 압축공기가 동시에 분출된다. 이때, 압축공기는 공기통로(136)를 타고 공압조절기(140)를 통해 분출되기도 하지만 압축공기가 내통(115)속의 피스톤(117)을 밀고있던 힘에 의해 피스톤(117)이 자연스럽게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내통(115)속의 내용물이 분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내용물과 압축공기가 내용물분출관(162) 및 공기분출관(164)을 통해 분출되면서 누름버튼(170)의 분무관(171)에서 합쳐져 결과적으로 분무노즐(172)로 분사되는 내용물은 작은 미세입자로 분무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는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외통속에 내용물이 충진되며 실린더역할을 하는 내통을 더 구비하고 이러한 용기부의 상부에 내용물과 압축공기가 각각 분출되도록 내용물분출관 및 공기분출관을 동시에 형성한 트윈노즐을 구비한 벨브부를 두어 외통의 압축공기에 의해 내통이 작동되어 미세한 분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는 내부에 실린더 역할을 하는 내통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펜서를 사용할 때에 기울이거나 거꾸로 들어도 원활한 분무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내용물 및 공기압이 충진되는 용기부(110)와 상기 용기부(110)의 상부에 조립되어 공기압에 의해서 내용물을 분출시키는 벨브부(130)로 이루어진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110)는 공기가 충진되는 외통(112)과, 내용물이 충진되며 상기 외통(112)속에 내장되면서 그 상단부가 상기 외통(112)의 개방부에 걸쳐지고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주사기 형태의 내통(1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브부(130)는 상기 내통의 상단부 내측에 끼워지며 상기 내통(115)과 연통되는 내용물출입로(133) 및 상기 외통(112)과 연통되는 공기출입로(134)가 형성된 벨브하우징(131)과, 상기 벨브하우징(131)을 상기 외통(112)에 결합시키는 마운팅캡(150)과, 상기 벨브하우징(131)의 내측에 탄력지지되면서 선택적으로 내용물 및 공기압을 분출시키는 트윈노즐(160)과, 상기 트윈노즐(16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트윈노즐(160)을 눌러주는 누름버튼(170)과, 상기 공기출입로(134)의 외측에 설치되어 분출되는 공기압을 일정하게 하는 공압조절기(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조절기(140)의 반대측에는 공기압을 충진할 때 에 사용되는 체크벨브(139)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115)은 상, 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하단부 내측에는 상기 공기압에 의해서 상, 하 이동되는 피스톤(117)이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12)의 하단부 중앙에는 압축공기를 충진시키기 위한 충전벨브(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KR2020050029007U 2005-10-12 2005-10-12 디스펜서 KR200405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07U KR200405656Y1 (ko) 2005-10-12 2005-10-12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07U KR200405656Y1 (ko) 2005-10-12 2005-10-12 디스펜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472A Division KR100833114B1 (ko) 2005-11-16 2005-11-16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656Y1 true KR200405656Y1 (ko) 2006-01-10

Family

ID=4175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007U KR200405656Y1 (ko) 2005-10-12 2005-10-12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6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14B1 (ko) * 2005-11-16 2008-05-29 김용수 디스펜서
KR101238168B1 (ko) 2011-09-20 2013-02-27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WO2016108301A1 (ko) * 2014-12-30 2016-07-07 왕정순 디스펜서용 밸브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14B1 (ko) * 2005-11-16 2008-05-29 김용수 디스펜서
KR101238168B1 (ko) 2011-09-20 2013-02-27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펌프디스펜서용 펌프용기
WO2016108301A1 (ko) * 2014-12-30 2016-07-07 왕정순 디스펜서용 밸브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7989B2 (en) Liquid jet blower
CA2665953C (en) Liquid jet pump
US6394364B1 (en) Aerosol spray dispenser
KR100570340B1 (ko) 디스펜서
KR100833114B1 (ko) 디스펜서
KR200405656Y1 (ko) 디스펜서
JP2007320594A (ja) 吐出容器
JP3889557B2 (ja) スプレー容器
JP5283159B2 (ja) ポンプの押下ヘッド
JP6240498B2 (ja) フォーマディスペンサ
JP2005271924A (ja) 液吐出器
JP5879066B2 (ja) スプレー容器
JP3278022B2 (ja) 泡噴出容器
JP5016989B2 (ja) 吐出器
KR102370545B1 (ko) 에어졸 스프레이용 펌핑밸브 조립체
JP2003144988A (ja) トリガー式ディスペンサー
JPS6027465Y2 (ja) 手動式小型噴霧器
JP7438081B2 (ja) 吐出器
JP6259258B2 (ja) フォーマポンプ
JP5582538B2 (ja) 液体噴出器
KR200410873Y1 (ko) 디스펜서
JP2008006410A (ja) 押下げヘッド
JP4511856B2 (ja) 噴出装置、および噴出器
JPH082130Y2 (ja) 液体噴出容器
KR200312636Y1 (ko) 자체 수축력과 공기압에 의해 내용물의 분출이 가능한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