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885B1 -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 Google Patents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885B1
KR102272885B1 KR1020190081821A KR20190081821A KR102272885B1 KR 102272885 B1 KR102272885 B1 KR 102272885B1 KR 1020190081821 A KR1020190081821 A KR 1020190081821A KR 20190081821 A KR20190081821 A KR 20190081821A KR 102272885 B1 KR102272885 B1 KR 102272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ug
metering
via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048A (ko
Inventor
김종철
김태림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9008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8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61J7/0046Cups, bottle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약병은, 경사진 상단 일면과 연결된 측면의 일영역에 약물의 정량을 확인하기 위한 윈도우가 구비되는 본체부, 약물의 복용 전에 약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유닛 및 사용자에 의한 조작유닛의 수평방향의 회전을 통해 수용유닛의 바닥면을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량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계량부 및 계량부의 상단에 연결된 하향 경사진 격벽에 의해 계량부와 공간적으로 일부 분리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계량부 및 저장부는 본체부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QUANTITATIVE MEASURABLE VIAL}
본 발명은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계량컵없이도 1회 복용할 약물을 정확히 분주 및 계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액상 약물을 보관하는 약병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액상 약물을 보관하는 약병은 환자의 소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도록 단순한 구조의 플라스틱 용기의 형태를 띠고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약병은 약물의 복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외면에 눈금이 형성되고, 투약이 편리하도록 일단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예시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기존의 약병은 약물을 편리하게 보관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약병을 이용하여 정량의 약물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약병의 외면에 형성된 눈금을 확인하면서 별도의 용기에 약물을 옮겨담거나 별도의 계량컵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정량의 약물을 복용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에 약물을 옮겨담는 등의 작업은 환자의 감각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정확한 약물의 분주 및 계량이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또한, 정량의 약물을 복용하기 위해 별도의 용기에 약물을 옮겨담는 과정에서 환자의 부주의에 의한 흘림사고 등이 일어날 확률이 높을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5139호 (2016.05.1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물의 복용을 위한 약물의 보관, 계량 및 분주의 전 과정이 사용자의 감각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계량을 위한 별도의 구성없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된 약병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은, 경사진 상단 일면에 약물출입구가 마련되고, 경사진 상단 일면과 연결된 측면의 일영역에 약물의 정량을 확인하기 위한 윈도우가 구비되는 본체부, 약물의 복용 전에 약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유닛 및 사용자에 의한 조작유닛의 수평방향의 회전을 통해 수용유닛의 바닥면을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량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계량부 및 계량부의 상단에 연결된 하향 경사진 격벽에 의해 계량부와 공간적으로 일부 분리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계량부 및 저장부는 본체부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는 일단이 약물출입구와 연결되며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토출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측면의 일영역에는 약물의 복용을 보조하기 위한 컵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개방유닛이 마련되며, 개방유닛은 용량조절유닛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은, 약물의 복용 전에 약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유닛, 사용자에 의한 조작유닛의 수평방향의 회전을 통해 수용유닛의 바닥면을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량조절유닛 및 수용유닛에 수용된 약물의 정량을 확인하기 위해 수용유닛과 대응되는 측면 일영역에 구비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계량부 및 계량부의 측면 일영역과 연통되며, 내부에 형성된 하향 경사진 격벽에 의해 약물의 보관을 위한 공간이 일부 분리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계량부 및 저장부는 상호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계량부 또는 저장부의 상단면에는 약물출입구가 마련되고, 일단이 약물출입구와 연결되며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토출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계량부의 측면 일영역에는 저장부와의 상호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돌출유닛이 마련되며, 저장부의 측면 일영역에는 돌출유닛이 삽입되는 함몰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계량부 및 저장부 각각에는 상호 연통되는 측면 일영역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계량부의 측면의 일영역에는 약물의 복용을 보조하기 위한 컵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개방유닛이 마련되며, 개방유닛은 용량조절유닛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약병을 이용하면, 약물의 정량 복용을 위한 계량컵 등과 같은 별도의 추가구성이 없이도 약병 자체로 정확한 약물의 계량이 가능하며, 약물의 복용을 위한 보관, 계량 및 분주의 전 과정을 사용자가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한 약물의 손실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구성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은, 경사진 상단 일면에 약물출입구가 마련되고, 경사진 상단 일면과 연결된 측면의 일영역에 약물의 정량을 확인하기 위한 윈도우(11)가 구비되는 본체부(10), 약물의 복용 전에 약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유닛(21) 및 사용자에 의한 조작유닛(22a)의 수평방향의 회전을 통해 수용유닛(21)의 바닥면을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량조절유닛(22)을 포함하는 계량부(20) 및 계량부(20)의 상단에 연결된 하향 경사진 격벽(13)에 의해 계량부(20)와 공간적으로 일부 분리되는 저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10)는 약물의 계량 및 분주를 위한 계량부(20)와 약물의 보관을 위한 저장부(30)가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을 말한다. 