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41Y1 -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 Google Patents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841Y1
KR200490841Y1 KR2020180003422U KR20180003422U KR200490841Y1 KR 200490841 Y1 KR200490841 Y1 KR 200490841Y1 KR 2020180003422 U KR2020180003422 U KR 2020180003422U KR 20180003422 U KR20180003422 U KR 20180003422U KR 200490841 Y1 KR200490841 Y1 KR 200490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lid
tube
straw tube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근
Original Assignee
홍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근 filed Critical 홍영근
Priority to KR20201800034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6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컵용기를 구비하는 컵 본체나 뚜껑에 빨대 기능을 하는 빨대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일회용 컵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는,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하로 통공이 형성되어 하단부는 컵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단부는 일부에 주름을 갖는 돌출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빨대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Disposable Cup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본 고안은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용 컵용기를 구비하는 컵 본체나 뚜껑에 빨대 기능을 하는 빨대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일회용 컵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컵은 소정량의 음료수를 따라 마실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일회용 컵은 저장공간에 음료수를 따라 컵을 사용자의 입 쪽으로 기울여야 만이 저장공간 내부의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었다.
인지능력이 발달하지 못하고 모유의 음용에 적응되어 있는 유아들이 컵 안에 든 음료수를 마실 경우나, 어른들이 음료수가 어느 정도 담겨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음료수를 마실 경우 컵을 기울여서 마시어야 하기 때문에 컵을 들다가 내용물을 엎지르거나, 마시면서 입 주위로 흘러나와 옷이나 방바닥을 더럽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컵을 기울이지 않고서도 음료수를 편안하게 마실 수 있도록 일회용 컵에 별도로 마련된 일회용 빨대를 꽂아 마신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컵을 기울이지 않고서도 편안하게 음료수를 마실 수 있으나, 빨대를 보관,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 일회용 빨대(특히 플라스틱 재질)가 환경(해양 생태계)을 오염시키고 해양 생물의 호흡기에 박히는 등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일회용 빨대 사용을 단계적으로 줄여나가 축소하거나 사용을 금지하는 추세이다.
공개번호 제10-2014-0057063호(공개일자 2014년05월12일) 공개번호 제10-2016-0079273호(공개일자 2016년07월06일)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회용 컵용기의 컵 본체나 뚜껑에 빨대 기능을 구비시켜, 컵에 별도의 빨대를 구성하지 않고서도 언제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빨대를 보관,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하여 생태계를 위협하지 않는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는,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하로 통공이 형성되어 하단부는 컵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단부는 일부에 주름을 갖는 돌출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빨대관;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빨대관의 대향된 측벽에는 빨대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빨대관의 하단부는 빨대관보다 얇게 형성된 절취홈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가, 빨대관을 빨대로 사용시 절취홈을 따라 절취되어 컵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는,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컵 본체;
상기 컵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 및
상기 뚜껑에 일체로 형성되되, 뚜껑 상부와 하부의 상부 빨대관과 하부 빨대관이 일부에 주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빨대관;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빨대관이 상부 빨대관보다 길게 형성되고 하부 빨대관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부 빨대관의 일부분이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의 하부에 하부 빨대관의 길이를 줄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상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양 내측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의 일측에 빨대관을 통하지 않고 마실 수 있도록 흡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홀이 형성된 뚜껑의 일측 테두리 상측으로 입술받이가, 그 테두리 하측으로 컵 본체에 내삽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빨대관의 상단부는 막혀 밀폐되고 그 아래에 상부 빨대관의 두께보다 얇게 절취홈이 형성되어, 빨대관을 빨대로 사용하는 경우 절취홈을 따라 절취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일회용 컵용기의 컵 본체나 뚜껑에 빨대 기능을 구비시켜, 컵에 별도의 빨대를 구성하지 않고서도 언제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빨대를 보관,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하여 생태계를 위협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컵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컵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컵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1)는 컵 본체(10)에 빨대관(30)이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컵 본체(10)의 상부에 통상의 텀블러 등과 마찬가지로 뚜껑(20)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컵 본체(10)는 바닥(11)과 측벽(12)으로 이루어지되, 위가 넓고 점차 아래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상기 측벽(12)에는 상하로 통공이 형성된 빨대관(30)이 측벽(12)과 일체로 형성되어 하단부는 컵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단부는 돌출부(3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이 돌출부(32)는 뚜껑(20)에 타공된 구멍(21)을 관통해 뚜껑(20)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12) 바로 상부의 돌출부(32) 부분에 주름(32)이 형성되어 그 주름(34) 상부의 돌출부(32)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여 마실 수 있고, 상기 빨대관(30)의 대향된 측벽에는 다수의 컵 본체(10)를 180도씩 회전하면서 교대로 적층했을 때 빨대관(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수용홈(13)이 상하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컵 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1)는 컵 본체(10)에 빨대관(30)이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컵 본체(10)의 상부에 통상의 텀블러 등과 마찬가지로 뚜껑(20)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컵 본체(10)는 바닥(11)과 측벽(12)으로 이루어지되, 위가 넓고 점차 아래로 좁아지는 형태이다.
