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159B1 - 물약 정량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물약 정량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159B1
KR102299159B1 KR1020200172679A KR20200172679A KR102299159B1 KR 102299159 B1 KR102299159 B1 KR 102299159B1 KR 1020200172679 A KR1020200172679 A KR 1020200172679A KR 20200172679 A KR20200172679 A KR 20200172679A KR 102299159 B1 KR102299159 B1 KR 102299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upper storage
liquid content
container body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예린
김주영
조채은
황현욱
백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트
Priority to KR102020017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18Threaded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2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with means for metering the amount of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2Compounding apparatus specially for enteral or parenteral nutritive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46Cups, bottles or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용기본체를 가압하는 방법으로 하측 저장공간 내의 액상 내용물이 상측 저장공간 내로 정량 토출될 수 있어 그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물약이 쏟아지거나 새어나오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자연에서 분해 가능한 합성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됨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물약의 정량토출 과정이 직접 관찰될 수 있어 유아나 어린이들의 흥미가 유발될 수 있음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어려움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한 물약 정량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약 정량토출 용기는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캡이 구비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이 액상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하측 저장공간과 액상 내용물이 2차 저장되는 상측 저장공간으로 구획되게 하는 격벽부재와, 튜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재 상에 관통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하측 저장공간 내에, 타단은 상기 상측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상기 하측 저장공간 내의 액상 내용물이 상기 상측 저장공간 내로 유동되게 하는 유동관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약 정량토출 용기{QUANTITATIVE DISPENSING CONTAINER FOR LIQUID MEDICINE}
개시된 내용은 물약과 같은 액상 내용물의 사용을 위해 저장 및 보관되는 용기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감기약과 같은 물약은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에 저장되어 유통 및 판매되며, 이 물약을 처방받아 구매한 사용자는 용기에 표시된 눈금이나 별도의 용기를 이용해 물약을 정량씩 덜어내어 복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물약 용기는 그 양을 정밀하게 맞추지 못할 경우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약이 토출되거나 쏟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많은 양의 물약이 저장된 용기 외에 소량씩 물약을 덜어내어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용기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물약 용기는 자연에서 분해되는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어 친환경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었고, 뚜껑을 잘못 닫은 상태로 보관 및 휴대할 경우 물약이 새어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약을 먹기 싫어하는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물약 용기만 봐도 약을 먹으려 하지 않는 어려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115554호(2014.10.01)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0109166호(2009.10.20) 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0-0012540호(2010.12.17)
하나의 용기 내에서 간단한 방법으로 물약이 정량 토출될 수 있고, 자연에서 분해 가능한 합성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되며, 물약의 정량토출 과정에서 유아나 어린이들의 흥미가 유발될 수 있는 물약 정량토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캡이 구비되는 용기본체와,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이 액상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하측 저장공간과 액상 내용물이 2차 저장되는 상측 저장공간으로 구획되게 하는 격벽부재와, 튜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재 상에 관통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하측 저장공간 내에, 타단은 상기 상측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상기 하측 저장공간 내의 액상 내용물이 상기 상측 저장공간 내로 유동되게 하는 유동관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약 정량토출 용기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 상기 격벽부재에는 상측 저장공간으로 유동된 액상 내용물이 하측 저장공간 내로 회수될 수 있는 가압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상측 저장공간 내의 액상 내용물이 상기 가압밸브 측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상기 가압밸브를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물약 정량토출 용기에 의하면 용기본체를 가압하는 방법으로 하측 저장공간 내의 액상 내용물이 상측 저장공간 내로 정량 토출될 수 있어 그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물약이 쏟아지거나 새어나오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자연에서 분해 가능한 합성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됨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물약의 정량토출 과정이 직접 관찰될 수 있어 유아나 어린이들의 흥미가 유발될 수 있음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어려움이 개선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약 정량토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약 정량토출 용기의 작동도.
도 3a 내지 도 3c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약 정량토출 용기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c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작동도이며, 도3a 내지 도 3c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물약 정량토출 용기(1)의 구성부재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0)가 구비된다. 이 용기본체(10)는 물약과 같은 액상 내용물이 저장되고,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사용 가능하게 구비되는 역할을 하는데, 그 내부에 저장공간(1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캡(12)이 구비된다.
이러한 용기본체(10)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압력이 가해진 후에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으며, 자연상태에서 분해 가능하도록 탄성복원력을 갖는 친환경 합성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다. 또한 용기본체(10)는 끓는 물에 소독하여 재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용기본체(10)에서, 추후에 설명될 상측 저장공간(112)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눈금(13)이 표시된다. 이 눈금(13)은 하측 저장공간(111)에서 상측 저장공간(112)으로 유동되는 액상 내용물의 양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용기본체(10)를 가압하는 힘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1회 가압시 유동되는 액상 내용물의 양이 상이하므로 눈금(13)을 이용해 1회 복용량에 해당되는 정량을 상측 저장공간(112)으로 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용기본체(10)는 액상 내용물의 유동량과 유동과정이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제조되는데, 이는 1회 복용량이 정량 토출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정량토출 과정을 유아나 어린이들이 직접 관찰할 수 있어 흥미가 유발될 수 있음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어려움이 개선될 수 있게 된다.
