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570U - 빨대가 구비된 컵 - Google Patents

빨대가 구비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570U
KR20190000570U KR2020170004509U KR20170004509U KR20190000570U KR 20190000570 U KR20190000570 U KR 20190000570U KR 2020170004509 U KR2020170004509 U KR 2020170004509U KR 20170004509 U KR20170004509 U KR 20170004509U KR 20190000570 U KR20190000570 U KR 201900005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up
hole
main body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유건
Original Assignee
지유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유건 filed Critical 지유건
Priority to KR2020170004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570U/ko
Publication of KR20190000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5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 기능을 갖는 빨대가 구비된 컵에 관한 것으로,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11)를 가진 공간부(12)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된 관통공(20); 상기 관통공(20)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며, 유연한 재질의 빨대(30); 및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빨대(30)를 거치시키는 거치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빨대가 구비된 컵{CUP WITH STRAW}
본 고안은 빨대가 구비되어 있는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에 빨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빨대가 호스 기능도 겸비하여 컵의 물을 흘림없이 다른 용기로 부을 수 있는 빨대가 구비된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종이컵 또는 다종의 컵은 소정량의 음료수를 따라 마실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 따른 컵은 상기 저장공간에 음료수를 따라 컵을 사용자의 입쪽으로 기울여야 만이 저장공간 내부의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인지 능력이 발달하지 못하고 모유의 음용에 적응되어 있는 유아들이 컵 안에 든 음료수를 마실 경우 컵을 기울여서 음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컵을 들다가 내용물을 엎지르거나 마시면서 입주위로 흘러 나와 옷이나 방바닥을 더럽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또한, 어른 들이 유아들에게 우유나 음료수를 먹일 경우에도 유아들이 어느 정도 마시는지를 감지하지 못하고, 어느 정도로 컵을 기울여야 음료수를 마시는지 감지하여 음료수가 유아의 옷이나 방바닥에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실용신안등록 제20-0185008호는 빨대가 내장되어 있는 컵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컵의 경우 흡인력이 약한 유아들은 컵 내부의 음료수를 완전히 마시기 어려웠고, 또 컵의 내용물을 다른 용기로 이동하고자 할 때 흘리거나 다른 용기에 넘치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컵 용기에 수용된 음료수의 내용물을 완전히 소진할 수 있고, 컵 용기에 수용된 음료수 등을 다른 용기로 흘림없이 이동시킬 수 있는 빨대가 구비된 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11)를 가진 공간부(12)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된 관통공(20); 상기 관통공(20)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며, 유연한 재질의 빨대(30); 및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빨대(30)를 거치시키는 거치대(40)를 포함하는 호스 기능을 갖는 빨대가 구비된 컵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빨대가 구비된 컵은 상기 빨대(30)의 하단부가 복수개의 절곡용 주름부(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개구(11)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뚜껑(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빨대가 컵 하단의 관통공에 연결되어 빠는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도 컵에 수용된 음료수의 내용물을 완전히 소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힘이 약한 어린이 등은 컵에 수용된 내용물을 다른 용기로 이동시킬 때 흘리거나 넘치는 일이 많은데 본 고안에 따르면 컵을 기울이지 않아도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쉽게 다른 용기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가 구비된 컵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대가 구비된 컵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고안이나 본 고안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고안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기능을 갖는 빨대가 구비된 컵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호스 기능을 갖는 빨대가 구비된 컵은 본체(10), 관통공(20), 빨대(30), 거치대(4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본체(10)는 음료수를 수용하는 기능을 하며, 이를 위해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11)를 가진 공간부(12)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10)의 재질이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관통공(20)은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2)에 수용된 음료수가 외부로 나오는 구멍을 말하며, 물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원리를 이용해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에 관통공(20)을 설치하여 공간부에 수용된 음료수가 관통공(20)을 통해 외부로 쉽게 흘러나오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빨대(30)는 상기 관통공(20)에 관통삽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이는 상기 관통공(20)을 통해 외부로 나오는 음료수를 빨대(30)를 통해 사용자가 마시거나 또는 다른 용기로 이동하여 음료수의 손실 없이 큰 흡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공간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완전히 마시거나 공간부에 수용된 음료수를 완전히 다른 용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빨대(30)가 상기 관통공(20)에 관통 삽입될 때 상기 관통공(20)의 완전히 꽉 채워지도록 빨대(30)를 설치하여야 하며, 빨대(30)가 삽입된 후 관통공(20) 주변을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폐쇄시켜줌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통공(20)을 통해 컵의 음료수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빨대(30)는 사용하지 않을 때나 사용자가 마실 때 위쪽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어야 하므로,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꺽임 없이 부드럽게 방향이 우측을 향하도록 하거나 하단부에 주름 형태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빨대(30)의 방향이 위쪽을 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거치대(40)는 상기 본체(10)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상기 빨대(30)를 거치시킨다. 이는 사용자가 컵을 사용하지 않을 시 본체(10)에 수용된 음료수가 빨대(3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거치대(3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U자 형태를 갖도록 하여 빨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거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2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스 기능을 갖는 빨대가 구비된 컵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빨대 및 호스 기능이 구비된 컵은 상기 개구(11)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뚜껑(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10 본체 11 개구 12 공간부
20 관통공
30 빨대
40 거치대
50 뚜껑