상기 측벽(12)에는 상하로 통공이 형성된 빨대관(30)이 측벽(12)과 일체로 형성되되, 하단부는 외측으로 당기는 경우 컵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내측 부분에 빨대관(30)의 두께보다 얇게 절취홈(36)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돌출부(3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빨대관(30)의 하단부는 막혀있다가 빨대관(30)을 빨대로 사용하기 위해 하단 부분의 측벽(12)을 잡아 외측으로 당기는 경우, 내측의 절취홈(36)을 따라 절취되면서 해당 측벽(12) 부분이 외측으로 당겨져 빨대관(30)과 컵 본체(10)의 내부가 연통된다.
상기 돌출부(32)는 뚜껑(20)에 타공된 구멍(21)을 관통해 뚜껑(20)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12) 바로 상부의 돌출부(32) 부분에 주름(32)이 형성되어 그 주름(34) 상부의 돌출부(32)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여 마실 수 있고, 상기 빨대관(30)의 대향된 측벽에는 다수의 컵 본체(10)를 180도씩 회전하면서 교대로 적층했을 때 빨대관(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수용홈(13)이 상하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제1,2 실시예에 의하면, 일회용 컵 본체(10)에 빨대 기능을 하는 빨대관(30)을 일체로 형성하여 일회용 빨대의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돌출부(32)의 하부를 주름(34)지게 형성하여 음료를 빨아 마실 때 음료가 새어나오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컵 본체(10)를 다수 개 포개어 포장할 때 빨대관(30)이 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으로 인하여 잘 포개지지 않고 이로 인하여 일회용 컵 본체(10)의 운송비가 올라가 개별 단가(원가)가 올라갈 수 있는데, 상기 수용홈(13)에 의해 겹쳐 포장하면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뚜껑(30)에 빨대관(40)이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뚜껑(30) 상부와 하부의 상부 빨대관(40a)과 하부 빨대관(4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20)과 일체로 형성된 빨대관(40)의 부분(뚜껑과 근접된 상하 부분의 빨대관)에 주름(41)이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의 빨대관(40a,40b)을 각각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하부 빨대관(40b)이 상부 빨대관(40a)보다 길게 형성되되, 하부 빨대관(40b)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부 빨대관(40b)의 일부가 주름관(42)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빨대관(40)은 뚜껑(20)의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20)의 상부에는 상부 빨대관(40a)을 90도로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2)이 하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뚜껑(20)의 하부에는 하부 빨대관(40b)을 90도로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3)이 상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고정홈(22)과 하부 고정홈(23)은 일직선으로 형성되되, 상부 빨대관(40a)과 하부 빨대관(40b)이 90도로 접혀 상부 고정홈(22)과 하부 고정홈(23)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려 기립되지 않도록 양 내측으로 고정돌기(24,25)가 각각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뚜껑(30)에 빨대관(40)이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되, 뚜껑(30) 상부와 하부의 상부 빨대관(40a)과 하부 빨대관(4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20)과 일체로 형성된 빨대관(40)의 부분(뚜껑과 근접된 상하 부분의 빨대관)에 주름(41)이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의 빨대관(40a,40b)을 각각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하부 빨대관(40b)이 상부 빨대관(40a)보다 길게 형성되되, 하부 빨대관(40b)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부 빨대관(40b)의 일부가 주름관(42)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빨대관(40)은 뚜껑(20)의 일측으로 편중된 위치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20)의 상부에는 상부 빨대관(40a)을 90도로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2)이 하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뚜껑(20)의 하부에는 하부 빨대관(40b)을 90도로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23)이 상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고정홈(22)과 하부 고정홈(23)은 일직선으로 형성되되, 상부 빨대관(40a)과 하부 빨대관(40b)이 90도로 접혀 상부 고정홈(22)과 하부 고정홈(23)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려 기립되지 않도록 양 내측으로 고정돌기(24,25)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 더해 상기 빨대관(40)을 통하지 않고 뚜껑(20)을 통해 직접 음료수를 마시는 경우를 대비해 상기 