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663B1 -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663B1
KR101897663B1 KR1020170070754A KR20170070754A KR101897663B1 KR 101897663 B1 KR101897663 B1 KR 101897663B1 KR 1020170070754 A KR1020170070754 A KR 1020170070754A KR 20170070754 A KR20170070754 A KR 20170070754A KR 101897663 B1 KR101897663 B1 KR 101897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nipple
straw
fasten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헌
김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캠
(주)베이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캠, (주)베이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캠
Priority to KR102017007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6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5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유가 담긴 젖병몸체(10)와, 상기 젖병몸체(10)의 목 내주연에 안착되는 역류방지체(20)와, 상기 젖병몸체(10)와 역류방지체(20)의 상부 선단에 안착되는 빨대형 젖꼭지(30) 및 상기 젖꼭지(30)를 고정시키는 젖꼭지조임체(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젖꼭지조임체(40)로 잠금시 상기 젖병의 내부의 급격한 온도 및 기압 변화로 발생되는 우유의 역류현상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젖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A nursing bottle of straw type with venti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유가 담긴 젖병의 젖꼭지를 조임체로 잠금시 상기 젖병의 내외 온도와 기압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역류현상을 방지토록 젖병의 목 내주연에 안착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을 기울인 상태에서 유아가 젖꼭지를 통해 용기 내부의 우유를 빨아 먹을 때 용기 내측 하부가 진공상태로 바뀌는데, 이 진공상태의 공간을 대기압 상태로 유지시켜 주도록 젖꼭지의 일측에 통기공을 마련하여 용기 외부의 공기를 진공 공간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통기공 또는 통기장치가 마련된 젖병은 유아가 용기 내의 우유를 무리하게 빨아들이지 않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우유 섭취 시 유아에게 발생될 수 있는 중이염의 발병률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반 젖병의 경우 수유 시 발생되는 진공상태의 공간을 대기압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공기가 젖꼭지를 통해 젖병 안으로 유입되어 기포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젖꼭지에 잔존하는 공기를 과다 섭취한 유아가 배앓이를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모유 대신에 우유 등을 수유하는 가정의 경우, 보통 4∼6개 정도의 젖병을 함께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젖병을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을 경우에는 젖병을 세척하기 위해 다수의 부품을 모두 분리해야 하며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크기가 작은 많은 수의 부품은 쉽게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0591535호(2006.06.13.)에는 젖병용 통기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병용기(1)의 상측 개구부(2)에 배출공을 갖는 젖꼭지(4)와, 내용물 배출공(10)을 갖는 상측 디스크(8)와, 통기부(13)를 갖는 하측 디스크(9)를 체결 캡(5)과 함께 결합하고, 상기 하측 디스크(9)에는 상기 통기부(13)와 연통되는 통기튜브(14)를 형성하여 구성된 공지의 젖병으로서, 상기 통기튜브(14)에는, 공지의 공기 개폐 밸브 장치(A)가 하측단으로 구비된 길이조절용 공기튜브(16)를 신축 가능하게 삽입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기튜브(16)가 추가로 더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젖병에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다.
다만, 상기한 종래기술은 상측 디스크(8), 하측 디즈크(9) 및 체결 캡(5)과 같은 통기장치에 부속된 부품 구성이 다수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부품의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실제 가정에서 사용시 다수개의 젖병마다 각각 구비하거나, 상기 부품을 소량으로 줄이더라도 구성품이 많아 세척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젖병에 젖꼭지 잠금시 내외 온도차로 인한 우유의 역류현상을 방지토록 1차 판막으로 작용되며, 수유시 젖병 내부의 진공상태를 방지하는 통기공이 일측에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 빨대관이 연결되는 빨대연결관이 형성된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은 내부에 수용된 우유 또는 음료가 온도와 기압차로 인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젖병으로서,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상부목 내주연에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단이 구비된 젖병몸체와; 상기 안착단에 저면 외측부가 걸림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밀폐벽과, 상기 밀폐벽의 내주연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중앙에 우유가 공급되는 우유공급공이 통공된 중앙통공부와, 상기 우유공급공에서 하부로 연장된 빨대연결관이 구비된 역류방지체와; 상기 젖병몸체와 상기 밀폐벽의 상부 선단에 안착되는 선단밀폐부와, 상기 선단밀폐부의 내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조임체요입부와, 상기 조임체요입부의 상단부에서 상부 중앙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중앙경사부와, 상기 중앙경사부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며 하부선단부가 상기 중앙통공부의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로 이격되도록 연장된 빨대가 구비된 빨대 형상의 젖꼭지와; 상기 조임체요입부의 외주연에 끼움되어 상기 상부목의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중앙이 통공된 젖꼭지조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밀폐부의 상면에는 상기 젖꼭지조임체의 조임시 통기되도록 하부로 요입된 통기단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젖병몸체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외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밀착벽과, 상기 젖병몸체와 상기 통기단이 연통되도록 통공된 방지체통기공이 구비되고,
