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796B1 -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 Google Patents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796B1
KR100850796B1 KR1020070012716A KR20070012716A KR100850796B1 KR 100850796 B1 KR100850796 B1 KR 100850796B1 KR 1020070012716 A KR1020070012716 A KR 1020070012716A KR 20070012716 A KR20070012716 A KR 20070012716A KR 100850796 B1 KR100850796 B1 KR 100850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air inflow
inflow passag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윤
Original Assignee
박용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윤 filed Critical 박용윤
Priority to KR1020070012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8Venting occurring during initial closing or opening of the container,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e.g. interrupted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용기가 비스듬하게 엎어져도 용기 본체와 뚜껑이 결합된 부분으로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 것과 또한, 구조를 간단히 하여 생산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그 상단에 배출구를 가지는 뚜껑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0) 상단부에 형성된 입구(11)와 이에 결합되는 뚜껑(30) 사이에 안내돌기(13)가 형성되고 안내돌기(13)에 의하여 공기유입통로(12)가 생성된 용기를 제공하므로서 그 목적은 달성되는 것이다.
안내돌기, 공기유입통로, 용기, 젖꼭지, 액상 내용물

Description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A discharge case of liquid content to have a passageway of invasion 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용기 본체 상단에 공기유입통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제1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젖꼭지 플랜지부 저면에 공기유입통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제2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용기 뚜껑 저면에 공기유입통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제3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용기 뚜껑과 용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 저면에 공기유입통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제4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에서 용기 본체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서 용기 본체와 젖꼭지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도 7은 종래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용기 본체 11 : 공기유입구
12 : 공기유입통로 13 : 안내돌기
16 : 두부 20 : 젖꼭지
21 : 플랜지 22 : 배출구
30: 30a: 뚜껑 40 : 스트롱
50 : 패킹
본 발명은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본체 입구 상단부와 이에 결합되는 뚜껑 사이에 공기 유입 통로를 형성되게 하여 내용물 배출시에는 배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되고, 또한, 용기의 상단부와 뚜껑이 결합된 부분으로 액상의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않게 한 용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수나 우유 등을 용기내에 넣은 다음 스트롱이나 젖꼭지 등 배출구가 있는 부재가 결합된 뚜껑을 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스트롱이나 젖꼭지를입에 물고 흡입하면 내용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용기 본체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내에 담긴 액상의 내용물을 원활하게 배출되려면 내용물이 배출되는 만큼 용기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야 한다.
종래의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젖병 용기는 용기 본체(100)와 용기 본체(100)의 상단 입구에 결합되는 중간 캡(110)과 젖꼭지(120)가 결합되는 뚜껑(130)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중간 캡(110)에는 용기본체(100)와 뚜껑(13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않게 고무재질의 패킹(111)이 형성되고, 외부의 공기가 공기 구멍(112)을 통하여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 유입관(113)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것은 우유와 같은 액상의 내용물을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해서 공기 유입관(113)을 형성하고 또한, 외부로 내용물이 새지 않도록 패킹(111)이 형성된 중간 캡(110)을 별도로 결합해야 하므로 부품 수가 많아지고 이로 인하여 생산 단가가 증가하게 되고 조립공정도 많아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용기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구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용기가 비스듬하게 엎어져도 용기 본체와 뚜껑이 결합된 부분으로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한데 그 목적을 둔 것이고,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 하여 생산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그 상단에 배출구를 가지는 뚜껑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0) 상단부에 형성된 입구(11)와 이에 결합되는 뚜껑(30) 사이에 안내돌기(13)가 형성되고 안내돌기(13)에 의하여 공기유입통로(12)가 생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공기유입통로(12)는 안내돌기(13)를 가장자리에서 안쪽방향으로 원형태로 1.5 ~ 2.5회 감겨진 한 개의 통로가 마련 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안내돌기(13)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유입 통로(12)는 용기 본체(10)의 두부(16) 상단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안내돌기(13)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유입 통로(12)는 용기 본체의 두부(16) 상단면과 맞닿는 뚜껑(30a)의 저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안내돌기(13)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유입통로(12)는 용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50) 저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섯째, 상기 안내돌기(13)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유입통로(12)는 젖꼭지(20a)의 플랜지(21) 저면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용기 본체 상단에 공기유입통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제1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용기 본체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서 용기 본체와 젖꼭지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본체(10)의 입구(11) 상단면에 공기유입통로(12)가 형성되도록 안내돌기(13)를 가장자리에서 중심점을 향한 안쪽방향으로 설치되게 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두부(16) 상단부 즉, 뚜껑(30)을 결합할 때 뚜껑(30)의 저면부와 밀착되는 용기 본체(10)의 두부(16) 상면에 안내돌기(13)를 가장자리에서부터 입구 중심을 향하여 안쪽 방향으로 1.5 ~ 2.5회 정도 원형태로 감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안내돌기(13)를 너무 많이 감으면 공기 순환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1.5 ~ 2.5회 정도가 적당하다.
안내돌기(13)의 공기 유입구(11) 부분은 외부 공기가 유입이 잘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와 젖꼭지(20)가 결합된 뚜껑(30)을 결합하면 젖꼭지(20)의 플랜지(21) 부분이 용기 본체(10)의 두부(16) 상단부에 형성된 안내돌기(13) 상부에 안착되고 공기유입통로(12)는 외부에서 용기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용기내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을 마시기 위하여 젖꼭지(20)를 빨면 흡입되는 체적만큼 외부의 공기는 용기 본체(10)와 뚜껑(30)이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산 부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유입구(11)를 통하여 공기유입통로(12)로 안내되면서 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고 용기내로 유입된 공기의 압력으로 내용물은 배출구(22)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용기내에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용기가 바닥으로 엎어져도 뚜껑(30)과 용기 본체(10)가 결합된 부분으로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않는다.
그 이유는 공기 유입 통로(12)가 직경이 커지 않으므로 공기의 순환은 잘되지만. 용기내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공기유입통로(12)로 유입되더라도 양쪽의 안내돌기(13) 사이에서 액체의 성질인 표면장력과 점성도에 의하여 액체가 공기유입통로(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해하므로 액체가 용기 본체(10)와 뚜껑(30)의 결합부분으로 누수가 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용기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되기 위해서 공기 유입 통로가 형성된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시도로서, 젖병에 우유를 넣고 어린 애기에게 먹일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젖꼭지(20a)의 플랜지(21) 저면에 안내돌기(13)가 형성된 공기유입통로(12)를 형성되게 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시도로서, 음료용 용기에 스트롱(40)이 삽입 설치된 뚜껑(30a)을 결합하여 스트롱(40)으로 내용물을 먹을 때 사용하는 용기로서, 뚜껑(30a) 저면(즉, 용기 입구 상면부와 맞닿는 부분)에 안내돌기(13)에 의하여 공기유입통로(12)가 형성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시도로서, 음료용 용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뚜껑(30a) 저면과 용기 본체(10a)의 두부(16) 상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50)의 저면에 안내돌기(13)가 형성되어 공기유입통로(12)가 생성된 것이다.
위의 실시 예에 형성된 공기유입통로(12)가 하는 작용은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작용내용과 동일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용기에 의하면, 액상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입 통로가 형성되므로서, 용기 본체와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내로 삽입된 스트롱이나 또는 뚜껑의 상단부에 결합된 젖꼭지를 빨면 용기내에 저장된 액상의 내용물이 배출구로 원활하게 배출될 뿐만 아니라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용기가 엎어져도 용기 본체와 뚜껑이 결합된 부분으로 액상의 내용물이 세어나오지 않으므로 안전하면서 편안하게 내용물을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내로 연통되는 공기유입통로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그 상단에 배출구를 가지는 뚜껑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10) 상단부 형성된 입구(11)와 이에 결합되는 뚜껑(30) 사이에 안내돌기(13)가 형성되고 안내돌기(13)에 의하여 공기유입통로(12)가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통로(12)는 안내돌기(13)를 가장자리에서 안쪽방향으로 원형태로 1.5 ~ 2.5회 감겨진 한 개의 통로가 마련됨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13)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유입 통로(12)는 용기 본체(10)의 두부(16) 상단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13)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 유입 통로(12)는 용기 본체의 두부(16) 상단면과 맞닿는 뚜껑(30a)의 저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13)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유입통로(12)는 용기 본체와 뚜껑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50) 저면(용기 본체의 두부(16) 상단면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13)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유입통로(12)는 젖꼭지(20a)의 플랜지(21) 저면(용기 본체의 두부(16) 상단면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KR1020070012716A 2007-02-07 2007-02-07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KR100850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716A KR100850796B1 (ko) 2007-02-07 2007-02-07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716A KR100850796B1 (ko) 2007-02-07 2007-02-07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0796B1 true KR100850796B1 (ko) 2008-08-06