개시된 내용에서는 저장공간(11) 내에 저장되는 액상 내용물이 물약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물약 외에도 정량 토출 목적을 갖는 염색약제, 액상세제 등이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저장공간(11) 내에는 격벽부재(20)가 구비된다. 이 격벽부재(20)는 저장공간(11)을 액상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하측 저장공간(111)과 액상 내용물이 2차 저장되는 상측 저장공간(112)으로 구획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격벽부재(20)는 저장공간(11) 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며 액상 내용물이 임의로 유동되지 않고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그 가장자리는 용기본체(10) 내주연에 수밀하게 고정된다. 또한 격벽부재(20)는 추후에 설명될 가압밸브(21)의 작동을 위해 유연한 재질의 합성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다.
한편, 전술한 격벽부재(20)에는 가압밸브(21)가 더 구비된다. 이 가압밸브(21)는 상측 저장공간(112) 내로 유동된 액상 내용물이 정량보다 많이 유동되었거나, 또는 유동된 액상 내용물을 복용하지 않게 될 경우 이를 다시 하측 저장공간(111)으로 회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용기본체(10)가 재사용 될 때 상측 저장공간(112) 내로 공급된 액상 내용물을 하측 저장공간(111)으로 유동시켜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러한 가압밸브(21)는 평판의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한 개 이상의 절개선(2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개선(211) 방향으로 격벽부재(20) 측에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절개선(211)이 개폐되어 상측 저장공간(112) 내로 유동 된 액상 내용물이 하측 저장공간(111) 내로 회수될 수 있게 된다. 개시된 내용에서는 가압밸브(21)를 통해서 상측 저장공간(112) 내의 액상 내용물이 하측 저장공간(111) 내로 회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격벽부재(20) 가장자리에 구비되며 그 단부를 용기본체(10) 외부에서 잡아당겨 개폐할 수 있는 계폐부재와 같은 다양한 구조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격벽부재(20)는 상측 저장공간(112) 내의 액상 내용물이 가압밸브(21) 측으로 용이하게 모여질 수 있도록 가압밸브(21)를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는 상측 저장공간(112) 내에 액상 내용물이 일정량 이상 저장된 경우에는 개방된 가압밸브(21)를 통해 액상 내용물이 하측 저장공간(111) 측으로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지만, 그 양이 미량인 경우 용기본체(10)를 가압밸브(21) 측으로 기울여야 미량의 액상 내용물이 하측 저장공간(111)으로 회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깔대기와 같이 가압밸브(21)를 중심으로 격벽부재(20)가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미량의 액상 내용물도 하측 저장공간(111)으로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격벽부재(20) 상에는 유동관로(30)가 관통 위치된다. 이 유동관로(30)는 용기본체(10)에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하측 저장공간(111) 내의 액상 내용물이 상기 상측 저장공간(112) 내로 유동되게 하는 유동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관로(30)는 빨대와 같은 튜브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부재(20) 상에 관통 위치되되 일단은 하측 저장공간(111) 내에, 타단은 상측 저장공간(112) 내에 위치되는데, 하측 저장공간(111) 내에 위치되는 일단은 용기본체(10) 저면에 근접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유동관로(30)는 격벽부재(20) 측에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로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물약 정량토출 용기(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물약을 복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용기본체(10) 중에서 하측 저장공간(111) 부분을 파지한 뒤 가압하여 하측 저장공간(111) 내의 물약이 유동관로(30)를 통해 상측 저장공간(112)으로 서서히 유동되게 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측 저장공간(112) 측에 표시된 눈금(13)을 확인하여 1회 복용량에 맞는 정량이 토출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상측 저장공간(112)으로 정량 이상의 물약이 유동된 경우 사용자는 격벽부재(20)가 위치된 용기본체(10) 측을 가압밸브(21)의 절개선(211)과 동일방향으로 가압해준다. 압력이 가해진 가압밸브(21)는 절개선(211)을 중심으로 개방되어 상측 저장공간(112) 내의 물약이 하측 저장공간(111)으로 회수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측 저장공간(112) 측에 표시된 눈금(13)을 확인하여 1회 복용량에 맞는 물약이 상측 저장공간(112) 내에 남아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c를 참조하면, 상측 저장공간(112) 내에 정량 토출된 물약을 덜어내어 복용한다. 이때 캡(12)은 하측 저장공간(111) 내에 위치된 물약이 상측 저장공간(112)으로 유동되게 할 때 개방할 수도 있고, 상측 저장공간(112) 내에 정량 토출된 물약을 복용할 때 개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물약 정량토출 용기에 의하면 용기본체를 가압하는 방법으로 하측 저장공간 내의 액상 내용물이 상측 저장공간 내로 정량 토출될 수 있어 그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물약이 쏟아지거나 새어나오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고, 자연에서 분해 가능한 합성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됨에 따라 친환경적이며, 물약의 정량토출 과정이 직접 관찰될 수 있어 유아나 어린이들의 흥미가 유발될 수 있음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어려움이 개선될 수 있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물약 정량토출 용기
10 : 용기본체
11 : 저장공간
111 : 하측 저장공간
112 : 상측 저장공간
12 : 캡
13 : 눈금
20 : 격벽부재
21 : 가압밸브
211 : 절개선
30 : 유동관로

Claims (5)

  1.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캡이 구비되는 용기본체;
    상기 저장공간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이 액상 내용물이 1차 저장되는 하측 저장공간과 액상 내용물이 2차 저장되는 상측 저장공간으로 구획되게 하는 격벽부재; 및