Claims (3)

  1. 음료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11)를 가진 공간부(12)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에 설치된 관통공(20);
    상기 관통공(20)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빨대(30); 및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빨대(30)를 거치시키는 거치대(40)를 포함하는 호스 기능을 갖는 빨대가 구비된 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빨대(30)의 하단부는 복수개의 절곡용 주름부(31)가 형성되어 있는 호스 기능을 갖는 빨대가 구비된 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11)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뚜껑(50)을 더 구비하는 호스 기능을 갖는 빨대가 구비된 컵.
KR2020170004509U 2017-08-25 2017-08-25 빨대가 구비된 컵 KR201900005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09U KR20190000570U (ko) 2017-08-25 2017-08-25 빨대가 구비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509U KR20190000570U (ko) 2017-08-25 2017-08-25 빨대가 구비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570U true KR20190000570U (ko) 2019-03-06

Family

ID=6572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509U KR20190000570U (ko) 2017-08-25 2017-08-25 빨대가 구비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57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917A (ko) 2019-04-23 2020-11-02 정승채 유아용 빨대컵
KR20200131097A (ko) 2019-05-13 2020-11-23 이미림 물 안으로 빠지지 않는 빨대 고정기
TWI731730B (zh) * 2020-06-24 2021-06-21 翁甄 吸管套及具有吸管套的杯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3917A (ko) 2019-04-23 2020-11-02 정승채 유아용 빨대컵
KR20200131097A (ko) 2019-05-13 2020-11-23 이미림 물 안으로 빠지지 않는 빨대 고정기
TWI731730B (zh) * 2020-06-24 2021-06-21 翁甄 吸管套及具有吸管套的杯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21010A (ja) 漏れ防止蓋
JP2010521388A (ja) 飲用容器
KR20190000570U (ko) 빨대가 구비된 컵
KR20070011385A (ko) 음료 용기용 배출 장치와, 음료 용기 및 그의 형성 방법
US5893472A (en) Spout for valve assembly
KR100706426B1 (ko) 병의 스파우트
US20100127006A1 (en) Drinking container lid with soft spout
JP2016515503A (ja) 幼児用飲料容器
KR200490841Y1 (ko)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US8322563B2 (en) Infant drinking cup
KR100872185B1 (ko)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
KR101895537B1 (ko) 일회용 컵이 부설된 음료용기
US20220250782A1 (en) Portabl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10426280B2 (en) Multifunctional universal silicon spout adaptor for drinking vessels
KR200466728Y1 (ko) 유아용 다용도 컵
KR100352739B1 (ko) 유아용액체분배컵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TWM598281U (zh) 杯蓋結構
JP3004319U (ja) 吸い取り易い哺乳瓶及びカップのストロー
GB2465363A (en) A cup with a conduit and a mouthpiece
JP2020158120A (ja) 飲料容器
US3134523A (en) Hospital cup
JPH0420302A (ja) 蓋付きのコップ
JP3049946U (ja) 飲用具
CN210748564U (zh) 一种多功能饮液食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