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787B1 -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 Google Patents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787B1
KR101802787B1 KR1020160078749A KR20160078749A KR101802787B1 KR 101802787 B1 KR101802787 B1 KR 101802787B1 KR 1020160078749 A KR1020160078749 A KR 1020160078749A KR 20160078749 A KR20160078749 A KR 20160078749A KR 101802787 B1 KR101802787 B1 KR 101802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bottle
discharge port
edible liqui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욱
Original Assignee
김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욱 filed Critical 김준욱
Priority to KR1020160078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A61J11/008Protecting caps
    • A61J11/0085Protecting caps with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1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는 식용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 쪽을 향하여 좁아지는 원추형 형태의 배출부와, 상기 식용 액체를 상기 배출부로 유동해주는 유동부를 포함하고, 유아용 젖병에 결합될 수 있는 젖병용 젖꼭지에 있어서, 상기 식용 액체보다 밀도가 낮은 물체로, 상기 식용 액체 위로 뜰 수 있는 부력 부재; 상기 부력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에 밀착가능한 제 1 판막 부재; 상기 배출부에 진입 가능하도록 요구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식용 액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밀착될 수 있는 제 2 판막 부재; 및 상기 젖병용 젖꼭지 내부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유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에 의하면, 젖병 내의 공기가 영아에게 흡입되지 않게 해야 함은 물론이며, 젖병 내의 우유를 끝까지 먹이면서도 젖병 내의 공기가 영아에게 흡입되지 않으므로, 빈 젖병이나, 수유시 우유가 비어가는 젖병을 물고 있는 영아에게서 강제로 젖병을 빼앗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Inside plug of nursing bottle for preventing colic}
본 발명은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젖병은 아이에게 우유나 모유를 담아 먹일 때 쓰이는 병으로, 일반적으로 열에 강하고 가볍고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젖병을 신생아와 같은 영아가 사용시, 영아가 젖병 속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서 영아산통, 즉 배앓이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아이가 빈 젖병을 계속 빨고 있지 못하게 막아야 하며, 수유시 아이가 젖병속의 공기를 덜 먹게 해야 하며, 수유 후에는 트름을 나오게 아이의 등을 문질러주어 젖병 속의 들여마신 공기를 나오도록 해줘야 한다.
이러한 배앓이로 인하여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들처럼 배앓이를 방지하는 젖병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배앓이 방지용 젖병에 의하면, 공기를 젖병 내부로 유입시켜 젖병 내의 우유가 쉽게 빠져나가고 우유에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영아가 우유를 다 마신 후에도 젖병을 계속 물고 있으면 젖병 속의 공기를 더욱 많이 흡입할 수 있으므로, 오히려 배앓이가 더욱 심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다른 문제점으로는 젖병 내의 공기가 영아에게 흡입되지 않게 해야 함으로, 아이가 젖병 안의 우유를 거의 먹어갈 때, 일부러 약간의 우유를 약간 남긴 후, 우유를 그만 먹이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빈 젖병이나, 수유시 우유가 비어가는 젖병을 영아에게 빼앗아 공기를 흡입하지 못하도록 해야하는 경우도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1-0024959호, 공개일자: 2011.03.09., 발명의 명칭: 배앓이 방지를 위한 수유용 젖병 등록특허 제 10-1215956호, 등록일자: 2012.12.20., 발명의 명칭: 영아의 배앓이를 방지하기 위한 젖꼭지의 구조
본 발명은 젖병 내의 공기가 영아에게 흡입되지 않게 해야 함은 물론이며, 젖병 내의 우유를 끝까지 먹이면서도 젖병 내의 공기가 영아에게 흡입되지 않으므로, 빈 젖병이나, 수유시 우유가 비어가는 젖병을 물고 있는 영아에게서 강제로 젖병을 빼앗지 않아도 되는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는 식용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 쪽을 향하여 좁아지는 원추형 형태의 배출부와, 상기 식용 액체를 상기 배출부로 유동해주는 유동부를 포함하고, 유아용 젖병에 결합될 수 있는 젖병용 젖꼭지에 있어서, 상기 식용 액체보다 밀도가 낮은 물체로, 상기 식용 액체 위로 뜰 수 있는 부력 부재; 상기 부력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에 밀착가능한 제 1 판막 부재; 상기 배출부에 진입 가능하도록 요구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식용 액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밀착될 수 있는 제 2 판막 부재; 및 상기 젖병용 젖꼭지 내부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유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 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하강하면, 상기 제 1 판막 부재가 상기 유동부에 점차 밀착되고, 상기 제 1 판막 부재가 상기 유동부에 밀착되면, 상기 제 1 판막 부재가 상기 배출부와 상기 유동부 사이를 밀폐시키고, 상기 제 1 판막 부재가 상기 유동부를 향하여 하강될 때, 상기 제 2 판막 부재는 상기 배출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판막 부재가 상기 유동부에 완전 밀착될 때, 상기 제 2 판막 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완전하게 막음으로써, 상기 제 2 판막 부재가 상기 배출부에 