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557A -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0557A
KR20210020557A KR1020190100141A KR20190100141A KR20210020557A KR 20210020557 A KR20210020557 A KR 20210020557A KR 1020190100141 A KR1020190100141 A KR 1020190100141A KR 20190100141 A KR20190100141 A KR 20190100141A KR 20210020557 A KR20210020557 A KR 20210020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beverage container
top plate
buil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철
Original Assignee
양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철 filed Critical 양성철
Priority to KR102019010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0557A/ko
Publication of KR20210020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65D77/283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located initially inside the container, whereby the straw is revealed only upon opening the container, e.g. pop-up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folding of self-locking flaps hinged to tubul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판(10), 저면판(20) 및 복수개의 측면판(30)으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70)이 형성된 음료용기(1)에 있어서, 상기 상면판(10), 저면판(20) 및 측면판(30) 중 적어도 측면판(30)은 원단시트(40)와, 이 원단시트(40)의 내측면에 부착된 내피(50)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시트(40)와 내피(50)의 일정부위에는 상단은 측면판(30)보다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출몰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은 내부공간(70)과 연통되도록 내피(40)가 원단시트(50)로부터 내향 돌출되면서 상하로 연장된 통로(61)를 갖는 내장빨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이다.

Description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 with straw}
본 발명은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빨대가 음료용기의 내부에 음료용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빨대를 음료용기와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재활용이 용이하며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유, 두유나 커피 등의 음료용기에 빨대가 부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빨대는 보통 비닐포장지에 수납된 상태로 음료용기의 측면에 접착제로 부착된다. 하지만, 빨대 및 비닐포장지를 음료용기와 별개로 제작하고 빨대를 비닐포장지에 수납시켜 밀봉한 후 음료용기에 접착제로 부착시켜야 하므로, 생산설비가 증가되어 비용이 증가되고 제작공정수가 늘어나서 생산성이 저하되며 비닐포장지와 같이 재활용이 되지 않는 쓰레기가 발생되어 친환경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빨대를 손으로 잡고 음료용기에 꽂아야하기 때문에 빨대에 세균이나 이물질이 묻을 수 있어 비위생적이다. 그리고 음료용기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음료용기끼리 부딪치거나 외부물체와 부딪치면서 빨대가 수납된 비닐포장지가 음료용기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빨대를 음료용기에 내장하는 제품들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제품들 중에서 등록실용신안 제20-0165988호는 빨대를 음료용기의 내벽면에 고정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는 빨대가 음료용기와 별체로 이루어져서 빨대를 음료용기의 내벽면에 고정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므로, 빨대를 음료용기와 별개로 제작하고 음료용기에 부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설비의 증가로 비용이 증가되고 제작공정수가 늘어나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서 재활용이 되지 않는 빨대를 종이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에서 분리시켜야만 음료용기를 재활용할 수 있어 재활용 분리수거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598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빨대가 음료용기의 내벽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종래와 같이 빨대를 음료용기와 별개로 제작하여 음료용기에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일체로 재활용할 수 있어 재활용이 용이한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면판(10), 저면판(20) 및 복수개의 측면판(30)으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70)이 형성된 음료용기(1)에 있어서, 상기 상면판(10), 저면판(20) 및 측면판(30) 중 적어도 측면판(30)은 원단시트(40)와, 이 원단시트(40)의 내측면에 부착된 내피(50)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시트(40)와 내피(50)의 일정부위에는 상단은 측면판(30)보다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출몰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은 내부공간(70)과 연통되도록 내피(40)가 원단시트(50)로부터 내향 돌출되면서 상하로 연장된 통로(61)를 갖는 내장빨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장빨대(60)는 서로 인접된 두 측면판(30)이 만나는 부위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내장빨대(60)의 상단부에는 측면판(30)보다 상측으로 연장되며 기단부에는 접힘부(63)가 형성된 상향연장부(62)가 구비되어, 상기 상향연장부(62)가 상면판(10)으로 접혀지고 상향연장부(62)의 선단 개구(64)가 상면판(10)에 부착되는 밀봉테이프(80)에 의해 밀봉 및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장빨대(60)가 음료용기(1)의 측면판(30)을 구성하는 원단시트(40)로부터 내향 돌출된 내피(50)에 의해 음료용기(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빨대를 음료용기와 별개로 제작하여 음료용기에 고정테이프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제작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내장빨대(60)가 음료용기(1)와 종이와 같이 재활용되는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종래 재활용이 되지 않는 플라스틱 빨대를 음료용기에서 분리시켜야말 재활용할 수 있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은 음료용기(1) 전체를 곧바로 재활용할 수 있어 재활용 분리수거에 따른 노력과 시간, 인건비 등이 절감되고 친환경적이며 재활용이 용이하다.
