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479Y1 - 커플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커플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479Y1
KR200307479Y1 KR20-2002-0035178U KR20020035178U KR200307479Y1 KR 200307479 Y1 KR200307479 Y1 KR 200307479Y1 KR 20020035178 U KR20020035178 U KR 20020035178U KR 200307479 Y1 KR200307479 Y1 KR 200307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everage
straw
containers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멀티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멀티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멀티렉스
Priority to KR20-2002-0035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4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1Supporting means fix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컵과 같은 외부형상을 갖으면서 둘로 분리되는 음료용기를 구성하고, 그 음료용기를 상단에는 스트로가 구비된 커버부재를 결합함으로서 두 사람이 각각 원하는 음료를 세트화 된 하나의 용기에서 함께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로가 꽂아진 음료용기를 내부의 음료가 쏟아지는 않도록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스트로를 꽂아서 내부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는 접촉면이 서로 면접촉하는 한쌍의 용기로 분리 구성하고, 분리 구성된 용기의 하단부에는 경사돌기를 형성하여 받침부재의 경사돌기들과 나사식으로 착탈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의 상단에는 후크를 형성하여 커버부재의 탄성고리에 형성된 각홀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커버부재의 관통홀에 각각 스트로를 꽂아 그 스트로의 상단부를 지지홀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커플 음료용기 {Twin drink bottle}
본 고안은 두 사람이 각각 원하는 음료를 세트화 된 용기에서 함께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커플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컵과 같은 외부형상을 갖으면서 둘로 분리되는 음료용기를 구성하고, 그 음료용기를 상단에는 스트로가 구비된 커버부재를 결합함으로서 스트로가 꽂아진 음료용기를 음료가 쏟아지는 않도록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과 술을 포함한 음료수는 액상이므로 반드시 병, 캔, 컵 등에 용기에 담아서 유통, 판매 및 휴대해야만 라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음료수를 담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용기는 하나의 용기에 담긴 음료를 직접 마실 때는 한사람이 하나의 용기 내의 음료를 모두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하나의 용기에 담긴 음료를 두 사람 이상이 나누어 마실 때는 별도의 컵에 각각 음료수를 따라서 마시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나의 용기 내에 담긴 음료를 한사람이 모두 마시거나 두 사람 이상이 나누어 마시는 것에 관계없이 하나의 용기에는 한가지의 음료만이 담겨 있으므로 음료를 마시는 취향이 다른 두 사람이 각각 원하는 음료를 조금씩 마시려하여도 각각 원하는 음료가 담긴 용기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각 구입한 용기 내부의 음료는 모두 마시지 못할 경우 버려야 하는 것이므로 자원의 낭비가 발생됨은 물론 환경오염까지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료용 용기는 병이나 캔 및 컵 등의 용기 형상에 관계없이 스트로(straw)를 사용하여 음료를 마신 후에는 스트로를 통하여 음료가 흐르게 되므로 스트로가 꽂힌 음료용기는 손에 들지 않으면 음료가 쏟아질 염려가 커서 휴대하고 이동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컵과 같은 외부형상을 갖으면서 둘로 분리되는 음료용기를 구성하고, 그 음료용기를 상단에는 스트로가 구비된 커버부재를 결합함으로서 두 사람이 각각 원하는 음료를 세트화 된 하나의 용기에서 함께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로가 꽂아진 음료용기를 내부의 음료가 쏟아지는 않도록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커플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커버부재를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용기 11, 21 : 개방부
12, 22 : 접촉면 13, 14, 23, 24 : 후크
15, 16, 25, 26, 32, 33, 34, 35 : 경사돌기
30 : 받침부재 31 : 중앙홀
40 : 커버부재 41 : 돌출편
42, 43 : 관통홀 44, 45 : 지지홀
46 : 에어홀 47, 48 : 탄성고리
49 : 각홀 51, 53 : 스트로
52, 54 : 상단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트로(51)(53)를 꽂아서 내부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를 접촉면(12)(22)이 서로 면접촉하는 한쌍의 용기(10)(20)로 분리 구성하고, 분리 구성된 용기(10)(20)의 하단부에는 경사돌기(15)(16)(25)(26)를 형성하여 받침부재(30)의 경사돌기(32)(33)(34)(35)들과 나사식으로 착탈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10)(20)의 상단에는 후크(13)(14)(23)(24)를 형성하여 커버부재(40)의 탄성고리(47)(48)에 형성된 각홀(49)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커버부재(40)의 관통홀(42)(43)에 각각 스트로(51)(53)를 꽂아 그 스트로(51)(53)의 상단부(52)(54)를 지지홀(44)(45)에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홀(44)(45)의 바닥면에는 에어홀(46)을 형성하여 요기(10)(20) 내부의 음료가 용기(10)(20)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세트화된 두 개의 용기(10)(20)를 접촉면(12)(22)이 서로 면접촉되도록 밀착시킨 후 그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돌기(15)(16)(25)(26)에 받침부재(30)에 형성된 경사돌기(32)(33)(34)(35)를 나사식으로 결합함으로서 엘치화된 형태로 음료 용기(10)(2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용기(10)(20)는 외형을 원통형은 물론 사각형 또는 원뿔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외형을 