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889B1 -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889B1
KR101768889B1 KR1020150147207A KR20150147207A KR101768889B1 KR 101768889 B1 KR101768889 B1 KR 101768889B1 KR 1020150147207 A KR1020150147207 A KR 1020150147207A KR 20150147207 A KR20150147207 A KR 20150147207A KR 101768889 B1 KR101768889 B1 KR 10176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housing
pressure
guide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1840A (ko
Inventor
최성웅
김성신
손수진
김민구
서정연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PCT/KR2016/00409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82219A1/ko
Publication of KR2016013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 저장컵을 가압시에 압력변환부가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며 펌핑작동이 이루어져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저장컵을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The containe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its content}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용물 저장컵을 가압시에 압력변환부가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며 펌핑작동이 이루어져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저장컵을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며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배출구에 결합되어 용기본체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캡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의 상부에 나사결합되는 캡을 분리시킨 후, 용기본체의 배출구를 아래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여 배출구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중 간장과 같은 조미료가 수용되는 용기와 같은 경우, 음식의 레시피에 따라 컵 또는 숟가락에 일정량을 덜어 사용하게 되는데, 간장을 한 큰술 또는 한 컵을 넣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용기본체의 기울이는 속도 또는 각도의 조절을 실패하여 요구하는 내용물의 양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내용물이 배출되어 불필요한 내용물이 소모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한 큰술 또는 한 컵보다 더 많은 간장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집중하여 용기를 기울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강세척을 위한 가글액과 같은 경우,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캡의 내측 공간에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용기본체를 기울이는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시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사용 후, 캡을 용기본체에 결합시에 캡의 내측 공간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흘러내려 용기를 더럽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용량의 액체 세제가 저장된 세제 용기의 경우, 캡을 용기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캡의 내측 공간에 내용물을 덜어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무거운 세제 용기를 기울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가 등록특허 제10-1454748호(이하, '등록특허'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결합되어 펌핑작동을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펌핑부재; 상기 펌핑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을 가이드하되, 상기 펌핑부재의 펌핑작동에 의해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일정량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용물 저장컵;을 포함하되,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용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가압 여부에 따라 수축 이완되며 펌핑작동을 수행하는 주름관과, 상기 주름관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저장컵을 지지하는 펌핑가이드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등록특허는 내용물 저장컵을 통해 액상의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펌핑부재가 결합부, 주름관 및 펌핑가이드부재로 구성되며, 하우징의 내측에 펌핑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어야 하는 등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용기의 단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 저장컵을 가압시에 압력변환부가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며 펌핑작동이 이루어져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저장컵을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펌핑작동을 유도하도록 압력변환부가 구비되는 펌핑가이드부재; 상기 펌핑가이드부재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일정량 저장하는 내용물 저장컵;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펌핑가이드부재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상단을 가압시 그 하부에 결합된 상기 펌핑가이드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의 변화되며 상기 내용물 저장컵으로 일정량의 내용물이 유입되며,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가압을 해제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펌핑가이드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의 변화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을 감싸며 상기 고정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버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단에는 상기 펌핑가이드부재의 하강에 따른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변화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 이동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핑가이드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이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 상부에는 상기 탄성체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펌핑가이드부재가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펌핑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턱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압력변환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며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으로 이동하도록 내용물 연통홀이 형성되는 연통부;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연통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 연통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일정량 저장하는 내용물 저장컵;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압력변환부의 상승을 제한하며, 상기 승하강부재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상단을 가압시 그 하부에 결합된 상기 연통부가 하강하여 상기 압력변환부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 연통홀이 개방되며,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강에 따른 가압에 의해 상기 압력변환부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며 개방된 내용물 연통홀을 통해 상기 내용물 저장컵으로 일정량의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변환부의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연통홀을 개폐하는 