상기 조임체요입부에는 상기 젖꼭지조임체의 중앙 통공을 형성하는 내측 단부가 걸림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조임체요입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임체요입부에는 상기 젖꼭지조임체로 조임시 상기 통기단에 외기가 공급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외부통기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빨대는 상기 중앙경사부의 내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상부빨대와, 하부로 연장된 하부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단밀폐부의 저면에는 상기 밀폐벽의 상부 선단에 안착시 밀착력이 강화되도록 하부로 돌출된 벽밀착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젖꼭지조임체는 상기 젖꼭지의 중앙 상부가 요입되도록 중앙이 통공된 중앙관통부와, 상기 중앙관통부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목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결합부의 내주연에는 상기 상부목의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도록 조임체나사산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관통부의 저면에는 상기 선단밀폐부의 상면 일측을 압착토록 하부로 돌출된 상면압착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젖꼭지조임체로 조임시 빨대형 젖꼭지의 선단밀폐부가 밀폐벽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젖꼭지의 빨대 저면이 역류방지체의 중앙통공부 상면에 정해진 거리로 이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젖병몸체의 내부에서 급격한 온도 또는 기압의 변화를 방지하여 내부에 수용된 우유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며,
둘째, 젖꼭지의 외부통기홈 및 통기단, 역류방지체의 방지체통기공, 젖병몸체의 내부로 이루어진 통기로가 형성됨으로써, 수유시 발생되는 진공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우유를 공급할 수 있고,
셋째, 상기 젖꼭지의 선단밀폐부에 하부로 돌출된 벽밀착단이 구비되고, 상기 젖꼭지조임체의 상부 저면에 조임돌기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젖병몸체에 수용된 우유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역류방지체의 상면 일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방지체손잡이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역류방지체를 상부목 내주연에 결합과 해제가 용이해져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젖병용 통기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젖병의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젖꼭지의 조임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우유 또는 음료가 온도와 기압차로 인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젖병으로서, 젖병몸체(10)와, 역류방지체(20)와, 빨대형 젖꼭지(30) 및 젖꼭지조임체(40)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젖병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상부목(11) 내주연에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단(11a)이 구비된 젖병몸체(10)와; 상기 안착단(11a)에 저면 외측부가 걸림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내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밀폐벽(22)과, 상기 밀폐벽(22)의 내주연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중앙에 우유가 공급되는 우유공급공(23a)이 통공된 중앙통공부(23)와, 상기 우유공급공(23a)에서 하부로 연장된 빨대연결관(24)이 구비된 역류방지체(20)와; 상기 젖병몸체(10)와 상기 밀폐벽(22)의 상부 선단에 안착되는 선단밀폐부(31)와, 상기 선단밀폐부(31)의 내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조임체요입부(32)와, 상기 조임체요입부(32)의 상단부에서 상부 중앙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중앙경사부(33)와, 상기 중앙경사부(33)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며 하부선단부가 상기 중앙통공부(23)의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로 이격되도록 연장된 빨대(34)가 구비된 빨대 형상의 젖꼭지(30)와; 상기 조임체요입부(32)의 외주연에 끼움되어 상기 상부목(11)의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중앙이 통공된 젖꼭지조임체(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밀폐부(31)의 상면에는 상기 젖꼭지조임체(40)의 조임시 통기되도록 하부로 요입된 통기단(31a)이 구비되며, 상기 조임체요입부(32)에는 상기 젖꼭지조임체(40)의 중앙 통공을 형성하는 내측 단부가 걸림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조임체요입홈(32a)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체요입홈(32a)에는 상기 젖꼭지조임체(40)의 내측 단부가 요입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젖꼭지조임체(40)가 상기 젖병몸체(10)에서 해제시 상기 젖꼭지(30)도 같이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1)에는 상기 젖병몸체(10)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외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밀착벽(21a)과, 상기 젖병몸체(10)와 상기 통기단(31a)이 연통되도록 통공된 방지체통기공(21b)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체(20)는 PP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경도와 내열성이 우수하며, 상기 밀폐벽(22)의 상부 선단에 상기 선단밀폐부(31)가 견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체요입부(32)에는 상기 젖꼭지조임체(40)로 조임시 상기 통기단(31a)에 외기가 공급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외부통기홈(32b)이 구비된다.
