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56A -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56A
KR20190000556A KR1020170079696A KR20170079696A KR20190000556A KR 20190000556 A KR20190000556 A KR 20190000556A KR 1020170079696 A KR1020170079696 A KR 1020170079696A KR 20170079696 A KR20170079696 A KR 20170079696A KR 20190000556 A KR20190000556 A KR 20190000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smetic
button
cap
dr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067B1 (ko
Inventor
변재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알
Priority to KR102017007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0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3001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화장품을 수용하며 출구에 패킹부재를 갖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화장용 도구로서, 상기 화장품을 흡입하였다가 토출하는 드로퍼; 상기 드로퍼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두르며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버튼을 밀어올리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버튼이 돌출되고, 상기 드로퍼가 상기 패킹부재에 걸리면서 인출될 때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이 하강하여 상기 화장품이 상기 드로퍼를 통해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cosmetic tool and cosmetic vessel}
본 발명은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스포이드 형태로 화장품을 배출하는 방식을 사용하되 화장품이 자동적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 크림 등과 같이 한 번에 소량을 사용하되 정확하게 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액체 상태의 화장품은, 1회 사용량만큼의 화장품을 수용하고 있는 캡슐을 다수 포장하여 판매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 경우 사용 시마다 캡슐을 매번 찢어서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사용 후 캡슐에 비교적 많은 양의 화장품이 잔류하게 되어 화장품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에 스포이드 형태의 인출 수단을 사용하는 방식이 고안되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스포이드를 조작하여 용기로부터 필요한 양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캡슐을 매번 찢는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고 화장품의 잔류가 최소화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인출할 경우, 스포이드에 마련되는 풍선과 같은 형태의 고무캡을 사용자가 누르는 만큼 스포이드로 화장품이 흡입되는데, 사용자가 고무캡을 누르는 정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없음에 따라 화장품을 정량 사용하기가 불가능하거나 대단히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무캡을 대신하여 푸시버튼을 갖는 스포이드가 개발되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푸시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그때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이 인출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푸시버튼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용기로부터 스포이드를 분리한 뒤 용기에 다시 스포이드를 넣고 푸시버튼을 눌러서 스포이드 내로 화장품이 흡입되도록 해야 하는바, 여전히 불편함이 해소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화장용 도구를 화장품 용기에서 분리하는 것만으로 화장품이 드로퍼를 통해 자동 흡입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인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용 도구는, 화장품을 수용하며 출구에 패킹부재를 갖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화장용 도구로서, 상기 화장품을 흡입하였다가 토출하는 드로퍼; 상기 드로퍼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두르며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버튼을 밀어올리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버튼이 돌출되고, 상기 드로퍼가 상기 패킹부재에 걸리면서 인출될 때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이 하강하여 상기 화장품이 상기 드로퍼를 통해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로퍼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은,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내캡; 및 상기 내캡의 둘레에 마련되는 외캡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캡은, 외벽에 경사로 형태의 가이드홈을 갖고, 상기 외캡은,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되는 가이드돌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해 상기 내캡을 기준으로 상기 외캡이 하강하여 상기 버튼이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피스톤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하강하여 상기 드로퍼를 통해 상기 화장품을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에 의해 외력이 가해졌다가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내캡을 기준으로 상기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이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버튼이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캡은, 상기 하우징의 하강을 저지하는 환테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환테에 맞물리는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수용하며 출구에 패킹부재를 갖는 용기 본체; 및 상기 화장용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는, 버튼 누름 동작이 없더라도 화장품이 자동 충전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1회 사용 후 버튼을 누르더라도 내부에 공기나 이물질이 흡입되지 않도록 해 위생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에서 내캡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단이나 하단, 상측, 하측 등은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나타낸 방향일 뿐이며, 권리범위를 직접 한정하는 요소는 아님을 알려둔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도구에서 내캡의 측면도이다.
참고로 도 3은 화장용 도구(20)가 용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 도 4는 외캡(252)이 하강한 상태, 도 5는 화장용 도구(20)가 용기 본체(10)로부터 빠져나온 상태, 도 6은 화장용 도구(20)에서 버튼(24)이 눌린 상태, 도 7은 화장용 도구(20)에서 버튼(24)을 눌렀다가 놓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는, 용기 본체(10), 화장용 도구(2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는, 화장품을 수용하며 출구(10a)를 갖는다. 이때 용기 본체(10)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액상일 수 있고, 한 번에 소량을 사용하되 정확하게 정량을 사용해야 하는 화장품일 수 있다.
