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450A - 스파우트가 없는 음용 컵 - Google Patents

스파우트가 없는 음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450A
KR20180086450A KR1020187017443A KR20187017443A KR20180086450A KR 20180086450 A KR20180086450 A KR 20180086450A KR 1020187017443 A KR1020187017443 A KR 1020187017443A KR 20187017443 A KR20187017443 A KR 20187017443A KR 20180086450 A KR20180086450 A KR 20180086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receptacle
sealing
lid assembly
drink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893B1 (ko
Inventor
찰스 밀러
시앙원 장
마크 리드
더글라스 하네켄
Original Assignee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filed Critical 핸디 크래프트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8008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개방 단부를 갖는 리셉터클 그리고 개방 단부 위에서 리셉터클과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리드 조립체를 포함하는 음용 컵이 제공된다. 리드 조립체 벽은 내부 표면 그리고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링을 갖는다. 내부 링은 복수의 유체 통로를 한정한다. 밀봉 조립체는 내부 링에 의해 보유되도록 구성되고, 밀봉 조립체는 밀봉된 구성과 밀봉되지 않은 구성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밀봉된 구성에서, 상부 립은 내부 표면과 밀봉 결합하고, 유체는 리드 조립체와 밀봉 조립체 사이에 한정되는 리드 조립체 체적부를 통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개방된 구성에서, 유체는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유체 통로를 통해, 그리고 밀봉 립의 일부에 의해 한정되는 간극과 밀봉 표면의 대응 부분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Description

스파우트가 없는 음용 컵
본 발명은 대체로 음용 컵으로서, 사용자가 컵으로부터 음용할 수 있게 하는 리드 조립체(lid assembly)를 갖는, 음용 컵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리드 조립체가 사용자가 음용하게 하는 스파우트(spout)를 갖지 않는 그러한 음용 컵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용 컵, 여행용 컵 및 커피용 머그와 같은 음용 컵 그리고 아동의 연습용 컵은 전형적으로 컵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는 리드 조립체를 갖는다. 리드 조립체는 사용자가 컵으로부터 음용하게 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컵으로부터 음용하게 하는 빨대 또는 스파우트와 같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 빨대 또는 스파우트는 일부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폐쇄가능 또는 밀봉가능하여 컵이 떨어지거나 기울어지는 경우에 컵으로부터의 누출에 저항한다.
그러한 음용 컵은 특히 연습용 컵으로서 아동에 의해 사용될 때에, 아동이 컵을 특정 방식으로 배향하여야 하고 리드 조립체의 원주부 주위의 특정 위치로부터만 음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컵으로부터의 음용과 상이하게 보인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드 조립체의 전체 원주부 주위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음용하게 하는 스파우트가 없는 리드 조립체를 갖는 음용 컵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용 컵은 대체로 개방 단부를 갖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액체 챔버를 리셉터클 내에 한정한다. 리드 조립체는 리셉터클과 그 개방 단부 위에서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리드 조립체는 밀봉 립(lip)을 포함한다. 밀봉 조립체는 대체로 밀봉 표면을 포함하고, 밀봉 표면의 횡단방향 외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체 통로를 갖는다. 밀봉 조립체는 리드 조립체가 리셉터클과 결합될 때에 리셉터클과 리드 조립체 사이에 보유되도록 구성된다. 리드 조립체 및 밀봉 조립체는 밀봉 조립체가 밀봉된 구성과 밀봉되지 않은 구성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밀봉된 구성에서, 밀봉 립은 복수의 유체 통로의 횡단방향 내향에 있는 밀봉 표면과 밀봉 결합하고 그에 따라 밀봉 립 및 밀봉 표면은 유체가 리셉터클로부터 밀봉 립 및 밀봉 표면을 지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개방된 구성에서, 간극이 밀봉 립의 적어도 일부와 밀봉 표면의 대응 부분 사이에 한정되고, 유체는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유체 통로를 통해 그리고 간극을 통해 유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음용 컵은 대체로 개방 단부를 갖는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액체 챔버를 리셉터클 내에 한정한다. 리드 조립체는 리셉터클과 그 개방 단부 위에서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리드 조립체는 대체로 내부 표면을 갖는 리드 조립체 벽 그리고 리드 조립체 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링을 포함한다. 내부 링은 복수의 유체 통로를 한정한다. 밀봉 조립체는 내부 링에 의해 보유되도록 구성되고, 밀봉 조립체는 상부 립을 포함한다. 리드 조립체 및 밀봉 조립체는 밀봉 조립체가 밀봉된 구성과 밀봉되지 않은 구성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밀봉된 구성에서, 상부 립은 내부 표면과 밀봉 결합하고, 유체는 리드 조립체와 밀봉 조립체 사이에 한정되는 리드 조립체 체적부를 통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개방된 구성에서, 유체는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유체 통로를 통해, 그리고 밀봉 립의 일부에 의해 한정되는 간극과 밀봉 표면의 대응 부분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도 1은 아동의 연습용 컵의 형태를 갖는 음용 컵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용 컵의 일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아동의 연습용 컵의 형태를 갖는 음용 컵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음용 컵의 일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아동의 연습용 컵의 형태를 갖는 음용 컵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음용 컵의 일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음용 컵의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음용 컵의 형태를 갖는 음용 컵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음용 컵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음용 컵의 일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음용 컵에 사용하는 밀봉 조립체의 실시예의 제1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밀봉 조립체의 제2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밀봉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밀봉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밀봉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밀봉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1의 밀봉 조립체의 돌출부의 상세도이다.
