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693A -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 Google Patents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693A
KR20070041693A KR1020070021598A KR20070021598A KR20070041693A KR 20070041693 A KR20070041693 A KR 20070041693A KR 1020070021598 A KR1020070021598 A KR 1020070021598A KR 20070021598 A KR20070021598 A KR 20070021598A KR 20070041693 A KR20070041693 A KR 2007004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pouch
notch
fusio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복
박만호
Original Assignee
박영복
박만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복, 박만호 filed Critical 박영복
Priority to KR1020070021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1693A/ko
Publication of KR2007004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4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사각의 테두리를 따라서 융착된 융착부(12)에 의해 액체와 함께 밀폐되는 몸체부(11)를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11) 내부 가장자리에는 빨대(14)가 위치되고, 그 빨대(14) 측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부(11) 상단에서부터 하단 가까이 융착된 고정용 융착부(15) 가 형성되어 빨대(14)가 몸체부(11)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절개했을 때 빨대(14) 상단이 드러날 수 있도록 융착부(12) 가장자리에 노치(13)와 대응 노치(13′)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1) 내부에 액체가 수용된 파우치(10)를 구성하여, 상기 노치(13)와 대응 노치(13′)를 따라 절개하고, 절개로 드러난 빨대(14)를 통해 액체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는 것이다.
파우치, 음료, 한약, 빨대, 융착부, 절취선, 빨대 주름

Description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 the pouch with straw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10″ : 파우치
11 : 몸체부 12 : 융착부
13 : 노치 13′ : 대응 노치
13″ : 절취선
14 : 빨대 14′ : 주름
15 : 고정용 융착부 16 : 상단 융착부
본 발명은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테두리를 따라 융착하면서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몸체부의 내부 가장자리에 빨대를 위치하고, 빨대 측면을 따라 유착하여 빨대를 고정하며, 상기 빨대가 드러나도록 절개할 수 있도록 노치와 대응 노치를 형성한 파우치를 구성하여, 상기 노치와 대응 노치를 따라 절개하여, 드러난 빨대 상단으로 액체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를 담게 되는 밀폐 용기 중에는 파우치가 있는데, 이는 합성수지나, 내측에 비닐이 코팅된 종이 등을 재료로, 그 테두리를 따라 접착하여 밀폐하면서 내부에 농축액, 한약, 음료 등을 수용하며, 이러한 파우치의 경우 식음 시, 끝 부분을 째거나 오려 마시는데, 그 형태가 잘 잡혀 있지 않고, 마실수록 용기 자체의 힘이 없어 쓰러지게 되므로, 대개 빨대를 꼽아 먹거나 다른 컵에 따라 마셔야 했으며, 그러지 않으면 불규칙하게 배출되는 액체로 인해 주위가 지저분해지거나 마시다가 옷에 흘리기 십상이었다.
그래서 파우치 내부의 액체를 마실 때에는, 모서리 부분을 조금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으로 빨대를 꽃아 사용하면 주변에 흘리지 않으면서 식음 할 수 있겠지만, 사용자가 항상 빨대가 구비하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빨대 사용에도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테두리를 따라 융착하면서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몸체부의 내부 가장자리에 빨대를 위치하고, 빨대 측면을 따라 융착하여 빨대를 고정하며, 상기 빨대가 드러나도록 절개할 수 있도록 노치와 대응 노치를 형성한 파우치를 구성하여, 상기 노치와 대응 노치를 따라 절개하여, 드러난 빨대 상단으로 액체를 마실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빨대를 고정한 상단 측면으로 일정 높이로 융착한 상단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단 융착부에 대응 