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554A - 정량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정량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554A
KR20140115554A KR1020130030185A KR20130030185A KR20140115554A KR 20140115554 A KR20140115554 A KR 20140115554A KR 1020130030185 A KR1020130030185 A KR 1020130030185A KR 20130030185 A KR20130030185 A KR 20130030185A KR 20140115554 A KR20140115554 A KR 20140115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discharge port
contents
container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수
Original Assignee
박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수 filed Critical 박지수
Priority to KR1020130030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554A/ko
Publication of KR20140115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44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having a dispensing opening formed in the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closures operating automatically when spout is immersed in discharg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글액이나 액상의 약물시럽과 같이 정량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용액이 눈금이나 저울 등이 사용되지 않고도 자동으로 정량 토출 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용액이 차오름에 따라 그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개폐수단에 의해 용액의 정량 조절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정량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는 내부에는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제 1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입구가 개방 형성되며 하단에는 덮개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입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중앙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서 토출 된 상기 내용물이 2차 저장되는 제 2 저장공간이 형성된 컵 부재와,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되 그 내측은 중공되고 양단은 개방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토출구와 연통 되도록 상기 토출구 하측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덮개 측에 근접 위치되어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제 2 저장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빨대부재와,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되 외주연은 상기 제 1 저장공간의 내벽에 밀착되고 중앙에는 상기 빨대부재가 밀착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빨대부재를 통해 제 2 저장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와, 상기 토출구를 중심으로 상기 제 2 저장공간 및 빨대부재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저장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내용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밀폐시켜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제 2 저장공간 측으로 정량 토출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량토출 용기{CONSTANT LIQUID DELIVERY CONTAINER}
본 발명은 정량토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글액이나 액상의 약물시럽과 같이 정량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용액이 눈금이나 저울 등이 사용되지 않고도 자동으로 정량 토출 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용액이 차오름에 따라 그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개폐수단에 의해 용액의 정량 조절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정량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글액이나 액상으로 된 약물시럽 등은 사용시 저장된 용기로부터 정량을 덜어내어 사용하게 된다. 이때 용기에는 덮개로 사용되는 소형 컵이 구비되어 있고 그 외주연에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필요한 용량만큼 용기로부터 덜어내어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별도의 소형 컵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눈으로 눈금을 확인하면서 덜어내야 하는 만큼 필요한 정량을 덜어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힘 조절을 잘못해서 용기 내에서 정량 이상의 용액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덮개로 사용되는 소형 컵의 경우 사용 후 용기 측에 결합해 두었다가 재사용해야 하는바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사용 후 매번 세척을 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글액이나 액상의 약물시럽과 같이 정량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용액이 눈금이나 저울 등이 사용되지 않고도 자동으로 정량 토출 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용액이 차오름에 따라 그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개폐수단에 의해 용액의 정량 조절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정량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는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제 1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입구가 개방 형성되며 하단에는 덮개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입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중앙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서 토출 된 상기 내용물이 2차 저장되는 제 2 저장공간이 형성된 컵 부재와,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되 그 내측은 중공되고 양단은 개방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토출구와 연통 되도록 상기 토출구 하측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덮개 측에 근접 위치되어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제 2 저장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빨대부재와,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되 외주연은 상기 제 1 저장공간의 내벽에 밀착되고 중앙에는 상기 빨대부재가 밀착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빨대부재를 통해 제 2 저장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와, 상기 토출구를 중심으로 상기 제 2 저장공간 및 빨대부재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저장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내용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밀폐시켜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제 2 저장공간 측으로 정량 토출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용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용기본체의 상부 일측에는 통풍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덮개는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과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되, 상기 덮개 및 용기본체의 하단 측에는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이 개재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토출구는 상기 개폐수단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인, 출입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개폐수단은 상기 토출구 하측에 위치되되 하측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선형의 