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027A -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 Google Patents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027A
KR20230161027A KR1020220060536A KR20220060536A KR20230161027A KR 20230161027 A KR20230161027 A KR 20230161027A KR 1020220060536 A KR1020220060536 A KR 1020220060536A KR 20220060536 A KR20220060536 A KR 20220060536A KR 20230161027 A KR20230161027 A KR 20230161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dental
gargle
dental floss
contain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민
Original Assignee
윤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민 filed Critical 윤석민
Priority to KR1020220060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027A/ko
Publication of KR2023016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가글액이 담겨있는 가그린용기인 바디에 거울, 치실, 치간칫솔을 구비하여, 결과적으로 휴대가 용이하면서 가글링을 한 후 그 후속 조치 또는 부가 조치로 이용가능한 부속적인 필수적인 구성용품을 가글용기에 함께 수용 또는 수납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분실 방지 예방을 위한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가글컵을 겸용하는 캡(20); 상기 바디(10) 전면에는 개폐가 가능한 거울(300)이 부착되어 있는 도어(30); 상기 도어(30)의 내측에는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를 수납 가능한 수납부(40); 상기 수납부(40)의 바닥면 중앙 일하측에는 치간칫솔(400)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한쌍의 고정구(401); 상기 수납부(40)의 바닥면 중앙 타상측에는 치실부재(410)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체결브라켓(411); 상기 바디(40) 배면 중앙에는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 흡착부재(50); 를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와,
상기 고정구(401)는 상기 바닥면 중앙 일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치간칫솔(400)의 몸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한쌍의 결합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와,
상기 체결브라켓(411)은 상기 바닥면 중앙 타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부착면(412) 양측으로 상기 치실부재(410)의 몸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어 구비된 체결벽(4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의 체결벽(413)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와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 전면에 형성된 거울(300);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캡(200); 을 포함하고,
상기 캡(200)은,
내측 중앙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의 구획 수용을 위한 구획벽(211)이 형성된 내통홈체(210); 상기 내통홈체(210)과 상부면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0)와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내통홈체(210)와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부 외주면 일측에 힌지판(221)이 구비된 외통체(220); 상기 힌지판(221)과 일체로 상기 힌지판(221)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동캡(230); 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와,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 전면에 형성된 거울(300);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캡(200); 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00)의 저면에는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이 수납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수납브라켓(600)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와,
상기 수납브라켓(600)은,
상기 바디(100) 저면 중앙에 구비된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부(111)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 체결홈(110)에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서, 중앙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의 구획 수용을 위한 구획판(60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나사부(111)에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부(602)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상기 바디(100)의 저면과 일치되도록 마감판(60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글용기에 치간칫솔, 치실 등의 구강청결용품을 구비하여 본 발명품 하나만 휴대하고 다니면 언제 어디서나 구강청결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가글용기에 간단한 구성품만 추가하면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해 대량생산 및 제품 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Portable gargle container with interdental set}
본 발명은 가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가글액이 담겨있는 가그린용기인 바디에 거울, 치실, 치간칫솔을 구비하여, 결과적으로 휴대가 용이하면서 가글링을 한 후 그 후속 조치 또는 부가 조치로 이용가능한 부속적인 필수적인 구성용품을 가글용기에 함께 수용 또는 수납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분실 방지 예방을 위한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 생활에서 음식물을 섭취한 후, 구강내의 남은 찌꺼기와 오물 그리고 침이 혼합되면 균충이 생겨나게 된다. 그럼 치석이 생겨나고, 충이 생겨나게 되면서 분비물이 생겨 입안에서 냄새가 나게 된다.
그래서 사람들은 음식물을 섭취한 후, 양치질을 하게 되는데 칫솔과 치약을 휴대하여 수시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최근들어 가글액체가 저장되어 휴대하기 펴한 가글용기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가글 또는 가글링(Gargling)은 입 속에 액체를 넣고 폐 속의 공기를 역분사하거나 볼과 혀를 움직여 입 안의 다른 공기를 밀어내 액체에 주입시키고 부글거리게 하여 거품을 내어 입을 행구는 행위 또는 그러한 행위에 사용되는 구강청정제(구강청결제)를 일컫는 용어이며, 그러한 행위에 사용되는 구강청정제(구강청결제)를 일컫는 용어이다. 또한, 가글 또는 가글링(Gargling)이름은 이런 행위를 할 때 물에서 나는 소리에서 따왔다.