노치에서 이어지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절취선을 절취하고 노치에서 절취된 부분까지 절개하여, 돌출된 빨대에 의해 액체를 더욱 편리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덧붙여, 상기 빨대는 상단 융착부로 더 연장되어, ‘ㄱ’자의 모양으로 형성하되, 그 꺾인 부분에는 주름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빨대의 상단 부분이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됨에 따라, 마실 때, 파우치의 절개가 빨대의 주름 부분까지 돌출되어, 빨대의 구부러짐으로 인해 식음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사각의 테두리를 따라서 융착된 융착부(12)에 의해 액체와 함께 밀폐되는 몸체부(11)를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11) 내부 가장자리에는 빨대(14)가 위치되고, 그 빨대(14) 측면에는 그 길이 방 향을 따라 몸체부(11) 상단에서부터 하단 가까이 융착된 고정용 융착부(15) 가 형성되어 빨대(14)가 몸체부(11)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절개했을 때 빨대(14) 상단이 드러날 수 있도록 융착부(12) 가장자리에 노치(13)와 대응 노치(13′)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1) 내부에 액체가 수용된 파우치(10)를 구성하여, 상기 노치(13)와 대응 노치(13′)를 따라 절개하고, 절개로 드러난 빨대(14)를 통해 액체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10)(10′)(10″)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도1 및 도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합성수지, 비닐, 내면에 비닐이 코팅된 종이 등을 사각 모양으로 두 장을 겹친 상태에서 사각 테두리를 따라 열로 융착한 융착부(12)를 형성하여 내부를 밀폐한 몸체부(11)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 일측의 융착부(12) 내부를 따라 빨대(14)를 위치하고, 빨대(14)를 고정하는데, 빨대(14)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빨대(14)가 위치된 융착부(12)의 타측 방향에 빨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융착하여 고정용 융착부(15) 를 형성하는데, 상기 고정용 융착부(15)는, 빨대(14) 상단에서부터 빨대(14) 하단에 가까이 까지 이어지도록 하여 빨대(14)가 고정되도록 하며, 빨대(14) 하단에는 어느 정도의 공간을 가지도록 하여 내부의 액체가 빨대(14) 하단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몸체부(11)를 밀폐하는 방법으로는, 가장자리를 따라 융착부(12)를 형성하는 방법, 즉 열로 융착하여 접착하였는데, 필요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빨대(14)의 길이는 상단에서부터 최대한 하단 가까이 이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상단에서 하단까지 이어지되, 하단 부분의 빨대(14) 끝단이 사선으로 절단되도록 형성한다.
덧붙여, 상기 빨대(14) 측면의 융착부(12)에는 절개를 위한 홈인 노치(13)(notch)를 형성하고, 이에 빨대(14) 상단이 드러날 수 있도록 절개하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 노치(13′)를 더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11)와 빨대(14)와 함께 융착부(12), 고정용 융착부(15) 를 형성하면서 내부에 액체가 밀폐되어 파우치(10)를 구성한다.
이렇게 제1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파우치(10)는, 사용자가 식음시에 상기 노치(13)에서 대응 노치(13′)까지 이어지도록 절개하여 빨대(14) 상단이 드러나도록 하고, 상대 빨대(14)를 통해 내부의 액체를 마실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치(10′)를 도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는 상기 몸체부(11)의 상단에 상단 융착부(16)를 더 형성하되, 상단 융착부(16)는 몸체부(11)의 상단 부분에 빨대(14) 타측, 즉, 고정 융착부(12)의 측 부분에 적절한 높이로 융착하여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단 융착부(16)에는 빨대(14) 측면의 대응 노치(13′)에서 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절취선(13″)을 더 구성하는데, 상기 절취선(13″)은 빨대(14) 을 따라 형성하되, 측면 절취선(13″)은 상단 융착부(16) 부분에만 형성하고, 밀폐된 내부까지는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11)와 빨대(14)와 함께 융착부(12), 고정용 융착부(15) , 상단 융착부(16)를 형성하면서 내부에 액체가 밀폐되어 파우치(10′)를 구성한다.