즉, 상기 외부통기홈(32b)은 상기 젖꼭지조임체(40)가 상기 젖병몸체(10)에서 결합시 외기가 통기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빨대(34)는 상기 중앙경사부(33)의 내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상부빨대(34a)와, 하부로 연장된 하부빨대(34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빨대(34a)의 내주벽에는 중앙이 십자형으로 절개되어 내부를 구분하는 절개막(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막은 상기 젖병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우유가 외부로 역류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젖꼭지(30)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상기 젖꼭지(30)의 상측 외부를 감싸며 상기 젖병몸체(1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착탈형 젖꼭지덮개(미도시)가 더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단밀폐부(31)의 저면에는 상기 밀폐벽(22)의 상부 선단에 안착시 밀착력이 강화되도록 하부로 돌출된 벽밀착단(31b)이 구비된다. 즉, 상기 벽밀착단(31b)은 상기 젖꼭지조임체(40)의 조임시 상기 밀폐벽(22)의 상부선단에 더 강하게 압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젖꼭지조임체(40)는 상기 젖꼭지(30)의 중앙 상부가 요입되도록 중앙이 통공된 중앙관통부(41)와, 상기 중앙관통부(41)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목결합부(42)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결합부(42)의 내주연에는 상기 상부목(11)의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도록 조임체나사산(42a)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목(11)에는 상기 상기 조임체나사산(42a)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중앙관통부(41)의 저면에는 상기 선단밀폐부(31)의 상면 일측을 압착토록 하부로 돌출된 상면압착돌기(41a)가 구비된다.
상기 상면압착돌기(41a)는 상기 젖꼭지(30)가 상기 젖병몸체(10)의 상부 선단에 밀착시 상기 선단밀폐부(31)의 상면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젖병몸체(10)의 상부 선단에서 상기 젖꼭지(30)의 밀폐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 역류방지체(2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상부목(11)의 내주연에서 해제가 용이토록 상부로 돌출된 방지체손잡이(23b)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역류방지체(20)의 결합과 해제가 용이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병의 목 내주연에 형성된 안착단(11a)에 역류방지체(20)가 안착되며, 젖꼭지조임체(40)와 일체로 결합된 젖꼭지(30)를 상기 역류방지체(20)와 젖병의 상부선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젖꼭지조임체(40)를 조이게 된다.
이때, 상기 젖꼭지조임체(40)에 형성된 중앙관통부(41)의 내측 단부는 상기 젖꼭지(30)에 형성된 조임체요입부(32)의 조임체요입홈(32a)에 걸림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젖꼭지(30)와 젖꼭지조임체(40)는 일정한 힘으로 분리조립가능토록 구비되게 된다.
한편, 상기 빨대(34)는 상부빨대(34a)와 하부빨대(3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기 하부빨대(34b)의 하부 저면은 상기 젖꼭지조임체(40)로 잠금된 경우 상기 중앙통공부(23)의 상면에서 약 1mm 내외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빨대(34)는 상기 하부빨대(34b) 없이도 작동은 되나, 최적의 이격거리는 1mm 내외이다.
즉, 상기 중앙통공부(23)의 상면과 상기 하부빨대(34b)의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빨대(34)를 통해 사용자가 음료 또는 우유를 음용하는 경우 액체의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이격거리는 무시되고,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상기 음료 또는 우유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빨대(34)에서 입을 땐 경우, 상기 빨대(34)의 내부에 잔존하는 음료와 우유는 젖병몸체(10)의 내부에 재수용되며,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역류방지체(20)와 젖꼭지(30)의 방지체통기공(21b)과, 통기단(31a)을 통해 외부로 통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역류방지체(20)의 상면과 상기 하부빨대(34b)의 외주연에 인접한 공간은 젖병에 수용된 우유가 외부로 직접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젖병의 우유 및 상부빨대(34a)에 잔존하는 수용액(우유)이 흘러 들어 역류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중앙통공부(23)의 상면과 상기 하부빨대(34b) 하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빨대(34)를 통해 우유와 음료가 역류하려는 경우, 상기 젖병몸체(10)의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젖꼭지조임체(40)의 조임 및 잠금에 따라 상기 젖꼭지(30)은 상기 선단밀폐부(31)가 상기 밀폐벽(22)의 상부 선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밀폐부(31)의 외측 저면이 상기 상부목(11)의 상부 선단에 밀착되어 압착되게 된다.