밸브부재와 상기 제 2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되 하측은 상기 밸브부재의 상측과 나사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 2 저장공간 내로 이동되는 상기 내용물에 의해 떠오르거나 가라앉아 상기 밸브부재에 의한 상기 토출구의 밀폐가 결정되도록 하는 부구부재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밸브부재와 부구부재는 상호 나사결합에 의한 길이조절에 따라 상기 제 2 저장공간 내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용량이 제어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는 첫째, 가글액이나 액상의 약물시럽과 같이 정량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용액이 눈금이나 저울 등이 사용되지 않고도 자동으로 정량 토출 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둘째, 용액이 차오름에 따라 그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개폐수단에 의해 용액의 정량 조절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의 개폐수단에 대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의 개폐수단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1)는 내부에는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제 1 저장공간(1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입구(12)가 개방 형성되며 하단에는 덮개(1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입구(12)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중앙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토출구(22)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22)의 상측에는 상기 토출구(22)를 통해서 토출 된 상기 내용물이 2차 저장되는 제 2 저장공간(21)이 형성된 컵 부재(20)와, 상기 제 1 저장공간(11) 내에 위치되되 그 내측은 중공되고 양단은 개방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토출구(22)와 연통 되도록 상기 토출구(22) 하측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덮개(13) 측에 근접 위치되어 상기 제 1 저장공간(11)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제 2 저장공간(21) 측으로 이동되는 빨대부재(30)와, 상기 제 1 저장공간(11) 내에 위치되되 외주연은 상기 제 1 저장공간(11)의 내벽에 밀착되고 중앙에는 상기 빨대부재(30)가 밀착 관통되는 관통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저장공간(11)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빨대부재(30)를 통해 제 2 저장공간(21)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40)와, 상기 토출구(22)를 중심으로 상기 제 2 저장공간(21) 및 빨대부재(30)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가압부재(40)에 의해 상기 제 2 저장공간(21)으로 이동되는 상기 내용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토출구(22)를 선택적으로 밀폐시켜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제 2 저장공간(21) 측으로 정량 토출되도록 하는 개폐수단(50)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용기본체(10)는 내용물이 1차로 저장됨과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사용가능하게 장착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제 1 저장공간(1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입구(12)가 개방 형성되며 하단에는 덮개(1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용기본체(10)는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의 사용 정도가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입구(12)에는 추후에 설명될 컵 부재(20)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전술한 용기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통풍구(15)가 관통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될 가압부재(40)가 용이하게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덮개(13)는 용기본체(10)의 하단과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되, 덮개(13) 및 용기본체(10)의 하단 측에는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14)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입구(12) 측에는 컵 부재(20)가 나사결합되는데, 이 컵 부재(20)는 제 2 저장공간(21)이 형성되어 있어 이 제 2 저장공간(21) 내에 전술한 제 1 저장공간(11) 내의 내용물이 정량만큼 토출 되어 2차로 저장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컵 부재(20)는 용기본체(10)의 입구(12)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중앙에는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토출구(22)가 형성되고 토출구(22)의 상측에는 토출구(22)를 통해서 토출 된 내용물이 2차 저장되는 제 2 저장공간(2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컵 부재(20)는 전술한 용기본체(1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변경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저장공간(21)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별도의 마개(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토출구(22)는 개폐수단(50)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인, 출입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컵 부재(20) 측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 제 2 저장공간(21)이 밀폐될 수 있는 별도의 뚜껑(23)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 1 저장공간(11) 내에는 빨대부재(30)가 위치되는데, 이 빨대부재(30)는 제 1 저장공간(11)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제 2 저장공간(21)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내측은 중공되고 양단은 개방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토출구(22)와 연통 되도록 토출구(22) 하측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은 덮개(13) 측에 근접 위치된다. 이때 전술한 빨대부재(30)의 하단은 제 1 저장공간(11)의 저면에 최대한 근접 위치되도록 하되 내용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의 일측이 상향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빨대부재(30)가 위치된 제 1 저장공간(11) 내에는 가압부재(40)가 더 구비되는데 이 가압부재(40)는 제 1 저장공간(11)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가압하여 빨대부재(30)를 통해 제 2 저장공간(21)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압부재(40)는 그 외주연이 제 1 저장공간(11)의 내벽에 밀착되고 중앙에는 빨대부재(30)가 밀착 관통되는 관통공(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가압부재(40)가 저장공간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 내용물이 빨대부재(30)를 통해 제 2 저장공간(21) 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압부재(40)는 제 1 저장공간(11) 내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점도에 따라 다양한 무게의 가압부재(40)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토출구(22) 측에는 개폐수단(50)이 구비되는데 이 개폐수단(50)은 가압부재(40)에 의해 상기 제 2 저장공간(21)으로 이동되는 상기 내용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토출구(22)를 선택적으로 밀폐시켜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제 2 저장공간(21) 측으로 정량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한 토출구(22)를 중심으로 제 2 저장공간(21) 및 빨대부재(30)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이와 같은 개폐수단(50)은 전술한 토출구(22) 하측에 위치되되 하측은 토출구(2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나사산(52)이 형성되는 선형의 밸브부재(51)와 제 2 저장공간(21) 내에 위치되되 하측은 밸브부재(51)의 상측과 나사결합되고 상부에는 제 2 저장공간(21) 내로 이동되는 내용물에 의해 떠오르거나 가라앉아 밸브부재(51)에 의한 토출구(22)의 밀폐가 결정되도록 하는 부구부재(53)가 포함된다.