도 18은 도 8의 음용 컵에 사용하는 리드 조립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리드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리드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리드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음용 컵의 형태를 갖는 음용 컵의 제5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밀봉된 구성에 있는 도 22의 음용 컵의 일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음용 컵에 사용하는 리드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리드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26은 도 22의 음용 컵에 사용하는 밀봉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밀봉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28은 밀봉되지 않은 구성에 있는 도 22의 음용 컵의 일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29는 음용 컵의 형태를 갖는 음용 컵의 제6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밀봉된 구성에 있는 도 29의 음용 컵의 일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음용 컵에 사용하는 리드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9의 리드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29의 음용 컵에 사용하는 밀봉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29의 밀봉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35는 밀봉되지 않은 구성에 있는 도 29의 음용 컵의 일부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2는 젖병 수유로부터 일반 컵으로의 음용으로 이행하는 이유기에 있는 아동에 의해 사용되는 아동의 연습용 컵의 형태를 갖는, 대체로 도면부호 100으로 표시되는, 음용 컵을 도시한다. 연습용 컵(100)은 액체를 보유하는 리셉터클(110) 그리고 리셉터클(110)에, 예컨대 나사(115) 또는 다른 적절한 부착 수단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부착되어 리셉터클을 폐쇄하는 리드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핸들(130)이 연습용 컵(100) 상에 제공되어 아동이 연습용 컵(100)을 파지한 상태로 음용하게 할 수 있다. 리드 조립체는 사용자(예컨대, 아동)가 연습용 컵의 내용물을 음용하게 하는, 대체로 도면부호 140으로 표시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밸브 조립체(140)는 리드 조립체(120)의 리셉터클(140)로의 부착 시에 리셉터클(110)의 림(rim)(147)에 대해 장착되는 대체로 디스크형의 기부(141)를 포함한다. 기부(141)는 액체가 유동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142)를 포함한다.
기부(141)는 기부(141)의 중심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중심 스템(stem)(143) 그리고 스템(143)의 상부에 있는 폐쇄 디스크(145)와 일체로 형성되고, 스템(143)은 또한 폐쇄 디스크(145)의 중심에 있다. 스템(143) 및 폐쇄 디스크(145)는 적절한 가요성의 재료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폐쇄 디스크(145)는 리드 조립체(120)의 상부에 있고 리드 조립체(120)의 원주부 주위에서 연장하는 립(146)에 대해 탄력적으로 밀봉된다. 아동이 연습용 컵(100)으로부터 음용하고 싶을 때에, 아동은 자신의 입으로 폐쇄 디스크(145)를 눌러서 폐쇄 디스크(145)를 리드 조립체(120)의 립(146)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액체가 대체로 종래의 음용 컵의 방식으로 리셉터클(110)로부터 유동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은 아동이 리드 조립체(120)의 원주부 주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연습용 컵(100)으로부터 음용하게 한다. 아동이 음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자신의 입술을 폐쇄 디스크(145)로부터 후퇴시킬 때에, 폐쇄 디스크(145)는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립(146)과 다시 접촉하고 그에 따라 누출에 저항한다.
도 3 및 4는 아동의 연습용 컵의 형태를 또한 갖는 음용 컵(20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연습용 컵(200)은 그것이 리셉터클(210), 리드 조립체(220), 및 임의적인 핸들(23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및 2의 연습용 컵(100)과 유사하다. 밸브 조립체(240)는 일체로 형성된 기부(241) 및 스템(243) 그리고 별개로 형성된 폐쇄 디스크(245)를 포함한다. 스템(243)은 폐쇄 디스크(245)를 대체로 해제가능한 스냅 끼워맞춤 조립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환형 홈(248)을 포함한다.
