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204Y1 -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204Y1
KR200281204Y1 KR2020020011764U KR20020011764U KR200281204Y1 KR 200281204 Y1 KR200281204 Y1 KR 200281204Y1 KR 2020020011764 U KR2020020011764 U KR 2020020011764U KR 20020011764 U KR20020011764 U KR 20020011764U KR 200281204 Y1 KR200281204 Y1 KR 200281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dapter
liquid
vent hol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용
Original Assignee
김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용 filed Critical 김강용
Priority to KR2020020011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204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도입구조를 통한 액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용기본체에 장착되고 유체통로와 통기구멍을 가지며 상면에 통기구멍과 연통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채널의 일측에 제1 채널과 외측단을 연결하는 제2 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채널의 폭과 깊이는 제2 채널의 폭과 깊이보다 넓고 깊게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와, 어댑터의 통기구멍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밸브수단과, 어댑터의 유체통로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어댑터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유체유출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도입시켜 액체의 흡입을 원활하게 보조하는 공기도입구조를 통한 액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킴으로써, 음료용기의 사용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CAP ASSEMBLY FOR DRINK RECEPTACLE}
본 고안은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도입구조를 통한 액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음료, 우유 등의 액체를 담아서 먹기 위한 음료용기는 매우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다. 음료용기의 일례로 한국 특허등록 제130746호의 유아용 젖병 조립체는 액체의 저장을 위하여 입구를 갖는 젖병과, 젖병의 입구에 끼워져 장착되어 있는 어댑터(Adapter)와, 어댑터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는 젖꼭지와, 젖병과 체결되어 젖꼭지를 결합시키는 칼라(Collar)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한국 특허등록 제130746호의 젖병 조립체는 유아가 젖꼭지를 흡입하면, 젖꼭지의 구멍을 통하여 젖병으로부터 액체가 유출된다. 그러나 젖병이 거꾸로 세워지거나 흔들릴 때 젖꼭지의 구멍과, 젖병과 칼라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액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아가 액체를 흡입할 때 젖병내의 공기가 액체와 함께 유출되면서 젖병내의 압력이 저하됨으로써, 액체의 유출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흡입력이 약한 유아 혼자 젖병을 사용하기는 상당히 곤란하기 때문에 부모가 젖병을 흔들거나 눌러 액체의 유출을 보조하여야 하는번거롭고 불편한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40475호의 음료용기용 덮개조립체는 음료용기의 뚜껑에 액체의 유출을 위한 출구를 갖는 스파우트(Spout)가 구성되어 있으며, 스파우트와 인접하는 위치의 뚜껑에는 음료용기와 연통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유연성을 갖는 밸브수단으로 다이아프램(Diaphragm)의 확대헤드와 립(Lip)은 사용자가 스파우트를 흡입할 때만 스파우트의 출구와 뚜껑의 공기구멍을 각각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40475호의 음료용기용 덮개조립체는 사용자가 스파우트를 흡입할 때 다이아프램의 립에 의하여 폐쇄되어있던 공기구멍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음료용기내로 도입됨으로써, 액체의 유출을 원활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액체가 담겨진 음료용기가 거꾸로 세워지거나 넘어질 경우, 유체의 압력을 부여받는 다이아프램이 변형되고, 다이아프램의 변형에 의하여 립이 뚜껑의 공기구멍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뚜껑의 공기구멍을 통하여 많은 양의 액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누설되는 액체는 음료를 흡입하는 사용자에게 묻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를 수반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도입구조에 의하여 액체의 흡입이 원활하면서도 액체의 누설을 효과적을 방지시킬 수 있는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용기본체에 장착되고, 유체통로와 통기구멍을 가지며, 상면에 통기구멍과 연통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채널의 일측에 제1 채널과 외측단을 연결하는 제2 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채널의 폭과 깊이는 제2 채널의 폭과 깊이보다 넓고 깊게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와; 어댑터의 통기구멍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밸브수단과; 어댑터의 유체통로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어댑터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유체유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조립체가 적용되어 있는 음료용기의 일례로 젖병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조립체에서 공기도입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조립체에서 공기도입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용기본체 11: 입구