남아있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젖병용 젖꼭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에 의하면, 식용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 쪽을 향하여 좁아지는 원추형 형태의 배출부와, 상기 식용 액체를 상기 배출부로 유동해주는 유동부를 포함하고, 유아용 젖병에 결합될 수 있는 젖병용 젖꼭지에 있어서, 상기 식용 액체보다 밀도가 낮은 물체로, 상기 식용 액체 위로 뜰 수 있는 부력 부재; 상기 부력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에 밀착가능한 제 1 판막 부재; 상기 배출부에 진입 가능하도록 요구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식용 액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밀착될 수 있는 제 2 판막 부재; 및 상기 젖병용 젖꼭지 내부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유동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젖병 내의 공기가 영아에게 흡입되지 않게 해야 함은 물론이며, 젖병 내의 우유를 끝까지 먹이면서도 젖병 내의 공기가 영아에게 흡입되지 않으므로, 빈 젖병이나, 수유시 우유가 비어가는 젖병을 물고 있는 영아에게서 강제로 젖병을 빼앗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를 정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젖병에 내용물이 차있는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가 빈 젖병의 마개의 입구를 막은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를 정면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사시도이고,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젖병에 내용물이 차있는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가 빈 젖병의 마개의 입구를 막은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100)는 부력 부재(120)와, 제 1 판막 부재(130)와, 제 2 판막 부재(140)와, 유동 부재(110)를 포함한다.
젖병용 젖꼭지(10)는, 식용 액체(50)를 배출하는 배출구(13)와, 상기 배출구(13) 쪽을 향하여 좁아지는 원추형 형태의 배출부(12)와, 상기 식용 액체(50)를 상기 배출부(12)로 유동해주는 유동부(11)를 포함하고, 유아용 젖병(2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젖병용 젖꼭지(10)는 영아용 유아용에 따라 그 크기와 형태가 다르므로, 상기 젖병용 젖꼭지(10)에 맞게 상기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100)가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부력 부재(120)는 상기 식용 액체(50)보다 밀도가 낮은 물체로, 상기 식용 액체(50) 위로 뜰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력 부재(120)는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에 부력을 전달해 줄 수 있다.
상기 부력 부재(120)의 내부에는 상기 식용 액체(50)보다 밀도가 낮도록 하는 외부와 밀폐된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층은 상기 부력 부재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층은 외부와 밀폐되어 상기 부력 부재(120) 내부에서 상기 공기층이 계속 유지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기층으로 인하여 상기 부력 부재(120)가 상기 식용 액체(50)보다 밀도가 낮아진다.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는 상기 부력 부재(120)가 결합되고, 상기 유동부(11)에 견고하게 밀착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는 상기 유동부(11)에 밀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얇은 팍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는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의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짐으로, 상기 유동부(11)에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의 모서리 부분이 더욱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는 상기 배출부(12)에 진입 가능하도록 요구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13)에서 상기 식용 액체(50)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배출구(13)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에는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와 결합되고 상기 배출부(12)로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를 삽입 가능하게 안내해주는 안내 부재(1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부재(145)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의 상기 배출구(13)로 향하는 면상의 배출구(13)와 수직인 부분에 형성되고, 긴 막대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상기 배출부(12)를 지나 상기 배출구(13)까지 도달하도록 안내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는 상기 배출부(12)에 삽입이 편하고, 상기 배출구(13)를 견고하게 막기 위해 상기 배출구(13)를 바라보는 면상으로 표면적이 좁아지는 원추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원추형 형태로 형성됨으로, 상기 배출부(12)로의 진입이 용이하며, 매우 좁은 입구 형태의 상기 배출구(13)를 견고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12)가 상기 배출구(13)를 향하여 내부 간격이 점차 좁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상기 배출구(13)를 향하여 상기 배출부(12)로는 쉽게 삽입되지만, 상기 배출구(13)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내부 간격이 좁아져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좁은 상기 배출구(13)로 향하여 삽입된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상기 배출부(12) 내부를 쉽게 빠져나가지 못한다.