이때, 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벽 및 격벽(13)을 통해 계량부(20)와 저장부(30)는 공간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연직방향으로 형성된 내벽과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진 격벽(13)을 통해 본체부(10)의 내부에서 계량부(20)는 좌측, 저장부(30)는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벽 및 격벽(13)을 통해 공간적으로 계량부(20)와 저장부(30)가 분리되면, 사용자에 의해 본체부(10)가 기울어지는 방향이 조절됨으로써, 계량부(20) 또는 저장부(30)로의 약물의 이동이 손쉽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약물 복용이 용이하도록 본체부(10)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고려하여 본체부(10)의 상단 일면은 도 1 및 도 2과 같이 경사진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경사진 상단 일면에는 약물의 출입을 위한 약물출입구가 마련될 수 있고, 일단이 약물출입구와 연결되며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토출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토출유닛의 일단은 원형의 약물출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토출유닛의 타단은 약물의 복용을 위해 본체부(1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토출유닛의 측면에는 뚜껑유닛(50)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유닛(5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토출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호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토출유닛의 개방된 타단이 폐쇄되고 약물이 안정적으로 본체부(10) 내부에서 보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수용유닛(21)은 약물의 계량을 위해 약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후술할 용량조절유닛(2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용유닛(21)에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부(10)의 측면 일영역에 수용유닛(21)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윈도우(11)가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11)에는 저장부(30)에 보관된 약물을 계량부(20)(i.e. 수용유닛(21))로 분주하기 이전에 수용유닛(21)의 용량을 사용자의 약물 복용량에 일치시키는 것을 도와줄 수 있도록 수용유닛(21)의 용량을 나타내는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량조절유닛(22)은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회전하는 조작유닛(22a), 조작유닛(22a)의 상단에 연결되는 로드유닛(22b), 조작유닛(22a)의 회전에 의해 로드유닛(22b)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이동유닛(22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조작유닛(22a)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작유닛(22a)과 함께 로드유닛(22b)이 회전하면서 로드유닛(22b)에 결합된 이동유닛(22c)이 연직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 2와 같이 용량조절유닛(22)은 수용유닛(21)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이동유닛(22c)의 연직상하방향의 이동에 따라 수용유닛(21)의 바닥면 또한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용유닛(21)의 바닥면은 이동유닛(22c)의 상단면과 연결되도록 설계되거나 유닛의 상단면 자체가 수용유닛(21)의 바닥면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유닛(22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로드유닛(22b)에 결합된 이동유닛(22c)이 연직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용유닛(21)의 바닥면(또는 유닛의 상단면)도 연직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용유닛(21)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유닛(22a)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동유닛(22c)이 반대로 연직하방향의 이동함에 따라 수용유닛(21)의 바닥면도 이동하게 되고, 이를 통해 수용유닛(21)의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30)는 본체부(10)의 내벽과 격벽(13)에 의해 구분된 약물의 보관을 위한 공간을 말한다. 이때, 저장부(30)를 구분하기 위한 격벽(13)은 저장부(30)가 본체부(10)의 다른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지 않도록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격벽(13)은 일단이 계량부(2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부(10)의 어느 구성과도 연결되지 않도록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13)이 형성되면, 본체부(10)를 도 1의 Z축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저장부(30)에 보관된 약물을 격벽(13)을 따라 형성된 통로를 통해 계량부(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약물을 계량부(20)로 이동시킨 이후에는 계량부(20)에 임시적으로 수용된 약물을 복용하기 위해 본체부(10)를 도 1의 X축 방향으로 기울이더라도 격벽(13)을 통해 저장부(30)에 보관된 약물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격벽(13)을 통해 저장부(30)를 공간적으로 일부 분리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체부(1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조절하여 손쉽게 약물을 저장부(30)로부터 분주할 수 있으며, 계량부(20)로 분주된 약물을 복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격벽(13)은 약물출입구와 반대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격벽(13)이 하향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면, 계량부(20) 또는 저장부(30)로 수용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약물이 격벽(13)을 따라 자연스럽게 저장부(30)로 흘러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Z축 방향으로 본체부(10)를 기울임으로써 저장부(30)에 보관되어 있던 약물을 계량부(20)로 이동시키면, 계량부(20)의 수용유닛(21)의 용량을 초과하는 잔여약물은 격벽(13)과 본체부(10) 상단면 사이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게 된다. 