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8696Y1 - 기능성 젖병 - Google Patents

기능성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8696Y1
KR200328696Y1 KR20-2003-0016994U KR20030016994U KR200328696Y1 KR 200328696 Y1 KR200328696 Y1 KR 200328696Y1 KR 20030016994 U KR20030016994 U KR 20030016994U KR 200328696 Y1 KR200328696 Y1 KR 200328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air
opening
bottl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용
Original Assignee
김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용 filed Critical 김해용
Priority to KR20-2003-0016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86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8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86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에게 우유를 먹일 때 사용되는 기능성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젖병에 공기 유입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공기 유입수단에 의해 유아가 젖병의 젖꼭지를 빨 때 상기 젖병 내로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됨에 따라 상기의 유아는 우유를 원활하면서 지속적으로 섭취함과 함께 상기 젖병 내에서 우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우유를 담도록 상부가 개방된 젖병 본체(10)와, 상기 젖병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젖꼭지(20)가 구비된 젖병(100)에 있어서, 상기 젖병 본체(10)의 상부에는 젖병 본체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함께 유출되는 우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막음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막음부재(40) 내에는 우유가 유출되는 상기 우유의 유로를 형성함과 함께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하는 실리콘부재(50)를 삽입 설치하며, 상기 실리콘부재(50)의 상면에는 흐르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실리콘부재(50)의 개폐부를 개폐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개폐부재(60)가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젖병{FUNCTIONAL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유아에게 우유를 먹일 때 사용되는 젖병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아가 젖병의 젖꼭지를 빨 때 외부에서 젖병 내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유아가 우유를 안전하면서 용이하게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아기에게 먹일 우유 또는 분유와 물을 혼합한 우유를 담는 병으로서, 상기의 젖병은 플라스틱이나 유리 및 고무 등을 사용한다.
종래 젖병(10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유를 담도록 상부가 개방된 젖병 본체(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개방된 젖병 본체(10)의 상부에는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를 빨아먹을 수 있도록 유아가 무는 젖꼭지(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젖꼭지(20)의 끝단에는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가 젖꼭지(20)를 통해 상기 유아가 우유를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상기 우유가 배출됨은 물론 상기 젖꼭지(20)에서 유아가 입을 떼었을 때 외부의 공기가 젖병 본체(10)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젖병 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는 젖꼭지(20)가 결합된 뚜껑(30)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젖병 본체(10)는 우유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젖병(100)은 젖병 본체(10)에서 젖꼭지(20)가 구비된뚜껑(30)을 탈거한 다음 상기 상부가 개방된 젖병 본체(10) 내에 우유를 넣거나 또는, 분유와 물을 각각 넣어 혼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젖병 본체(10)의 상부에 젖꼭지(20)가 구비된 뚜껑(30)을 결합하고 나서 상기 우유가 담겨진 젖병 본체(10)를 들고 유아의 입에 젖꼭지(20)를 물리면, 상기 유아는 젖꼭지(20)를 빨면서 상기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를 먹게 된다.
즉, 유아의 빠는 힘에 의해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가 젖꼭지(20)의 구멍(21)을 통해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유아는 배출되는 우유를 섭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젖병은 유아가 젖병 본체 내의 우유를 섭취하고자 젖꼭지를 계속해서 빨게 되면 상기 젖병 본체의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어 젖병 본체 내의 우유가 젖꼭지를 통해서 잘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젖병 본체 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젖꼭지에서 유아는 입을 떼게 됨에 따라 상기 젖꼭지의 구멍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젖병 본체 내로 유입되므로 상기 유아는 지속적으로 젖병 본체 내의 우유를 섭취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적정한 압력으로 젖을 빨지 못하여 유아가 상기 젖꼭지를 입으로 물었다가 떼어다가 하면서 우유를 섭취할 때 다량의 공기도 같이 섭취되므로 인해 상기 섭취되는 공기에 의해 유아가 배앓이를 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유아가 젖병 본체 내의 우유를 섭취하기 위하여 젖꼭지를 지나치게 세게 빨게 되면 귀에 무리가 생겨 상기 유아는 중이염(일명 귀앓이)을 앓거나 볼거리가 생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되지 않은 우유에 의해 신경질적으로 변하거나 정서불안이 야기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수유 중 유아가 젖꼭지에서 입을 떼었을 때 상기 젖꼭지의 구멍뿐만 아니라 상기 젖병의 상부 외주면과 뚜껑 사이의 틈새 및 상기 젖병이나 젖꼭지에 형성되어 젖병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하는 공기 구멍을 통해서 상기 젖병 본체 내의 우유가 상기 젖병 본체의 외부로 누설되는 일이 발생됨은 물론 상기 누설되는 우유가 유아의 얼굴로 떨어져서 코나 눈으로 들어갈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음과 함께 상기 유아의 주변에 흘러내림에 따라 주변이 