한편, 내장빨대(60)가 음료용기(1)의 서로 인접된 두 측면판(30)이 만나는 부위에 구비되므로, 음료용기(1)에 액상 내용물이 조금 남더라도 음료용기(1)를 내장빨대(60)쪽으로 기울여서 용이하게 마실 수 있다. 또한 내장빨대(60)가 측면판(30)의 내피(50)가 원단시트(40)로부터 내향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원단시트(40)의 마감이 측면판(30)의 면이 아닌 모서리에 위치될 수 있어 음료용기(1)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음료용기(1)의 측면판(3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내장빨대(60)의 상향연장부(62)의 기단부에는 접힘부(63)가 형성되므로, 상향연장부(62)를 음료용기(1)의 상면판(10)으로 접어서 밀봉테이프(80)로 간단하게 밀봉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 별개의 밀봉수단과 고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내장빨대(60)의 상향연장부(62)의 상단 개구(64)를 밀봉테이프(80)를 이용하여 한 번에 밀봉 및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줄며, 상기 밀봉테이프(80)만 뜯어내면 내장빨대(60)의 상향연장부(62)가 상면판(10)에서 고정해제가 되면서 동시에 상기 상향연장부(62)의 개구(64)가 개봉되기 때문에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전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내장빨대의 상향연장부를 세운 상태를 보인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1)는 상면판(10), 저면판(20) 및 복수개의 측면판(30)으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70)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70)에는 내장빨대(60)가 구비된다.
상기 상면판(10), 저면판(20) 및 측면판(30) 중 적어도 측면판(30)은 원단시트(40)와, 이 원단시트(40)의 내측면에 부착된 내피(5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면판(10), 저면판(20) 및 측면판(30)이 모두 원단시트(40)와, 이 원단시트(40)의 내측면에 부착된 내피(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원단시트(40)와 내피(50)는 재활용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종이로 이루어진다.
도 2와 같이, 측면판(30)은 제1 내지 제4측면판(31~34)이 좌우로 연속되고, 이 제1 내지 제4측면판(3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면판(10)과 저면판(20)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도 1과 같이 상면판(10), 저면판(20) 및 측면판(30)으로 이루어진 음료용기(1)가 되도록 접혀지게 구성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제1 내지 제4측면판(31~34) 중 어느 하나에는 내피(50)의 일부가 원단시트(40)로부터 내향 돌출되어 상하로 연장된 통로(61)를 갖는 내장빨대(60)가 구비된다. 이 내장빨대(60)는 서로 인접된 두 측면판(30)이 만나는 부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음료용기(1)에 액상의 내용물이 조금 남을 경우, 음료용기(1)의 저면판(20)을 기울여서 내용물이 내장빨대(60)쪽으로 모이도록 함으로써 조금 남은 내용물까지도 효과적으로 취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내장빨대(60)의 상단부는 측면판(30)보다 상향 돌출되거나 또는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장빨대(60)에는 측면판(30)보다 상향 돌출된 상향연장부(62)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내장빨대(60)의 상향연장부(62)의 기단부에는 접힘부(63)가 형성되어, 상기 상향연장부(62)가 상면판(10)에 접하도록 접혀진다. 이때, 접힘부(63)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장빨대(60)의 하단은 내부공간(70)과 연통되도록 내피(50)의 일부가 상향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부공간(70)에 저장된 내용물이 내장빨대(60)의 하단을 통해 흡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는 내피(50)가 원단시트(40)에 계속적으로 부착되되 내피(50)의 일정부위가 원단시트(40)로부터 이격 돌출되어 통로(61)가 상하로 연장되도록 가공되면서 부착된다. 이때, 내피(50)와 원단시트(40)에 의해 통로(61)가 상하로 연장된 형태는 내장빨대(60)가 된다. 이와 같이 내피(50)가 원단시트(40)에 부착된 상태에서 일정간격으로 커팅하되 상면판(10), 저면판(20) 및 측면판(3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커팅한다. 또한 내장빨대(60)의 하단은 측면판(3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내피(50)의 일부를 커팅하고, 측면판(30)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상향연장부(62)의 기단에는 상향연장부(62)가 접혀질 수 있도록 주름진 형태로 접힘부(63)를 가공한다. 그런 후, 상면판(10), 저면판(20) 및 측면판(30)이 형성되도록 접어준다. 이에 따라, 내장빨대(60)의 하단은 저면판(20)에서 약간 이격되면서 내부공간(70)과 연통되며, 내장빨대(60)의 상향연장부(62)는 접힘부(63)를 중심으로 상면판(10)에 접촉되도록 접고 상기 상향연장부(62)의 상단 개구(64)를 상면판(10)에 부착되는 밀봉테이프(80)로 밀봉한다.
한편, 상면판(10), 저면판(20) 및 측면판(30)에는 접었을 때 부착될 수 있는 날개(11,21,35)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면판(10)에는 내장빨대(60)의 둘레면을 감싸는 밀봉홈(12)이 형성되고, 이 밀봉홈(12)에도 날개(13)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내장빨대(60)와 상면판(1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가 효과적으로 밀봉되어 내용물이 새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음료용기 10 : 상면판
20 : 저면판 30 : 측면판
40 : 원단시트 50 : 내피
60 : 내장빨대 62 : 상향연장부
63 : 접힘부 64 : 개구
70 : 내부공간 80 : 밀봉테이프