이때, 본체부(10)를 다시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하향 경사진 격벽(13)의 상부면을 따라 잔여약물들이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됨으로써 추가적인 조작이 없이도 잔여약물들을 다시 저장부(30)에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약통에는, 액상 약물을 주로 복용하는 대상인 영유아가 보호자를 통해 손쉽게 약물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용유닛(21)의 최대 용량과 동일한 용량의 컵(40)이 도 1 및 도 2와 같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의 측면의 일영역에는 약물의 복용을 보조하기 위한 컵(40)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개방유닛이 마련되며, 개방유닛은 용량조절유닛(2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컵(40)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없이 개방유닛에 결합시켜 약병과 함께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컵(40)을 개방유닛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 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제 1 실시 예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은, 약물의 복용 전에 약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유닛, 사용자에 의한 조작유닛의 수평방향의 회전을 통해 수용유닛의 바닥면을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량조절유닛 및 수용유닛에 수용된 약물의 정량을 확인하기 위해 수용유닛과 대응되는 측면 일영역에 구비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계량부 및 계량부의 측면 일영역과 연통되며, 내부에 형성된 하향 경사진 격벽에 의해 약물의 보관을 위한 공간이 일부 분리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실시 예와는 달리 제 2 실시 예의 약병은 계량부(100, 300)와 저장부(200, 400)가 독립적인 구성으로서, 상호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량부(100, 300)와 저장부(200, 400)가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계량부(100, 300)만을 들고 다니면서 정량의 약물을 복용할 수 있으므로, 휴대성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계량부(100) 또는 저장부(400)의 상단면에는 약물출입구가 마련되고, 일단이 약물출입구와 연결되며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토출유닛(140, 43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사용자의 약물 복용에 초점을 맞추어 약병이 설계되면, 도 3과 같이 계량부(100)의 상단에 토출유닛(140)이 구비될 수 있다. 만약 약물의 보관 편의성에 초점을 맞추어 약병이 설계되면, 도 4와 같이 저장부(200)의 상단에 토출유닛(43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설계 목적에 따라 약물출입구 및 토출유닛(140, 430)은 계량부(100) 또는 저장부(400)의 상단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계량부의 측면 일영역에는 저장부와의 상호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돌출유닛이 마련되며, 저장부의 측면 일영역에는 돌출유닛이 삽입되는 함몰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계량부(100)의 측면 일영역과 맞닿는 저장부(200)의 측면 일영역에 함몰유닛(220)이 연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계량부(300)의 측면 일 영역에는 전술한 함몰유닛(220)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돌출유닛(340)이 도 5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계량부의 돌출유닛이 저장부의 함몰유닛에 삽입됨으로써, 계량부와 저장부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계량부 및 저장부 각각에는 상호 연통되는 측면 일영역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량부와 저장부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도어유닛은 약물의 이동을 위해 계량부와 저장부가 맞닿은 측면 일영역을 개방할 수 있다. 반대로 계량부와 저장부가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 도어유닛은 약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계량부와 저장부가 맞닿은 측면 일영역을 폐쇄시킬 수 있다. 도어유닛(230)은 도 3과 같이 측면 일영역예 슬라이딩 방식의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도어유닛은 계량부의 돌출유닛이 저장부의 함몰유닛에 삽입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저장부(400)의 측면 일영역에 형성된 도어유닛(420)은 저장부(400)의 상부에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 계량부(300)의 돌출유닛(340)이 저장부(400)의 함몰유닛에 삽입됨에 따라 도어유닛(420)은 저장부(400) 내측으로 회전하여 저장부(400)의 측면 일영역을 개방할 수 있다. 계량부(300)의 돌출유닛(340)이 저장부의 함몰유닛으로 탈거되면, 도어유닛(420)은 다시 저장부(400)의 외측으로 회전하여 저장부(400)의 측면 일영역을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유닛이 개량부와 저장부의 결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측면 일 영역을 개폐하기 위해 별도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개량부와 저장부를 손쉽게 결합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계량부의 측면의 일영역에는 약물의 복용을 보조하기 위한 컵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개방유닛이 마련되며, 개방유닛은 용량조절유닛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체부 11, 130, 330: 윈도우
12, 140, 430: 토출유닛 13, 210, 410: 격벽
14: 개방유닛 20, 100, 300: 계량부
21: 수용유닛 22, 120: 용량조절유닛
22a, 121, 321: 조작유닛 22b: 로드유닛
22c: 이동유닛 30, 200, 400: 저장부
40, 150, 350: 컵 50, 160, 440: 뚜껑유닛
220: 함몰유닛 230: 도어유닛
340: 돌출유닛

Claims (8)

  1.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에 있어서,
    경사진 상단 일면에 약물출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경사진 상단 일면과 연결된 측면의 일영역에 약물의 정량을 확인하기 위한 윈도우가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약물의 복용 전에 상기 약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유닛 및 사용자에 의한 조작유닛의 수평방향의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유닛의 바닥면을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량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계량부; 및