일반적인 젖병의 경우에는 젖병몸체(10)에 뜨거운 우유가 수용된 상태에서 젖꼭지의 급격한 밀폐로 상기 우유가 외부로 역류하거나 분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젖병몸체(10)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내압이 더 커지게 되어 내부에 수용된 우유가 역류하게 된다.
그러나, 본원발명의 상기 젖꼭지(30)는 상기 젖꼭지조임체(40)를 완전히 조임시에도 상기 중앙통공부(23)의 상면과 상기 하부빨대(34b)의 하면 사이의 이격공간에 의해 완전밀폐를 일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상기 젖병몸체(10) 내부의 기압변화가 서서히 발생되고, 이는 젖병몸체(10)의 우유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유아가 상기 우유를 음용할 때, 상기 젖병몸체(10)의 내부에 진공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토록 상기 선단밀폐부(31)의 통기단(31a), 상기 역류방지체(20)의 방지체통기공(21b)이 연통됨으로써, 상기 젖병몸체(10)의 내부에 진공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우유가 원활하게 공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젖꼭지(30)의 조임체요입부(32)에는 외부통기홈(32b)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젖꼭지조임체(40)로 조임시에도 외기가 원활하게 통기되게 된다.
상기 선단밀폐부(31)의 저면에 구비된 벽밀착단(31b)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젖꼭지(30)는 상기 젖꼭지조임체(40)의 조임시 상기 역류방지체(30)와 젖병몸체(10)의 상부 선단에 보다 견고히 압착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젖병몸체 11 : 상부목
11a : 안착단 20 : 역류방지체
21 : 지지부 21a : 밀착벽
21b : 방지체통기공 22 : 밀폐벽
23 : 중앙통공부 23a : 우유공급공
23b : 방지체손잡이 24 : 빨대연결관
30 : 젖꼭지 31 : 선단밀폐부
31a : 통기단 31b : 벽밀착단
32 : 조임체요입부 32a : 조임체요입홈
32b : 외부통기홈 33 : 중앙경사부
34 : 빨대 34a : 상부빨대
34b : 하부빨대
40 : 젖꼭지조임체 41 : 중앙관통부
41a : 상면압착돌기 42 : 목결합부
42a : 조임체나사산
S : 스트로우

Claims (7)

  1. 내부에 수용된 우유 또는 음료가 온도와 기압차로 인해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젖병에 있어서,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된 상부목(11) 내주연에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단(11a)이 구비된 젖병몸체(10)와;
    상기 안착단(11a)에 저면 외측부가 걸림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내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밀폐벽(22)과, 상기 밀폐벽(22)의 내주연 일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중앙에 우유가 공급되는 우유공급공(23a)이 통공된 중앙통공부(23)와, 상기 우유공급공(23a)에서 하부로 연장된 빨대연결관(24)이 구비된 역류방지체(20)와;
    상기 젖병몸체(10)와 상기 밀폐벽(22)의 상부 선단에 안착되는 선단밀폐부(31)와, 상기 선단밀폐부(31)의 내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조임체요입부(32)와, 상기 조임체요입부(32)의 상단부에서 상부 중앙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중앙경사부(33)와, 상기 중앙경사부(33)의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며 하부선단부가 상기 중앙통공부(23)의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로 이격되도록 연장된 빨대(34)가 구비된 빨대 형상의 젖꼭지(30)와;
    상기 조임체요입부(32)의 외주연에 끼움되어 상기 상부목(11)의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중앙이 통공된 젖꼭지조임체(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밀폐부(31)의 상면에는 상기 젖꼭지조임체(40)의 조임시 통기되도록 하부로 요입된 통기단(31a)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21)에는 상기 젖병몸체(10)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외측 단부에서 상부로 연장된 밀착벽(21a)과, 상기 젖병몸체(10)와 상기 통기단(31a)이 연통되도록 통공된 방지체통기공(21b)이 구비되고,
    상기 조임체요입부(32)에는 상기 젖꼭지조임체(40)의 중앙 통공을 형성하는 내측 단부가 걸림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조임체요입홈(32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체요입부(32)에는 상기 젖꼭지조임체(40)로 조임시 상기 통기단(31a)에 외기가 공급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외부통기홈(32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34)는 상기 중앙경사부(33)의 내측 단부를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된 상부빨대(34a)와, 하부로 연장된 하부빨대(34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밀폐부(31)의 저면에는 상기 밀폐벽(22)의 상부 선단에 안착시 밀착력이 강화되도록 하부로 돌출된 벽밀착단(31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조임체(40)는 상기 젖꼭지(30)의 중앙 상부가 요입되도록 중앙이 통공된 중앙관통부(41)와, 상기 중앙관통부(41)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목결합부(42)로 이루어지며, 상기 목결합부(42)의 내주연에는 상기 상부목(11)의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도록 조임체나사산(42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통부(41)의 저면에는