또한,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상기 배출구(13)에 면밀하게 밀착되도록, 얇은 판막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 부재(110)는 상기 젖병용 젖꼭지 내부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의 유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동 부재(110)는 플랙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됨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유동 부재(110)는 상기 젖병(20)과 상기 젖병용 젖꼭지(10)가 결합되는 결합부(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젖병용 젖꼭지(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부재(110)에는 상기 부력 부재(120)가 상기 젖병(20) 내에서 일정 거리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동거리를 제한해주는 일정 크기의 돔 형태로 형성된 판막 조정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막 조정부(115)는 플랙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됨으로 쉽게 휘어질 수 있어, 상기 부력 부재(12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판막 조정부(115)의 상태가 조정된다.
상기 젖병(20) 내부에 상기 식용 액체(50)가 일정량으로 차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13)가 지면을 향해 있을 때, 상기 부력 부재(120)의 높이보다 상기 식용 액체(50)의 높이가 더 높을 경우, 상기 부력 부재(120)가 일정 거리 이상 상승되지 못하도록 상기 판막 조정부(115)가 막아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13)를 통하여 상기 식용 액체(50)가 배출되면서 상기 부력 부재(120)의 높이보다 상기 식용 액체(50)의 높이가 낮아지려 하는 경우, 상기 부력 부재(120)가 상기 배출구(13)를 향하여 하강하면서, 상기 판막 조정부(115)도 상기 부력 부재(120)를 따라 점차 하강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는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보다 상대적으로 무게가 나감으로써, 상기 배출구(13)가 일정하지 않은 기울기로 지면을 향해 있어도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의 무게에 따른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상기 배출구(13)를 향해 하강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부력 부재(120)가 상기 배출구(13)를 향하여 하강하는 상태가 지속되면,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상기 유동부(11)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밀착되고,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 사이의 공간이 밀폐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13)를 통해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려 할 때,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상기 배출구(13)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와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 사이의 공기가 상기 배출구(13)를 통해 방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젖병(20)에는 일정량의 상기 식용 액체(50)가 채워져 있고, 상기 결합부(30)에는 상기 젖병(20)과 상기 젖병용 젖꼭지(10) 사이에 상기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100)의 상기 유동 부재(110)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젖병(20)을 눕혀 상기 배출구(13)에서 상기 식용 액체(50)가 나오도록 상기 배출부(12)에 일정 압력을 가해주면 상기 배출구(13)에서 상기 식용 액체(50)가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부력 부재(120)는 상기 식용 액체(50)보다 밀도가 낮으므로 상기 식용 액체(50)의 위로 올라가려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동 부재(110)가 상기 부력 부재(120)의 유동 범위를 제한해준다.
