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946U -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946U
KR20130005946U KR2020120002699U KR20120002699U KR20130005946U KR 20130005946 U KR20130005946 U KR 20130005946U KR 2020120002699 U KR2020120002699 U KR 2020120002699U KR 20120002699 U KR20120002699 U KR 20120002699U KR 20130005946 U KR20130005946 U KR 201300059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oupling member
hollow
beverag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숙
Original Assignee
김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숙 filed Critical 김현숙
Priority to KR2020120002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946U/ko
Publication of KR201300059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9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용기의 용기 입구에 결합되어 평소에는 음료의 누출이 방지되고, 음용시에는 음료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원통의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며, 음료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중심부에 중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 테두리가 걸림턱에 안착되며, 상단 테두리가 결합부재의 상단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 및 관통공을 통해 중공에 결합되고, 실링부재를 결합부재에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음용시 흡입력에 의해, 실링부재의 상단 테두리 일측이 결합부재로부터 이격하고, 통공을 통해 음료용기의 음료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CAP ASSEMBLY OF BEVERAGE BOTTLE FOR PROTECTING LEAKAGE}
본 고안은 음료용기의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의 용기 입구에 결합되어 평소에는 음료의 누출이 방지되고, 음용시에는 음료의 배출이 가능하게 되는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등산이나 하이킹 또는 자전거 주행 등 스포츠 활동시나, 유아 또는 노약자가 사용시, 내용물을 쏟지 않고 간편하게 용기 내의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즉, 평상시에는 음료용기의 용기입구를 완전히 밀폐하여 용기 내부의 음료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음용시에는 용기 내부의 음료수가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음료용기용 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음료용기용 캡은 내부에 저장된 액체음료가 새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새지 않고, 활동중에 음료용기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지거나, 바닥에 떨어지거나, 심지어 뒤집혔을 때에도 내부의 음료용기가 누출되지 않아야 하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 10-2009-0123958(문헌 1)에서는, 스파우트를 통해 용기로부터 음료를 흡입시키는 동시에, 음료가 흡입되지 않을 때에는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 음료용기를 폐쇄하는 캡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밸브 작동을 이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복잡한 구조로 인한 제조비용 상승과, 분해 및 세척 후 재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 10-2009-0123958 (2009.12.02)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별도의 뚜껑 없이도, 평소에는 밀폐상태를 유지하다가 음용시에는 음료를 흡입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분해 및 세척 후 재조립이 용이한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와 관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원통의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음료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중심부에 중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 테두리가 걸림턱에 안착되며, 상부 결합부재의 상단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 및 관통공을 통해 중공에 결합되고, 실링부재를 결합부재에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음용시 흡입력에 의해, 실링부재의 상단 테두리 일측이 결합부재로부터 이격하고, 통공을 통해 음료용기의 음료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이 때, 결합부재는 걸림턱 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유로턱이 높게 단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턱의 저면에는 음료용기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링부재는 중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외측 상향으로 경사져서 결합부재의 상단부 내측에 밀착 지지된다.
또한, 고정부재는 관통공을 통해 중공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중공의 하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실링부재의 안착부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된다.
이 때, 실링부재의 안착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가압부의 외측 테두리 저면에는 가압환턱이 하향 돌출 형성되며, 실링부재와 고정부재의 조립시 상기 가압환턱이 제2삽입홈으로 삽입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에 의하면, 별도의 뚜껑 없이도, 평상시에는 음료용기가 완전히 밀폐되어,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용시에는 음료용기의 음료를 흡입하여 마실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서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용이하게 분해하여 세척 후 재조립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유아나 노약자의 건강 관리를 위한 살균 및 소독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부분절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가 적용된 컵을 사용하는 상태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이하, '누출방지 캡'이라 한다)(10)는 크게 결합부재(20)와 실링부재(30) 및 고정부재(40)로 나뉘어진다.
여기서, 결합부재(20)는 음료용기(1)의 상단 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기치 못한 이탈 방지를 위해 음료용기(1)의 입구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결합부재(20)의 하단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실링부재(30)는 결합부재(20)에 안착되어 음료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게 되는데, 실리콘이나 고무 등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깔때기 형태의 상단 테두리가 결합부재(20)의 내측면 상단에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결합부재(20)의 상부를 밀폐하게 된다.