개폐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압력변환부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승제한관 및 상기 탄성체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단에는 상기 내용물 연통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 저장컵을 가압시에 압력변환부가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며 펌핑작동이 이루어져 내용물 저장컵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용물 저장컵을 가압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용기본체(100), 하우징(200), 펌핑가이드부재(300), 내용물 저장컵(400), 탄성체(500)가 포함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110)에는 배출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후술할 하우징(200)을 배출부(110)에 고정시키는 고정체(600)가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체(600)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내용물 저장컵(400)의 삽입,인출이 가능하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600)의 상부에는 후술할 탄성체(500)의 탄성력에 의해 펌핑가이드부재(300)가 상승시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턱(6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체(600)의 외주면에는 내용물 저장컵(400)의 개방된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내용물 저장컵(400)을 감싸는 오버캡(7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배출부(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후술할 펌핑가이드부재(300) 및 내용물 저장컵(400)이 승하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펌핑가이드부재(300)의 승하강에 따른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용물 이동홀(210)에는 펌핑가이드부재(300)의 승하강에 따라 내용물 이동홀(210)을 개폐하는 체크밸브(22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펌핑가이드부재(300)가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펌핑가이드부재(300)의 걸림턱(340) 상단을 지지하는 이탈방지턱(2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턱(230)은 다수개가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형성 될 수 있으며, 내주면 전체를 둘러싸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펌핑가이드부재(3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체(500)가 안착되도록 안착홈(24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의 하단에는 펌핑가이드부재(300)의 승하강시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내용물 흡입관(260)이 결합되는 결합관(250)이 구비된다.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 삽입되어 내용물 저장컵(400)의 가압여부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펌핑작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벽에 밀착형성되는 압력변환부(3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압력변환부(310)는 내용물 저장컵(400)의 상단 가압에 의해 펌핑가이드부재(300)가 하강시에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내용물 저장컵(400)으로 일정량의 내용물이 유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내용물 저장컵(400)의 가압을 해제하여 탄성체(500)의 탄성력에 의해 펌핑가이드부재(300)가 상승시에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의 하단에는 내용물 저장컵(400)의 결합돌기(430)와 결합되도록 결합홀(32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의 외주면 상부에는 탄성체(5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턱(330)이 형성되는데, 탄성체(500)의 탄성력이 상기 지지턱(330)으로 전달되어 펌핑가이드부재(300)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는 상승 과정에서 상방향으로 계속 이동하여 하우징(200)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외주면 중앙부에 상기 이탈방지턱(230)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340)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 저장컵(400)은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일정량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는데, 사용자가 그 상단을 가압시 그 하부에 결합된 펌핑가이드부재(300)로 그 압력을 전달하여 펌핑가이드부재(300)와 함께 하강하며, 사용자가 상단 가압을 해제시에는 탄성체(500)의 탄성력에 의해 펌핑가이드부재(300)와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용물 저장컵(400)의 하단에는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의 승하강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는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410)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40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내용물 유입홀(410)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42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 저장컵(400)은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일정량의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펌핑가이드부재(300)로부터 탈리하여 내용물을 사용한 후, 펌핑가이드부재(300)에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내용물 저장컵(400)의 하단에는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4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용물 저장컵(40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내용물 저장컵(400)을 탈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4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체(500)는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하단은 상기 하우징(200)의 안착홈(240)에 안착되며, 그 상단은 상기 펌핑가이드부재(300)의 지지턱(330)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500)는 사용자 가압에 의해 하강한 펌핑가이드부재(3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다음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 저장컵(400)의 내부로 유입될 내용물을 용기본체(100)로부터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최초, 고정체(600)로부터 오버캡(700)을 제거한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400)을 가압하였다가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펌핑가이드부재(30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여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400)을 한번 더 가압하게 되면, 펌핑가이드부재(300)의 압력변환부(310)가 하우징(200)의 내벽을 따라 하강함에 따른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제1체크밸브(220)가 내용물 이동홀(210)을 폐쇄하게 되며, 제2체크밸브(420)는 내용물 유입홀(410)을 개방하여 내용물 유입홀(410)을 통해 내용물 저장컵(400)의 내부로 내용물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내용물 저장컵(400)의 내부로 내용물의 유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400)을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체(500)의 탄성력에 의해 펌핑가이드부재(3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1체크밸브(220)가 내용물 이동홀(210)을 개방하여 다음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 저장컵(400)의 내부로 유입될 내용물이 용기본체(100)로부터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내용물 저장컵(400)의 내부로 일정량의 내용물이 저장되면 내용물 저장컵(400)을 펌핑가이드부재(300)로부터 탈리하여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방법을 보인 설명도이다.