따라서 전술한 빨대부재(30)를 통해 제 1 저장공간(11)에서 제 2 저장공간(21)으로 내용물이 이동되지 시작하면 점차적으로 부구배재가 떠올라 상승하게 되고 제 2 저장공간(21) 내에 내용물이 정량 채워지면 밸브부재(51)가 토출구(22)를 폐쇄해 더 이상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밸브부재(51)와 부구부재(53)는 상호 나사결합에 의한 길이조절에 따라 제 2 저장공간(21) 내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용량이 제어된다.
즉 비교적 소량의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할 경우에는 밸브부재(51)와 부구부재(53)의 결합길이가 짧게 되도록 상호 나사결합시키고 비교적 대량의 내용물이 토출되도록 할 경우에는 밸브부재(51)와 부구부재(53)의 결합길이가 길게 되도록 상호 나사결합시킨다. 따라서 나사결합 길이가 짧으면 부구부재(53)가 떠오르는 높이가 비교적 낮을 때 밸브부재(51)에 의해 토출구(22)가 폐쇄되어 소량 토출이 가능하고, 나사길이가 길면 부구부재(53)가 떠오르는 높이가 비교적 높을 때 밸브부재(51)에 의해 토출구(22)가 폐쇄되어 대량 토출이 가능하다.
이하에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토출 용기(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컵 부재(20)의 제 2 저장공간(21) 측으로 부구부재(53)를 삽입하고 그 반대 측으로 밸브부재(51)를 삽입해 토출구(22) 내에서 양측을 나사 결합해 주는데, 이때 나사결합되는 길이는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에 따라 조절된다.
그런 다음 개폐수단(50)이 결합 된 컵 부재(20)의 토출구(22) 하단 측에 빨대부재(30)를 나사결합해 고정하는데, 이때 밸브부재(51)는 빨대부재(30) 내부에 위치된 상태이다.
그런 다음, 개폐수단(50) 및 빨대부재(30)가 결합 된 컵 부재(20)를 용기본체(10)의 입구(12) 측에 나사 결합해 주는데, 이때 빨대부재(30)가 제 1 저장공간(11) 내에 위치된 상태이다.
그런 다음, 용기본체(10)의 덮개(13)를 열고 가압부재(40)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41) 내에 빨대부재(30)가 삽입되도록 가압부재(40)를 제 1 저장공간(11) 내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용기본체(10)를 뒤집어 가압부재(40)가 용기본체(10)의 상부 측으로 이동되도록 한 상태로 제 1 저장공간(11) 내에 내용물을 충전해 1차 저장되도록 하고 덮개(13)를 닫아 밀폐해 준 다음 뒤집힌 용기본체(10)를 되돌려 원위치시킨다.
용기본체(10)가 원위치 된 상태에서 가압부재(40)가 그 자중에 의해서 하강되기 시작하면 이 가압부재(40)에 의해 내용물이 빨대부재(30) 측으로 유입되어 토출구(22)를 통해 제 2 저장공간(21) 내에 2차 저장되며 저장되는 내용물에 의해 부구부재(53)는 점차적으로 떠오르고 부구부재(53)와 연결된 밸브부재(51)가 점차적으로 토출구(22)를 폐쇄하게 된다.
내용물의 정량토출이 완료되면 부력에 의해 떠오른 부구부재(53)와 연결된 밸브부재(51)에 의해서 토출구(22)가 폐쇄되어 더 이상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도록 한다.