물론 용기 본체(10)에 수용되는 화장품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으며, 압력에 의하여 유동할 수 있는 상태(유체나 분상물 등)의 모든 화장품을 포괄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일벽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중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의 경우 용기 본체(10)는 외용기(11)와 내용기(12)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외용기(11)와 내용기(12)의 재질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물론 외용기(11)나 내용기(12)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만 화장품과 직접 접촉하는 내용기(12)는 화장품의 조성에 따라 화장품의 변형이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 본체(10)는 일측에 출구(10a)를 갖는다. 출구(10a)에는 후술할 화장용 도구(20)의 드로퍼(21)가 출입할 수 있다. 다만 용기 본체(10)는 출구(10a)에 마련되는 패킹부재(14)를 구비하여, 드로퍼(21)의 출입 시 화장품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패킹부재(14)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드로퍼(21)의 외경이 걸리도록 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드로퍼(21)가 일부분에서 외경이 일정한 유리관 형태를 가질 때 패킹부재(14)는 드로퍼(2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링 형태나 판막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는데, 사용자가 화장용 도구(20)를 용기 본체(10)로부터 꺼낼 때 드로퍼(21)가 패킹부재(14)의 내면에 걸리면서 마찰력에 의해 아래로 잡아 당겨져서, 드로퍼(21) 및 드로퍼(21)에 일체로 연결된 하우징(22)이 하강하게 될 수 있다.
패킹부재(14)는 용기 본체(1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외면에 나사산(151)이 마련된 주둥이(15)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패킹부재(14)는 주둥이(15)의 내측과 상측을 덮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패킹부재(1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로퍼(21)가 상승할 때 드로퍼(21)를 아래로 잡아당겨서 화장품의 흡입을 구현하면서도, 캡(25)과 주둥이(15) 사이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의 주둥이(15)의 외측에는 숄더(13)가 마련될 수 있다. 숄더(13)는 외용기(11)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고, 제한되지 않는 방법으로 외용기(11)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숄더(13)는 용기 본체(10)에 대해 장식적인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외캡(252)의 하강 시 외캡(252)의 하단을 가려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화장용 도구(20)는, 용기 본체(10)에 결합되며 용기 본체(10)에 저장된 화장품을 인출한다. 화장용 도구(20)는, 드로퍼(21), 하우징(22), 피스톤(23), 버튼(24), 캡(25), 탄성부재(26)를 포함한다.
드로퍼(21)(dropper)는, 화장품을 흡입하였다가 토출할 수 있다. 드로퍼(21)는 유리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장품이 액상일 경우 방울 형태로 화장품을 토출할 수 있다.
드로퍼(21)의 하단에는 배출단(211)이 마련되는데, 배출단(211)은 외경이 줄어들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배출단(211)은 화장품이 정량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드로퍼(21)는 배출단(211)과 하우징(22) 사이에서 외경이 일정한 관 형태를 갖는데, 해당 부분에서의 일정한 외경은 패킹부재(14)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드로퍼(21)를 용기 본체(10)로부터 빼낼 때,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킹부재(14)와의 마찰력에 의하여 드로퍼(21)의 상승이 억제됨에 따라 드로퍼(21)의 상대적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드로퍼(21)의 상단에는 하우징(22)이 마련되는데 드로퍼(21)와 하우징(22)은 일체로 승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드로퍼(21)와 하우징(22)은 억지끼움, 돌기결합, 나사결합, 접착, 융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하우징(22)은, 드로퍼(21)의 상부에 결합된다. 하우징(22)은 내부에 화장품을 수용하였다가, 피스톤(23)의 이동에 의하여 화장품을 드로퍼(21)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례로 피스톤(23)이 상승하게 되면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이 확장되면서 하우징(22) 내부에 음압이 발생하여 화장품이 드로퍼(21)를 따라 하우징(2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반대로 피스톤(23)이 하강하게 되면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면서 하우징(22) 내부에 양압이 발생하여 화장품이 드로퍼(2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우징(22)은 내벽에 피스톤(23)이 밀착된 상태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22)의 내벽에서 적어도 피스톤(23)의 승강 높이만큼의 부분은 내경이 일정한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22)은 드로퍼(21)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캡(25)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드로퍼(21)가 용기 본체(10)의 패킹부재(14)에 의해 잡아 당겨질 때, 드로퍼(21)와 하우징(22)이 내캡(251)에 대해 하강하면서 피스톤(23)이 상대적으로 하우징(22) 내에서 상승하게 되어, 화장품이 하우징(22)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하우징(22)의 하강은 내캡(251)의 환테(251b)에 의해 제한될 수 있고, 이를 위해 하우징(22)은 환테(251b)에 맞물리는 단차(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및/또는 하우징(22)은 상단이 외측으로 휘어지거나 절곡된 형태를 가져서, 하우징(22)의 상단이 내캡(251)의 상단에 맞물림으로써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하우징(22)은 하부가 드로퍼(21)를 감싸면서 드로퍼(21)와 일체로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22)의 하단은 화장용 도구(20)가 화장품 용기(1)에 결합될 때 패킹부재(14)와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패킹부재(14)와 하우징(22)의 하단이 서로 맞물림에 따라 화장품의 누출이 충분히 방지될 수 있다.