먼저,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용기본체(100'), 하우징(200'), 압력변환부(300'), 승하강부재(400'), 연통부(500'), 내용물 저장컵(600'), 지지체(700')가 포함된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110')에는 배출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후술할 하우징(200')을 배출부(110')에 고정시키는 고정체(800')가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체(800')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내용물 저장컵(600')의 삽입,인출이 가능하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체(800')의 상부에는 후술할 탄성체(730')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부재(400')가 상승시 상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턱(81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체(800')의 외주면에는 내용물 저장컵(600')의 개방된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내용물 저장컵(600')을 감싸는 오버캡(9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오버캡(900')의 내부 상측에는 고정체(8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60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내용물 저장컵(600')의 개방된 상단부를 씰링처리하는 씰링돌기(910')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배출부(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후술할 압력변환부(300'), 승하강부재(400'), 연통부(500') 및 내용물 저장컵(600')이 승하강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압력변환부(300')의 승하강에 따른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210')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용물 이동홀(210')에는 압력변환부(300')의 승하강에 따라 내용물 이동홀(210')을 개폐하는 체크밸브(22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0')의 하단에는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여부에 따른 압력변환부(300')의 승하강시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내용물 흡입관(240')이 결합되는 결합관(230')이 구비된다.
상기 압력변환부(3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 삽입되어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여부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력변환부(3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펌핑작동을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압력변환부(300')는 내용물 저장컵(600')의 상단 가압에 의해 하강시에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하우징(200')에 저장된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600')으로 유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을 해제하여 탄성체(730')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부재(400')가 상승시에 함께 상승하며 상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상기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압력변환부(300')의 내측에는 연통부(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내용물 연통홀(510')을 개폐하는 개폐돌기(31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개폐돌기(310')는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시에는 연통부(500')가 하강함에 따라 연통부(500')로부터 이격되며 내용물 연통홀(510')을 개방하며,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 해제시에는 연통부(500')가 상승함에 따라 연통부(500')에 접촉되며 내용물 연통홀(510')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부재(400')는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 삽입되며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여부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는 것으로서, 승하강되는 과정에서 후술할 연통부(500')가 함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하부 내주면에 연통부(500')의 결합홈(520')과 결합되는 결합돌기(410')가 형성된다.
상기 승하강부재(400')의 외주면 상부에는 탄성체(730')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턱(420')이 형성되는데,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에 따른 승하강부재(400')의 하강시에는 상기 지지턱(420')의 가압에 의해 탄성체(730')의 수축이 이루어지게 되며,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 해제시에는 탄성체(730')의 탄성력이 상기 지지턱(420')으로 전달되어 승하강부재(400') 및 내용물 저장컵(600')의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연통부(500')는 상기 승하강부재(4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40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것으로서, 승하강부재(400')의 결합돌기(410')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그 외주면에 결합홈(520')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부(500')는 내용물 저장컵(600')의 삽입 과정에서 억지끼움에 의해 내용물 저장컵(6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내용물 저장컵(600')이 연통부(500')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그 내주면에 고정돌기(5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돌기(530')는 내용물 저장컵(600')의 삽입 과정에서 내용물 저장컵(600')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연통부(500')의 내주면과 내용물 저장컵(600')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내용물 연통홀(510')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이 내용물 유입홀(610')로만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200')으로 유입된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600')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내용물 연통홀(51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내용물 연통홀(510')은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는 과정에서 압력변환부(300')의 개폐돌기(31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데,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시 하강함에 따라 개폐돌기(31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개방이 이루어지게되며,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 해제시에는 상승하며 개폐돌기(310')의 하단에 접촉되며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용물 저장컵(600')은 상기 승하강부재(400')의 내측에서 상기 연통부(5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 연통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일정량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는데, 사용자가 그 상단을 가압시 그 하부에 위치하는 승하강부재(400')로 압력을 전달하여 승하강부재(400')와 함께 하강하며, 사용자가 상단 가압을 해제시에는 탄성체(730')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부재(400')와 함께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용물 저장컵(600')의 하단에는 상기 내용물 연통홀(510')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는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610')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내용물 저장컵(60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내용물 유입홀(610')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620')가 설치된다.