도 5-7은 아동의 연습용 컵의 형태를 또한 갖는 음용 컵(30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연습용 컵(300)은 그것이 리셉터클(310), 리드 조립체(320), 및 임의적인 핸들(33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및 2의 연습용 컵(100)과 유사하다. 밸브 조립체(340)는 원통형 측벽(351) 그리고 측벽(351)의 상부 단부(348)에서 측벽(351)과 일체로 형성되는 폐쇄 디스크(345)를 포함한다. 플랜지(355)가 측벽(351)의 하부 단부(349)에서 측벽(351)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여 밸브 조립체(340)를 리드 조립체(320)와 리셉터클(310)의 림(347) 사이에 밀봉한다. 측벽(351)은 대체로 하부 단부(349)에 인접하여 그 내에 형성되고 측벽(351) 주위에서 서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창(353)을 갖는다.
밸브 조립체(340)는 리드 조립체(320) 내에 보유되고, 폐쇄 디스크(345)는 리드 조립체(320)의 립(346)에 대해 유체 밀봉된다. 조립될 때에, 플랜지(355)는 리드 조립체(320)와 리셉터클(310)의 림(349) 사이에 밀봉 보유된다. 개방된 구성에서, 측벽(351)은 리드 조립체(320)의 횡단방향(예컨대, 반경방향) 내향에 위치되어 액체가 리셉터클(310)로부터, 창(353)을 통해 그리고 측벽(351)과 리드 조립체(320) 사이의 간극(356) 내로 유동하게 한다.
아동(즉, 사용자)이 연습용 컵(300)으로부터 음용하고 싶을 때에, 아동은 자신의 입으로 폐쇄 디스크(345)를 눌러서 폐쇄 디스크(345)를 립(346)으로부터 분리하고, 그에 따라 액체가 대체로 종래의 음용 컵의 방식으로 리셉터클(310)로부터 유동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은 아동이 리드 조립체(320)의 원주부 주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연습용 컵(300)으로부터 음용하게 한다. 아동이 음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자신의 입술을 폐쇄 디스크(345)로부터 후퇴시킬 때에, 폐쇄 디스크(345)는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리드 조립체(320)의 립(346)과 다시 접촉하고 그에 따라 액체의 연습용 컵(300)으로부터의 누출에 저항한다.
도 8-10은 대체로 도면부호 1100으로 표시되는, 음용 컵을 도시한다. 음용 컵(1100)은 액체를 보유하는 리셉터클(1110) 그리고 리셉터클(1110)에, 예컨대 리셉터클 나사(1115)를 리드 나사(1117)와 결합함으로써 또는 다른 적절한 부착 수단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부착되어 리셉터클을 폐쇄하는 리드 조립체(1120)를 포함한다. 핸들(도시되지 않음)이 음용 컵(1100)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즉, 아동)가 음용 컵(1100)을 파지한 상태로 음용하게 할 수 있다.
리드 조립체(1120)는 리셉터클(1110)로부터의 액체가 사용 중에 유동할 수 있는, 구멍(1122)과 같은, 하나 이상의 구멍 또는 유체 통로를 한정한다. 탄성 밀봉 조립체(1140)가 리드 조립체(1120)에 결합되어 리드 조립체(1120)에 의해 한정되는 구멍의 각각을 선택적으로 밀봉한다. 구체적으로, 밀봉 조립체(1140)는 밀봉 조립체(1140)가 리드 조립체(1120)에 결합될 때에 구멍의 각각 내로 삽입되는, 돌출부(1144)와 같은, 돌출부를 갖는 밀봉 본체(1142)를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부는 대체로 탄성 재료로 구성되고, 리드 조립체(1120)의 대응 구멍 내로의 삽입을 가능케 하도록 성형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1144)는 구멍(1122) 내로의 삽입을 가능케 하는 둥근형 및 테이퍼형 팁(1146)을 갖지만, 대체로 돌출부(1144)가 구멍(1122) 내로 삽입될 때에 팁(1146)이 구멍(1122)을 통해 완전히 삽입되면 그 제거에 저항한다. 돌출부(1144)는 구멍(1122)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테이퍼형 돌출부 부분(1147)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형 돌출부 부분(1147)은 돌출부(1144)와 구멍(1122) 사이의 밀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음용 컵(1100)의 분해 중에 밀봉 조립체(1140)의 리드 조립체(1120)로부터의 제거를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10에서, 음용 컵(1100)은 리드 조립체(1120)의 각각의 구멍이 밀봉 조립체(1140)의 대응 돌출부에 의해 밀봉되는 밀봉된 구성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밀봉된 구성에 있을 때에, 리셉터클(1110) 내에 수용되는 유체가 리드 조립체(1120)의 구멍을 통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동과 같은, 사용자가 음용 컵(1100)으로부터 음용하고 싶을 때에, 사용자는 구멍 중 하나 이상이 대응 돌출부에 의해 더 이상 밀봉되지 않고 유체가 리셉터클(1110)로부터 사용자의 입으로 유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제2 구성으로 음용 컵(1100)이 진입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 사용자는 자신의 입으로 밀봉 본체(1142)의 일부를 누름으로써 힘을 밀봉 본체(1142)에 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밀봉 조립체(114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한다. 밀봉 조립체(1140)가 변형되는 동안에, 가해지는 힘의 위치 근처에 있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리셉터클(1110) 내로 추가로 이동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돌출부와 그 대응 구멍 사이에 형성되는 밀봉을 파열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돌출부를 해제하는 데 필요한 밀봉 본체(1142)에 대한 힘을 유지하면서 음용 컵(1100)을 기울이는 동안에, 유체는 리셉터클(1110)로부터, 개방 구멍 중 임의의 개방 구멍을 통해 그리고 사용자의 입 안으로 유동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컵으로부터 음용하는 것이 종료될 때에, 사용자는 자신의 입을 음용 컵으로부터 후퇴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밀봉 본체(1142)에 대한 힘을 제거한다. 힘이 제거되면, 밀봉 조립체(1140)는 그 탄성으로 인해 밀봉된 구성으로 복귀한다.