Claims (3)

  1. 상면판(10), 저면판(20) 및 복수개의 측면판(30)으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70)이 형성된 음료용기(1)에 있어서,
    상기 상면판(10), 저면판(20) 및 측면판(30) 중 적어도 측면판(30)은 원단시트(40)와, 이 원단시트(40)의 내측면에 부착된 내피(50)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시트(40)와 내피(50)의 일정부위에는 상단은 측면판(30)보다 상측으로 연장되거나 출몰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단은 내부공간(70)과 연통되도록 내피(40)가 원단시트(50)로부터 내향 돌출되면서 상하로 연장된 통로(61)를 갖는 내장빨대(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빨대(60)는 서로 인접된 두 측면판(30)이 만나는 부위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빨대(60)의 상단부에는 측면판(30)보다 상측으로 연장되며 기단부에는 접힘부(63)가 형성된 상향연장부(62)가 구비되어, 상기 상향연장부(62)가 상면판(10)으로 접혀지고 상향연장부(62)의 선단 개구(64)가 상면판(10)에 부착되는 밀봉테이프(80)에 의해 밀봉 및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KR1020190100141A 2019-08-16 2019-08-16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KR20210020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41A KR20210020557A (ko) 2019-08-16 2019-08-16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41A KR20210020557A (ko) 2019-08-16 2019-08-16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57A true KR20210020557A (ko) 2021-02-24

Family

ID=7468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41A KR20210020557A (ko) 2019-08-16 2019-08-16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0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88B1 (ko) * 2021-06-01 2022-03-28 이상규 음료 보관용 팩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88Y1 (ko) 1999-08-02 2000-02-15 엄형진 빨대 내장형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988Y1 (ko) 1999-08-02 2000-02-15 엄형진 빨대 내장형 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88B1 (ko) * 2021-06-01 2022-03-28 이상규 음료 보관용 팩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WO2022255800A1 (ko) * 2021-06-01 2022-12-08 이상규 음료 보관용 팩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전개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68958S1 (en) Container for liquids
CA2651615C (en) Plastic container
USD922139S1 (en)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D957884S1 (en) Beverage container with lid
USD958599S1 (en) Beverage container with lid
USD971026S1 (en) Egg container
US7644829B2 (en) Plastic container including a grip feature
USD923395S1 (en) Lid for beverage container
JP2009018866A (ja) 包装用容器および蓋体
KR200490841Y1 (ko)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KR20210020557A (ko) 빨대가 일체로 구비된 음료용기
KR200392220Y1 (ko) 포장상자
USD931059S1 (en) Insulated container
JP2019089562A (ja) 包装用容器
USD953677S1 (en) Trash can
USD933327S1 (en) Refuse container cover
JP4894207B2 (ja) オーバーキャップ
CN205963227U (zh) 一次性饭盒
CN109770502A (zh) 一种餐盒
USD1017398S1 (en) Packaging container lid
USD1025778S1 (en) Packaging container lid
USD1025776S1 (en) Packaging container lid
USD1018288S1 (en) Packaging container lid
USD1018287S1 (en) Packaging container lid
USD1018286S1 (en) Packaging container l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