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915A -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 Google Patents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915A
KR20190018915A KR1020170103656A KR20170103656A KR20190018915A KR 20190018915 A KR20190018915 A KR 20190018915A KR 1020170103656 A KR1020170103656 A KR 1020170103656A KR 20170103656 A KR20170103656 A KR 20170103656A KR 20190018915 A KR20190018915 A KR 20190018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olution
quantitative
storage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9618B1 (ko
Inventor
김강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플라텍 filed Critical (주)아이디플라텍
Priority to KR102017010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6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67D1/000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 B67D1/0007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the apparatus comprising mean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amount to be dispensed based on volumetric d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량이나 추가인출이 발생되지 않게 정확한 정량으로 계량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인출할 경우에는 계량된 정량이 인출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정량이 수용부에 재저장되어 항상 반복적인 정량인출이 되도록 한 액상정량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상단에 뚜껑이 개폐되는 캡을 결합하고 상기 캡의 내측에 정량저장부가 형성된 인출관과 상기 인출관 외주면으로 유입공간부를 형성한 정량저장인출챔버를 장착하고, 상기 인출관에는 유입공간부와 연결된 용액유입구를 형성하여 용액이 정량저장부로 이동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정량저장부에 저장되고 남은 잔량은 용기 내부로 다시 배출되도록 유입공간부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정량저장부에 저장된 용액을 인출관을 통해 인출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A quantitative container that draws the contents of the liquid with precisely metered dosing}
본 발명은 용기에 액상을 저장한 상태에서 일정량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정량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잔량이나 추가인출이 발생되지 않게 정확한 정량으로 계량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인출할 경우에는 계량된 정량이 인출됨과 동시에 자동으로 정량이 수용부에 재저장되어 항상 반복적인 정량인출이 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할 때 맛을 내기 위하여 투입되는 액상의 첨가물을 양에 따라서 맛이 달라지게 되기 때문에 그 액상을 정량으로 첨가하여 맛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몸이 아플 때에는 조제되는 약을 먹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조제약은 알약이나 가루약이 하나씩 포장되어 복용되지만 액상으로 된 약은 직접 병에서 정량컵에 별도로 따라서 먹게 된다.
그러나 음식을 조리할 때나 약을 먹을 때 액상의 내용물을 정확한 정량으로 인출하는 것이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 내용물의 정량인출을 위한 방법으로 대부분 용기가 직립된 상태에서 뒤집어서 사용하는 정량용기가 제공되었고, 이러한 정량용기는 내용물을 배출 용기의 배출구 내부에 일회 배출분량 크기의 하우징을 구성하고 하우징 내에 내용물에 뜨는 볼을 내장하여 상기 하우징과 볼에 의해 하우징 내의 내용물이 배출된 후에는 볼이 배출구를 막아서 항상 일정량의 내용물을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볼을 내장하게 됨으로 제작에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볼의 사용은 실질적으로 인간이 먹게되는 내용물에서는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함체의 하부에 정량수용부를 형성하고 그 용기몸체의 개구부에는 별도의 용기마개를 결합하고, 용기마개의 하측으로 용기마개의 토출구와 연결된 스트로우 및 그 스트로우의 하단에 형성된 확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정량수용부에 채워진 내용물만이 스트로우를 통해 용기 외부로 인출하 수 있게 함으로써, 정량수용부 내에 담겨진 양의 내용물만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항상 동일한 양으로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고 용기를 바로 세우기만 하면 정량수용부의 내측으로 자동으로 내용물이 흘러들어가 채워지면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조작이나 작동 없이도 연속 반복적인 인출 사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인출이 하부에서 저장되었다가 인출됨으로써 인출계량이 불가능하고 또한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실질적인 