밀봉 조립체(1140) 및 리드 조립체(1120)는 음용 컵(1100)이 밀봉된 구성에 있는 동안에 밀봉을 용이하게 하고 밀봉된 구성으로부터 개방된 구성으로 전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1140)는 볼록형 상부 부분(1143) 그리고 원주방향 리브(circumferential rib)(1154) 및 둥근형 플랜지 저부(1156)를 갖는 원통형 플랜지(1148)를 포함한다. 조립될 때에, 원주방향 리브(1154)는 리드 조립체(1120)의 상부 플랜지 견부(1131)에 인접하고, 둥근형 플랜지 저부(1156)는 리드 조립체(1120)의 하부 플랜지 견부(1133)에 인접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플랜지 견부(1131, 1133)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통기 조립체(1130)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밀봉된 구성에 있을 때에, 볼록형 상부 부분(1143)의 형상 그리고 원주방향 리브(1154) 및 둥근형 플랜지 저부(1156)의 상부 및 하부 플랜지 견부(1131, 1133)와의 인접은 밀봉 조립체(1140)의 돌출부와 리드 조립체(1120)의 구멍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조립체(1140)는 원통형 플랜지(1148)가 리드 조립체(1120)에 의해(예컨대, 상부 및 하부 플랜지 견부(1131, 1133)에 의해) 보유될 때에, 밀봉 조립체(1140)의 돌출부를 리드 조립체(1120)의 구멍 내로 삽입하는 것이 밀봉 본체(1142)의 약간의 변형을 요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은 응력을 볼록형 상부 부분(1143)을 따라 밀봉 본체(1142) 내에 유도할 수 있고, 밀봉 본체(1142)의 탄성 그리고 원통형 플랜지(1148)의 보유로 인해, 밀봉 조립체(1140)의 돌출부에 대한 상향력(즉, 상향 인출력)을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돌출부가 리드 조립체(1120)의 구멍에 대해 더 양호하게 밀봉되게 한다.
밀봉 조립체(1140) 및 리드 조립체(1120)의 구조적 요소가 또한 상호작용하여 밀봉된 구성과 개방된 구성 사이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주방향 리브(1154)와 상부 견부(1131) 사이의 접촉 지점은 밀봉 조립체(1140)에 대한 피벗 지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고, 밀봉 본체(1142)는 밀봉 본체(1142)에 가해지는 힘을 다수의 돌출부에 걸쳐 분배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힘이 돌출부(1144)의 부근에서 밀봉 본체(1142)에 가해질 때에, 돌출부(1144)의 부근에 있는 제1 세트의 돌출부가 또한 하향력을 경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그것들이 해제되게 하고, 유체가 리셉터클(1110)로부터 사용자에게로 유동하게 한다. 동시에, 피벗 지점은 제2 세트의 돌출부(대체로 대향하는 돌출부(1144))가 돌출부(1144)에 대한 하향력에 대응하여 상향으로 인출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세트의 돌출부와 그 각각의 구멍 사이의 밀봉을 보강하고, 제2 세트의 돌출부를 통한 부주의한 누출에 대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음용 컵(1100)은 저장, 세척, 충전 등을 위해 분해될 수 있고, 사용을 위해 재조립될 수 있다. 음용 컵(1100)의 조립은 대체로 리드 조립체(1120)를 리셉터클(1110)에 부착하는 단계 그리고 밀봉 조립체(140)를 리드 조립체(1120) 내로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음용 컵(1100)의 분해는 대체로 리드 조립체(1120)를 리셉터클(1110)에 대해 분리하는 단계 그리고 밀봉 조립체(1140)를 리드 조립체(1120)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립 및 분해 중에, 리드 조립체(1120)를 리셉터클(1110) 및 밀봉 조립체(1140)에 대해 결합 또는 해제하는 단계는 대체로 임의의 순서로 일어날 수 있다. 더욱이, 특정 작업은 그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부분적인 조립 또는 분해만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용 컵(1100)을 재충전하기 위해, 리드 조립체(1120)는 밀봉 조립체(114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리셉터클(11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8-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드 조립체(1120)는 리셉터클 나사(1115)를 리드 나사(1117)와 결합함으로써 리셉터클(1110)에 부착된다. 