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917Y1 -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917Y1
KR200412917Y1 KR2020060001201U KR20060001201U KR200412917Y1 KR 200412917 Y1 KR200412917 Y1 KR 200412917Y1 KR 2020060001201 U KR2020060001201 U KR 2020060001201U KR 20060001201 U KR20060001201 U KR 20060001201U KR 200412917 Y1 KR200412917 Y1 KR 2004129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upled
cylinder
dispens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중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2020060001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9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9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9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Abstract

본 고안은 세제나 유연제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용기의 병목과 결합되도록 결합실린더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결합실린더에 결합되면서 펌프작동이 이루어지는 스프링스템; 상기 결합실린더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작동시 소정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흡입되도록 형성된 실린더캡; 내부에 밀폐된 저장공간을 가지면서 그 하부 중앙에는 상단이 개구된 펌프실린더가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의 외주연 일측에는 유입된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주둥이부가 형성된 버튼; 및 상기 가이드돌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실린더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 로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컵 형상으로 형성된 버튼의 상/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버튼 내부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버튼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저장된 내용물을 부어 낼 수 있도록 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Description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DISPENSER WITH CUP-BUTTON}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를 도시한 일부 절결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의 누름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의 내용물 토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의 버튼 분리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우징 120: 결합실린더
140: 슬라이드레일
200: 스프링스템 220: 탄성벨로우즈
240: 흡입관
300: 버튼 320: 펌프실린더
340: 가이드돌기 360: 주둥이부
380: 슬라이드돌기
400: 개폐밸브 420: 개폐판
440: 스프링
500: 실린더캡 520: 공기흡입구
540: 판밸브
본 고안은 세제 등의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컵 형상으로 형성된 버튼의 상/하 작동에 의해 그 하부의 펌프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펌프수단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버튼 내부에 저장한 후, 상기 버튼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저장된 내용물을 부어 낼 수 있도록 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Dispenser)라 함은 기체나 액체 또는 기타 내용물을 충진한 밀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어 가압에 의해 그 내부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세제나 화장품 또는 의약품 등을 저장하는 각종 밀폐용기에 적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종래 디스펜서의 일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크게 하우징과 버튼 및 펌프수단으로 구성되는바, 상기 버튼을 누르면 그 하측에 결합된 펌프수단의 작동을 통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스펜서의 작동에 의하면 내용물이 외부로 직접 토출되기 때문에 그 양을 정확하게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내용물의 사용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은 용기 내부에 세제나 유연제와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고 있는 디스펜서에서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즉, 세탁용 세제나 유연제 등과 같은 경우 필요 이상으로 많은 량을 사용하면 강한 독성에 의해 세탁물에 치명적인 손상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질환이나 환경오염 등의 여러 문제를 연쇄적으로 유발시키는 한편, 필요 이하의 적은 량을 사용하면 세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바, 종래 디스펜서의 구성에 의하면 단지 한 번에 토출되는 량과 누르는 횟수를 짐작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세제나 유연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저장하고 있는 용기 전체를 들어서 붓거나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컵 형상으로 형성된 버튼의 상/하 작동에 의해 그 하부의 펌프수단이 작동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펌프수단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버 튼 내부에 저장한 후, 상기 버튼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저장된 내용물을 부어 낼 수 있도록 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컵 형상의 버튼을 투명재로 형성하면서 그 외면에 토출된 내용물의 량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을 표시하여 정확한 량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본 고안은 세제나 유연제를 저장하고 있는 용기 전체를 들어 사용하는 불편함과 내용물을 손으로 받아서 사용하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제나 유연제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단은 개구되며 하단 중앙에는 상기 용기의 병목과 결합되는 결합실린더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결합실린더에 결합되면서 그 상부에는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팽창 복원되도록 탄성벨로우즈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게 연장된 흡입관이 결합 형성된 스프링스템; 상기 결합실린더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그 중앙에는 상기 스프링스템이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공이 관통되고, 상기 결합공 외주연에는 소정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 하단에는 연성의 판밸브가 결합된 상태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실린더캡; 내부에 밀폐된 저장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 승/하강 및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컵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스프링스템이 결합되도록 저장공 간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면서 그 상단이 개구된 펌프실린더가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상기 펌프실린더의 상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의 외주연 일측에는 유입된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관통된 주둥이부가 형성된 버튼; 및 상기 버튼의 가이드돌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높이 