매우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젖병에서 공기 유입수단을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 유입수단에 의해 유아가 젖병의 젖꼭지를 빨 때 상기 젖병 내로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됨에 따라 상기 유아는 젖병 내의 우유를 원활하면서 지속적으로 섭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유아의 질병(중이염 등)을 방지함은 물론 정서불안 등을 예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젖병 내의 우유를 섭취할 때 상기의 우유가 젖병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유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상기 유아의 주변이 깨끗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젖병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기능성 젖병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기능성 젖병의 구조를 단면에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기능성 젖병의 개폐부재를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기능성 젖병 내로 공기와 우유가 유입/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기능성 젖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젖병 본체 20: 젖꼭지
40: 막음부재 41: 막음부 몸체
44: 공기 유입홈 46: 공기 유입공
50: 실리콘부재 51: 공기 개폐공
60: 개폐부재 61: 개폐판
63: 공기 유로공 64: 공기 유로홈
65: 개폐돌기 100: 젖병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우유를 담도록 상부가 개방된 젖병본체와, 상기 젖병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유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젖꼭지로 구성된 젖병에 있어서, 상기 젖병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기의 개방된 젖병 본체를 막도록 중앙부에 홈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부 외주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홈이 형성된 테두리를 갖는 막음부 몸체와, 상기 막음부 몸체에 형성되어 젖병 본체 내의 우유가 유출되는 복수개의 우유 유출공과, 상기 막음부 몸체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젖병 본체 내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공기 유입공을 갖는 공기 유입관이 구비된 막음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막음부 몸체의 홈부에는 막음부재의 각 우유 유출공과 일치되도록 복수개의 우유 유출공이 형성됨과 함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막음부재의 공기 유입공과 연결되는 공기 개폐공이 구비된 실리콘부재를 삽입 설치하며, 상기 실리콘부재의 상면에는 외측면에 단턱을 갖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측면으로부터 하부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공과, 상기 개폐판의 저면에 형성되어 개폐공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홈과, 상기 개폐판에 형성되어 젖병 본체 내의 우유가 유출되도록 막음부재와 실리콘부재의 각 우유 유출공과 일치되는 복수개의 우유 유출공과, 상기 개폐판의 하부 중앙부에는 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돌기가 구비된 개폐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젖병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기능성 젖병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고안 기능성 젖병의 구조를 단면에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기능성 젖병의 개폐부재를 저면에서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기능성 젖병 내로 공기와 우유가 유입/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우유를 담도록 상부가 개방된 젖병 본체(10)와, 상기 개방된 젖병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가 유출되는 구멍(21)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를 빨아먹을 수 있도록 유아가 무는 젖꼭지(20)와, 상기 젖병 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 결합되어 젖꼭지(20)가 결합된 뚜껑(30)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젖병(10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기능성 젖병(100)에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젖병 본체(10)의 상부에는 젖병 본체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함께 유출되는 우유의 유로를 형성하는 막음부재(4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막음부재(40) 내에는 우유가 유출되는 상기 우유의 유로를 형성함과 함께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하는 실리콘부재(50)가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리콘부재(50)의 상면에는 흐르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실리콘부재(50)의 개폐부를 개폐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개폐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막음부재(40)는 개방된 젖병 본체(10) 상부를 막는 막음부 몸체(41)가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막음부 몸체(41)의 상부 중앙부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홈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막음부 몸체(41)의 상부 외주면에는 젖병 본체(10)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테두리(4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43)의 소정위치에는 공기가 젖병 본체(10)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됨은물론 유입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입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막음부 몸체(41)의 홈부(42) 내측 바닥면에는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가 젖꼭지(20) 측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우유 유출공(47)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막음부 몸체(41)의 하단 중앙부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젖병 본체(10)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입공(46)을 