따라서, 리드 조립체(1120)의 리셉터클(1110)로의 부착은 대체로 리드 조립체(1120)를 리셉터클(1110) 상에서 제1 방향으로 비틀고 그에 따라 나사(1115, 1117)가 서로 결합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반대로, 분해는 리드 조립체(1120)를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비틀어 나사(1115, 1117)를 해제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리셉터클 나사(1115)는 도 8-10에서 리셉터클(111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서 도시되고, 리드 나사(1117)는 리드 조립체(1120)의 내부에 있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나사(1115)는 암나사일 수 있고, 리드 나사(1117)는 수나사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리드 조립체(1120)는 충분한 밀봉이 리드 조립체(1120)와 리셉터클(1110) 사이에 형성되면 다른 방식으로 리셉터클(11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리드 조립체(1120)는 리셉터클(1110) 상으로 압입 또는 스냅결합될 수 있다. 개스킷 또는 유사한 밀봉체가 또한 리드 조립체(1120)와 리셉터클(1110) 사이에 배치되어 밀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밀봉 조립체(1140)를 리드 조립체(1120)와 조립하기 위해, 밀봉 조립체(1140)는 대체로 리드 조립체(1120) 내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밀봉 조립체(1140)의 돌출부의 각각은 리드 조립체(1120)의 대응 구멍과 정렬될 수 있다. 밀봉 조립체(1140)는 이어서 힘을 밀봉 조립체(1140) 상으로 가함으로써 적절한 위치로 스냅결합될 수 있다. 밀봉 조립체(1140) 및 리드 조립체(1120)를 분해하기 위해, 밀봉 조립체(1140)는 리드 조립체(1120)로부터 인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드 조립체(1120)의 구멍과 결합 중인 밀봉 조립체(1140)의 돌출부의 각각은 그 각각의 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바람직하게는, 밀봉 조립체(1140)를 리드 조립체(1120)로부터 제거하는 데 요구되는 힘은 컵이 액체로 충만한 상태에서 떨어지거나 뒤집히는 경우를 포함하여, 그 사용 중에 밀봉 조립체(1140)가 리드 조립체(1120)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밀봉 조립체(1140)를 리드 조립체(1120)로부터 제거하는 데 요구되는 힘은 어린 아동이 밀봉 조립체(1140)를 리드 조립체(1120)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 컵(1100)은 통기 조립체(1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기 조립체(1130)는 대체로 공기가 사용 중에 리셉터클(110) 내로 유동하게 하고, 그에 따라 유체가 리셉터클(1110)로부터 배출되는 동안에 생성될 수 있는 임의의 진공을 감소시키거나 없앤다. 통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기 조립체(1130)는 리드 조립체(1120)가 리셉터클(1110)과 결합할 때에 리셉터클(1110) 내로 연장하는 통기 튜브(1132)를 포함한다. 도 9 및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서, 통기 조립체(1130)는 리드 조립체(1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기 조립체(1130)는 리드 조립체(1120)와 별개일 수 있고, 음용 컵(1100)이 조립될 때에 리드 조립체(1120)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통기 조립체(1130)는 밀봉 조립체(1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통기 조립체(1130)를 수용하기 위해, 밀봉 조립체(1140)는 밀봉 조립체(1140)가 리드 조립체(1120)에 결합될 때에 통기 조립체(1130)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 플랜지(1148)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조립체(1140)는 밀봉 본체(1140)를 통해 연장하고 사용 중에 통기 조립체(1130) 내로의 공기 유동을 가능케 하는 밀봉 통기부(1150)를 또한 한정할 수 있다. 사용 중에 밀봉 통기부(1150)를 통한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기 조립체(1130) 및 밀봉 조립체(1140)는 통기 저장조(1134)를 함께 한정할 수 있고, 밀봉 조립체(1140)는 밀봉 통기 연장부(115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통기 저장조(1134) 및 밀봉 통기 연장부(1152)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통기 연장부(1152)에 인접한 통기 저장조(1134)의 체적이 통기 튜브(1132)의 체적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통기 튜브(1132)가 유체로 충만한 상태에서 음용 컵(1100)이 뒤집힐 때에도, 유체는 통기 저장조(1134) 내에 보유될 것이고, 밀봉 통기 연장부(1152) 내로 진입될 때에도 최소로만 진입할 것이다.