행위가 그것에 필요한 도구의 이름으로 정착된 사례 중 하나이다.
아울러, 사용자가 가글 또는 가글링을 함에 따라, 구강에 남아있는 음식 찌꺼기나 먼지, 세균 등을 제거하고, 목 구멍이 형성된 목의 내부를 살균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가글 또는 가글링이 생활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안전하게 휴대할 수 있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글 용액을 보관하는 용기에 대한 기술은 이미 많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1231호는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재로 된 5~40cc 내외의 용량을 갖는 용기 본체가 형성되되, 용기 본체는 상부가 개구된 상광하협의 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용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03~15mm 내외의 용기 본체 단면 두께를 보강하도록 다수개의 엠보싱 라인 또는 요철 라인이 형성되며, 용기 본체의 하부 면상에는 바닥면의 보강을 확보하도록 용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상향 만곡된 오목부가 형성되고, 용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돌출된 포장지 접합용 접착판이 형성되되, 접착판은 용기 본체의 단면 두께보다 최소 15배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용기 본체의 접착판 및 개봉부에는 비닐 또는 종이 재질의 하부 접착지와 광고면이 전사된 상부 전사지가 결합된 포장지가 대응되되, 대응된 포장지는 개봉부를 제외한 접착판 측과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가그린은 가그린용기에 있는 액체로 사용자의 입안을 행구는 역할을 하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사용자의 이빨사이에 끼여있는 음식 찌꺼기를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며, 이런 문제로 인해 사용자는 별도의 치간칫솔 또는 치실등을 이용하여 음식 찌꺼기를 제거하고 가글링을 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가글링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강청결제를 별도가 가지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2143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39186호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3-000123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1555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글액이 담겨있는 가그린용기에 거울, 치실, 치간칫솔을 구비하여, 결과적으로 휴대가 용이하면서 가글링을 하는데 보다 용이한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더불어 기글을 위한 부속 용품을 한 곳 즉 가글용기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바쁜 현대인에게 각각의 가글, 치간칫솔, 치실부재 등 도구를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절약 및 다양한 용도의 도구의 분실 등을 최소화하고 거치공간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가글컵을 겸용하는 캡(20); 상기 바디(10) 전면에는 개폐가 가능한 거울(300)이 부착되어 있는 도어(30); 상기 도어(30)의 내측에는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를 수납 가능한 수납부(40); 상기 수납부(40)의 바닥면 중앙 일하측에는 치간칫솔(400)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한쌍의 고정구(401); 상기 수납부(40)의 바닥면 중앙 타상측에는 치실부재(410)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체결브라켓(411); 상기 바디(40) 배면 중앙에는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 흡착부재(50); 를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와,
상기 고정구(401)는 상기 바닥면 중앙 일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치간칫솔(400)의 몸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한쌍의 결합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와,
상기 체결브라켓(411)은 상기 바닥면 중앙 타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부착면(412) 양측으로 상기 치실부재(410)의 몸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어 구비된 체결벽(4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의 체결벽(413)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와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 전면에 형성된 거울(300);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캡(200); 을 포함하고,
상기 캡(200)은,
내측 중앙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의 구획 수용을 위한 구획벽(211)이 형성된 내통홈체(210); 상기 내통홈체(210)과 상부면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0)와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내통홈체(210)와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부 외주면 일측에 힌지판(221)이 구비된 외통체(220); 상기 힌지판(221)과 일체로 상기 힌지판(221)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동캡(230); 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와,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 전면에 형성된 거울(300);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캡(200); 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00)의 저면에는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이 수납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수납브라켓(600)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와,
상기 수납브라켓(600)은,
상기 바디(100) 저면 중앙에 구비된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부(111)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 체결홈(110)에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서, 중앙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의 구획 수용을 위한 구획판(60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나사부(111)에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부(602)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상기 바디(100)의 저면과 일치되도록 마감판(60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를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글용기에 치간칫솔, 치실 등의 구강청결용품을 구비하여 본 발명품 하나만 휴대하고 다니면 언제 어디서나 구강청결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가글용기에 간단한 구성품만 추가하면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해 대량생산 및 제품 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의 도어 개방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 있어서 도 2의 치간칫솔 및 치실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서 도 5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서 도 5의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의 도어 개방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 있어서 도 2의 치간칫솔 및 치실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서 도 5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서 도 5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에서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지시부호 10은 바디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10)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바디(100)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디(10)와 대동소이하지만 도 1 내지 도 3의 바디(10)는 내부 공간의 범위가 외부에서 보이는 그대로 이지만 도 4의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같이 하기에서 설명하는 내통홈체(210)가 구비된 만큼의 공간이 존재치 아니할 것이며, 도 8의 경우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기에서 설명하는 삽입 체결홈(110)의 공간만큼 존재치 아니한 점에 차이가 있다.
