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379B1 -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379B1
KR102082379B1 KR1020180122009A KR20180122009A KR102082379B1 KR 102082379 B1 KR102082379 B1 KR 102082379B1 KR 1020180122009 A KR1020180122009 A KR 1020180122009A KR 20180122009 A KR20180122009 A KR 20180122009A KR 102082379 B1 KR102082379 B1 KR 102082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module
central
beverage container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순규
Original Assignee
(주)쁘띠엘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쁘띠엘린 filed Critical (주)쁘띠엘린
Priority to KR102018012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6Details of bendable stra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대가 자유롭게 휠 수 있도록 하면서, 휠 때 음료통로가 좁아지지 않도록 하여, 어떤 방향 및 어떤 각도에서도 자유롭게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는 음료용기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캡의 하단면에 접하는 하단플랜지부;
하단플랜지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단에 내측으로 경사진 단턱홈을 형성하고, 단턱홈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테이퍼모듈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단부가 상기 스크류캡의 상단면에 접하는 스터브부; 및 하단부가 상기 단턱홈의 중앙을 수직 관통하여, 상기 단턱홈과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중앙테이퍼모듈에 삽입 부착되는 빨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Straw Module Coupled To A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어린 아이들이 사용하는 음료용기의 기술분야에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빨대와 관련된 기술분야에 포함된다.
활동량이 많은 어린아이들은 많은 양의 땀을 흘린다. 어린아이들은 배출되는 땀의 양에 대응하여 수분 공급이 필수적이다.
현재에는 어린아이들이 시시 때때로 수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돕는 음료용기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아울러, 음료용기에 채워진 음료수를 보다 편안하고 안전하게 먹을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빨대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5880호에 게시된 빨대, 즉 용기와 함께 빨대가 기울어져 음료수가 고이는 곳에 빨대가 위치하게 되도록 하는 음료용기용 빨대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음료용기 빨대와 더불어 현재 개발된 대다수의 음료용기 빨대가 쉽게 꺾이고, 꺾였을 때, 음료통로가 좁아지게 되어 음료 흡입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5880호 (등록일자: 2001년 03월 21일)
본 발명은 빨대가 자유롭게 휠 수 있도록 하면서, 휠 때 음료통로가 좁아지지 않도록 하여, 어떤 방향 및 어떤 각도에서도 음료를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빨대 입구가 뭉툭해 어린아이의 입에 상처를 내지 않도록 하고, 하단플랜지부에 에어밸브가 있어 스크류캡과 체결하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에어밸브를 통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는, 음료용기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캡의 하단면에 접하는 하단플랜지부;
상단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며 종단면이 직삼각형으로 형성된 단턱홈과, 상기 단턱홈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테이퍼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하단플랜지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단부가 상기 스크류캡의 상단면에 접하는 스터브부; 및
하단부가 상기 단턱홈의 중앙을 수직 관통하여, 상기 단턱홈과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중앙테이퍼모듈에 삽입되며 부착되는 빨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테이퍼모듈은,
상기 단턱홈에 연결되며 중앙에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의 상단을 감싸는 상측면의 너비가 상기 중앙홀의 하단을 감싸는 하측면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빨대부는,
상기 중앙테이퍼모듈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에 접하는 하단빨대모듈;
상기 하단빨대모듈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중앙빨대모듈;
상기 중앙빨대모듈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빨대모듈의 높이 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빨대모듈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단빨대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빨대부는,