이렇게 상단 융착부(16)와 절취선(13″)이 더 형성된 파우치(10′)가 구성되어, 상기 대응 노치(13′)에서부터 절취선(13″)을 따라 절개하고, 노치(13)에서 상기 절개된 절취선(13″)까지 절개하여 빨대(14)가 외부로 들어나 돌출된 빨대(14)에 의해 액체의 식음을 더욱 편리하게 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파우치(10″)를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는 상기 몸체부(11)에 내장된 빨대(14)를 상단의 상단 융착부(16)까지 연장하여, 전체적으로‘ㄱ’자 모양으로 형성한 빨대(14)를 구성하되, 빨대(14)가 꺾이는 부분은 빨대(14)에 주름(14′)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절취선(13″)은 상기 빨대(14) 상단 모양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ㄱ’자 모양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11)와 ‘ㄱ’자 모양으로 형성한 빨대(14)와 함께 융착부(12), 고정용 융착부(15) 를 형성하면서 내부에 액체가 밀폐되어 파우치(10″)를 구성한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 의한 파우치(10″)는 상기 대응 노치(13′) 및 절취 선(13″)을 따라 절개를 하고, 이어 노치(13)에서 절개된 절취선(13″)까지 절개하여, 빨대(14) 상부가 드러나면, 빨대(14)를 젖혀 내부의 액체를 식음하도록 하는데, 이때 빨대(14)의 주름(14′)으로 인해, 빨대(14)가 용이하게 구부러지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이렇게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각 파우치(10)(10′)(10″)는, 빨대(14)가 파우치(10)(10′)(10″) 내부에 내장되어 있어, 빨대(14)를 항상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되므로 파우치(10)(10′)(10″)의 사용이 편리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10)(10′)(10″)에는 노치(13)와 함께 빨대(14)의 상단이 드러날 수 있도록 하는 대응 노치(13′)가 형성되어 있어, 노치(13)와 대응 노치(13′)가 이어지도록 절개하여 빨대(14) 상단이 용이하게 드러나 빨대(14)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특히, 절취선(13″)이 형성된 경우에는 빨대(14)의 상단 부분이 돌출되므로, 사용자가 돌출된 빨대(14)를 통해 편리하게 액체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덧붙여, ‘ㄱ’자 모양의 빨대(14) 및 절취선(13″)이 구성된 제3실시예와 같은 경우에는, 빨대(14)의 돌출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빨대(14)의 주름으로 인해, 빨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테두리를 따라 융착하면서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몸 체부의 내부 가장자리에 빨대를 위치하고, 빨대 측면을 따라 융착하여 빨대를 고정하며, 상기 빨대가 드러나도록 절개할 수 있도록 노치와 대응 노치를 형성한 파우치를 구성하여, 상기 노치와 대응 노치를 따라 절개하여, 드러난 빨대 상단으로 액체를 마실 수 있다.
또한, 상기 빨대를 고정한 상단 측면으로 일정 높이로 융착한 상단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단 융착부에 대응 노치에서 이어지는 절취선이 형성되어, 상기 절취선을 절취하고 노치에서 절취된 부분까지 절개하여, 돌출된 빨대에 의해 액체를 더욱 편리하게 마실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편리하다.
덧붙여, 상기 빨대는 상단 융착부로 더 연장되어, ‘ㄱ’자의 모양으로 형성하되, 그 꺾인 부분에는 주름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은, 상기 빨대의 상단 부분이 절취될 수 있도록 형성됨에 따라, 마실 때, 파우치의 절개가 빨대의 주름 부분까지 돌출되어, 빨대의 구부러짐으로 인해 식음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각의 테두리를 따라 융착부(12)를 형성하면서 액체를 밀폐하고, 융착부(12) 일측에 절개를 용이하게 하는 노치(13)를 형성한 통상의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일측의 가장자리 내부에 빨대(14)를 위치하고, 상기 빨대(14) 측면을 따라 파우치 상단에서 파우치 하단 가까이 이어지는 고정용 융착부(15) 를 형성하며,
    상기 노치(13)에서 절개하면 빨대(14) 상단이 드러나도록 위치에 대응 위치를 더 형성한 파우치를 구성하여,
    노치에서 대응 노치까지 절개하여, 드러난 빨대를 통해 내부 액체를 편리하게 마실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융착부(15)의 측면 상단 부분을 일정폭으로 융착한 상단 융착부(16)를 형성하고,