지시부호 20은 캡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캡(2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20)은 상기 바디(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가글컵을 겸용하는 구조로서, 도 8의 경우 또한 비록 다른 구성요소의 차이로 인하여 차별화 두었으나 도 8의 캡(200)도 도 1 내지 도 의 캡(20)과 동일한 구조이다.
단,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캡(200)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캡(20, 200)과는 차이가 있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상기 캡(200)은,
내측 중앙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의 구획 수용을 위한 구획벽(211)이 형성된 내통홈체(210);
상기 내통홈체(210)과 상부면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0)와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내통홈체(210)와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부 외주면 일측에 힌지판(221)이 구비된 외통체(220);
상기 힌지판(221)과 일체로 상기 힌지판(221)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동캡(230); 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상기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를 수용하는 내통홈체(210)와 일체로 외통체(220)가 상기 바디(10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외통체(220)를 상기 바디(100)에 결합한 후 내통홈체(210)에 상기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를 수용하고 상기 회동캡(230)을 개폐 가능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반면에 바디(100)에 수용된 가글 용액을 이용하여 가글을 위해서는 외통체(220)를 회전하여 바디(100)로 부터 나사 결합을 풀어서 도 5에 도시된 외통체(220) 및 내통홈체(210)을 바디(100)로 부터 탈락시킨 후 바디(100) 상부의 토출구(부호를 지정하지 아니함)를 통해 가글 용액을 토출 가글하면 되며 그 이후 체결시에는 상기 외통체(220)를 바디(100)에 나사 결합 후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를 상요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회동캡(230)을 회동하여 인출후 사용하고 수납하고 회동캡(230)을 닫으면 되는 것이다.
지시부호 30은 도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3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 전면에는 개폐가 가능한 거울(300)이 부착되어 있는 구조이다.
반면에,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도어(30)가 존재치 아니하고 단지 상기 바디(100)의 전면에 거울(300)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지시부호 40은 수납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납부(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의 내측에는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를 수납 가능한 구조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납부(40)의 바닥면 중앙 일하측에는 치간칫솔(400)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한쌍의 고정구(401);
상기 수납부(40)의 바닥면 중앙 타상측에는 치실부재(410)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체결브라켓(411); 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고정구(40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 중앙 일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치간칫솔(400)의 몸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한쌍의 결합벽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411)은 상기 바닥면 중앙 타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부착면(412) 양측으로 상기 치실부재(410)의 몸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어 구비된 체결벽(4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의 체결벽(413)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벽(413)중 일측의 체결벽(413)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한 이유는 판상의 치실부재(41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치실부재(410)의 체결보다는 탈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지시부호 50은 흡착부재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흡착부재(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에도 모두 적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흡착부재(50)은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 구성인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 전면에 형성된 거울(300);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캡(200); 을 포함한 상태에서 상기 캡(200)은,
내측 중앙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의 구획 수용을 위한 구획벽(211)이 형성된 내통홈체(210);
상기 내통홈체(210)과 상부면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0)와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내통홈체(210)와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부 외주면 일측에 힌지판(221)이 구비된 외통체(220);