20: 어댑터 22: 유체구멍
25: 통기구멍 26, 26a: 제1 채널
27, 27a: 제2 채널 28: 단절부
30: 젖꼭지 40: 밸브부재
41: 제1 다이어프램 42: 제2 다이어프램
50: 마개 60: 뚜껑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음료용기는 음료, 우유 등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본체(1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입구(11)를 갖는 병목(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병목(12)의 외면에는 일부분이 단절된 불연속 형태의 수나사(1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나사(13)는 병목(12)의 양쪽에서 부분적으로 단절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젖병은 용기본체(10)의 입구(11)에 장착되는 어댑터(20)를 구비한다. 어댑터(20)는 원판형 베이스(Base: 21)를 가지며, 베이스(21)의 중앙에는 용기본체(10)로부터 액체를 유출시킬 수 있는 유체통로를 이루는 유체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1)의 상면에 유체구멍(22)의 주위로 유체구멍(22)과 동심을 이루는 보스(23)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용기본체(10)의 입구(12)에 끼워맞춤되는 림(Rim: 24)이 돌출되어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어댑터(20)에는 용기본체(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외부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공기도입구조가 구성되어 있다. 어댑터 (20)의 베이스(21)에 용기본체(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외부공기를 도입시키는 공기도입구조로 통기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기구멍 (25)의 직경은 8mm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1)의 상면에 통기구멍(25)과 연통되도록 환형의 제1 채널(Channel: 26)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채널(26)의 일측에는 제1 채널(26)과 어댑터(20)의 외측단을 연결하는 직선형의 제2 채널(2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채널(26)의 폭(W1)과 깊이(D1)는 제2 채널(27)의 폭(W2)과 깊이(D2)보다 넓고 깊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채널(26)에 형성되어 있는 통기구멍(25)은 제2 채널(27)로부터 원거리의 도정(道程)을 이루도록 제2 채널(27)과 반대방향에 위치되어 있다.
도 5와 도 6에는 용기본체(1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외부공기를 도입시킬 수 있는 공기도입구조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댑터(20)의 베이스(21)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 채널(26a)은 제2 채널(27a)과 근접하는 부분이 단절부(28)에 의하여 단절되어 있으며, 공기통로 (25)는 제1 채널(26a)의 단절부(28)와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2 채널(27a)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도정을 이룬다. 제1 채널(26a)의 폭(W1)과 깊이(D1)는 제2 채널(27a)의 폭(W2)과 깊이(D2)보다 넓고 깊게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어댑터(20)의 보스(23)에는 유체유출수단의 예로 유연성을 갖는 젖꼭지(30)의 개방단부(31)가 끼워맞춤에 의하여 장착되어 있다. 젖꼭지(30)는 개방단부(3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어댑터(20)의 베이스(21)에 밀착되어 제1 및 제2 채널(26, 27)의 상방을 폐쇄하는 플랜지(Flange: 32)를 갖는다. 젖꼭지(30)의 상부에 유아의 흡입을 위하여 융기부(33)가 돌출되어 있으며, 융기부(33)의 상단에는 방사상으로 절제된 형상의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유출수단은 젖꼭지(30) 대신에 어댑터(20)의 유체구멍(22)을 통하여 유출되는 액체를 사용자가 입으로 흡입할 수 있으며 어댑터(20)의 베이스 (21)에 밀착되어 제1 채널(26, 26a)과 제2 채널(27, 27a)의 상방을 폐쇄하는 형상을 갖는 스파우트, 마우스피스(Mouthpiece), 스트로(Straw) 등으로 대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젖병은 어댑터(20)의 유체구멍(22)과 통기구멍(25)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는 밸브부재(40)를 구비한다. 밸브부재(40)는 어댑터(20)의 상면에 유체구멍(22)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밀폐하고 있는 환상의 제1 다이어프램(41)과, 어댑터(20)의 하면에 통기구멍(25)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밀폐하고 있으며 용기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다수의 유체구멍(42a)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원호형의 제2 다이어프램(42)과, 어댑터(20)의 유체구멍(22)을 통하여 제1 다이어프램(41)과 제2 다이어프램(42)을 일체로 연결하는 테이퍼(Tape)를 갖는 원통형 포스트(Post: 43)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부재(40)의 포스트(43)는 그 테이퍼가 이루는 각도에 의하여 유체구멍(22)의내면과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유체구멍(22)을 통한 유체의 유출을 원활하게 유지시킨다.