Family

ID=3988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716A KR100850796B1 (ko) 2007-02-07 2007-02-07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55A1 (ko) * 2019-11-04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4294U (ko) 1978-06-15 1979-12-27
FR2548894A1 (fr) * 1983-07-13 1985-01-18 Oreal Tetine de biberon munie de canaux d'event
US5465864A (en) 1994-07-15 1995-11-14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Venting thermoplastic container for a package with a bladder system
EP0753294A1 (fr) 1995-07-11 1997-01-15 Joseph Grasset Biberon d'allaitement à débit réglable
US20030192851A1 (en) * 2002-04-10 2003-10-16 Ziegler Scott W. Nipple assembly for retrofit bottle attach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4294U (ko) 1978-06-15 1979-12-27
FR2548894A1 (fr) * 1983-07-13 1985-01-18 Oreal Tetine de biberon munie de canaux d'event
US5465864A (en) 1994-07-15 1995-11-14 Owens-Illinois Plastic Products Inc. Venting thermoplastic container for a package with a bladder system
EP0753294A1 (fr) 1995-07-11 1997-01-15 Joseph Grasset Biberon d'allaitement à débit réglable
US20030192851A1 (en) * 2002-04-10 2003-10-16 Ziegler Scott W. Nipple assembly for retrofit bottle attach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055A1 (ko) * 2019-11-04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렌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1647C2 (ru) Крышка
US8807386B2 (en) Accessory for drinking vessel
US20070262041A1 (en) Bottle Assembly and a Vent Device Therefor
KR101466553B1 (ko) 유아용 음료용기
US20150320644A1 (en) Nursing bottle nipple and air-venting system
JP2005512914A (ja) 改良型封鎖システム
KR100850796B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CN210842543U (zh) 具有自吸功能的饮料杯
US20140263157A1 (en) Bottle closure and method
KR200489447Y1 (ko) 일회용 용기
KR102082379B1 (ko) 음료용기에 결합되는 빨대 음용구
KR102403946B1 (ko)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CN217793835U (zh) 一种防喷水的鸭嘴奶瓶
TWI748276B (zh) 飲料容器及蓋組件
CN220375069U (zh) 一种加液瓶及具有其的水瓶
KR101213196B1 (ko) 기능성 젖병
KR200484185Y1 (ko) 젖병
KR200281204Y1 (ko) 음료용기용 마개조립체
KR200374926Y1 (ko) 젖병용 통기밸브
KR20130005946U (ko)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KR200328696Y1 (ko) 기능성 젖병
KR20170026989A (ko) 위생 빨대
EP3569111A1 (en) Drinking vessel cover and drinking vessel
KR960002845Y1 (ko) 유아용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