상기 내용물 저장컵(600')은 그 하단부가 상기 연통부(500')의 내측에 삽입되거나, 연통부(500')로부터 인출되며 연통부(5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로 인하여, 일정량의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연통부(500')로부터 탈리하여 내용물을 사용한 후, 연통부(500')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 저장컵(60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내용물 저장컵(600')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6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700')는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200')의 내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압력변환부(300')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승제한관(710') 및 상기 승하강부재(4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730')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7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730')는 그 하단은 상기 지지체(700')의 안착홈(720')에 안착되며, 그 상단은 상기 승하강부재(400')의 지지턱(420')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데, 사용자 가압에 의해 하강한 승하강부재(40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압력변환부(300')가 함께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켜 다음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 저장컵(600')의 내부로 유입될 내용물이 용기본체(100')로부터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최초, 고정체(800')로부터 오버캡(900')을 제거한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600')을 가압하였다가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압력변환부(300'), 승하강부재(400') 및 연통부(50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며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이 변화함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홀(210')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여 하우징(200')의 내부로 유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200')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된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600')을 한번 더 가압하게 되면, 압력변환부(300')와 승하강부재(400')가 형성하는 이격 공간(S)만큼 승하강부재(400')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승하강부재(400') 및 내용물 저장컵(600')의 하부에 결합된 연통부(500')가 함께 하강하여 상기 압력변환부(300')의 개폐돌기(310') 하단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내용물 연통홀(51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 연통홀(510')이 개방된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600')을 계속 가압하게 되면, 압력변환부(300')가 하우징(200')의 내벽을 따라 하강함에 따른 하우징(200') 내부의 압력 변화에 의해 제1체크밸브(220')가 내용물 이동홀(210')을 폐쇄하게 되며, 제2체크밸브(620')는 내용물 유입홀(610')을 개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하우징(200')으로 유입된 내용물이 내용물 연통홀(510')을 지나 내용물 유입홀(610')을 통해 내용물 저장컵(600')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내용물 저장컵(600')의 내부로 내용물의 유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600')을 누르는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체(730')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부재(4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압력변환부(300')가 하우징(200')의 내벽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하우징(200')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해 제1체크밸브(220')가 내용물 이동홀(210')을 개방하여 다음 펌핑작동에 의해 내용물 저장컵(600')의 내부로 유입될 내용물이 용기본체(100')로부터 하우징(200')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체(730')의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부재(400')가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통부(500')가 함께 상승하는 과정에서 연통부(500')가 압력변환부(300')의 개폐돌기(310')와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개폐돌기(310')에 의해 내용물 연통홀(510')의 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내용물 저장컵(600')의 내부로 일정량의 내용물이 저장되면 내용물 저장컵(600')을 연통부(500')로부터 탈리하여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는 평상시 상기 개폐돌기(310')에 의해 내용물 연통홀(51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내용물 저장컵(600')의 가압시에 연통부(500')가 하강함에 따라 개폐돌기(310')로부터 이격되며 연통홀(510')이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유통 과정 또는 보관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압 상황에서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내용물 연통홀(510')을 통해 내용물 저장컵(600')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오버캡(900')을 최초 개봉시 내용물 저장컵(600')에 내용물이 존재할 경우, 제품의 최초 사용에 대한 불신감이 발생하게 되는데, 개폐돌기(310')에 의해 개폐되는 내용물 연통홀(510') 구조를 통해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내용물 저장컵(600')으로 내용물이 이동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배출부
200: 하우징 210: 내용물 이동홀
220: 제1체크밸브 230: 이탈방지턱
240: 안착홈 250: 결합관
260: 내용물 흡입관 300: 펌핑가이드부재
310: 압력변환부 320: 결합홀
330: 지지턱 340: 걸림턱
400: 내용물 저장컵 410: 내용물 유입홀
420: 제2체크밸브 430: 결합돌기
440: 손잡이부 500: 탄성체
600: 고정체 610: 제한턱
700: 오버캡
100': 용기본체 110': 배출부
200': 하우징 210': 내용물 이동홀
220': 제1체크밸브 230': 결합관
240': 내용물 흡입관300': 압력변환부
310': 개폐돌기 400': 승하강부재
410': 결합돌기 420': 지지턱
500': 연통부 510': 내용물 연통홀
520': 결합홈 530': 고정돌기
600': 내용물 저장컵610': 내용물 유입홀
620': 제2체크밸브 630': 손잡이부
700': 지지체 710': 상승제한관
720': 안착홈 730': 탄성체
800': 고정체 810': 제한턱
900': 오버캡 910': 씰링돌기

Claims (11)

  1.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펌핑작동을 유도하도록 압력변환부가 구비되는 펌핑가이드부재;