사용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8507호에 따르면, 간단하게 조립되면서 용기를 완전히 뒤집는 동작을 반복해서 내용물이 계량된 정확한 양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하부체와 상부체로 이루어진 용기의 내부에 승강되는 승강체를 구비하여 용기를 뒤집으면 승강체의 승강에 의하여 상부체에 용액이 계량되고 계량된 용액을 인출시에는 용기 내에 잔존하는 용액이 동시에 인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인출되는 계량된 용액 외에 일부 잔량이 저장부에 잔존하게 되면서 용기 외부로 저장된 남겨진 잔량이 새는 문제가 있어 용기를 제조할 때 기밀을 위한 제조공정이 추가됨에 따라 제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승강체의 작동을 위해서는 용기를 180°로 완전히 뒤집어여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였고, 승강체가 걸림에 의해 오작동이 되지 않도록 정확한 승강작동을 위해 제조시에 정밀함이 요구됨으로써 제조가 어렵고, 승강체의 승강작동에 따라서 계량된 용액 이외의 추가인출이 발생되면서 용액 인출이 일정치 않는 문제가 있고, 승강체의 승강을 위한 결합구조에 의해서도 기밀성이 떨어지면서 승강되는 틈새로 미세량이 유입되면서 액상의 내용물을 정확한 계량으로 인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6-0058507 (2016.05.25)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간소화된 부품으로 간단하게 조립되면서 제조가 용이하고, 용기를 따를 수 있는 기울기(약 90°~100°)만으로 용액의 저장과 인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계량되고 남는 나머지 잔량은 다시 용기 내부로 저장되도록 하여 용액이 정확하게 계량된 상태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기의 상단에 뚜껑이 개폐되는 캡을 결합하고 상기 캡의 내측에 정량저장부가 형성된 인출관과 상기 인출관 외주면으로 유입공간부를 형성한 정량저장인출챔버를 장착하고, 상기 인출관에는 유입공간부와 연결된 용액유입구를 형성하여 용액이 정량저장부로 이동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정량저장부에 저장되고 남은 잔량은 용기 내부로 다시 배출되도록 유입공간부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정량저장부에 저장된 용액을 인출관을 통해 인출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이 간소화되고 간단한 조립구조로 이루어져 제조의 용이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용기를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임만으로 용액의 인출과 저장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계량된 용액 외에는 잔량이나 정량 이상의 추가인출이 발생되지 않고 정확하게 계량된 양으로만 용액을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량용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정량용기에 용액이 담겨진 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상부캡에 정량저장인출챔버가 결합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용액의 인출과정을 나타낸 단계도.
도6은 본 발명의 용액을 저장을 위해 용기의 뒤집어진 상태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용액이 계량으로 저장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용액이 인출되면서 다시 저장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인출 후 상부캡에 흘러진 용액을 재저장하는 구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10은 도9의 용액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상면이 경사로 이루어진 상부캡의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조를 용이토록 하는 정량저장인출챔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정량용기의 기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용액을 저장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단으로 인출구(210)가 형성된 상부캡(200)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캡(200)의 내측에 용액을 저장하도록 하단에 정량저장부(320)를 형성한 일정길이로 형성된 인출관(310)과 상기 인출관(310)의 외주면으로 용기(100) 내에 저장된 용액을 이동시켜 정량저장부(320)에 정량으로 계량하기 위한 유입공간부(330)가 형성된 정량저장인출챔버(300)가 결합되고 상기 정량저장인출챔버(300)가 결합된 상부캡(200)에는 정량저장부(320)에 있는 용액만을 인출하도록 개폐되는 뚜껑(400)으로 형성되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상부캡(200)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정량저장인출챔버(300)가 결합은 상기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유입공간부(330)로 용기(100)에 저장된 용액이 이동될 수 있도록 유입공간부(330)의 측면과 상단이 상부캡(200)의 내벽과 저면에 완전히 닿지 않게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공간부(330)의 직경을 상부캡(200)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유입공간부(330)의 높이를 상부캡(200)의 저면보다 낮게 형성하여 상기 상부캡(200)의 내벽과 유입공간부(330)의 외벽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면서 