도 2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다이어프램(42)의 가장자리에는 어댑터(20)의 통기구멍(25)에 대응되도록 환상의 그루브(Groove: 4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42b)를 기준으로 반경방향의 내측에서 베이스(21)의 저면에 밀착되어 제2 다이어프램(42)의 지지점이 되는 지지면(4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면 (42c)의 끝단에는 반경방향의 외측에서 베이스(21)의 저면에 밀착되는 얇은 립 (42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다이어프램(42)의 상면에는 유체구멍(42a)의 주위로 제2 다이어프램(42)이 어댑터(20)의 베이스(21)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방지수단으로 복수의 돌기(42e)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돌기(42e)는 유체구멍(42a)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리브(Rib)로 대신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유출수단으로 유체통로를 갖는 파이프형 스트로를 채용할 경우, 밸브부재(40)의 유체구멍(42a)은 배제시키고 밸브부재(40)의 중앙을 관통하여 용기본체(1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스트로를 장착한다. 어댑터(20)의 유출구멍(22)과 밸브부재(40)의 제1 다이어프램(41), 그리고 밸브부재(40)의 중앙을 관통하는 스트로 사이로 유체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실링(Sealing)에 의하여 기밀을 유지시킨다. 또한, 스트로의 선단에는 잘 알려진 마개를 장착하여 스트로의 유체통로를 통한 유체의 유출을 방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젖병은 어댑터(20)와 젖꼭지(30)를 용기본체(10)의 입구 (11)에 장착시키기 위한 마개(50)를 구비한다. 마개(50)의 내면에는 용기본체(10)의 수나사(13)에 체결되는 불연속 형태의 암나사(5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나사(51)는 4부분이 등간격으로 단절되어 있다. 용기본체(10)의 수나사(13)와 마개(50)의 암나사(51)를 체결하게 되면, 수나사(13)와 암나사(51)의 단절된 부분에 의하여 용기본체(10)의 병목(12)과 마개(50)의 내면 사이에 어댑터 (20)의 제2 채널(26, 26a)과 연통되는 공기통로(52)가 형성된다. 마개(50)의 상면 중앙에 젖꼭지(30)가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개(50)의 외면에 환상의 단턱(54)이 형성되어 있고, 마개(50)의 단턱(54)에는 관통구멍(53)을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젖꼭지(30)의 보호를 위하여 마개(50)에 결합되는 뚜껑(60)의 하단이 지지된다. 용기본체(10), 어댑터(20), 마개(50)와 뚜껑(60)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젖꼭지(30)와 밸브부재(40)는 실리콘러버(Silicon rubber)나 실리콘수지(Silicon resin)를 소재로 제작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본체(10)의 입구(11)를 통하여 우유, 음료 등의 액체를 주입시킨 후, 어댑터(20)의 유체구멍(22)에 밸브부재(40)의 포스트(43)를 끼워 장착시키고, 용기본체(10)의 입구(11)에 어댑터(20)의 림(24)을 끼워 장착시킨다. 그리고 마개(50)의 관통구멍(53)에 젖꼭지(30)의 융기부(33)가 통과되도록 끼워 장착시키고, 용기본체(10)의 수나사(13)에 마개(50)의 암나사(51)를 체결시키면 젖병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마개(50)의 체결력에 의하여 용기본체(10)의 입구(11)에 어댑터(20)의 베이스(21)가 긴밀하게 밀착되며, 어댑터(20)의 베이스(21)에는젖꼭지(30)의 플랜지(32)가 긴밀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채널(26, 27)의 상부는 젖꼭지(30)의 플랜지(32)에 의하여 폐쇄된다. 또한, 어댑터(20)의 유체구멍(22)은 밸브부재(40)의 제1 다이어프램(41)에 의하여 폐쇄되고, 어댑터(20)의 통기구멍(25)은 밸브부재(40)의 제2 다이어프램(42)에 의하여 폐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0)내의 액체가 입구(11)에 도달하도록 용기본체 (10)를 기울이게 되면, 액체는 밸브부재(40)의 제2 다이어프램(42)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구멍(42a)을 통과하여 어댑터(20)와 제2 다이어프램(42)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아가 젖꼭지(30)의 융기부(33)를 흡입하게 되면, 유아의 흡입력에 의하여 밸브부재(40)의 제1 다이어프램(41)이 어댑터(20)의 베이스(21)로부터 이격되면서 도 2의 화살표 "A"로 도시되어 바와 같이 어댑터(20)의 유체구멍(22)을 통한 액체의 유출을 허용한다.