상기 힌지판(221)과 일체로 상기 힌지판(221)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동캡(230); 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상기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를 수용하는 내통홈체(210)와 일체로 외통체(220)가 상기 바디(10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외통체(220)를 상기 바디(100)에 결합한 후 내통홈체(210)에 상기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를 수용하고 상기 회동캡(230)을 개폐 가능하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반면에 바디(100)에 수용된 가글 용액을 이용하여 가글을 위해서는 외통체(220)를 회전하여 바디(100)로 부터 나사 결합을 풀어서 도 5에 도시된 외통체(220) 및 내통홈체(210)을 바디(100)로 부터 탈락시킨 후 바디(100) 상부의 토출구(부호를 지정하지 아니함)를 통해 가글 용액을 토출 가글하면 되며 그 이후 체결시에는 상기 외통체(220)를 바디(100)에 나사 결합 후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를 상요하고자 하실 경우에는 회동캡(230)을 회동하여 인출후 사용하고 수납하고 회동캡(230)을 닫으면 되는 것이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 전면에 형성된 거울(300);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캡(200); 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00)의 저면에는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이 수납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수납브라켓(600)을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수납브라켓(600)은,
상기 바디(100) 저면 중앙에 구비된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부(111)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 체결홈(110)에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서, 중앙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의 구획 수용을 위한 구획판(60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나사부(111)에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부(602)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상기 바디(100)의 저면과 일치되도록 마감판(60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3의 경우에는 캡(20)을 개방한 후 가글을 한 연후에 사용자가 도어(30)를 개방하여 선택적으로 치간칫솔(400) 또는 치실부재(410)중 어느 하나를 선택 사용후 재차 수납하거나 폐기한 후 도어(30)를 닫고 휴대 또는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반면에 도 4 내지 도 6의 경우에는 일단 캡(200)을 바디(100)로 부터 탈락 후 가글을 한 다음 선택적으로 이탈시킨 캡(200)의 회동캡(230)을 회동하여 내부에 수용된 치간칫솔(400) 또는 치실부재(410)중 어느 하나를 선택 사용후 재차 수납하거나 폐기한 후 회동캡(230)을 닫고 재차 외통체(220)를 바디(100)에 나사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먼저 외통체(220)를 바디(100)에 나사 체결한 후 회동캡(230)을 회동하여 내부에 수용된 치간칫솔(400) 또는 치실부재(410)중 어느 하나를 선택 사용후 재차 수납하거나 폐기한 후 회동캡(230)을 닫고 휴대 또는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 도 8의 경우에는 일단 캡(200)을 바디(100)로 부터 탈락 후 가글을 한 다음 체결한 후 상기 바디(100) 저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 체결홈(110)에 삽입 체결된 수납브라켓(600)의 마감판(603)을 회동하여 상기 수납브라켓(600)을 인출한 다음 수용된 치간칫솔(400) 또는 치실부재(410)중 어느 하나를 선택 사용후 재차 수납하거나 폐기한 후 상기 수납브라켓(600)을 삽입 체결홈(110)에 삽입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글용기에 치간칫솔, 치실 등의 구강청결용품을 구비하여 본 발명품 하나만 휴대하고 다니면 언제 어디서나 구강청결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가글용기에 간단한 구성품만 추가하면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해 대량생산 및 제품 단가를 절약할 수 있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바디 20 ; 캡
30 ; 도어 40 ; 수납부
50 ; 흡착부재 100 ; 바디
110 ; 삽입 체결홈 111 ; 나사부
200 ; 캡 210 ; 내통홈체
211 ; 구획벽 220 ; 외통체
221 ; 힌지판 230 ; 회동캡
300 ; 거울 400 ; 치간칫솔
401 ; 고정구 410 ; 치실부재
411 ; 체결브라켓 412 ; 부착면
413 ; 체결벽 600 ; 수납브라켓
601 ; 구획판 602 ; 체결부
603 ; 마감판

Claims (6)

  1.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가글컵을 겸용하는 캡(20);
    상기 바디(10) 전면에는 개폐가 가능한 거울(300)이 부착되어 있는 도어(30);
    상기 도어(30)의 내측에는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를 수납 가능한 수납부(40);
    상기 수납부(40)의 바닥면 중앙 일하측에는 치간칫솔(400)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가능하도록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한쌍의 고정구(401);
    상기 수납부(40)의 바닥면 중앙 타상측에는 치실부재(410)를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체결브라켓(411);
    상기 바디(40) 배면 중앙에는 벽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 흡착부재(50);
    를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01)는 상기 바닥면 중앙 일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치간칫솔(400)의 몸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한쌍의 결합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411)은 상기 바닥면 중앙 타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부착면(412) 양측으로 상기 치실부재(410)의 몸체가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어 구비된 체결벽(4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측의 체결벽(413)의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4.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 전면에 형성된 거울(300);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캡(200); 을 포함하고,