용기(100)를 뒤집으면 상기 유로를 통해 용액이 유입공간부(330)의 내부로 이동되고 용기(100)를 다시 정위치로 놓으면 유입공간부(330)에 저장된 용액이 인출관(310)에 형성된 정량저장부(320)로 저장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정량저장부(320)로 정량의 용액만 저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공간부(330)의 위치는 정량저장부(320)의 상단 부분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유입공간부(330)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인출관(310)의 어느 일측에 용액유입구(311)를 형성하여 상기 용액유입구(311)를 통해 정량저장부(320)에 용액이 저장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정량저장부(320)에 저장되고 남는 잔량은 유입공간부(33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공(331)을 통해 다시 용기(100) 내부로 배수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공(331)은 용액유입구(311)를 통해 정량저장부(320)로 용액이 저장되는 속도를 감안하여 너무 빠르게 배수되지 않는 구멍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용기를 일정한 기울기(약 90°~100°정도)로 기울였다가 정위치로 놓게 되면 용기에 저장된 용액이 인출관(310)을 통해 인출됨과 동시에 유입공간부(330)에 채워지면서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정량저장부(320)에 저장되고 나머지 잔량은 배수공(331)을 통해 배수됨으로써 계량된 용액만 인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캡(200)에 정량저장인출챔버(30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부캡(200)의 인출구(210)는 저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관(220)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관(2220)에 밀착되도록 돌출관(22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인출관(310)을 관통되게 끼임시켜 상단으로 돌출되게 결합하여 돌출된 상기 인출관(310)을 통해 정량저장부(320)에 계량된 용액의 따름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부캡(200)에 정량저장인출챔버(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캡(200)의 돌출관(220) 내벽면에는 결합홈테(221)를 형성하고,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인출관(310) 외벽면에는 상기 결합홈테(221)에 결합되는 결합돌기테(312)를 형성하여 용액 인출을 위해 뒤집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여도 정량저장인출챔버(300)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캡(200)의 상면 테두리에는 뚜껑(400)의 조임홈(410)에 의해 조임결합되도록 상향으로 돌출된 결합돌부(230)를 형성하여 상부캡(200)의 상면에 저장공간(231)을 형성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저장공간(231)은 용기(100)를 기울여 인출관(310)을 통해 정량저장부(320)에 저장된 용액을 인출하고 난 후에 맺힘이 발생이 되며, 이러한 맺힘된 용액 일부가 인출관(310)의 외벽을 타고 흐르면서 상부캡(200)의 상면에 고임되면서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게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231)에 고여진 용액을 다시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정량저장부(320)로 저장할 수 있도록 인출관(310)의 상단 부분에 절개부(340)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340)로 인출 후에 고여진 용액을 다시 정량저장부(320)로 저장함으로써 용액의 손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부캡(200)의 상면이 더러워지거나 말라서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캡(200)의 저장공간(240)을 형성하는 상면은 인출관(310)의 절개부(340)로 고여진 용액이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량저장인출챔버(300)를 제조할 경우에 유입공간부(330)에 채워지는 용액이 인출관(310)의 정량저장부(320)에 유입되도록 형성된 용액유입구(311)와 상기 정량저장부(320)에 저장된 용액을 인출할 때 용액이 인출관(310)을 타고 흘림되어 상부캡(200)의 저장공간(231)에 고여지는 용액을 다시 정량저장부(320)에 저장하도록 형성된 절개부(340)를 동일선상으로 하나로 연결되게 형성함으로써 정량저장인출챔버(300)를 제조시에 금형의 빠짐을 용이토록 하여 제조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400)을 상부캡(200)의 결합돌부(230)에 조임결합할 경우에 뚜껑(400)의 결합홈(410)에는 패킹(P)을 장착하여 기밀을 유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캡(200)의 하단 테두리에는 용기(100)의 상단테두리에 조임결합을 위한 조임홈부(240)를 형성하고, 상기 조임홈부(240)의 내측에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P)을 장착하여 기밀을 유지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뚜껑(400)이 상부캡(200)에 조임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뚜껑(400)의 결합이 본 발명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뚜껑(400)이 상부캡(200)에 절첩구조로 형성되어도 동일한 목적을 갖는 것이다.