어댑터(20)의 유체구멍(22)을 통과한 액체는 젖꼭지(30)의 구멍(34)을 통하여 유출된다. 젖꼭지(30)의 융기부(33)를 강하게 흡입할 경우, 밸브부재(40)의 제2 다이어프램(42)이 어댑터(20)의 베이스(21)쪽으로 변형된다. 이때, 제2 다이어프램 (42)의 돌기(42e)가 어댑터(20)의 베이스(21)에 접촉되면서 제2 다이어프램(42)의 유체구멍(22)이 어댑터(20)의 베이스(21)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 다이어프램(42)의 유체구멍(22)을 통한 유체의 유출이 중단됨이 없이 원활한 상태로 지속된다.
또한, 유아가 젖꼭지(30)의 흡입을 중지하면, 밸브부재(40)의 제1 다이어프램(41)이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어 어댑터(20)의 유체구멍(22)을 밀폐시킨다. 따라서, 어댑터(20)의 유체구멍(22)을 통해서는 1회의 흡입으로 적정한 양의 액체가 유출된다. 그리고 젖꼭지(30)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흡입시 젖꼭지(30)의 융기부(33)가 변형되면서 달라붙지 않도록 젖꼭지(30)의 원형과 탄성을 유지시킨다.
한편, 액체의 유출과 동시에 용기본체(10)내의 압력이 저하되며, 용기본체 (10)의 병목(12)과 마개(50) 사이의 공기통로(52)와 어댑터(20)의 통기구멍(25)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공기압력에 의하여 밸브부재(40)의 제2 다이어프램 (42)에 형성되어 있는 립(42d)이 어댑터(20)의 베이스(21)로부터 이격되면서 도 2의 화살표 "B"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기구멍(25)을 통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한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어댑터(20)의 제2 채널(27, 27a), 제1 채널(26, 26a)과 통기구멍(25)을 통하여 용기본체(10)내로 도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용기본체 (10)의 내부압력과 외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며, 이에 따라 유아는 액체를 원활하고 간편하게 유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10)의 내부압력과 외부압력이 평형을 이루면, 제2 다이어프램(42)의 립(42d)은 탄성에 의하여 복원되어 어댑터 (20)의 통기구멍(25)을 밀폐시킨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0)의 내부압력에 따라 밸브부재(40)의 제2 다이어프램(25)이 어댑터(20)의 통기구멍(25)을 개방 또는 밀폐시켜 용기본체(10)내로 도입되는 공기량을 적정하게 제어하고, 또한 어댑터(20)의 통기구멍(25)을 통하여 용기본체(10)내로 도입되는 공기를 유아가 직접 흡입할 수 없는 구조에 의하여 공기의 흡입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액체가 저장되어 있는 용기본체(10)가 거꾸로 세워지거나 넘어질 경우, 용기본체(10)의 입구(12)로 집중되는 액체의 압력을 부여받는 밸브부재(40)의 제2 다이어프램(42)이 변형된다. 제2 다이어프램(42)의 변형에 의하여 립(42d)이 어댑터(20)의 베이스(21)로부터 이격되면서 통기구멍(25)을 통하여 미량의 액체가 누설되게 된다. 어댑터(20)의 통기구멍(25)을 통하여 누설되는 액체는 제1 채널(26)을 따라 흐르면서 제2 채널(27)과 용기본체(10)의 병목(12)과 마개(5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52)를 통하여 마지막에 마개 (50)의 외측으로 누설된다. 이와 같이 통기구멍(25)을 통하여 누설되는 미량의 액체가 통기구멍(25)과 제2 채널(27)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원거리의 도정을 이루는 제1 채널(26)을 따라 흐르면서 제2 채널(27)에 도달하는 것이 지체되며, 이에 따라 제2 채널(27)을 통한 액체의 누설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특히, 제1 채널(26)에 채워지는 액체의 압력에 의하여 통기구멍(25)을 통한 액체의 누설이 차단된다. 