하우징(22)과 드로퍼(21) 사이에는 오링(221)이 마련되어 화장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오링(221) 외에도 널리 알려진 다양한 실링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구조에 따라 실링부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피스톤(23)은, 하우징(22)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피스톤(23)은 후술할 버튼(24)에 결합되어 버튼(24)과 일체로 승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외면이 하우징(22)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22)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23)의 하강은 버튼(24)의 눌림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피스톤(23)의 상승은 드로퍼(21)가 패킹부재(14)에 의해 잡아 당겨질 때 하우징(22)이 하강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하는 탄성부재(26)에 의해 피스톤(23)이 탄성력을 받는 경우, 내벽이 피스톤(23)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는 하우징(22)이 피스톤(23)과 함께 움직이게 되므로, 피스톤(23)이 하우징(22) 내에서 상승하는 것은 탄성부재(26)가 아니라, 용기 본체(10)의 패킹부재(1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피스톤(23)은 외면이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적어도 상단과 하단에서 하우징(22)의 내벽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23)의 외면과 하우징(22)의 내벽 사이에서의 화장품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피스톤(23)의 외면 형태를 상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버튼(24)은, 피스톤(23)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된다. 버튼(24)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통해 외력을 가하는 부위로,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피스톤(23)과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버튼(24)은 탄성부재(26)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버튼(24)의 상면은 사용자가 편하게 누를 수 있도록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버튼(24)이 눌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게 마찰면(도시하지 않음)이나 마찰돌기(도시하지 않음)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버튼(24)은 하단이 내캡(251)에 걸리면서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즉 버튼(24)의 하단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캡(251)의 상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탄성부재(26)에 의한 탄성력이 버튼(24)에 부여되더라도 버튼(24)은 내캡(25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버튼(24)은 내캡(251)과 외캡(252) 사이의 공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버튼(24)의 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버튼(24)이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버튼(24)과 피스톤(23)은 일체로 승강할 수 있으며, 버튼(24)과 피스톤(23)의 결합은 앞서 드로퍼(21)와 하우징(22)의 결합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피스톤(23)이 하우징(22)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버튼(24)은 피스톤(23)을 기준으로 하우징(22)에서 화장품이 수용되는 공간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것이므로, 버튼(24)과 피스톤(23)의 결합 부위에서 실링부재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버튼(24)의 하강은 화장품의 배출을 구현하는 반면, 버튼(24)의 상승은 화장품의 흡입을 구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버튼(24)이 탄성부재(26)에 의해 밀려 올라가면서 화장품이 하우징(22) 내로 흡입되는 것이 아니라, 화장용 도구(20)가 용기 본체(10)로부터 인출될 때 하우징(22)이 패킹부재(14)에 의해 아래로 당겨지면서 화장품이 하우징(22) 내로 흡입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10)에 화장용 도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버튼(24)을 눌렀다가 놓아도 화장품은 흡입되지 않으며, 또한 용기 본체(10)에서 화장용 도구(20)가 분리된 상태에서 버튼(24)을 눌렀다가 놓아도 역시 화장품은 흡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드로퍼(21)가 용기 본체(10)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만 화장품의 흡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위생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캡(25)은, 하우징(22)의 외측을 두르며 용기 본체(10)에 결합된다. 캡(25)은 용기 본체(10)에 결합되는 내캡(251)과, 내캡(251)의 둘레에 마련되는 외캡(252)을 포함한다. 내캡(251)은 용기 본체(10)의 주둥이(15)에 결합될 수 있고, 내캡(251)의 내벽에는 주둥이(15)의 나사산(151)에 대응되는 나사산(251a)이 마련될 수 있다.