100: 용기
200: 상부캡 210: 인출구
220: 돌출관 221: 결합홈테
230: 결합돌부 231: 저장공간
240: 조임홈부
300: 정량저장인출챔버 310: 인출관
311: 용액유입구 312: 결합돌기테
320: 정량저장부
330: 유입공간부 331: 배수공
340: 절개부
400: 뚜껑 410: 결합홈
P: 패킹

Claims (9)

  1. 용액을 저장하는 용기(100)와,
    상기 용기(100)의 상단으로 인출구(210)가 형성된 상부캡(200)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캡(200)의 내측에 용액을 저장하도록 하단에 정량저장부(320)를 형성한 일정길이로 형성된 인출관(310)과 상기 인출관(310)의 외주면으로 용기(100) 내에 저장된 용액을 이동시켜 정량저장부(320)에 정량으로 계량하기 위한 유입공간부(330)가 형성된 정량저장인출챔버(300)가 결합되고,
    상기 정량저장인출챔버(300)가 결합된 상부캡(200)에는 정량저장부(320)에 있는 용액만을 인출하도록 개폐하는 뚜껑(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인출관(310)에는 유입공간부(330)에 저장된 용액이 정량저장부(320)로 유입되도록 용액유입구(3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간부(330)의 바닥면에는 정량저장부(320)에 저장되고 남은 잔량이 다시 용기(100) 내부로 저장되도록 복수의 배수공(3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200)에 정량저장인출챔버(30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부캡(200)의 인출구(210)는 저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관(220)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관(220)에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인출관(310)이 관통되게 끼임되어 상단으로 돌출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200)의 돌출관(220) 내벽면에는 결합홈테(221)가 형성되고,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인출관(310) 외벽면에는 상기 결합홈테(221)에 결합되는 결합돌기테(3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200)의 상면 테두리에는 뚜껑(400)의 조임홈(410)에 의해 조임결합되도록 상향으로 돌출된 결합테(23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200)의 상면에는 결합테(230)에 의하여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인출관(310)을 통해 용액을 인출하면서 흘려지는 일부 용액이 저장되는 저장공간(231)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공간(231)에 저장된 용액이 다시 정량저장인출챔버(300)의 정량저장부(3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인출관(310)의 상단에 절개부(34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200)의 저장공간(240)을 형성하는 상면은 흘려진 용액이 인출관(310)의 절개부(340)로 자동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0)의 조임홈(410)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P)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용액유입구와 동일선상으로 하나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정량저장인출챔버를 제조시에 금형의 빠짐이 용이토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200)의 하단 테두리에는 용기(100)의 상단테두리에 조임결합을 위한 조임홈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조임홈부(240)의 내측에는 기밀유지를 위한 패킹(P)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KR1020170103656A 2017-08-16 2017-08-16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KR101989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56A KR101989618B1 (ko) 2017-08-16 2017-08-16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656A KR101989618B1 (ko) 2017-08-16 2017-08-16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915A true KR20190018915A (ko) 2019-02-26
KR101989618B1 KR101989618B1 (ko) 2019-06-17

Family

ID=6556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656A KR101989618B1 (ko) 2017-08-16 2017-08-16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885B1 (ko) * 2019-07-08 2021-07-06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54U (ja) * 1993-10-29 1995-05-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定量注出キャップ
KR101467198B1 (ko) * 2013-05-24 2014-12-01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60058507A (ko) 2014-11-17 2016-05-25 (주)아이디플라텍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54U (ja) * 1993-10-29 1995-05-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定量注出キャップ
KR101467198B1 (ko) * 2013-05-24 2014-12-01 (주)연우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160058507A (ko) 2014-11-17 2016-05-25 (주)아이디플라텍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618B1 (ko) 201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8029B2 (en) Container lid having measuring function
KR101587785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JP6496655B2 (ja) 計量注出塗布容器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5660350B2 (ja) 液体を定量注ぎ出すことのできる容器及びアセンブリ
KR101989618B1 (ko)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EP2537775B1 (en) Recipient with sliding lid and vacuum top
KR20170023373A (ko) 액체 정량기
KR200386903Y1 (ko) 투약용 소분 계량용기
JP2006151461A (ja) 定量吐出容器
KR200398033Y1 (ko) 정량 배출 용기
US2735592A (en) stanger
KR20160058507A (ko)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KR101687918B1 (ko) 정량기
JP2007069947A (ja) 計量容器
KR20070077423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140115554A (ko) 정량토출 용기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JP7393906B2 (ja) 液体計量具
US1270305A (en) Bottle.
KR200488752Y1 (ko) 액체용기의 정량배출뚜껑
KR102272885B1 (ko)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KR20170021170A (ko) 액체 정량기
KR20240040381A (ko) 액상용기에 결합되는 커버와 계량캡의 밀폐구조
KR200395872Y1 (ko) 투약용 소분 계량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