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4008Y1 -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 - Google Patents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4008Y1
KR200384008Y1 KR20-2004-0036027U KR20040036027U KR200384008Y1 KR 200384008 Y1 KR200384008 Y1 KR 200384008Y1 KR 20040036027 U KR20040036027 U KR 20040036027U KR 200384008 Y1 KR200384008 Y1 KR 200384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rink
lid
take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익창
Original Assignee
최익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익창 filed Critical 최익창
Priority to KR20-2004-0036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4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4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4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9/00Envelopes, wrappers, and paperboard boxes
    • Y10S229/9061Cup lid with means for forming a drinking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크 아웃 형태의 뚜껑을 한 뜨거운 음료를 마심에 있어 컵을 잘못 쥐어 음료를 흘리는 일 없이 깔끔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은 플라스틱 소재의 테이크 아웃용 뚜껑에 있어서, 음료가 나오는 천공(6)에 인접한 벽면(4)에 돌기(7)를 형성하고, 컵을 쥐었을 때 검지 손가락이 닿는 벽면(4)에 요철(2)을 형성한 것으로서, 촉감을 통해 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 {Take-out Cup Top for Hot Drink}
본 고안은 뜨거운 음료를 테이크 아웃으로 제공할 때 사용되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가 유출되는 천공 부분을 입술과 손의 감각으로 바로 알 수 있어 올바로 음료를 잡을 수 있도록 하여 실수 없이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한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용으로 제공되는 컵 뚜껑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크기는 테이크 아웃용 컵의 외경인 82mm, 90mm에 맞게 되어 있으며, 형태는 찬 음료를 마시는 데 적합하도록 가운데 부분에 스트로를 꽂을 수 있는 십자형의 천공이 나 있는 형태, 아이스크림 등 부피감 있는 토핑 재료가 떠 있는 음료에 적합하도록 돔 형태로 형성된 형태, 그리고 뜨거운 음료를 마시는 데 적합하도록 음료 유출부를 따로 형성해 둔 형태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들 뚜껑은 모두 내부 음료가 넘치지 않도록 하는 밀봉성, 뚜껑으로 컵 테두리를 겹 씌움으로써 컵의 강도를 높이는 보강하는 등의 특징을 지닌다.
이중 뜨거운 음료를 섭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뚜껑의 경우는 열상의 위험 때문에 스트로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직접 마실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뚜껑 가장자리에 천공을 뚫어 음료가 나올 수 있되 단 많은 양이 한꺼번에 나오지 않도록 그 천공 크기는 크지 않게 하였으며, 반대편 가장자리에는 공기압으로 인해 내부 음료가 나오지 않는 일이 없도록 일정량의 외부 공기가 들어갈 수 있게 공기 구멍을 뚫어 놓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뚜껑 구조는 음료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실상 음료가 나오는 부분이 정확히 입에 맞아 들어갈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고려되지 않았다고 보인다. 테이크 아웃용 컵은 원형으로 성형 되어 있어 방향성이 없고 또한 손잡이도 없기 때문에 음료가 나오는 방향은 손으로 컵을 쥐어 올릴 때마다 상시 달라지게 마련이며, 테이크 아웃을 선택하는 고객의 다수는 음료 자체를 즐기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여타 다른 활동 중 음료를 섭취하게 되므로, 음료를 마시는 세부적인 일에 대해서는 주의가 보다 떨어지게 된다. 손으로 컵을 쥐어 마시기까지의 동선을 생각해 보면 시야를 통해서 그 방향의 정오를 파악해 내는 것은 쉽지 않으며, 나아가 뚜껑을 하였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내용물이 넘쳐나지 않도록 하였다는 인식을 주는 것으로, 이를 대할 때는 뚜껑을 하지 않은 음료를 대할 때보다 조심성의 정도도 낮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관계로, 테이크 아웃용 용기에 담긴 뜨거운 음료를 마심에 있어서는, 음료가 나오는 천공 부분에 들어맞게끔 입을 대지 않아 음료를 흘리거나 공기와 함께 들이마셔서 재채기가 나는 등의 문제점이 곧잘 일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음료가 나오는 천공 부분이 제대로 입에 들어맞을 수 있음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용기, 혹은 특히 뚜껑에 마련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뜨거운 음료용 뚜껑을 한 테이크 아웃용 컵을 쥐고 마심에 있어, 손가락과 입술의 촉감에 의해 그 방향의 정오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깔끔하게 음료 섭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은,
음료가 나오는 천공(6)에 인접한 벽면(4)에 돌기(7)를 형성하고, 컵을 쥐었을 때 검지 손가락 끝 마디가 닿는, 즉 중심에서 음료가 나오는 천공(6)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좌우 120~150도의 벽면(4)에 요철(2)을 형성하여 손가락과 입술의 촉감으로 이를 느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은 음료가 나오는 천공(6)에 인접한 벽면(4)에는 원형의 돌기(7)를 만듦으로써 입술의 감각으로써 마시는 방향이 맞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컵을 쥐었을 때 중심에서 음료가 나오는 천공(6)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좌우 120~150도의 벽면(4), 즉 일반적으로 검지 손가락 끝 마디가 닿는 벽면(4)에 다수의 요철(2)을 만듦으로써 방향이 옳음을 손가락으로도 인지할 수 있게, 나아가 손가락으로 뚜껑을 돌리는 경우 이를 보다 용이하게 해 준다.
이하, 본 고안인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뚜껑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뚜껑의 상단부 가장자리(3)에 음료가 나오는 천공(6)이 형성되며, 그와 인접한 벽면(4)에 돌기(7)를 형성하여 입술로서 느낄 수 있게 한다. 돌기(7)의 모양은, 입술이 뚜껑과 밀착되는 부분은 아랫입술은 약간 아래쪽으로 상하 방향으로 넓고 윗입술은 약간 위쪽에서 상하 방향으로는 좁게 형성되는 점, 입술에서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입술과의 밀착력은 약화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감안, 반경 5mm, 돌출 정도 2mm 의 형태로 형성한다. 중심에서 음료가 나오는 천공(6)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좌우 120~150도인 벽면(4), 즉 검지 손가락이 닿는 벽면(4)은 1mm 간격으로 1mm 너비의 직선형 요철(2)을 만들어 손가락으로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뚜껑을 돌릴 때 끌거나 밀기 좋도록 한다. 천공(6)의 안쪽은 윗입술로서 감쌀 수 있도록 경사(5)를 형성하며, 뚜껑의 하단부는 컵과 결합될 수 있도록 테(8)와 이를 지지하는 테두리(9)를 형성한다.
도 2 는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의 평면도로서, 사시도에서 보이지 않았던 왼편 요철(2)을 나타낸다. 도 3 은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의 정면도로서, 특히 사시도와 평면도에서 제대로 나타나지 않은 요철(2) 부분을 나타내어 준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을 씌운 경우, 손잡이와 같이 일정한 방향을 잡아 주는 도구가 없는 테이크 아웃용 컵에 담긴 음료를 마실 때, 촉감을 통해 방향의 정확성을 자연스럽게 알 수 있어 음료를 흘리는 등의 실수를 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 은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의 평면도이다.도 3 은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의 정면도이다.(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 공기 구멍2: 요철3: 뚜껑의 상단 가장자리4: 벽면5: 뚜껑 상단 경사6: 천공7: 돌기8: 용기 결합용 테9: 테두리
삭제
삭제