상기 젖병(20) 내의 식용 액체(50)가 상기 부력 부재(120)의 높이보다 낮아지면 상기 부력 부재(120)는 상기 식용 액체(50)의 표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식용 액체(50)가 계속 줄어들면, 상기 부력 부재(120)는 상기 배출구(13) 쪽으로 향하여 하강하면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가 상기 유동부(11)에 점차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식용 액체(50)가 상기 유동부(11)의 높이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가 서로 다른 상기 유동부(11)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13)를 통해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 사이의 공기를 흡입하려 할 때, 흡입력에 의해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상기 배출구(13)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와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 사이의 공기가 상기 배출구(13)를 통해 방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가 상기 유동부(11)와 상기 젖병(20) 사이의 공기를 상기 배출구(13)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막아줌으로써, 상기 젖병용 젖꼭지(10)를 사용하고 있는 유아가 상기 공기를 흡입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가 상기 유동부(11)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상기 배출부(12)로 삽입되면서 상기 안내 부재(145)가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를 상기 배출구(13)로 안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12)에 남아있는 상기 식용 액체(50)를 상기 배출구(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면,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가 상기 젖병용 젖꼭지(10) 내부에서 상기 배출구(13)를 막아줌으로써, 상기 배출구(13)를 통하여 상기 배출부(12)에 남아있는 공기를 상기 유아가 흡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젖병(20) 내의 상기 식용 액체(50)가 거의 대부분 배출되었을 때,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로 상기 젖병(20)과 상기 유동부(11) 사이를 밀폐시키고 상기 배출구(13)를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로 막음으로써, 상기 젖병용 젖꼭지(10)를 물고 있는 상기 유아가 상기 젖병(20) 내의 공기를 흡입하지 못하므로, 상기 유아가 상기 젖병(20) 내의 공기를 삼킴으로 인하여 배앓이를 앓았던 증상이 없어질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유아가 상기 젖병(20) 내의 상기 식용 액체(50)를 전부 흡입하거나 빈 상기 젖병(20)을 물고 있을 경우, 상기 젖병(20) 내의 공기를 상기 유아가 흡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젖병(20)을 상기 유아에게서 빼앗아 떨어트려놔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상기 젖병(20) 내에 상기 식용 액체(50)가 없을 경우, 상기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100)로 상기 유아가 상기 젖병(20) 내의 공기를 삼키지 못하도록 막아줌으로써, 상기와 같이 상기 유아가 흡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젖병(20)을 상기 유아에게서 빼앗아 떨어트려놔야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
이러한 상기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100)는 형태가 다른 여러 종류의 상기 각 젖병(20)을 상기 젖병용 젖꼭지(10)에 대응하게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제 1 판막 부재(130)는 상기 유동부(11)와 완전히 밀착되고, 상기 제 2 판막 부재(140)는 상기 배출구(13)에 정확히 막을 수 있도록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100)가 각기 다른 상기 젖병용 젖꼭지(10)에 맞게 각각 성형됨으로써, 상기 각 젖병용 젖꼭지(10)의 요구되는 사항에 최적화된 상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에 의하면, 젖병 내의 공기가 영아에게 흡입되지 않게 해야 함은 물론이며, 젖병 내의 우유를 끝까지 먹이면서도 젖병 내의 공기가 영아에게 흡입되지 않으므로, 빈 젖병이나, 수유시 우유가 비어가는 젖병을 물고 있는 영아에게서 강제로 젖병을 빼앗지 않아도 됨으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110 : 유동 부재
120 : 부력 부재
130 : 제 1 판막 부재
140 : 제 2 판막 부재
10 : 젖꼭지
20 : 젖병
30 : 결합부

Claims (6)

  1. 식용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 쪽을 향하여 좁아지는 원추형 형태의 배출부와, 상기 식용 액체를 상기 배출부로 유동해주는 유동부를 포함하고, 유아용 젖병에 결합될 수 있는 젖병용 젖꼭지에 있어서,
    상기 식용 액체보다 밀도가 낮은 물체로, 상기 식용 액체 위로 뜰 수 있는 부력 부재;
    상기 부력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에 밀착가능한 제 1 판막 부재;
    상기 배출부에 진입 가능하도록 요구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식용 액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밀착될 수 있는 제 2 판막 부재; 및
    상기 젖병용 젖꼭지 내부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유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 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향하여 하강하면, 상기 제 1 판막 부재가 상기 유동부에 점차 밀착되고,
    상기 제 1 판막 부재가 상기 유동부에 밀착되면, 상기 제 1 판막 부재가 상기 배출부와 상기 유동부 사이를 밀폐시키고,