    상기 캡(200)은,
    내측 중앙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의 구획 수용을 위한 구획벽(211)이 형성된 내통홈체(210);
    상기 내통홈체(210)과 상부면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0)와 나사 체결 가능하도록 상기 내통홈체(210)와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상부 외주면 일측에 힌지판(221)이 구비된 외통체(220);
    상기 힌지판(221)과 일체로 상기 힌지판(221)을 축으로 회동되어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회동캡(230); 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내부에 가글 용액이 저장되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 전면에 형성된 거울(300);
    상기 바디(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캡(200); 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100)의 저면에는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이 수납 가능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수납브라켓(600)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브라켓(600)은,
    상기 바디(100) 저면 중앙에 구비된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부(111)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 체결홈(110)에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서,
    중앙 길이방향으로 길게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에 치간칫솔(400)과 치실부재(410)의 구획 수용을 위한 구획판(60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나사부(111)에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부(602)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상기 바디(100)의 저면과 일치되도록 마감판(60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KR1020220060536A 2022-05-18 2022-05-18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KR20230161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36A KR20230161027A (ko) 2022-05-18 2022-05-18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36A KR20230161027A (ko) 2022-05-18 2022-05-18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027A true KR20230161027A (ko) 2023-11-27

Family

ID=8896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536A KR20230161027A (ko) 2022-05-18 2022-05-18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02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86Y1 (ko) 2007-12-10 2008-03-26 서현우 가글용기 뚜껑
KR20130001231U (ko) 2011-08-16 2013-02-26 조봉환 1회 한 모금용 가글 용기
KR20140115554A (ko) 2013-03-21 2014-10-01 박지수 정량토출 용기
KR102321434B1 (ko) 2019-11-15 2021-11-04 정나래 가글 용액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186Y1 (ko) 2007-12-10 2008-03-26 서현우 가글용기 뚜껑
KR20130001231U (ko) 2011-08-16 2013-02-26 조봉환 1회 한 모금용 가글 용기
KR20140115554A (ko) 2013-03-21 2014-10-01 박지수 정량토출 용기
KR102321434B1 (ko) 2019-11-15 2021-11-04 정나래 가글 용액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6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oothbrush with paste dispenser
RU2325830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5144712A (en) Disposable toothbrush
US20100067969A1 (en) Portable Toothbrush
KR101648375B1 (ko) 착탈식 칫솔꽂이
KR20230161027A (ko) 치간세트가 구비된 휴대용 가글용기
KR200476545Y1 (ko) 치간칫솔
USD481870S1 (en) Combination toothbrush, floss dispenser, toothpaste container, and cap
KR200393328Y1 (ko) 치약 구비 칫솔
KR200453662Y1 (ko) 충진용 치약이 구비된 칫솔
JP3077747U (ja) 携帯用ペン型歯ブラシ
KR200331100Y1 (ko) 양치질액이 수용된 칫솔
US200800606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oral hygiene products
KR101993996B1 (ko) 입술 세척솔을 구비한 칫솔
US11553781B2 (en) Collapsible toothbrush and case
JP2000109146A (ja) 紙状物入りパウチのスタンド
CN219070729U (zh) 一种牙刷座
KR20130006445U (ko) 다기능 칫솔
KR20220002916U (ko) 양치도구 보관함
KR200414440Y1 (ko) 휴대용 양치용구
KR200422444Y1 (ko) 치약이 구비된 칫솔
KR200437910Y1 (ko) 치간치솔이 구비된 휴대용 칫솔
CN207767793U (zh) 一种多功能牙刷
KR200295230Y1 (ko) 치약 공급구조를 갖는 칫솔
EP1768511A1 (en) A foldable toothbrush, a toothpaste sachet and a dental care k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