한편, 고정부재(40)는 실링부재(30)를 결합부재(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부재(40)가 결합부재(20)에 결합됨과 동시에, 실링부재(30)를 결합부재(20)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각각의 부재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0)는 원통의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공(21)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걸림턱(24)이 형성되고, 걸림턱(24) 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231)이 형성된 유로턱(23)이 높게 단차 형성된다.
이때, 유로턱(23)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의 통공(231)이 관통 형성되며, 걸림턱(24)은 중공(21)의 측벽(211) 상단을 따라 형성되는데, 걸림턱(24)에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복수의 지지돌기(241)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재(20)의 하단 내측면에는 나사산(26)이 형성되어 음료용기(1)의 상단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이때, 결합부재(20)의 하단 내측면으로부터 중공(21)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유로턱(23)의 저면에서 가이드부(27)가 원주방향을 따라 하향 돌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결합부재(20)의 하단 내측면과 가이드부(27)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이 이격공간은 음료용기(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28)을 이루게 된다.
또한, 중공(21)을 이루는 측벽(211)과 가이드부(27) 사이 즉, 유로턱(23)의 하부에는 공간부(29)가 형성되어, 음료용기(1)의 상단에 결합부재(20) 결합시 음료용기(1)의 음료는 유로턱(23)의 통공(2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20)의 중공(21)은 후술하는 고정부재(4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부분 절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링부재(30)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중앙에 관통공(31)이 형성된 원통의 형상이며, 상부면은 외측 상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서 연장 형성되는 깔때기 형태의 경사부(33)를 이룬다.
이때, 실링부재(30)의 하단 안착부(34)는 결합부재(20)의 걸림턱(24)에 안착되고, 상부 경사부(33)의 상단 테두리는 결합부재(20)의 상단부에 안착되며, 실링부재(30)의 관통공(31)이 결합부재(20)의 중공(21)과 서로 연통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링부재(30)의 하단 내주면을 따라 안착부(3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 안착부(34)는 전술한 결합부재(20)의 걸림턱(24)에 안착되며, 따라서 안착부(34)의 하부는 걸림턱(24)의 지지돌기(241)에 지지된다.
또한, 경사부(33)의 상단 테두리는, 재질로 인한 자체 탄성력 및/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결합부재(20)의 상단부 내측에 밀착 지지되어, 복수의 통공(231)을 통해 유입되는 음료용기(1)의 음료가 결합부재(20)와 실링부재(30) 사이의 간격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게 되며, 음용시에는 흡입력에 의해 실링부재(30)의 경사부(33)의 상단 테두리가 결합부재(20)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음료용기(1)의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된다.
이 실링부재(30)는 후술하는 고정부재(40)에 의해 결합부재(20)에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안착부(34)의 상측에는 안착부(34)를 따라 제2삽입홈(341)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고정부재(40)의 가압환턱(421)이 이 제2삽입홈(341)에 삽입되어 실링부재(30)를 결합부재(20)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고정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40)는, 원통형 몸체(41)와, 원통형 몸체(41)의 상단을 폐쇄하고 디스크 형상으로 반경이 확장 형성되는 가압부(42)와, 원통형 몸체(41)의 외주면 하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걸림돌기(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원통형 몸체(41)는 실링부재(30)의 관통공(31)을 통해 결합부재(20)의 중공(21)으로 삽입되어 가압부(42)가 중공(21)을 폐쇄하게 되며, 원통형 몸체(41)의 걸림돌기(43)가 결합부재(20)의 중공(21)을 이루는 측벽(211) 하단에 탄성적으로 걸림 결합됨으로써, 실링부재(30)가 결합부재(20)와 고정부재(40)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결합부재(20)와 고정부재(4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압부(42)의 외측 테두리 저면에는 가압부(42)를 따라 가압환턱(421)이 하향 돌출 형성되는데, 고정부재(40)와 결합부재(20)의 결합시 가압환턱(421)은 실링부재(30)의 제2삽입홈(341)에 삽입되어 실링부재(30)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조립시 고정부재(40)를 결합부재(20) 방향으로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원통형 몸체(41) 상단의 가압부(42)는 그 중앙부가 아래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출방지 캡(10)의 조립과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실링부재(30)의 제2삽입홈(341)에 고정부재(40)의 가압환턱(421)을 끼워서 실링부재(30)와 고정부재(40)를 결합한다.