내캡(251)은 내측에 환테(251b)를 구비할 수 있으며, 환테(251b)에 의하여 하우징(22)의 하강이 저지될 수 있다. 또한 내캡(251)의 상단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버튼(24)의 상승을 제한할 수 있으며, 내캡(251)의 상면은 하우징(2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단과 맞물려서 하우징(22)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다.
내캡(251)의 외벽에는 단턱(251b)과 가이드홈(251d)이 마련될 수 있다. 단턱(251b)은 외캡(252)에서 탄성부재(26)가 맞닿는 환테(252a)의 하강을 저지할 수 있고, 가이드홈(251d)은 외캡(252)의 가이드돌기(252b)의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홈(251d)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로 형태를 가지며, 외캡(252)의 가이드돌기(252b)가 내캡(251)의 가이드홈(251d) 내에 인입된 상태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외캡(252)의 가이드돌기(252b)가 가이드홈(251d)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내캡(251)을 기준으로 외캡(252)의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진다.
다만 외캡(252)의 가이드돌기(252b)가 가이드홈(251d)의 상단에 걸린 채 외캡(252)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내캡(251)이 외캡(252)과 함께 회전하면서 용기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고, 반대로 외캡(252)의 가이드돌기(252b)가 가이드홈(251d)의 하단에 걸린 채 외캡(252)이 더 회전하는 경우에는 화장품의 흡입 등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외캡(252)은, 내캡(251)의 둘레에 마련되며 내벽에 환테(252a)와 가이드돌기(252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환테(252a)는 내캡(251)의 단턱(251b)에 걸려서 외캡(252)의 하강을 제한하며, 가이드돌기(252b)는 내캡(251)의 가이드홈(251d) 내에 안착된 상태로 움직이면서 외캡(252)의 상승과 하강, 또는 내캡(251)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다.
외캡(252)의 가이드돌기(252b)는, 내캡(251)의 가이드홈(251d)에서 상단 또는 하단에 놓일 때 외캡(252)과 내캡(251)이 한꺼번에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외캡(252)은, 가이드돌기(252b)가 내캡(251)의 가이드홈(251d)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움직일 때에만 내캡(251)과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외캡(252)에서 환테(252a)에는 탄성부재(26)가 안착될 수 있고, 탄성부재(26)는 외캡(252)과 버튼(2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24)을 누른 후 놓으면, 버튼(24)은 외캡(252)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돌출되는 위치로 회복될 수 있다.
외캡(252)의 상단은 버튼(24)의 하단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버튼(24)의 하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미감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탄성부재(26)는, 버튼(24)을 밀어올린다. 탄성부재(26)는 버튼(24)을 밀어올리지만 버튼(24)은 피스톤(23)과 일체로 승강하도록 마련되므로, 탄성부재(26)는 버튼(24)을 통해 피스톤(23)을 밀어올릴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탄성부재(26)에 의해 피스톤(23)이 상승하여 화장품을 흡입하는 것이 아니라, 탄성부재(26)에 의해 피스톤(23)이 상승할 때 피스톤(23)과 밀착되어 있는 하우징(22)도 상승하게 되어 화장품의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버튼(24)에 가하던 압력을 해제하더라도 하우징(22) 내로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버튼(24)을 눌렀다가 놓을 때 하우징(2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원천 차단될 수 있다.