Claims (1)

  1.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에 있어서,
    음료가 나오는 천공(6)에 인접한 벽면(4)에 돌기(7)를 형성하고;
    컵을 쥐었을 때 검지 손가락 끝 마디가 닿게 되는, 중심과 음료가 나오는 천공(6)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좌우 120~150도의 벽면(4)에 요철(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
KR20-2004-0036027U 2004-12-20 2004-12-20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 KR200384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027U KR200384008Y1 (ko) 2004-12-20 2004-12-20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027U KR200384008Y1 (ko) 2004-12-20 2004-12-20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4008Y1 true KR200384008Y1 (ko) 2005-05-11

Family

ID=4368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027U KR200384008Y1 (ko) 2004-12-20 2004-12-20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40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83U (ko) 2019-01-21 2020-07-29 김명룡 테이크아웃 음료용 컵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83U (ko) 2019-01-21 2020-07-29 김명룡 테이크아웃 음료용 컵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0790B2 (en) Spill-resistant metered flow cap for a cup
EP1788914B1 (en) Spill-resistant container
US7819271B2 (en) Disposable cup lid
US5894952A (en) Spill-resistant cup lid with condiment funnel and stirring rod
US7789260B2 (en) Disposable cup lid
JP6104826B2 (ja) 飲料容器
US7691302B2 (en) Disposable cup lid
US20070039960A1 (en) Spill-Resistant Reclosable Closure Assembly for a Lid
US20090294460A1 (en) Coffee cup lid
US20120000923A1 (en) Rapid-flow and smooth-spouted container lid
US20160270572A1 (en) Lid assemblies for drinking vessels and drinking vessels including the same
US20090283535A1 (en) Sipper lid with straw capability
KR200409095Y1 (ko) 음료컵용 컵뚜껑
JP2015145281A5 (ko)
JP4764218B2 (ja) 開封刃を有する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US20140069944A1 (en) Cup Lid With Straw Crimping Mechanism
WO2007146361A2 (en) Spill-resistant container
KR200384008Y1 (ko) 뜨거운 음료용 테이크 아웃용 컵 뚜껑
JP2600723Y2 (ja) 飲料用容器及びその蓋
JP6291383B2 (ja) 飲料缶の飲み口キャップ
US20200093301A1 (en) Anti-spill Disposable Drink through Cup Lid
KR200425201Y1 (ko) 자동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음료컵용 컵뚜껑
JP4671071B2 (ja) 注出装置
CN100473586C (zh) 一种低平式倾倒口封闭件
JP2001328661A (ja) 飲物用カップの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