    상기 제 1 판막 부재가 상기 유동부를 향하여 하강될 때, 상기 제 2 판막 부재는 상기 배출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판막 부재가 상기 유동부에 완전 밀착될 때, 상기 제 2 판막 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완전하게 막음으로써, 상기 제 2 판막 부재가 상기 배출부에 남아있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젖병용 젖꼭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가 상기 유동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밀착되고, 상기 제 1 판막 부재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 사이의 공간이 밀폐되면, 상기 제 2 판막 부재와 상기 제 1 판막 부재 사이의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방출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3. 삭제
  4. 삭제
  5. 식용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 쪽을 향하여 좁아지는 원추형 형태의 배출부와, 상기 식용 액체를 상기 배출부로 유동해주는 유동부를 포함하고, 유아용 젖병에 결합될 수 있는 젖병용 젖꼭지에 있어서,
    상기 식용 액체보다 밀도가 낮은 물체로, 상기 식용 액체 위로 뜰 수 있는 부력 부재;
    상기 부력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유동부에 밀착가능한 제 1 판막 부재;
    상기 배출부에 진입 가능하도록 요구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상기 식용 액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밀착될 수 있는 제 2 판막 부재; 및
    상기 젖병용 젖꼭지 내부에서 상기 제 1 판막 부재와 상기 제 2 판막 부재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는 유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판막 부재는
    상기 배출구를 바라보는 면상으로 표면적이 좁아지는 원추형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막 부재는 상기 제 1 판막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무게가 나감으로써, 상기 배출구가 일정하지 않은 기울기로 지면을 향해 있어도 상기 제 2 판막 부재의 무게에 따른 중력에 의하여 상기 제 2 판막 부재가 상기 배출구를 향해 하강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KR1020160078749A 2016-06-23 2016-06-23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KR101802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49A KR101802787B1 (ko) 2016-06-23 2016-06-23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49A KR101802787B1 (ko) 2016-06-23 2016-06-23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787B1 true KR101802787B1 (ko) 2017-11-29

Family

ID=6081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749A KR101802787B1 (ko) 2016-06-23 2016-06-23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7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0752A (zh) * 2019-10-22 2020-01-14 上海岸谷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防止胀气的奶瓶
CN111467240A (zh) * 2020-04-16 2020-07-31 蒯圣广 一种防止吸入空气的奶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0752A (zh) * 2019-10-22 2020-01-14 上海岸谷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防止胀气的奶瓶
CN111467240A (zh) * 2020-04-16 2020-07-31 蒯圣广 一种防止吸入空气的奶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5315T3 (es) Recipiente con capuchón hermético y sistema de ventilación
US8113365B2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US20110079570A1 (en) Fully continuously vented drinking cup for infants and children
AU715734B2 (en) Nursing bottle
US20110155684A1 (en) Baby bottle and feeding system
PL206081B1 (pl) Urządzenie do spożywania cieczy bez rozlewania
US20050258124A1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RU2733476C2 (ru)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бутылочки для кормления и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US8146759B2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anted vent tube
CA2840134A1 (en) Teat for feeding bottle
KR101802787B1 (ko)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US8479934B2 (en) Bottle design with multiple seals
CN109862864A (zh) 喂食瓶装置
CN107920957A (zh) 用于防漏饮用杯的阀组件
CA2611742C (en) Fully vented wide rim nursing bottle with contoured vent tube
KR101705534B1 (ko) 수유용 젖병
KR100799744B1 (ko) 필터를 구비하는 젖병
KR100832236B1 (ko) 환경 호르몬 방지 젖병
CA3125215A1 (en) Baby bottle device
CA2714171C (en) Fully vented nursing bottle with single piece vent tube
RU28066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в виде детской бутылочки
CN113271908B (zh) 婴儿奶瓶
KR200328696Y1 (ko) 기능성 젖병
CN214484131U (zh) 防误吸一口量饮水杯
CN217793835U (zh) 一种防喷水的鸭嘴奶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