탄성부재(26)는 버튼(24)과 외캡(252) 사이에 마련되어 내캡(251)을 기준으로 외캡(252)을 하강시킬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재(26)의 상단은 버튼(24)의 하단에 맞닿고 탄성부재(26)의 하단은 외캡(252)에서 환테(252a)의 상면에 맞닿아 있을 수 있다. 물론 내캡(251)에 대한 외캡(252)의 하강은, 탄성부재(26) 외에도 내캡(251)의 가이드홈(251d)의 형상으로 인해 구현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화장용 도구(20)가 화장품을 흡입/배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화장용 도구(20)가 용기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외캡(252)은 가이드돌기(252b)가 내캡(251)의 가이드홈(251d)의 상단에 안착됨에 따라 하강이 저지되어 있을 수 있고, 탄성부재(26)는 압축된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다.
또한 피스톤(23)은 하우징(22) 내에서 하강한 상태에 놓일 수 있고, 하우징(22)은 내캡(251)을 기준으로 상승한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으며, 버튼(24)은 외캡(252)을 기준으로 비교적 돌출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후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캡(252)을 잡고 돌리면 외캡(252)의 가이드돌기(252b)는 내캡(251)의 가이드홈(251d)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경사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외캡(252)은, 가이드홈(251d) 내에서 가이드돌기(252b)의 이동 및/또는 탄성부재(26)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내캡(251) 기준으로 회전 및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버튼(24)은 외캡(25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데, 다만 하우징(22) 내에서 피스톤(23)은 여전히 하강한 상태에 놓여 있으므로, 하우징(22) 내로 화장품이 유입되진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화장용 도구(20)를 용기 본체(10)로부터 빼내면서 드로퍼(21)의 외면이 패킹부재(14)의 내면에 걸리면서 잡아 당겨지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스톤(23)을 기준으로 하우징(22)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22)의 하강에 의해 상대적으로 피스톤(23)이 하우징(22)의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므로,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음압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화장품은 드로퍼(21)를 통해 하우징(22)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버튼(24)에 외력을 가하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튼(24)과 피스톤(23)이 일체로 하강하면서, 피스톤(23)이 하우징(22) 내에서 하강하여 하우징(22)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화장품이 드로퍼(21)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26)는 버튼(24)의 하단과 외캡(252)의 내측 단턱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버튼(24)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튼(24)을 밀어올리는 탄성부재(26)에 의해 내캡(251)을 기준으로 피스톤(23)이 상승하며, 이때 하우징(22)은 피스톤(23)의 외면과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마찰력에 의하여 피스톤(23)과 함께 상승하게 되고(하우징(22)과 일체로 연결된 드로퍼(21)도 상승함), 버튼(24)은 외캡(252)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23)의 상승은 하우징(22) 내부의 압력을 변화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버튼(24)이 돌출되는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하우징(22) 내부로는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하우징(22) 내부는 위생적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24)을 다시 누르더라도, 피스톤(23)은 이미 하우징(22) 내에서 하강한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에 화장품이 드로퍼(21)를 통해 더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추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드로퍼(21)를 용기 본체(10) 내에 인입시킨 후 다시 빼내면서 패킹부재(14)에 걸리도록 하여, 하우징(22)의 하강을 통해 하우징(22)의 내부에서 피스톤(23)이 상승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후 사용자가 화장용 도구(20)를 용기 본체(10)에 결합하면, 도 3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화장용 도구(20)가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될 때 차례로 도 4 및 도 5의 상태로 변화함에 따라 하우징(22) 내부로 화장품이 충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탄성부재(26)에 의해 하우징(22) 내에서 피스톤(23)이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드로퍼(21)가 패킹부재(14)에 걸리면서 하우징(22)의 하강이 이루어져 피스톤(23)의 상대적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10)에 드로퍼(21)가 인입되어야만 화장품의 흡입이 구현되도록 해서 정량의 토출을 보장하면서도 이물질 유입을 완벽히 방지해 위생성, 편의성, 소비자 만족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화장품 용기 10: 용기 본체
10a: 출구 11: 외용기
12: 내용기 13: 숄더
14: 패킹부재 15: 주둥이
151: 나사산 20: 화장용 도구
21: 드로퍼 211: 배출단
22: 하우징 221: 오링
23: 피스톤 24: 버튼
25: 캡 251: 내캡
251a: 나사산 251b: 환테
251c: 단턱 251d: 가이드홈
252: 외캡 252a: 환테
252b: 가이드돌기 26: 탄성부재

Claims (9)

  1. 화장품을 수용하며 출구에 패킹부재를 갖는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화장용 도구로서,
    상기 화장품을 흡입하였다가 토출하는 드로퍼;
    상기 드로퍼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두르며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버튼을 밀어올리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캡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버튼이 돌출되고, 상기 드로퍼가 상기 패킹부재에 걸리면서 인출될 때 상기 피스톤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이 하강하여 상기 화장품이 상기 드로퍼를 통해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드로퍼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되는 내캡; 및
    상기 내캡의 둘레에 마련되는 외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외벽에 경사로 형태의 가이드홈을 갖고,
    상기 외캡은, 상기 가이드홈에 안착되는 가이드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이 상기 내캡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해 상기 내캡을 기준으로 상기 외캡이 하강하여 상기 버튼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피스톤이 상기 하우징 내에서 하강하여 상기 드로퍼를 통해 상기 화장품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에 의해 외력이 가해졌다가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내캡을 기준으로 상기 피스톤과 상기 하우징이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버튼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은, 상기 하우징의 하강을 저지하는 환테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환테에 맞물리는 단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도구.