빨대관(40)이 형성되지 않은 뚜껑(20)의 타측 상부에 흡입홀(26)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입홀(26)이 형성된 뚜껑(20)의 테두리 상측으로 입술을 대고 흡입홀(26)을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되고 입술받이(27)가 형성되고, 그 테두리 하측으로 컵 본체(10) 상측으로 내삽되어 흡입홀(26)을 통해 음료수를 마실 때 컵 본체(10)와 뚜껑(20) 사이로 새지 않도록 하는 밀착돌기(28)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용기의 뚜껑이 도 4의 뚜껑과 다른 점은, 상부 빨대관(40a)의 상단부가 막혀 밀폐되어 있고, 그 아랫부분에 상부 빨대관(40a)의 두께보다 얇게 경사진 절취홈(43)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빨대관(40)을 사용하는 경우 절취홈(43)을 따라 절취하면 밀폐되어 있던 빨대관(40)이 개방되어 빨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4,5 실시예에 의하면, 빨대관(40)과 뚜껑(30)을 한몸으로 사출 성형하여 일회용 빨대로 발생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일회용 빨대는 무게가 가볍고 작아서 분리수거도 어렵고 바람에 잘 날려 재활용 수거가 매우 어려우며, 수거 후에도 재활용 공장에서 바람에 날려 주위환경을 오염시키나 제3,4,5 실시예에 의하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빨대관(40)의 일부를 주름관(42)으로 형성하여 음료를 마실 때는 주름관(42)을 펴서 컵 용체 바닥까지 늘려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
또한, 제조사에서 커피 매장과 같은 각 매장에 뚜껑(20)을 납품할 때 길이를 줄여 고정홈(23)에 고정함으로써 그 부피를 줄여 뚜껑 포장용 박스(Carton)에 많은 수량을 포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뚜껑(20)의 개당 운송비를 줄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4,5 실시예에 의하면, 빨대관(40)이 뚜껑(30)과 일체인 관계로 뚜껑을 통해 음료수를 빨아 마셔야 하는데 불편할 경우, 컵 본체(10)를 기울여 흡입홀(26)과 입술받이(27)를 통해 음료를 마실 수 있고, 이때 밀착돌기(28)가 뚜껑(20)과 컵 본체(10) 사이의 틈으로 음료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일회용 컵용기 10: 컵 본체
20: 뚜껑 30,40: 빨대관

Claims (7)

  1.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컵 본체; 및
    상기 컵 본체의 측벽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하로 통공이 형성되어 하단부는 컵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단부는 일부에 주름을 갖는 돌출부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빨대관; 을 포함하고,
    상기 빨대관의 하단부는 빨대관보다 얇게 형성된 절취홈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가, 빨대관을 빨대로 사용시 절취홈을 따라 절취되어 컵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관의 대향된 측벽에는 상기 빨대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3. 삭제
  4. 삭제
  5.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컵 본체;
    상기 컵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 및
    상기 뚜껑에 일체로 형성되되, 뚜껑 상부와 하부의 상부 빨대관과 하부 빨대관이 일부에 주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빨대관;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빨대관이 상부 빨대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빨대관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부 빨대관의 일부분이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뚜껑의 하부에 하부 빨대관의 길이를 줄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상부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양 내측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에 빨대관을 통하지 않고 마실 수 있도록 흡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홀이 형성된 뚜껑의 일측 테두리 상측으로 입술받이가, 그 테두리 하측으로 컵 본체에 내삽되는 밀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7.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컵 본체;
    상기 컵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 및
    상기 뚜껑에 일체로 형성되되, 뚜껑 상부와 하부의 상부 빨대관과 하부 빨대관이 일부에 주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빨대관; 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빨대관의 상단부는 막혀 밀폐되고 그 아래에 상부 빨대관의 두께보다 얇게 절취홈이 형성되어, 빨대관을 빨대로 사용하는 경우 절취홈을 따라 절취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KR2020180003422U 2018-07-25 2018-07-25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KR200490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22U KR200490841Y1 (ko) 2018-07-25 2018-07-25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422U KR200490841Y1 (ko) 2018-07-25 2018-07-25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841Y1 true KR200490841Y1 (ko) 2020-01-13