이후, 고정부재(40)의 원통형 몸체(41)를 결합부재(20)의 중공(21)에 억지 끼움하여, 걸림돌기(43)가 중공(21)의 측벽 하단에 걸려서 고정되게끔 한다. 이때, 실링부재(30)의 안착부(34)는 결합부재(20)의 걸림턱(24)에 안착되고, 실링부재(30)의 경사부(33) 상단 테두리는 결합부재(20)의 상단부 내측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결합부재(20)의 걸림턱(24)에 실링부재(30)를 안착시킨 후, 고정부재(40)의 원통형 몸체(41)를 실링부재(30)의 관통공(31)을 거쳐 결합부재(20)의 중공(21)에 끼움 결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조립이 완료된 누출방지 캡(10)을 음료용기(1)의 상단 입구에 결합한다.
이때, 음료용기(1)로는 컵 또는 병 등 액체 음료를 담고 있는 용기라면 그 형태와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며, 음료용기(1)와 누출방지 캡(10)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음료용기(1)의 입구가 형성되는 음료용기(1)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결합부재(20)의 나사산(26)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볼 때, 음료용기(1)에 누출방지 캡(10)을 결합한 후 음료용기(1)를 기울이면, 누출방지 캡(10)의 결합부재(20) 중공(21)이 고정부재(40)의 가압부(42)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므로, 음료용기(1)의 음료는 유로턱(23)의 통공(231)을 통해 유동하며, 유로턱(23)의 상부에서 실링부재(30)의 경사부(33)가 결합부재(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음료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유로턱(23)의 상부에 고이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결합부재(20)의 상단부에 입을 갖다대고 흡입하면, 그 흡입력에 의해 실링부재(30)의 경사부(33) 테두리가 결합부재(20)의 상단부로부터 이격하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는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20 : 결합부재
21 : 중공 23 : 유로턱
24 : 걸림턱 28 : 제1삽입홈
30 : 실링부재 31 : 관통공
33 : 경사부 34 : 안착부
40 : 고정부재 42 : 가압부
43 : 걸림돌기

Claims (6)

  1. 원통의 형상으로,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음료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중심부에 상기 중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하단 테두리가 상기 걸림턱에 안착되며, 상단 테두리가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실링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중공에 결합되고, 상기 실링부재를 상기 결합부재에 가압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음용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실링부재의 상단 테두리 일측이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음료용기의 음료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걸림턱 위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유로턱이 높게 단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로턱의 저면에는 상기 음료용기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중공에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부면이 외측 상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부 내측에 밀착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중공에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의 하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실링부재의 안착부를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의 안착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외측 테두리 저면에는 가압환턱이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실링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조립시 상기 가압환턱이 상기 제2삽입홈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KR2020120002699U 2012-04-03 2012-04-03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KR201300059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699U KR20130005946U (ko) 2012-04-03 2012-04-03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699U KR20130005946U (ko) 2012-04-03 2012-04-03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946U true KR20130005946U (ko) 2013-10-14

Family

ID=5243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699U KR20130005946U (ko) 2012-04-03 2012-04-03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9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450A (ko) * 2015-11-25 2018-07-31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스파우트가 없는 음용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450A (ko) * 2015-11-25 2018-07-31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스파우트가 없는 음용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99107B (zh) 防溢饮用容器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RU2554760C2 (ru) Узел соски (варианты)
KR101774176B1 (ko)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US20130233869A1 (en) Lid with cap for beverage receptacle
TW467852B (en) A drinking vessel
TW443976B (en) Container cap
RU2461347C2 (ru) Зап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детской бутылочки для питья или детской чашки-поильника
KR101356390B1 (ko) 안정된 결합력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실리콘 병
US20070138121A1 (en) Drinking devices for children with integrated valve
KR20110020247A (ko) 흡입용 젖꼭지 유닛
KR101466553B1 (ko) 유아용 음료용기
RU105589U1 (ru) Бутылка с двумя отверстиями для кормления ребенка
RU2733476C2 (ru) Раздел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бутылочки для кормления и бутылочка для кормления
US20120248056A1 (en) Teat unit
US20130327737A1 (en) Silicone baby bottle
KR20120026099A (ko) 누출 방지 음용 컵 및 이를 위한 다이아프램
KR101894739B1 (ko) 젖병
KR200453141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물병뚜껑
KR20130005946U (ko)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US20200087041A1 (en) Compressed gas supply device
JP3201923U (ja) 逆止弁付き飲み口体
JP5242494B2 (ja) 中栓付容器
US11596580B2 (en) Nursing bottle having air returning function
KR101391409B1 (ko) 유아용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