사용자가 정량토출된 내용물을 사용하여 부구부재(53)가 다시 제 2 저장공간(21) 저면으로 하강되고 밸부부재에 의해 토출구(22)가 개방되면 다시 가압부재(40)가 하강되면서 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시작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정량토출 용기 10 : 용기본체
11 : 제 1 저장공간 12 : 입구
13 : 덮개 14 : 패킹
15 : 통풍구 20 : 컵 부재
21 : 제 2 저장공간 22 : 토출구
23 : 뚜껑 30 : 빨대부재
40 : 가압부재 41 : 관통공
50 : 개폐수단 51 : 밸브부재
52 : 나사산 53 : 부구부재

Claims (6)

  1. 내부에는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제 1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입구가 개방 형성되며 하단에는 덮개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기본체;
    상기 입구 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중앙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측에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서 토출 된 상기 내용물이 2차 저장되는 제 2 저장공간이 형성된 컵 부재;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되 그 내측은 중공되고 양단은 개방 형성되며 상단은 상기 토출구와 연통 되도록 상기 토출구 하측에 나사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덮개 측에 근접 위치되어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상기 제 2 저장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빨대부재;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되 외주연은 상기 제 1 저장공간의 내벽에 밀착되고 중앙에는 상기 빨대부재가 밀착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저장공간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자중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빨대부재를 통해 제 2 저장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재; 및
    상기 토출구를 중심으로 상기 제 2 저장공간 및 빨대부재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저장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내용물의 부력에 의해 상기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밀폐시켜 상기 내용물이 상기 제 2 저장공간 측으로 정량 토출되도록 하는 개폐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일측에는 통풍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과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되되, 상기 덮개 및 용기본체의 하단 측에는 상기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용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개폐수단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인, 출입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확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용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토출구 하측에 위치되되 하측은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선형의 밸브부재와 상기 제 2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되 하측은 상기 밸브부재의 상측과 나사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 2 저장공간 내로 이동되는 상기 내용물에 의해 떠오르거나 가라앉아 상기 밸브부재에 의한 상기 토출구의 밀폐가 결정되도록 하는 부구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와 부구부재는 상호 나사결합에 의한 길이조절에 따라 상기 제 2 저장공간 내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용량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토출 용기.
KR1020130030185A 2013-03-21 2013-03-21 정량토출 용기 KR20140115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185A KR20140115554A (ko) 2013-03-21 2013-03-21 정량토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185A KR20140115554A (ko) 2013-03-21 2013-03-21 정량토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554A true KR20140115554A (ko) 2014-10-01

Family

ID=5198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185A KR20140115554A (ko) 2013-03-21 2013-03-21 정량토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55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159B1 (ko) 2020-12-10 2021-09-09 주식회사 이노트 물약 정량토출 용기
KR20230161027A (ko) 2022-05-18 2023-11-27 윤석민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159B1 (ko) 2020-12-10 2021-09-09 주식회사 이노트 물약 정량토출 용기
KR20230161027A (ko) 2022-05-18 2023-11-27 윤석민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8029B2 (en) Container lid having measuring function
NL2007421C2 (nl) Houder voor een vloeistof.
KR10161995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140115554A (ko) 정량토출 용기
EP2879975A1 (en) Dry goods portion control container
US20200216233A1 (en) Container cap including two-way duckbill valve
RU2629099C2 (ru) Емкость
JP2016094203A (ja) 計量キャップ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KR20160058507A (ko)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KR101989618B1 (ko)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KR101271169B1 (ko) 액제용 용기
WO2021178641A1 (en) Fluid dispensing system
KR102128280B1 (ko) 액상형 양념 토출장치
KR101151356B1 (ko) 정량 캡
KR20150001759U (ko) 화장품 용기
ES1237594U (es) Dosificador de líquidos adaptable a envases procesados
EP0701108A1 (en) A metering device
US1270305A (en) Bottle.
ES2698200A1 (es) Dosificador de líquidos adaptable a envases procesados y a otros
KR102272885B1 (ko)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JP7261382B2 (ja) 液体計量装置および液体計量装置付き容器
US1949648A (en) Measure-dispensing coffee container
KR20190121495A (ko) 압력 개폐식 정량캡
KR101241053B1 (ko) 계량기능이 있는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