Family

ID=6915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422U KR200490841Y1 (ko) 2018-07-25 2018-07-25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78A (ko) * 2020-05-04 2021-11-12 원형준 음료 용기
KR20210143596A (ko) * 2020-05-20 2021-11-29 김정섭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KR20230070655A (ko) 2021-11-15 2023-05-23 김미경 빨대의 입구부를 보관할 수 있는 일회용 컵 컵 뚜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1860A (en) * 1988-07-12 1989-03-14 Sccs, Incorporated Nestable disposable drinking receptacles
US20070170188A1 (en) * 2006-01-23 2007-07-26 Guillaume Jocelain J Stackable cups with integral extendable straw
KR20140057063A (ko) 2012-11-02 2014-05-12 양동훈 빨대를 구비한 물통
KR20140057751A (ko) * 2012-11-04 2014-05-14 권숙진 빨대 녹차 티백
KR20160079273A (ko) 2014-12-26 2016-07-06 윤병선 빨대를 구비한 일회용 종이컵
KR20170049870A (ko)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케이앤랩 누수차단패널을 갖는 컵 뚜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1860A (en) * 1988-07-12 1989-03-14 Sccs, Incorporated Nestable disposable drinking receptacles
US20070170188A1 (en) * 2006-01-23 2007-07-26 Guillaume Jocelain J Stackable cups with integral extendable straw
KR20140057063A (ko) 2012-11-02 2014-05-12 양동훈 빨대를 구비한 물통
KR20140057751A (ko) * 2012-11-04 2014-05-14 권숙진 빨대 녹차 티백
KR20160079273A (ko) 2014-12-26 2016-07-06 윤병선 빨대를 구비한 일회용 종이컵
KR20170049870A (ko)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케이앤랩 누수차단패널을 갖는 컵 뚜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5078A (ko) * 2020-05-04 2021-11-12 원형준 음료 용기
KR102435605B1 (ko) 2020-05-04 2022-08-30 원형준 음료 용기
KR20210143596A (ko) * 2020-05-20 2021-11-29 김정섭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KR102386925B1 (ko) 2020-05-20 2022-04-14 김정섭 빨대부 세척이 용이한 빨대 음료통
KR20230070655A (ko) 2021-11-15 2023-05-23 김미경 빨대의 입구부를 보관할 수 있는 일회용 컵 컵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841Y1 (ko)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US7500579B2 (en) Cup with a pill shelf
US20150014322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US20040031714A1 (en) Drinking cup and lid
US8146737B2 (en) Beverage cup carrier
US20150201777A1 (en) Cup lid and portable protection case therefor
BR202019011755U2 (pt) copos e recipientes com uma articulação vivas e mangas
JP2010189065A (ja) 特に固形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製品用の容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容器とそれを受け入れる入れ物とからなる包装
JP2016503745A (ja) 容器
JP2016515503A (ja) 幼児用飲料容器
US3603366A (en) Collapsible drainage bottle
US8770429B2 (en) Coffee mug liner
KR100872185B1 (ko) 빨대관이 형성된 빨대컵
KR20190000570U (ko) 빨대가 구비된 컵
KR20070041693A (ko)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CN110709333A (zh) 人体工程学防漏旅行容器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KR20150074605A (ko) 접이식 텀블러
KR20210020557A (ko)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KR102146805B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 컵
CN110870651A (zh) 组合式吸管容器
TWM573609U (zh)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EP3257406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for serving and entertaining children
US11465821B1 (en) Holder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KR20110138315A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와 그것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