도 11-17은 밀봉 조립체(1140)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밀봉 조립체(1140)는 밀봉 본체(1142)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1144)와 같은, 돌출부를 포함한다. 음용 컵(1100)이 통기되는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1140)는 통기 조립체(1130)와 같은, 통기 조립체와 밀봉 결합하는 원통형 플랜지(114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밀봉 조립체(1140)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통기부(1150)에 대응하는 밀봉 통기 연장부(115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밀봉 본체(1142), 볼록형 상부 부분(1143) 그리고 밀봉 본체(1142)로부터 연장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밀봉 조립체(1140)는 대체로 하나 이상의 탄성 재료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임의의 특정 탄성 재료로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1140)는 실리콘, 라텍스, 니트릴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형 상부 부분(1143)은 밀봉 조립체(1140)의 상부 면 상에 오목형 만입부로서 형성된다. 도 8-10의 설명에서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볼록형 상부 부분(1143)은 밀봉 조립체가 리드 조립체(1120) 내에 설치될 때에, 즉 돌출부가 리드 조립체(1120)의 구멍 내로 삽입될 때에 밀봉 조립체(1140)의 돌출부에 대한 상향력 또는 편의력을 제공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볼록형 상부 부분(1143)은 평판과 같이 성형되는 밀봉 조립체에 비해 몇몇의 이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볼록형 상부 부분(1143)은 밀봉 조립체(1140)에 요구되는 재료의 전체량을 감소시키고, 그에 의해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볼록형 상부 부분(1143)은 또한 평탄형 밀봉 조립체 설계에 비해 밀봉 조립체(1140)의 가요성을 개선하고, 그에 따라 밀봉 조립체(1140)를 밀봉된 구성으로부터 개방된 구성으로 전환하는 데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킨다. 마지막으로, 볼록형 상부 부분(1143)은 사용자가 음용 컵으로부터 용이하게 그리고 편안하게 음용할 수 있는 정도를 개선한다. 예를 들어, 볼록형 상부 부분(1143)은 사용자의 입술이 음용 중에 위치될 수 있는 리지(ridge) 또는 립 형상부(1145)를 한정할 수 있다. 볼록형 상부 부분(1143)은 사용자의 코, 입, 또는 다른 얼굴 구성요소가 음용 중에 위치될 수 있는 체적부(1149)를 또한 한정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음용 중에 사용자의 얼굴 구성요소를 누르는 밀봉 조립체(1140)를 갖는 불편함을 피한다. 체적부(1149)는 또한 공기가 음용 중에 사용자의 입 주위에서 유동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더 쉽게 호흡하면서 음용하게 한다.
도 13 및 14는 각각, 밀봉 조립체(1140)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3은 볼록형 상부 부분(1143), 립 형상부(1145), 및 체적부(1149)를 포함하는 밀봉 본체(1142)의 대안적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밀봉 조립체(1140)의 저부 상의, 돌출부(1144)와 같은, 돌출부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1140)는 그 원주부 주위에 대략 45˚마다 균일하게 분포되는 8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더 많거나 더 적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불균일하게 분포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균일하게 분포되고, 그 개수는 4개 내지 12개이다. 그러한 바람직한 배열은 대체로 힘이 음용 중에 밀봉 조립체(140)에 가해질 때에 다수의 돌출부가 그 각각의 구멍으로부터 해제될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유체의 음용 컵으로부터 사용자에게로의 유동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돌출부의 밀봉 조립체(1140) 주위에서의 균일한 분포는 음용 컵이 동일한 결과를 갖는 임의의 각도로부터 사용되게 한다.
도 15 및 16은 본 개시내용에서 이전에 논의된 밀봉 조립체(1140)의 특징부의 대안적인 도면을 제공하는 밀봉 조립체(1140)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밀봉 조립체(1140)의 각각의 돌출부를 나타내는, 돌출부(1144)의 상세도이다. 도 17의 실시예에서, 돌출부(1144)는 둥근형 및 테이퍼형 팁(1146) 그리고 테이퍼형 돌출부 부분(1147)을 포함한다. 둥근형 및 테이퍼형 팁(1146)은 대체로 밀봉 조립체(1140)의 돌출부가 리드 조립체(1120)의 대응 구멍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정도를 개선함으로써 음용 컵(11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테이퍼형 돌출부 부분(1147)은 대체로 측면에 대해 밀봉되도록 성형된다.