외측에서 상기 중앙빨대모듈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하단빨대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이격공간 상에서 상기 중앙빨대모듈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하부플랜지부는 원 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중앙플랜지홀과 상기 중앙플랜지홀을 따라 외측으로 형성된 날개모듈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모듈에 상기 스크류캡에 형성된 결합가이드돌기와 결합되는 결합가이드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플랜지부는 상기 결합가이드수용홈과 상기 중앙플랜지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에어밸브가 형성되고, 상기 스터브부에 상기 에어밸브과 중첩되도록 에어밸브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는 빨대가 자유롭게 휘면서도, 휠 때 통로가 좁아지지 않도록 하여 휘어진 방향 및 휘어진 각도에서 음료가 원활하게 배출 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빨대 입구가 뭉툭하게 형성되어 어린아이가 빨대를 물때 입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단플랜지부에 에어밸브가 형성되고 그 에어벨브가 스크류 캡과 체결하면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형성되어, 외부에서 음료용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면서도, 용기 내부의 음료가 스크류캡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이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상대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를 I-I'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의 에어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가 세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를 어린아이가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단지 충실 및 완전하게 하여,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나타내는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다. 이러한 도면상에서 표시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이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상대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는 빨대부(3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빨대부(30)가 스터브부(20)의 중앙테이퍼모듈(21) 상에서 움직이며 음료가 나오는 통로가 좁아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는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라 통로의 좁아짐 없이 휘며 원활하게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는 빨대부(30)의 상단빨대모듈(330)이 뭉툭하게 형성되어, 어린아이가 상단빨대모듈(330)를 물더라도 상단빨대모듈(330)의 외주면에 있어 의해 어린아이의 입안에 상처를 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는 하단플랜지부(10)가 스크류캡(110)과 체결되었을 때, 겉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 에어밸브(122)를 포함하여 음료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스크류캡(110)의 외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00)와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캡(110)과 연결되어 음료를 담는 음료용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터브부(20)에 연결빨대(140)가 연결되어 음료용기(100)에 수용된 음료가 빨대부(30)를 통해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어린아이의 사용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부(120) 그리고 빨대부(30)의 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뚜껑(130)과 결합되는 음료용기(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는 하단플랜지부(10), 스터브부(20) 및 빨대부(30)를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음료용기(100) 및 연결빨대(140) 등과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를 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하단플랜지부(10)는 중앙에 중앙플랜지홀(11) 그리고 중앙플랜지홀(11)을 따라 외측으로 날개모듈(12)이 돌출 형성된 원 판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단플랜지부(10)의 날개모듈(12)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가이드수용홈(121)과 적어도 하나의 에어밸브(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플랜지부(10)의 중앙플랜지홀(11)에는 스터브부(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스터브부(20)는 중앙플랜지홀(11)의 내주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스터브부(20)는 돌출 형성된 면의 중앙에서 내측으로 경사진 단턱홈(32)을 포함한다. 그리고, 단턱홈(32)에 연결된 중앙테이퍼모듈(21)을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테이퍼모듈(21)은 상측면의 길이가 하측면의 길이보다 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중앙테이퍼모듈(21)은 중앙에 중앙홀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앙테이퍼모듈(21)은 단턱홈(32)에 연결될 수 있다.
중앙테이퍼모듈(21)의 중앙홀에는 빨대부(3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스터브부(20)는 중앙플랜지홀(11)의 내주면에서 소정높이로 돌출된 후, 날개모듈(12)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플랜지부(10)와 함께 끼움결합홈(21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스터브부(20)는 양측에 끼움결합홈(211)이 형성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스크류캡(110)은 끼움결합홈(211)에 끼워지며 스터브부(20)와 하단플랜지부(1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스크류캡(110)은 하단면에 형성된 결합가이드돌기(1101)가 하단플랜지부(10)의 결합가이드수용홈(121)에 결합된다. 결합가이드돌기(1101)와 결합가이드수?홈(121)의 결합은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와 강한 결합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빨대부(30)는 단턱홈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단턱홈(32)과 이격공간(321)을 형성하며 중앙테이퍼모듈(21)에 삽입되고 중앙테이퍼모듈(21)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빨대부(30)는 중앙테이퍼모듈(21)에 삽입되는 하단빨대모듈(310), 하단빨대모듈(310)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중앙빨대모듈(320) 그리고 중앙빨대모듈(320)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상단빨대모듈(330)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단빨대모듈(310)은 중앙테이퍼모듈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특징이 있다. 