    상기 펌핑가이드부재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을 일정량 저장하는 내용물 저장컵;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펌핑가이드부재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상단을 가압시 그 하부에 결합된 상기 펌핑가이드부재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의 변화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내용물 저장컵으로 일정량 유입되며,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가압을 해제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펌핑가이드부재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의 변화되며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2. 내용물이 수용되며, 그 상부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이 이동되도록 하단 중앙부에 내용물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 이동홀을 개폐하는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펌핑작동을 유도하는 압력변환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삽입되며 사용자 가압여부에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부재;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된 내용물이 내용물 저장컵으로 이동하도록 내용물 연통홀이 형성되는 연통부;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연통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 연통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을 일정량 저장하는 내용물 저장컵;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감싸며 결합되되, 상기 압력변환부의 상승을 제한하며, 상기 승하강부재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상단을 가압시 그 하부에 결합된 상기 연통부가 하강하여 상기 압력변환부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 연통홀이 개방되며, 상기 승하강부재의 하강에 따른 가압에 의해 상기 압력변환부가 함께 하강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개방된 내용물 연통홀을 통해 상기 내용물 저장컵으로 일정량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배출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을 감싸며 상기 고정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버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단에는 상기 펌핑가이드부재의 하강에 따른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변화에 의해 상기 하우징으로 이동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핑가이드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이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 상부에는 상기 탄성체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체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펌핑가이드부재가 상방향으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펌핑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턱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변환부의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연통홀을 개폐하는 개폐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감싸며 결합되어 상기 압력변환부의 상승을 제한하는 상승제한관 및 상기 탄성체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하단에는 상기 내용물 연통홀을 통해 이동하는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내용물 유입홀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상기 내용물 저장컵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내용물 유입홀을 개폐하는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20150147207A 2015-05-08 2015-10-22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768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4098 WO2016182219A1 (ko) 2015-05-08 2016-04-20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22 2015-05-08
KR20150064322 2015-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40A KR20160131840A (ko) 2016-11-16
KR101768889B1 true KR101768889B1 (ko) 2017-08-17

Family

ID=5754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207A KR101768889B1 (ko) 2015-05-08 2015-10-22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02Y1 (ko) 2018-01-05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제용 계량캡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17Y1 (ko) * 2006-01-16 2006-04-05 (주)연우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JP2011031941A (ja) * 2009-07-31 2011-02-17 Yoshino Kogyosho Co Ltd 遅延吐出ポンプ
KR101083262B1 (ko) * 2009-10-19 2011-11-17 (주)연우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17Y1 (ko) * 2006-01-16 2006-04-05 (주)연우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JP2011031941A (ja) * 2009-07-31 2011-02-17 Yoshino Kogyosho Co Ltd 遅延吐出ポンプ
KR101083262B1 (ko) * 2009-10-19 2011-11-17 (주)연우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02Y1 (ko) 2018-01-05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제용 계량캡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840A (ko)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785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442500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335570B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KR101311209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388094B1 (ko) 캡 일체형 펌핑식 화장품용기
KR101722531B1 (ko) 버튼 출몰형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785716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328457B1 (ko) 잔류량 사용을 위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011701B1 (ko) 버튼 출몰식 용기
KR1017688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694989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KR101618122B1 (ko)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KR1014547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46719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JP6991571B2 (ja) サーバー
KR20090130439A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EP3060354B1 (en) Dispenser with a hermetic seal
US10737870B2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liquid
CN109843736B (zh) 盖子自动开闭式容器
KR101753843B1 (ko) 탄성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용기
KR1017130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