승/하강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펌프실린더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캡이 형성된 개폐밸브;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버튼의 외면에는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를 도시한 일부 절결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의 누름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의 내용물 토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의 버튼 분리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용기(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중앙에 결합되는 스프링스템(200), 상기 하우징과 스프링스템을 고정 결합하기 위한 실린더캡 (500), 내부에 저장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 상부를 통해 출입과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버튼(300) 및 상기 버튼 내부에 결합되어 스프링스템을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을 차단하기 위한 개폐밸브(400)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하우징(100)은 상단이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그 하단 중앙에는 상기 용기(10)의 병목과 나사식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결합실린더(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실린더(120)는 일정높이 돌출되면서 그 상단에 상기 실린더캡(500)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에는 상기 버튼(300)의 외면에 형성된 슬라이드돌기(380)와 대응되어 버튼(300)의 좌/우 회전을 제한하면서 수직으로 원활한 출입과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슬라이드레일(140)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스템(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결합실린더(120) 상단에 결합된 실린더캡(500)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 고정되면서 그 자체의 펌프작용을 통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을 버튼(300)의 저장공간으로 토출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된 상기 결합실린더(120)의 상부에는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 후 자체 탄성력으로 팽창 복원되면서 펌프작용이 이루어지는 탄성 벨로우즈(2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게 연장된 흡입관(240)이 결합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캡(500)은 결합실린더(120)의 구부에 스프링스템(200)을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중앙에는 스프링스템(200)이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캡(500)의 관통된 결합공 외주연에는 스프링스템(200) 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시 용기(10) 내부로 소정의 공기가 흡입되면서 압력을 보상하도록 하는 소정의 공기흡입구(520)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520) 하단에는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연성의 판밸브(54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판밸브(540)는 환형으로 형성되면서 그 내주면이 스프링스템(20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용기(10) 내부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버튼(300)은 하우징(100)의 상부를 통해 출입과 승/하강이 이루어지면서 스프링스템(200)의 탄성벨로우즈(220)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저장한 후 부어 낼 수 있도록 일정한 저장공간을 갖는 컵 형태로 형성된다.
즉, 내부에 밀폐된 저장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 출입과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컵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그 하부 중앙에는 상기 돌출된 스프링스템(200)이 결합되도록 저장공간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는 펌프실린더(3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펌프실린더(320)의 상단은 개구된 상태에서 그 일정높이의 내주면은 스프링스템(200)의 상단이 미끄러지듯 안내되면서 정확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원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300)의 폐쇄된 상단면 중앙에는 펌프실린더(320)의 개구된 상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됨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400)가 결합된 상태로 일정거리 승/하강되도록 하는 가이드돌기(3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340)의 돌출된 하단에는 결합된 개폐밸브(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300)의 상단 외주연 일측에는 유입된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관통된 주둥이부(360)가 형성되는바, 상기 돌출된 주둥이부(360)는 버튼이 최대한 하강시 하우징의 상단과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주둥이부(360)는 통상의 컵이나 주전자에서 볼 수 있듯이 따르는 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새 부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300)의 외측면 적소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슬라이드레일(140)과 대응되는 슬라이드돌기(380)가 형성된다. 물론 이와 같은 슬라이드레일(140)과 슬라이드돌기(380)의 구성은 하우징(100)과 버튼(300)의 내/외면에 상호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버튼은 투명재로 형성되면서 그 외면에는 토출된 내용물의 량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400)는 상기 버튼(300)의 가이드돌기(340)와 결합된 상태로 승/하강 되면서 상기 펌프실린더(320)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토출되는 내용물의 압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내용물의 토출이 완료되면 팽창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440)이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하단에는 펌프실린더(320)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캡(42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340)와 결합되는 개폐밸브(400)의 상단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에 의하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용이 이루어진다.