    상기 빨대(14) 측면의 상단 융착부(16)에는, 대응 노치(13′)에서 시작하는 절취선(13″)을 빨대(14) 측면을 따라 형성하여,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개하고, 노치에서 절개된 부분까지 절개하여 빨대가 쉽게 드러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14)는 상기 상단 융착부(16)로 더 연장되어, 빨대(14)가 ‘ㄱ’자의 모양으로 형성하되, 상기 빨대(14)의 꺾이는 부분에는 주름(14′)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13″)은 상기 꺾인 빨대(14)의 상단 부분 형상과 대응되어 ‘ㄱ’자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빨대의 돌출과 구부러짐으로 인해 더욱 편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KR1020070021598A 2007-03-05 2007-03-05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KR20070041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598A KR20070041693A (ko) 2007-03-05 2007-03-05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598A KR20070041693A (ko) 2007-03-05 2007-03-05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693A true KR20070041693A (ko) 2007-04-19

Family

ID=3817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598A KR20070041693A (ko) 2007-03-05 2007-03-05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169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965B1 (ko) * 2009-12-08 2011-09-14 주식회사 건강을 지키는 사람들 파우치
GB2573042A (en) * 2018-02-26 2019-10-23 Handipak Holdings Ltd Drinks pouch
KR200491225Y1 (ko) 2019-04-25 2020-03-05 이종식 개방 상태에서 공기 차단 기능을 갖는 배출 유로를 구비한 식용유 포장용 파우치
KR102120769B1 (ko) * 2019-06-24 2020-06-09 손영춘 강화된 흡음용 터널을 구비한 파우치
KR102152221B1 (ko) * 2019-06-24 2020-09-04 손영춘 흡음용 스틱이 구비된 파우치
US11548712B2 (en) 2016-12-05 2023-01-10 Handipak Holdings Ltd Drinks pouch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965B1 (ko) * 2009-12-08 2011-09-14 주식회사 건강을 지키는 사람들 파우치
US11548712B2 (en) 2016-12-05 2023-01-10 Handipak Holdings Ltd Drinks pouch
GB2573042A (en) * 2018-02-26 2019-10-23 Handipak Holdings Ltd Drinks pouch
IL276749B1 (en) * 2018-02-26 2024-04-01 Handipak Holdings Ltd Beverage pouch
KR200491225Y1 (ko) 2019-04-25 2020-03-05 이종식 개방 상태에서 공기 차단 기능을 갖는 배출 유로를 구비한 식용유 포장용 파우치
KR102120769B1 (ko) * 2019-06-24 2020-06-09 손영춘 강화된 흡음용 터널을 구비한 파우치
KR102152221B1 (ko) * 2019-06-24 2020-09-04 손영춘 흡음용 스틱이 구비된 파우치
WO2020262880A1 (ko) * 2019-06-24 2020-12-30 손영춘 강화된 흡음용 터널을 구비한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41693A (ko) 빨대가 내장된 파우치
BR112021009005A2 (pt) tampa de papel e método para produzir tampa de papel
BR122013014600A2 (pt) Copo com bico para manter e dispensar substâncias
USD527222S1 (en) Bowed mug drinking vessel with tabbed lid
US8939349B2 (en) Disposable cup
ES2197613T3 (es) Lata para bebidas.
KR200490841Y1 (ko) 빨대 기능이 구비된 일회용 컵용기
JP5776057B2 (ja) パウチ包装体
WO2017051162A1 (en) Lid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1543513B1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JP4391441B2 (ja) ドリッパー
KR102340462B1 (ko) 착탈식 음용 보조구
KR20070000183U (ko) 컵에 끼울 수 있는 손잡이를 가진 티백
CN110870651A (zh) 组合式吸管容器
JP2021054522A (ja) ストロー一体型飲料容器
KR200317779Y1 (ko) 공기 유입 요철부를 갖는 빨대
US11840384B2 (en) Container closure system
KR200421560Y1 (ko) 종이컵
JP7271949B2 (ja) ドリッパー
KR101235236B1 (ko) 일회용 커피믹스 및 그 제조방법
JP6606795B1 (ja) 飲料用容器
KR200198780Y1 (ko) 1회용 맥주컵
KR200403867Y1 (ko) 일회용 라면용기
KR200384008Y1 (ko)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
JP6953654B2 (ja) カップ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