돌출부(1144)는 제1 돌출부 직경(1161)을 갖는 제1 돌출부 부분(1160) 그리고 제1 돌출부 직경(1160)보다 넓은 제2 돌출부 직경(1163)을 갖는 제2 돌출부 부분(1162)을 추가로 포함한다. 밀봉 조립체(1140)는 대체로 밀봉 조립체(1140)가 리드 조립체(1120)에 결합될 때에, 제1 돌출부 부분(1160)이 도 9 및 10에 도시된 구멍(1122)과 같은, 리드 조립체(1120)의 대응 구멍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1122)은 대체로 내경(1123)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 직경(1160)은 대략 0.08 인치 내지 대략 0.59 인치이거나 대략 0.04 인치 내지 대략 0.20 인치만큼 구멍(1122)의 내경(1123)보다 작고 그에 따라 돌출부(1144)와 구멍(1122) 사이의 밀봉을 용이하게 한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 직경(1160)은 대략 0.26 인치이다. 제2 돌출부 직경(1162)은 구멍(1122)의 내경(1123)보다 크지만, 돌출부(1144)는 구멍(1122) 내에 보유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 직경(1162)은 대략 0.16 인치 내지 대략 0.98 인치이거나 구멍(1122)의 직경보다 대략 0.04 인치 내지 대략 0.2 인치만큼 크다. 그러한 제2 돌출부 직경(1162)과 구멍(1122)의 직경 사이의 차이는 대체로 조립될 때에 밀봉 조립체(1140)의 리드 조립체(1120) 내로의 보유를 제공하고 동시에 과도한 힘의 요구 없이 또는 밀봉 조립체(1140) 또는 리드 조립체(1120)에 대한 손상의 위험성 없이 밀봉 조립체(1140) 및 리드 조립체(1120)의 분해를 가능케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 직경(1162)은 대략 0.33 인치이다.
도 18-21은 리드 조립체(1120)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18은 리드 조립체(1120)의 특징부의 대안적인 도면을 제공하는 리드 조립체(1120)의 사시도이다.
도 19 및 20은 각각, 리드 조립체(1120)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하고, 반면에 도 21은 리드 조립체(1120)의 단면도이다. 리드 조립체(1120)는 음용 컵이 조립될 때에 밀봉 조립체(1140)의 돌출부를 수용하고 유체의 리셉터클(1110)로부터 사용자에게로의 유동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되는, 구멍(1122)과 같은, 구멍을 포함한다. 리드 조립체(1120)는 그 원주부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8개의 구멍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접 구멍은 대략 45˚만큼 서로 오프셋된다. 다른 실시예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구멍을 포함할 수 있고, 불균일하게 분포된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리드 조립체(1120)는 4개 내지 12개의 균일하게 분포된 구멍을 포함한다. 그러한 바람직한 배열은 대체로 힘이 음용 중에 밀봉 조립체(1140)에 가해질 때에 다수의 돌출부가 그 각각의 구멍으로부터 해제될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유체의 음용 컵으로부터 사용자에게로의 유동을 증가시킨다.
구멍(1122)은 리드 조립체(1122)의 각각의 구멍을 나타낸다. 구멍(1122)은 바람직하게는 대략 0.12 인치 내지 대략 0.79 인치의 내경(1123)을 갖는다. 대안으로서 그리고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내경(1123)은 제1 돌출부 직경(160) 및 제2 돌출부 직경(116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비례하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경(1123)은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 직경(1160)보다 대략 0.04 인치 내지 대략 0.20 인치만큼 크고 및/또는 제2 돌출부 직경(1162)보다 대략 0.04 인치 내지 대략 0.20 인치만큼 작다. 도 18-2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구멍(1122)의 내경(1123)은 대략 0.30 인치이다. 구멍(1122)의 모서리는 하나 이상의 측면 상에서 경사형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드 조립체(1120) 및 밀봉 조립체(1140)의 용이한 조립 및 분해를 가능케 한다.
도 22-28은 대체로 도면부호 2100으로 표시되는, 음용 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음용 컵(2100)은 액체를 보유하는 리셉터클(2110) 그리고 예컨대 리셉터클 나사(2115)를 리드 나사(2117)와 결합함으로써 또는 다른 적절한 부착 기술에 의해, 리셉터클(2110)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어 리셉터클을 폐쇄하는 리드 조립체(2120)를 포함한다. 핸들(도시되지 않음)이 음용 컵(2100)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예컨대, 아동)가 음용 컵(2100)을 파지한 상태로 음용하게 할 수 있다. 리드 조립체(2120)는 상부 립(2124) 및 밀봉 립(2126)을 포함하고, 보유 홈(2132) 및 중심 구멍(2122)의 각각을 한정한다. 중심 구멍(2122)은 탄성 밀봉 조립체(2140)를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탄성 밀봉 조립체(2140)는 외부 보유 환형부(2142), 밸브 림(2144), 및 밀봉 표면(2146)을 포함한다. 탄성 밀봉 조립체(2140)는 복수의 유체 통로(2148)(예컨대, 도 27 참조)를 추가로 한정한다. 조립될 때에, 보유 환형부(2142)는 보유 홈(2132) 내에 보유되고, 그에 따라 리드 조립체(2120)와 리셉터클(2110) 사이의 밀봉을 형성한다.