    튜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재 상에 관통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하측 저장공간 내에, 타단은 상기 상측 저장공간 내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상기 하측 저장공간 내의 액상 내용물이 상기 상측 저장공간 내로 유동되게 하는 유동관로;가 포함되고,
    상기 격벽부재에는 가압밸브가 구비되되, 상기 가압밸브는 평판의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한 개 이상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선 방향으로 상기 격벽부재 측에 가해지는 압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절개선이 개폐되어 상기 유동관로를 통해 상기 상측 저장공간 내로 유동 된 액상 내용물이 상기 하측 저장공간 내로 회수되게 하며,
    상기 격벽부재는 상기 상측 저장공간 내의 액상 내용물이 상기 가압밸브 측으로 모여질 수 있도록 상기 가압밸브를 중심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약 정량토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친환경 합성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약 정량토출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저장공간에 해당되는 상기 용기본체 측에는 상기 유동관로를 통해 상기 상측 저장공간 내로 유동되는 액상 내용물의 양이 측정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약 정량토출 용기.
  4. 삭제
  5. 삭제
KR1020200172679A 2020-12-10 2020-12-10 물약 정량토출 용기 KR102299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79A KR102299159B1 (ko) 2020-12-10 2020-12-10 물약 정량토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2679A KR102299159B1 (ko) 2020-12-10 2020-12-10 물약 정량토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159B1 true KR102299159B1 (ko) 2021-09-09

Family

ID=7777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679A KR102299159B1 (ko) 2020-12-10 2020-12-10 물약 정량토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1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144U (ko) * 1997-05-12 1998-12-05 한규정 정량인출이 가능한 액상용기
KR20090109166A (ko) 2008-04-15 2009-10-20 최보경 표시(처방)된 용량의 물약 또는 내용물을 정확히 계량하여사용할 수 있는 용기 또는 물약용기
KR20100005468U (ko) * 2008-11-19 2010-05-27 (주)연우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구조
KR20100012540U (ko) 2009-06-09 2010-12-17 박철홍 정량물약병
KR20140115554A (ko) 2013-03-21 2014-10-01 박지수 정량토출 용기
KR101621756B1 (ko) * 2014-08-08 2016-05-17 박현수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KR101794054B1 (ko) * 2015-12-23 2017-11-07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정량 토출용 캡이 구비된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144U (ko) * 1997-05-12 1998-12-05 한규정 정량인출이 가능한 액상용기
KR20090109166A (ko) 2008-04-15 2009-10-20 최보경 표시(처방)된 용량의 물약 또는 내용물을 정확히 계량하여사용할 수 있는 용기 또는 물약용기
KR20100005468U (ko) * 2008-11-19 2010-05-27 (주)연우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공기유입 차단구조
KR20100012540U (ko) 2009-06-09 2010-12-17 박철홍 정량물약병
KR20140115554A (ko) 2013-03-21 2014-10-01 박지수 정량토출 용기
KR101621756B1 (ko) * 2014-08-08 2016-05-17 박현수 내용물 정량 통과용 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통과 장치
KR101794054B1 (ko) * 2015-12-23 2017-11-07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정량 토출용 캡이 구비된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9767B1 (en) Multi-compartment roll-up container
US8261943B2 (en) Spray bottle with refill cartridge
US3133679A (en) Liquid dispensing device
US3730336A (en) Packaged liquid containers
JP2009535274A (ja) 布地処理剤の分配包装容器
US20070138033A1 (en) Bottle having device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separately contained therein and in bottle
US6039213A (en) Hand-holdable, reuseable containers
US5850940A (en) Hand-holdable, reuseable containers having animal configurations
NL2007421C2 (nl) Houder voor een vloeistof.
CA2666596A1 (en) 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for disposable tissues
US4085870A (en) Dispensing drawer assembly
US3208640A (en) Package applicator
KR102299159B1 (ko) 물약 정량토출 용기
EP372613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cremation ashes
US3405844A (en) Cartridge dispenser
US9414974B2 (en) Disposable storage container for infant cleaning toiletries
DK200900211U3 (da) Drikkesystem
KR200476091Y1 (ko) 포장박스
CN207467369U (zh) 一种可定量取出粒状内容物的包装容器
US9937086B2 (en) Diaper changing system
KR100817855B1 (ko) 손잡이붙이 일회용 포장용기
NZ533049A (en) Multi-compartment salad and dressing vending container
KR200434423Y1 (ko) 손잡이붙이 일회용 포장용기
KR102478862B1 (ko) 수납부가 포함된 팔찌
US20220111994A1 (en) Bottle storing two different types of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