  9. 화장품을 수용하며 출구에 패킹부재를 갖는 용기 본체; 및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화장용 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170079696A 2017-06-23 2017-06-23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2035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96A KR102035067B1 (ko) 2017-06-23 2017-06-23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696A KR102035067B1 (ko) 2017-06-23 2017-06-23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56A true KR20190000556A (ko) 2019-01-03
KR102035067B1 KR102035067B1 (ko) 2019-10-23

Family

ID=6502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696A KR102035067B1 (ko) 2017-06-23 2017-06-23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0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528B1 (ko) * 2019-02-08 2020-04-09 김상선 피스톤을 구비한 자동 충전 스포이드 용기 캡
KR102150366B1 (ko) 2020-03-20 2020-09-01 주식회사 창신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CN112826205A (zh) * 2021-01-27 2021-05-25 上海英宇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双物料混合化妆品滴管瓶
CN115227023A (zh) * 2022-04-27 2022-10-25 郗大伟 化妆品滴管及包装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490B1 (ko) * 2020-03-16 2021-09-13 주식회사 탭코리아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2404972B1 (ko) * 2020-10-07 2022-06-07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드로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159B1 (ko) * 2010-06-07 2012-06-15 로레알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150134159A (ko) * 2014-05-21 2015-12-0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722531B1 (ko) * 2014-12-31 2017-04-03 (주)연우 버튼 출몰형 펌핑식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159B1 (ko) * 2010-06-07 2012-06-15 로레알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150134159A (ko) * 2014-05-21 2015-12-0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722531B1 (ko) * 2014-12-31 2017-04-03 (주)연우 버튼 출몰형 펌핑식 화장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528B1 (ko) * 2019-02-08 2020-04-09 김상선 피스톤을 구비한 자동 충전 스포이드 용기 캡
KR102150366B1 (ko) 2020-03-20 2020-09-01 주식회사 창신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CN112826205A (zh) * 2021-01-27 2021-05-25 上海英宇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双物料混合化妆品滴管瓶
CN115227023A (zh) * 2022-04-27 2022-10-25 郗大伟 化妆品滴管及包装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067B1 (ko)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556A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101442500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587785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US9427064B2 (en) Liquid dropper allowing quantitative withdrawal, and a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1789573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RU2549563C2 (ru) Нососные дозаторы
US5031802A (en) Metering bottle
KR101866233B1 (ko) 액체 배출 용기
KR102150366B1 (ko)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JP3905934B2 (ja) 容器に装着可能な液量装置
US11707754B2 (en) Double-walled container
KR10157200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EP4289764A1 (en) Container for discharging contents
KR101270347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JP5938828B2 (ja) 定量引出及び吐出が可能なスポイトを備える化粧品容器
JP2019156488A (ja) 液体吐出容器
KR101791681B1 (ko) 고점도 화장료용 스포이트 용기
KR200487644Y1 (ko)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1308775B1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CN111918824B (zh) 液体容器用定量排出装置
KR20160126566A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KR101464447B1 (ko) 정량 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JP2019172326A (ja) 吐出容器
JP7350442B2 (ja) 2種混合スポイト容器
KR102137560B1 (ko) 버튼 출몰식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