갖는 공기 유입관(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유입관(45)의 끝단 즉, 젖병 본체(10) 내에 위치하는 공기 유입관(45)의 끝단은 젖병 본체(1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젖병 본체(10) 내로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됨은 물론 상기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가 공기 유입관(45)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실리콘부재(50)에는 막음부재(40)의 각 우유 유출공(47)을 통과한 우유가 젖꼭지(20)로 흐르도록 상기 흐르는 우유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막음부재(40)의 각 우유 유출공(47)과 일치되는 복수개의 우유 유출공(52)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부재(50)의 중앙부에는 막음부재(40)의 공기 유입공(46)으로 외부의 공기가 흐르도록 상기 공기 유입공(46)과 연결되는 공기 개폐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재(60)는 실리콘부재(5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외측면에 단턱(62)을 갖는 개폐판(6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61)의 외측면 소정위치에는 공기 유입홈(44)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개폐판(61)의 하부로 흐르도록 상기유입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공(63)이 개폐판(61)의 측면으로부터 하부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판(61)의 저면에는 공기 유로공(63)을 통해 유입되어 개폐판(61)의 하부를 흐르는 공기가 실리콘부재(50)의 공기 개폐공(51)으로 흐르도록 상기 흐르는 공기를 안내 및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홈(6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판(61)에는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가 젖꼭지(20) 측으로 유출되도록 상기 막음부재(40)와 실리콘부재(50)의 각 우유 유출공(47,52)을 통과하여 흐르는 우유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각 우유 유출공(47,52)과 일치되는 복수개의 우유 유출공(6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61)의 하부 중앙부에는 유아가 젖꼭지(20)를 빨면서 우유를 섭취할 때 젖병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공기 및 평상시 젖병 본체(10)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의 경우에 따라 실리콘부재(50)의 공기 개폐공(51)을 개폐하는 개폐돌기(6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60)의 각 우유 유출공(67) 중 어느 우유 유출공(67)에는 상기 막음부재(40)와 실리콘부재(50)의 각 우유 유출공(47,52)에 삽입되어 상기 막음부재(40)와 실리콘부재(50) 및 개폐부재(60)가 서로 유동 및 틀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각 우유 유출공(47,52,67)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폐부재(60)의 우유 유출공(67)이 형성된 우유 유출관(66)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개폐공(51)은 도면상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돌기(65)가 공기 개폐공(51)을 개폐 즉, 젖꼭지(20)를 빠는 유아에 의해 공기 개폐공(51) 주변의 실리콘부재(50)의 탄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개폐돌기(65)가 공기 개폐공(51)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리콘부재(50)의 중앙부에 실리콘부재(50)의 상면과 저면에서 일정한 깊이만큼 파여져 얇아진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은 본 고안 실리콘부재(5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실리콘부재(50)의 상부 외주연부에는 상기 막음부재(40)의 홈부(42) 내부와 실리콘부재(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만에 하나 유출된 우유를 담아두어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가 실리콘부재(50)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막음부재(40)의 내측면에 형성된 턱에 얹혀지는 날개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날개부(53)에는 개폐부재(60)의 공기 유로공(63)으로부터 유입되어 흐르는 공기가 막음부재(40)의 홈부(42) 내부와 실리콘부재(5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 유로공(63)과 일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가 우유를 섭취하지 않거나 또는, 젖병(100)을 바닥에 놓은 상태의 평상시에는 기능성 젖병(100)의 개폐부재(60)에 형성된 개폐돌기(65)가 실리콘부재(50)의 공기 개폐공(51)을 막게 됨에 따라 상기 젖병(100)의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음은 물론 외부 공기가 젖병 본체(10) 내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기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를 유아가 섭취하기 위해서 젖꼭지(20)를 빨게 되면 상기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는 막음부재(40)의 각 우유 유출공(47)과 실리콘부재(50)의 각 우유 유출공(52) 및 개폐부재(60)의 각 우유 유출공(67)을 통과하여 상기 젖꼭지(20)의 구멍(21)을 통해서 젖병(100)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상기 유출되는 우유를 유아가 섭취하게 된다.
또한, 막음부재(40)와 실리콘부재(50)의 각 우유 유출공(47,52)에 삽입되는 개폐부재(60)의 우유 유출관(66)에 형성된 우유 유출공(67)을 통해서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는 젖꼭지(20)로 유출된다.
여기서, 유아가 우유를 섭취하기 위해서 젖꼭지(20)를 빨게 되면 상기 젖병 본체(10)의 외부와 내부의 기압차가 발생되는데, 즉 상기 젖병 본체(10)의 외부 압보다 내부 압이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외부의 공기는 젖병 본체(10)의 상부면에 결합된 뚜껑(30)와 젖병 본체(10)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외부 공기는 막음부재(40)의 테두리(43)에 형성된 공기 유입홈(44)으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 유입홈(44)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개폐판(61)의 외측면에 형성된 단턱(62)을 따라 흐르게 되는데, 즉 개폐판(61)의 상부에는 젖꼭지(20)의 하부가 밀착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젖꼭지(20)의 하부와 개폐판(61) 사이에는 단턱(62)에 의해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의 공간을 따라 유입된 외부 공기가 흐르게 된다.