먼저, 하우징(100)의 상단을 통해 버튼(300)을 결합하되, 상호 슬라이드레일(140)과 슬라이드돌기(380)를 일치시킨 상태로 밀어 넣으면 하우징(100) 중심에 결합된 스프링스템(200)의 탄성벨로우즈(220)가 버튼(300) 중앙의 펌프실린더(320)로 수용되면서 그 상단이 일치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버튼(300)은 스프링스템(200)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높이 들린 상태면서 상기 버튼(300) 내부의 개폐밸브(400)는 펌프실린더(320)의 상단에 밀착되어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 사용자가 상기 버튼(300)의 상단을 강압적으로 누르면 상기 탄성벨로우즈(220)가 수축되면서 탄성벨로우즈(220) 내부의 공기는 개폐밸브(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실린더캡(500)의 판밸브(54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누르고 있는 버튼(300)의 상단을 놓으면 탄성벨로우즈(22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흡입관(240)을 통해 탄성벨로우즈(220) 내부로 유입된다. 한편, 이와 같은 작용이 이루어지면 상기 실린더캡(500)의 판밸브(540)가 열리면서 공기흡입구(520)를 통해 용기(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탄성벨로우즈(220)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은 다시 반복되는 버튼(300)의 누름 작동을 통해 탄성벨로우즈(220)이 수축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유입된 내용물이 개폐밸브(400)를 밀어 올리면서 버튼(300)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일정량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한 번의 작용이나 여러 번의 작용을 통해 원하는 량의 내용물이 버튼(300) 내부로 배출 및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300)을 하우징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는 한편 그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일측의 주둥이부(360)를 통해 부어낼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에 의하면 컵 형상으로 형성된 버튼 내부에 토출되는 내용물을 저장한 후 이를 사용함으로서 필요한 량의 내용물을 정확하게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컵 형상의 버튼을 투명재로 형성하면서 그 외면에 토출된 내용물의 량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을 표시함으로서 보다 적확한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컵 형태의 버튼만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음으로서 세제나 유연제를 저장하고 있는 용기 전체를 들어 사용하는 불편함과 내용물을 손으로 받아서 사용하는 등의 불편함을 방지하여 안전성과 용이성이 크게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2)

  1. 세제나 유연재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단은 개구되며 하단 중앙에는 상기 용기의 병목과 결합되는 결합실린더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결합실린더에 결합되면서 그 상부에는 외부 압력에 의해 수축 후 자체 탄성력에 의해 팽창 복원되도록 탄성벨로우즈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게 연장된 흡입관이 결합 형성된 스프링스템;
    상기 결합실린더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그 중앙에는 상기 스프링스템이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공이 관통되고, 상기 결합공 외주연에는 소정의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 하단에는 연성의 판밸브가 결합된 상태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실린더캡;
    내부에 밀폐된 저장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상단을 통해 출입과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컵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스프링스템이 결합되도록 저장공간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되면서 그 상단이 개구된 펌프실린더가 형성되고, 상단 중앙에는 상기 펌프실린더의 상단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의 외주연 일측에는 유입된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관통된 주둥이부가 형성된 버튼; 및
    상기 버튼의 가이드돌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그 내부에 결합된 스프링의 탄성 력에 의해 일정높이 승/하강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펌프실린더의 개구된 상단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캡이 형성된 개폐밸브;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버튼의 외면에는 슬라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KR2020060001201U 2006-01-16 2006-01-16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KR2004129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201U KR200412917Y1 (ko) 2006-01-16 2006-01-16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201U KR200412917Y1 (ko) 2006-01-16 2006-01-16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917Y1 true KR200412917Y1 (ko) 2006-04-05

Family

ID=4176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201U KR200412917Y1 (ko) 2006-01-16 2006-01-16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91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759B1 (ko) 2010-12-16 2011-07-15 전명자 투명 에어로졸 스프레이
KR101104842B1 (ko) 2009-10-01 2012-01-16 김연철 휴대용 액체용기
WO2015147505A1 (ko) * 2014-03-24 2015-10-01 (주)연우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16182219A1 (ko) * 2015-05-08 2016-11-1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768889B1 (ko) * 2015-05-08 2017-08-1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0488702Y1 (ko) * 2018-01-05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제용 계량캡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KR20200001048A (ko) * 2018-06-26 2020-01-06 이영주 펌프 용기
KR102542870B1 (ko) * 2022-03-25 2023-06-13 김경숙 체크 밸브형 노즐헤드 구조의 펌프 용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42B1 (ko) 2009-10-01 2012-01-16 김연철 휴대용 액체용기
KR101049759B1 (ko) 2010-12-16 2011-07-15 전명자 투명 에어로졸 스프레이
WO2015147505A1 (ko) * 2014-03-24 2015-10-01 (주)연우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16182219A1 (ko) * 2015-05-08 2016-11-1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768889B1 (ko) * 2015-05-08 2017-08-17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0488702Y1 (ko) * 2018-01-05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제용 계량캡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KR20200001048A (ko) * 2018-06-26 2020-01-06 이영주 펌프 용기
KR102125611B1 (ko) * 2018-06-26 2020-06-22 이영주 펌프 용기
KR102542870B1 (ko) * 2022-03-25 2023-06-13 김경숙 체크 밸브형 노즐헤드 구조의 펌프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2917Y1 (ko) 컵 겸용 버튼이 구비된 디스펜서
KR101487191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6420322B2 (ja) 回転吐出式化粧品容器
US8783520B2 (en) Dispenser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21034064A1 (ko) 펌프 용기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0849356B1 (ko) 밀폐형 펌프디스펜서
KR20150111213A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JP6882637B2 (ja) 内容物排出ポンプ
JPH1072052A (ja) 液体注出器
KR200428943Y1 (ko) 디스펜서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CN113800086A (zh) 折叠式吸管杯用盖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0998348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200311503Y1 (ko) 디스펜서 용기
KR101753843B1 (ko) 탄성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용기
KR20030036325A (ko) 상하 작동형 배출유도부를 갖고 있는 배출대
KR200467361Y1 (ko) 자동 개폐 플러그를 갖는 튜브형 용기
KR200235847Y1 (ko) 디스펜서 용기의 피스톤
KR102062002B1 (ko) 펌프 용기
KR101904933B1 (ko) 펌핑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