중앙빨대모듈(320)은 외주면에 단턱홈(32)의 최상단과 동일 선상에 형성된 굽음방지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굽음방지고리는 튜브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굽음방지고리는 중앙빨대모듈(320)의 하단부의 강도(强度)를 키워 외측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하단부가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며 음료의 이동통로가 좁아지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중앙빨대모듈(320)은 하단빨대모듈(310)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단빨대모듈(330)은 중앙빨대모듈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중앙빨대모듈(320) 및 하단빨대모듈(310) 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빨대부(30)는 하단빨대모듈(310)와 전술한 연결빨대(140)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연결빨대(140)로 음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빨대부(30)를 통해 음료용기에 있는 음료를 쉽게 흡입 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의 작동상태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의 에어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빨대부(30)는 외측에서 중앙빨대모듈(320) 또는 상단빨대모듈(330)에 힘이 가해지면 하단빨대모듈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중앙빨대모듈(320)과 상단빨대모듈(330) 만이 단턱홈(32) 내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브부(20)상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 빨대부(30)에 우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빨대부(30)는 하단빨대모듈(310)이 스터브부(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단빨대모듈(330)과 중앙빨대모듈(320) 만이 우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빨대부(30)에 좌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빨대부(30)는 하단빨대모듈(310)이 스터브부(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단빨대모듈(330)과 중앙빨대모듈(20)만이 좌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빨대부(30)는 힘이 전달되는 방향을 따라 여러 방향으로 휘며 사용자가 여러 방향에서 음료를 자유롭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빨대부(30)는 휠 때 음료통로가 좁아지지 않도록 하며 사용자가 쉽게 음료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의 에어밸브(122)는 결합가이드수용홈(121)과 중앙플랜지홀(11) 사이에서, 중앙플랜지홀(11)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밸브(122)는 하단플랜지부(10)가 스크류캡(110)과 체결되었을 때, 겉에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에어밸브(122)가 형성된 위치와 중첩되는 스터브부(20) 상에는 에어밸브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밸브홈(22)은 에어밸브(122)으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밸브(12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구멍으로 형성되어 에어밸브홈(2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벨브(122)는 사용자가 빨대부(30)를 흡입할 때,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밸브홈(2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음료용기(100) 내부로 원활하게 이동 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에어밸브(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캡(110)에 체결되어 스크류캡의 상측면 즉, 겉에서 드러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에어밸브(122)는 상단면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캡(110)에 의해 막혀 음료용기의 내부에 있는 음료(A)가 외부로 누수 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에어밸브(122)는 스크류캡의 상측면에 막혀, 음료용기의 내부에 있는 음료(A)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의 세척의 용이성과 안전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가 세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를 어린아이가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는 빨대부(30)가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되지 않음에도 여러 방향으로 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는 빨대부(30)가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되지 않고 스터브부(20)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에, 얇은 세척솔(B)로 빨대부(30)의 내부를 쉽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1)의 상단빨대모듈(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뭉툭하게 형성되어, 어린아이(C)가 상단빨대모듈(330)을 빨며, 음료를 흡입하는 동안 어린아이(C)의 입안에 상처를 내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상단빨대모듈(330)은 중앙빨대모듈(320)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어린아이(C)가 젖꼭지를 무는 거와 같은 느낌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젖꼭지를 사용하는 아기들도 거부감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10: 하단플랜지부