제1 채널(26)에 누설되어 있는 액체는 유아의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통기구멍(25)을 통하여 다시 용기본체(10)내로 유입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통로(25)가 제1 채널(26a)의 단절부(28)와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2 채널(27a)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도정을 이루 경우, 앞에서 설명한 제1 채널(26)과 제2 채널(27)에 의한 액체의 누설방지효과를 보다 배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록청구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에 의하면, 용기본체의 내부로 공기를 도입시켜 액체의 흡입을 원활하게 보조하는 공기도입구조를 통한 액체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킴으로써, 음료용기의 사용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용기본체에 장착되고, 유체통로와 통기구멍을 가지며, 상면에 상기 통기구멍과 연통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채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채널의 일측에 상기 제1 채널과 외측단을 연결하는 제2 채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채널의 폭과 깊이는 상기 제2 채널의 폭과 깊이보다 넓고 깊게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의 통기구멍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밸브수단과;
    상기 어댑터의 유체통로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어댑터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유체유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통기구멍은 상기 제2 채널과 반대방향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제2 채널과 근접하는 부분이 단절부에 의하여 단절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구멍은 상기 제1 채널의 단절부와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KR2020020011764U 2002-04-18 2002-04-18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KR200281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764U KR200281204Y1 (ko) 2002-04-18 2002-04-18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764U KR200281204Y1 (ko) 2002-04-18 2002-04-18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204Y1 true KR200281204Y1 (ko) 2002-07-13

Family

ID=7312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764U KR200281204Y1 (ko) 2002-04-18 2002-04-18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2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95571B (zh) 吸管杯
CN1972660B (zh) 奶瓶
EP1841662B1 (en) Leak resistant drinking cup
US6325236B1 (en) Drinking device
JP5650741B2 (ja) 乳首ユニット
US20070262041A1 (en) Bottle Assembly and a Vent Device Therefor
JP5041560B2 (ja) 液漏れを防止する飲料容器用の蓋
RU2461347C2 (ru) Зап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детской бутылочки для питья или детской чашки-поильника
US20030168462A1 (en) Replacement cap for vessel
PL196041B1 (pl) Zespół zamykający, mocowany na otwartym naczyniu do napojów
JP2006347580A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US20050006415A1 (en) Two-part closure system and nozzle with groove
US7703634B2 (en) Air valve for a cap provided with mouthpiece for drinking
KR200281204Y1 (ko)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JP3916543B2 (ja) 哺乳器
KR100430030B1 (ko) 젖병
JP2023530999A (ja) ベントシステム
KR200261735Y1 (ko) 젖병
CN113277213B (zh) 配备有吸管的奶瓶兼容盖子
JP7420479B2 (ja) 飲料容器
CN111169797B (zh) 饮料容器及盖组件
KR200328696Y1 (ko) 기능성 젖병
TW202033422A (zh) 飲水瓶防漏結構
KR20200011247A (ko) 빨대와 빨대가 결합된 뚜껑
TWM580549U (zh) Drinking water bottle leakproof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