    상기 계량부의 상단에 연결된 하향 경사진 격벽에 의해 상기 계량부와 공간적으로 일부 분리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량부 및 저장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일단이 상기 약물출입구와 연결되며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토출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의 일영역에는 상기 약물의 복용을 보조하기 위한 컵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개방유닛이 마련되며,
    상기 개방유닛은 상기 용량조절유닛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4.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에 있어서,
    약물의 복용 전에 상기 약물이 임시적으로 수용되도록 상단이 개방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유닛, 사용자에 의한 조작유닛의 수평방향의 회전을 통해 상기 수용유닛의 바닥면을 연직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용량조절유닛 및 상기 수용유닛에 수용된 약물의 정량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수용유닛과 대응되는 측면 일영역에 구비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계량부; 및
    상기 계량부의 측면 일영역과 연통되며, 내부에 형성된 하향 경사진 격벽에 의해 상기 약물의 보관을 위한 공간이 일부 분리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계량부 및 저장부는 상호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부 또는 상기 저장부의 상단면에는 약물출입구가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약물출입구와 연결되며 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토출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부의 측면 일영역에는 상기 저장부와의 상호 결합 또는 분리를 위한 돌출유닛이 마련되며,
    상기 저장부의 측면 일영역에는 상기 돌출유닛이 삽입되는 함몰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부 및 저장부 각각에는 상호 연통되는 측면 일영역을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부의 측면의 일영역에는 상기 약물의 복용을 보조하기 위한 컵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개방유닛이 마련되며,
    상기 개방유닛은 상기 용량조절유닛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병.
KR1020190081821A 2019-07-08 2019-07-08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KR102272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821A KR102272885B1 (ko) 2019-07-08 2019-07-08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821A KR102272885B1 (ko) 2019-07-08 2019-07-08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048A KR20210006048A (ko) 2021-01-18
KR102272885B1 true KR102272885B1 (ko) 2021-07-06

Family

ID=7423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821A KR102272885B1 (ko) 2019-07-08 2019-07-08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8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53Y1 (ko) 1999-12-22 2000-05-15 송희목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JP3095639B2 (ja) * 1994-10-07 2000-10-10 コニカ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ユニット昇降機構
KR200274791Y1 (ko) * 2002-02-25 2002-05-09 (주)누리벳 계량용 포장용기
KR101989618B1 (ko) 2017-08-16 2019-06-17 (주)아이디플라텍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639U (ja) * 2003-01-31 2003-08-15 連興 朱 液体計量装置
ES2638972T3 (es) 2013-08-08 2017-10-24 Med 2000 S.R.L. Vial de nebulizador para terapia de aeros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639B2 (ja) * 1994-10-07 2000-10-10 コニカ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ユニット昇降機構
KR200182853Y1 (ko) 1999-12-22 2000-05-15 송희목 계량용기 부착형 용기
KR200274791Y1 (ko) * 2002-02-25 2002-05-09 (주)누리벳 계량용 포장용기
KR101989618B1 (ko) 2017-08-16 2019-06-17 (주)아이디플라텍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048A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2879B2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US11020316B2 (en) Dispen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KR101874328B1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60104526A (ko) 통과 장치,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102272885B1 (ko) 정량적 계량이 가능한 약병
JP4653392B2 (ja) 錠剤計量容器
KR20180009995A (ko) 복약 관리 장치
KR20170091494A (ko) 복약 관리 장치
US8863996B2 (en) Controllable medicinal dosage packaging for liquid medication
KR101989618B1 (ko)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KR101801602B1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KR101801603B1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80048357A (ko) 통과 장치 및 내용물 이동 기구
CN217533665U (zh) 一种定量出药瓶
KR20190029381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BR102022020843A2 (pt) Tampa com dosador integrado para potes
EP3080562B1 (en) Metered dose container
KR20160104528A (ko) 통과 장치,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80048287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70019303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KR20160104531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80048359A (ko) 통과 장치 및 내용물 이동 기구
TW201815634A (zh) 固定出量之瓶蓋
KR20160104512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60104513A (ko) 통과 장치, 개폐 기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