    상기 선단밀폐부(31)의 상면 일측을 압착토록 하부로 돌출된 상면압착돌기(41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체(2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상부목(11)의 내주연에서 해제가 용이토록 상부로 돌출된 방지체손잡이(23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KR1020170070754A 2017-06-07 2017-06-07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KR10189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754A KR101897663B1 (ko) 2017-06-07 2017-06-07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754A KR101897663B1 (ko) 2017-06-07 2017-06-07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663B1 true KR101897663B1 (ko) 2018-09-12

Family

ID=63593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754A KR101897663B1 (ko) 2017-06-07 2017-06-07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66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79B1 (ko) * 2018-10-12 2020-02-27 (주)쁘띠엘린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KR102258720B1 (ko) 2020-09-03 2021-05-31 주식회사 맘스트레져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빨대형 병마개
KR20210106194A (ko) *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아가프라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KR20220169586A (ko) 2021-06-21 2022-12-28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젖꼭지를 갖는 젖병 구조
KR20230050142A (ko) 2021-10-07 2023-04-14 손문학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KR20230050141A (ko) 2021-10-07 2023-04-14 손문학 보틀의 캡을 이중으로 할당하여 소분할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보틀 시스템
KR20230163098A (ko) 2022-05-23 2023-11-30 박용운 역류방지용 유아 젖꼭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16Y1 (ko) 2002-01-25 2002-04-12 (주) 아벤트코리아 추달린 스트로우의 젖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916Y1 (ko) 2002-01-25 2002-04-12 (주) 아벤트코리아 추달린 스트로우의 젖병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79B1 (ko) * 2018-10-12 2020-02-27 (주)쁘띠엘린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KR20210106194A (ko) * 2020-02-20 2021-08-30 주식회사 아가프라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KR102403946B1 (ko) * 2020-02-20 2022-06-02 주식회사 아가프라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KR102258720B1 (ko) 2020-09-03 2021-05-31 주식회사 맘스트레져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빨대형 병마개
CN114129451A (zh) * 2020-09-03 2022-03-04 妈妈宝贝有限公司 具有防逆流功能的带吸管瓶盖
CN114129451B (zh) * 2020-09-03 2024-04-30 妈妈宝贝有限公司 具有防逆流功能的带吸管瓶盖
KR20220169586A (ko) 2021-06-21 2022-12-28 주식회사 올테크코리아 젖꼭지를 갖는 젖병 구조
KR20230050142A (ko) 2021-10-07 2023-04-14 손문학 보틀의 구조적 특성을 통한 선택적 손잡이 탈부착 보틀 시스템
KR20230050141A (ko) 2021-10-07 2023-04-14 손문학 보틀의 캡을 이중으로 할당하여 소분할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보틀 시스템
KR20230163098A (ko) 2022-05-23 2023-11-30 박용운 역류방지용 유아 젖꼭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663B1 (ko)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CA2565507C (en) Feeding bottle
US20070262041A1 (en) Bottle Assembly and a Vent Device Therefor
US8851324B2 (en) Drinking cup with a straw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up
KR101920325B1 (ko) 빨대형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젖병
KR20080045286A (ko) 젖병 젖꼭지
JP2020058849A (ja) 乳児用吸い飲み容器のための吸い口
US20170112720A1 (en) Bottle Teat and Cap for a Drinking Bottle
TWI661823B (zh) 雙組態之瓶總成
US20180036207A1 (en) Baby bottle nipple and configurations thereof
KR102258720B1 (ko)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빨대형 병마개
US20140263157A1 (en) Bottle closure and method
EP1297814A1 (en) Thick feed baby teat
US20170258687A1 (en) Teat
WO2014117209A1 (en) Drinking container cap with demand valve
KR102510705B1 (ko) 젖꼭지를 갖는 젖병 구조
KR100850796B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US10799427B2 (en) Infant feeding teat
KR20230163098A (ko) 역류방지용 유아 젖꼭지
KR940007412Y1 (ko) 일회용 급유기용 젖꼭지
KR200281204Y1 (ko)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JP2007176497A (ja) 飲料供給弁構造体および該飲料供給弁構造体を有する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