상기 공간을 따라 흐르는 외부 공기는 개폐판(61)의 측면으로부터 하부로 관통 형성된 공기 유로공(63)으로 유입되어 흐르게 되며, 상기의 외부 공기는 상기 개폐판(61)과 막음부재(40) 및 실리콘부재(50)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의 공간 내를 흐르면서 개폐판(61)의 저면에 형성된 공기 유로홈(64)으로 유입되어 상기 공기 유로홈(64)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실리콘부재(50)의 공기 개폐공(51)으로 안내된다.
상기의 공기 개폐공(51)은 유아가 젖꼭지(20)를 빨 때 발생하는 기압차에 의해서 개폐돌기(65)가 공기 개폐공(51)을 개방하게 되므로 상기 공기 유로홈(64)을 따라 흐르는 외부 공기는 개방된 공기 개폐공(51)을 통해서 막음부재(40)의 공기 유입관(45)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46)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유입공(46)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공기 유입공(46) 내를 흐르면서 젖병 본체(10) 내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젖병 본체(10)의 내부와 외부와의 기압차는 동일하게 된다.
그러므로,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는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젖꼭지(20) 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젖꼭지(20)의 구멍(21)을 통해서 우유가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상기 유아는 원활하게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를 섭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유아가 우유를 다 섭취하거나 먹지 않으려고 할 때에는 젖병 본체(10)의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이 동일함에 따라 상기 젖병 본체(10) 내로의 외부 공기 유입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막음부재(40)의 홈부(42)와 실리콘부재(50) 및 개폐부재(6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의 공간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저장 및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젖병 본체(10) 내에서 유출되는 우유를 저장하여 젖병 본체(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유아에게 우유를 먹이기 위해 젖병 본체(10)를 기울이면 젖병 본체(10) 내의 우유는 각 우유 유출공(47,52,67)을 통해 젖꼭지(20)로 유입됨과 함께 상기 공기 유입관(45)의 공기 유입공(46)에 채워져 있던 우유는 공기 개폐공(51)을 막고 있는 개폐돌기(65)에 의해 그래도 있다가 유아가 젖꼭지(20)를 빨게 되면 젖병 본체(10)의 내부와 외부 기압차에 의해 공기 개폐공(51) 주변의 실리콘부재(50)가 젖병 본체(10) 측으로 밀리면서 공기 개폐공(51)과 개폐돌기(65)가 떨어지면서 상기 개방되는 공기 개폐공(51)을 통해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공기 유입관(45)의 공기 유입공(46)에 있던 우유는 밀리면서 젖병 본체(10) 내로 유입된다.
만의 하나, 상기 젖병 본체(10) 내에서 유출되는 미량의 우유 및 상기 공기 유입관(45)의 공기 유입공(46) 내에 채워져 있던 우유가 공기 개폐공(51)을 통과하여 공기 유로홈(64)을 따라 흐르면서 유출되면, 상기 유출된 우유는 상기 막음부재(40)의 홈부(42)와 실리콘부재(50) 및 개폐부재(6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저장되므로 상기 유출된 우유가 젖병 본체(1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6은 기능성 젖병(100)의 구성 중 실리콘부재(50)의 구조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실리콘부재(50)의 상부 외주연부에는 막음부재(40)의 내측면에 형성된 턱에 얹혀지는 날개부(53)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날개부(53)에는 개폐부재(60)의 공기 유로공(63)과 일치되는 공기 유로구(5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날개부(53)에 의해서 상기 막음부재(40)의 홈부(42) 내부와 실리콘부재(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만에 하나 유출된 우유를 담아둠에 따라 상기 젖병 본체(10)내의 우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개폐부재(60)의 공기 유로공(63)으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공기 유로구(54)를 통해서 막음부재(40)의 홈부(42) 내부와 실리콘부재(5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개폐부재(60)의 공기 유로홈(64)으로 유입되며, 이 후의 과정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의 기능성 젖병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공기 유입수단 및 우유 유출수단을 갖는 막음부재, 실리콘부재,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기능성 젖병을 구비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젖병 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음과 함께 유아가 젖병 내의 우유를 섭취하고자 젖꼭지를 빨 때 상기 젖병의 내부와 외부와의 압력차가 발생됨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수단을 통해서 젖병 내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상기 젖병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젖병 내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진공상태를 방지하므로 상기 젖병의 외부로 우유가 원활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되는 우유를 유아가 지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섭취하므로 정서불안 등의 문제를 예방함은 물론 상기 젖병 내에서 우유만 섭취함에 따라 