11: 중앙플랜지홀 12: 날개모듈
121: 결합가이드수용홈 122: 에어밸브
100: 음료용기 110: 스크류캡
1101: 결합가이드돌기 120: 손잡이부
130: 뚜껑 140: 연결빨대
20: 스터브부 21: 중앙테이퍼모듈
211: 끼움결합홈 22: 에어벨브홈
30: 빨대부 310: 하단빨대모듈
320: 중앙빨대모듈 330: 상단빨대모듈
32: 단턱홈 321: 이격공간
A: 음료 B: 세척솔
C: 어린아이

Claims (3)

  1. 음료용기에 스크류 결합되는 스크류캡의 하단면에 접하는 하단플랜지부(10);
    상단에서 내측으로 경사지며 종단면이 직삼각형으로 형성된 단턱홈(32)과, 상기 단턱홈(32)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중앙테이퍼모듈(21)을 포함하여, 상기 하단플랜지부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의 하단부가 상기 스크류캡의 상단면에 접하는 스터브부(20); 및
    하단부가 상기 단턱홈의 중앙을 수직 관통하여, 상기 단턱홈(32)과 이격공간(321)을 형성하며 상기 중앙테이퍼모듈(21)에 삽입되며 부착되는 빨대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테이퍼모듈(21)은,
    상기 단턱홈(32)에 연결되며 중앙에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홀의 상단을 감싸는 상측면의 너비가 상기 중앙홀의 하단을 감싸는 하측면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빨대부(30)는,
    상기 중앙테이퍼모듈의 중앙홀에 삽입되는 하단빨대모듈(310);
    상기 하단빨대모듈(310)과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중앙빨대모듈(320);
    상기 중앙빨대모듈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빨대모듈의 높이 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빨대모듈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단빨대모듈(330);을 포함하여,
    상기 빨대부(30)는,
    외측에서 상기 중앙빨대모듈(320)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하단빨대모듈(31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이격공간(321) 상에서 상기 중앙빨대모듈(320)이 움직이는,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2. 삭제
  3. 삭제
KR1020180122009A 2018-10-12 2018-10-12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KR102082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09A KR102082379B1 (ko) 2018-10-12 2018-10-12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009A KR102082379B1 (ko) 2018-10-12 2018-10-12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379B1 true KR102082379B1 (ko) 2020-02-27

Family

ID=6964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009A KR102082379B1 (ko) 2018-10-12 2018-10-12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3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880Y1 (ko) 2000-10-09 2001-06-01 유혜란 음료용기용 빨대
KR200307479Y1 (ko) * 2002-11-25 2003-03-19 주식회사 멀티렉스 커플 음료용기
KR20100020215A (ko) * 2008-08-12 2010-02-22 하태선 유아용 스트로우 젖꼭지
KR200452146Y1 (ko) * 2007-09-19 2011-02-08 문오형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 개폐부를 갖는 마개
KR101897663B1 (ko) * 2017-06-07 2018-09-12 주식회사 실리캠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880Y1 (ko) 2000-10-09 2001-06-01 유혜란 음료용기용 빨대
KR200307479Y1 (ko) * 2002-11-25 2003-03-19 주식회사 멀티렉스 커플 음료용기
KR200452146Y1 (ko) * 2007-09-19 2011-02-08 문오형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 개폐부를 갖는 마개
KR20100020215A (ko) * 2008-08-12 2010-02-22 하태선 유아용 스트로우 젖꼭지
KR101897663B1 (ko) * 2017-06-07 2018-09-12 주식회사 실리캠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15734B2 (en) Nursing bottle
RU2329031C2 (ru) Непролива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итья
US8640902B2 (en) Drinking container vent system and method
US4821896A (en) Nursing bottle with a liner and vent
US5570796A (en) Nursing bottle with an air venting structure
US6230923B1 (en) Drinking bottle provided with a flexible liquid-sucking member adapted to serve as a drinking straw
JP2010521388A (ja) 飲用容器
JP2014525880A (ja) キャップ
US1695076A (en) Liquid container, nursing bottle
JP2014508599A (ja) シリコン哺乳瓶
US7984817B1 (en) Combined pacifier and beverage container
KR102082379B1 (ko)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KR20190000570U (ko) 빨대가 구비된 컵
GB2605663A (en) Baby bottles
KR20140114249A (ko) 일회용 통기관을 구비한 젖병
KR100850796B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US20200397166A1 (en) Textured lid for a drinking container
WO2002028344A2 (en) Adaptor for feeding liquids to infants
US20160235228A1 (en) Weaning clip
KR102162890B1 (ko) 빨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빨대컵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KR101802787B1 (ko) 배앓이 방지용 젖병 속마개
KR20180083504A (ko) 역류방지 위생 빨대
JP3200914U (ja) 弁付きストロー
US20070068893A1 (en) Spill proof drinking cap for bott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