다양한 형상으로 할 때 경사돌기(15)(16)(25)(26)(32)(33)(34)(35)의 결합부분만 원형으로 구성하면 다양한 형상의 커플 음료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30)의 내부에는 중앙홀(31)을 형성함으로서용기(10)(20)의 착탈시 받침부재(30)의 내부에 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부재(30)의 소재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10)(20)와 받침부재(30)를 결합한 상태에서 각각의 용기(10)(20) 내부에 서로 다른 음료를 주입하고 용기(10)(20)의 상단에 커버부재(40)를 올려서 탄성고리(47)(48)의 각홀(49)을 용기(10)(20)의 후크(13)(14)(23)(24)에 결합하면 간편하게 용기(10)(20)의 상단에 커버부재(40)를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40)에 형성된 관통홀(42)(43)에는 스트로(51)(53)를 삽입하면 스트로(51)(53)로 용기(10)(20) 내부의 음료를 편리하게 빨아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40)에는 돌출편(41)을 형성하여 손잡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커버부재(40)를 용기(10)(20)의 상단에서 분리할 때 커버부재(40)의 돌출편(41)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용기(10)(20)와 커버부재(40)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커플 음료용기는 내부의 음료를 마시다가 스트로(51)(53)의 상단부(52)(54)를 각각의 지지홀(44)(45)에 삽입하면 스트로(51)(53)를 통해 용기(10)(20)에서 넘치려는 음료가 지지홀(44)(45)의 에어홀(46)을 통해 용기(10)(20)로 다시 떨어지게 되므로 스트로(51)(53)를 꽂은 상태에서도 음료가 쏟아질 염려없이 용기(10)(20)를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트로 사용하는 커플 음료용기는 용기(10)(20)의 상단과하단에서 받침부재(30)와 커버부재(40)를 분리하면 두 개의 용기(10)(20)는 독립된 각각의 용기(10)(20)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컵과 같은 외부형상을 갖으면서 둘로 분리되는 음료용기를 구성하고, 그 음료용기를 상단에는 스트로가 구비된 커버부재를 결합함으로서 두 사람이 각각 원하는 음료를 세트화 된 하나의 용기에서 함께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로가 꽂아진 음료용기를 내부의 음료가 쏟아지는 않도록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스트로(51)(53)를 꽂아서 내부의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를 접촉면(12)(22)이 서로 면접촉하는 한쌍의 용기(10)(20)로 분리 구성하고, 분리 구성된 용기(10)(20)의 하단부에는 경사돌기(15)(16)(25)(26)를 형성하여 받침부재(30)의 경사돌기(32)(33)(34)(35)들과 나사식으로 착탈되도록 하며, 상기 용기(10)(20)의 상단에는 후크(13)(14)(23)(24)를 형성하여 커버부재(40)의 탄성고리(47)(48)에 형성된 각홀(49)에 결합되도록 한 후, 상기 커버부재(40)의 관통홀(42)(43)에 각각 스트로(51)(53)를 꽂아 그 스트로(51)(53)의 상단부(52)(54)를 지지홀(44)(45)에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커플 음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44)(45)의 바닥면에는 에어홀(46)을 형성하여 용기(10)(20) 내부의 음료가 용기(10)(20)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커플 음료용기.
KR20-2002-0035178U 2002-11-25 2002-11-25 커플 음료용기 KR200307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78U KR200307479Y1 (ko) 2002-11-25 2002-11-25 커플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178U KR200307479Y1 (ko) 2002-11-25 2002-11-25 커플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479Y1 true KR200307479Y1 (ko) 2003-03-19

Family

ID=4940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178U KR200307479Y1 (ko) 2002-11-25 2002-11-25 커플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4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79B1 (ko) * 2018-10-12 2020-02-27 (주)쁘띠엘린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CN113148367A (zh) * 2021-02-15 2021-07-23 轩辕利刚 一种环保卫生饮料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79B1 (ko) * 2018-10-12 2020-02-27 (주)쁘띠엘린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CN113148367A (zh) * 2021-02-15 2021-07-23 轩辕利刚 一种环保卫生饮料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0215A (en) No spill beverage cup
CA2573910C (en) Child's drinking cup
US20030002385A1 (en) Convertible drink shaker and glass
US20070267424A1 (en) Dual usage beverage container
HK1078449A1 (en) Blender and mugs
US20110198361A1 (en) Flip straw bottle cap with loop handle storage spout
US20200324947A1 (en) Beverage lid with built-in stirrer
US20020153344A1 (en) Convertible drink shaker and glass
KR200307479Y1 (ko) 커플 음료용기
US4721222A (en) Combination beverage can carrier device and drinking accessory
KR200258661Y1 (ko) 휴대용 종이컵 홀더
KR100352739B1 (ko) 유아용액체분배컵
KR200489129Y1 (ko) 빨대를 갖는 일회용 음료컵
KR20080100741A (ko) 혼합주 제조기
KR200360649Y1 (ko) 자석 병마개
CN213429474U (zh) 一种二合一水杯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KR200397840Y1 (ko) 착탈형 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병
JPS6244895Y2 (ko)
JP3111087U (ja) 飲料水用の器
KR100558748B1 (ko) 착탈형 컵을 갖는 플라스틱 음료병
KR200400901Y1 (ko) 얼음통
KR200224476Y1 (ko) 음료수병
JP3049946U (ja) 飲用具
KR200317242Y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