유아가 배앓이 및 귀앓이(중이염), 볼거리 등을앓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평상시 및 젖꼭지에서 유아가 입을 떼었을 때에는 개폐부재의 개폐돌기가 실리콘부재의 공기 개폐공을 막으므로 상기 젖병 내의 우유는 젖꼭지의 구멍뿐만 아니라 상기 젖병의 상부 외주면과 뚜껑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젖병 내의 우유가 상기 젖병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우유의 유출을 방지함으로 인해 상기 우유에 의한 유아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유아의 주변이 깨끗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우유를 담도록 상부가 개방된 젖병 본체와, 상기 젖병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유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젖꼭지로 구성된 젖병에 있어서,
    상기 젖병 본체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기의 개방된 젖병 본체를 막도록 중앙부에 홈부가 형성됨과 함께 상부 외주면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홈이 형성된 테두리를 갖는 막음부 몸체와, 상기 막음부 몸체에 형성되어 젖병 본체 내의 우유가 유출되는 복수개의 우유 유출공과, 상기 막음부 몸체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젖병 본체 내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공기 유입공을 갖는 공기 유입관이 구비된 막음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막음부 몸체의 홈부에는 막음부재의 각 우유 유출공과 일치되도록 복수개의 우유 유출공이 형성됨과 함께 중앙부에 형성되어 상기 막음부재의 공기 유입공과 연결되는 공기 개폐공이 구비된 실리콘부재를 삽입 설치하며,
    상기 실리콘부재의 상면에는 외측면에 단턱을 갖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의 측면으로부터 하부로 관통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공과, 상기 개폐판의 저면에 형성되어 개폐공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유로홈과, 상기 개폐판에 형성되어 젖병 본체 내의 우유가 유출되도록 막음부재와 실리콘부재의 각 우유 유출공과 일치되는 복수개의 우유 유출공과, 상기 개폐판의 하부 중앙부에는 공기 개폐공을 개폐하는 개폐돌기가 구비된 개폐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젖병.
  2.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부재의 각 우유 유출공 중 어느 우유 유출공은 각 우유 유출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하부에는 우유 유출공이 형성된 우유 유출관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젖병.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리콘 부재의 상부 외주연부에는 막음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턱에 얹혀지는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에는 개폐부재의 공기 유로공과 일치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젖병.
KR20-2003-0016994U 2003-05-30 2003-05-30 기능성 젖병 KR200328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994U KR200328696Y1 (ko) 2003-05-30 2003-05-30 기능성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994U KR200328696Y1 (ko) 2003-05-30 2003-05-30 기능성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8696Y1 true KR200328696Y1 (ko) 2003-10-01

Family

ID=4933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994U KR200328696Y1 (ko) 2003-05-30 2003-05-30 기능성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86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112B1 (ko) * 2005-03-31 2012-05-25 이란 자디크 삼손 통기식 젖꼭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112B1 (ko) * 2005-03-31 2012-05-25 이란 자디크 삼손 통기식 젖꼭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2041A1 (en) Bottle Assembly and a Vent Device Therefor
US10123946B2 (en) Teat for feeding bottle
JP2010521388A (ja) 飲用容器
KR101894739B1 (ko) 젖병
US9326916B2 (en) Non-spill valve
JP4510642B2 (ja) 弁装置
CN107920957A (zh) 用于防漏饮用杯的阀组件
JP3916543B2 (ja) 哺乳器
TWI606822B (zh) Artificial pacifier and breastfeeder with artificial pacifier (2)
KR200328696Y1 (ko) 기능성 젖병
KR101802787B1 (ko)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KR101705534B1 (ko) 수유용 젖병
KR100415948B1 (ko) 유아용 우유병
TW201501708A (zh) 人工奶嘴及具有人工奶嘴之哺乳器(一)
KR100430030B1 (ko) 젖병
KR20210010259A (ko) 우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 록하는 기능성 젖병
KR200484185Y1 (ko) 젖병
JP6701074B2 (ja) 乳幼児用哺乳乳首
KR200374926Y1 (ko) 젖병용 통기밸브
CN111169797B (zh) 饮料容器及盖组件
JP7420479B2 (ja) 飲料容器
KR102372867B1 (ko) 젖병용 젖꼭지 모듈
KR200281204Y1 (ko)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US20200390657A1 (en) Feeding bottle adaptor
KR20020046249A (ko) 매직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