도 22 및 23에서, 음용 컵(2100)은 주 밀봉부(2156)가 리드 조립체(2120)의 밀봉 립(2126)과 탄성 밀봉 조립체(2140)의 밀봉 표면(2146) 사이에 형성되는 밀봉된 구성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밀봉된 구성에 있을 때에, 리셉터클(2110) 내에 수용되는 유체가 유체 통로(2148)를 통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동과 같은, 사용자가 음용 컵(2100)으로부터 음용하고 싶을 때에, 사용자는 주 밀봉부(215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열되어 유체가 리셉터클(2110)로부터 유체 통로(2148)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유출되는 것이 허용되는 제2, 밀봉되지 않은 구성으로 음용 컵(2100)이 진입하게 할 수 있다. 밀봉된 구성으로부터 밀봉되지 않은 구성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부 립(2124)을 자신의 입으로 가져와 자신의 입으로 밸브 림(2144)의 일부를 누름으로써 힘을 밸브 림(2144)에 가한다. 그에 따라, 밀봉 조립체(2140)는 가해지는 힘의 부근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밀봉 조립체(2140)가 변형되는 동안에, 밀봉 표면(2146)의 적어도 일부가 밀봉 립(2126)으로부터 변위되고, 그에 따라 주 밀봉부(2156)를 파열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밸브 림(2144)에 대한 힘을 유지하면서 음용 컵(2100)을 기울이는 동안에, 유체는 리셉터클(2110)로부터, 유체 통로(2148)를 통해 그리고 사용자의 입 안으로 유동한다. 사용자가 음용 컵(2100)으로부터 음용하는 것이 종료될 때에, 사용자는 자신의 입을 음용 컵(2100)으로부터 후퇴시키고, 그에 의해 힘을 밸브 림(2144)으로부터 제거한다. 힘이 제거되면, 밀봉 조립체(2140)는 그 탄성으로 인해 밀봉된 구성으로 복귀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밀봉 립(2126)은 유체 홈(2130)을 추가로 한정한다. 유체 홈(2130)은 주 밀봉부(2156)의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리셉터클(2110)로부터의 유체 유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해지는 힘의 부근에 있는 주 밀봉부(2156)의 제1 부분을 파열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을 밸브 림(2144)에 가하는 것은 밀봉 조립체(2144)의 버클링을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제1 부분에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주 밀봉부(2156)의 제2 부분이 또한 파열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음용 중인 유체 통로에 대향하는 추가적인 유체 통로(2148)가 노출되고, 그에 따라 음용 중에 리셉터클(2110)의 통기를 용이하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추가적인 유체 통로(2148)는 공기가 음용 중에 리셉터클(2110) 내로 진입하게 하고, 그에 의해 리셉터클(2110) 내에서의 진공부 형성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24 및 25는 리드 조립체(2120)의, 각각의,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리드 조립체(2120)는 상부 립(2124) 및 밀봉 립(2126)을 포함하고, 보유 홈(2132), 중심 구멍(2122), 및 유체 홈(2130)의 각각을 한정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유 홈(2132) 및 유체 홈(2130)의 각각은 리드 조립체(2120)의 전체 원주부 주위에서 연장하는 연속 환형 홈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보유 홈(2132) 또는 유체 홈(2130)은 복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리드 조립체(2120)의 원주부의 일부 주위에서만 연장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2140)(도 22 및 23에 도시됨)가 그에 따라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 환형부(2142)(도 22 및 23에 도시됨)는 보유 홈(2132)의 불연속부와 실질적으로 정합하여 리드 조립체(2120) 및 밀봉 조립체(2140)의 상대적인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불연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 및 27은 밀봉 조립체(2140)의, 각각의,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밀봉 조립체(2140)는 외부 보유 환형부(2142), 밸브 림(2144), 및 밀봉 표면(2146)을 포함하고, 복수의 유체 통로(2148)를 한정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2148)는 밀봉 조립체(2140)의 원주부 주위에 분포되는 복수의 원형 통로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비-원형 형상을 갖는 유체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2148)는 아치형 슬롯일 수 있고, 밀봉 조립체(2140)의 원주부의 일부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밀봉 조립체(2140)의 원주부의 모두 또는 일부 주위에 있는 불균등한 분포의 유체 통로(214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2148)는 밀봉 조립체(2140)의 원주부의 일부 주위에서만 분포될 수 있거나 밀봉 조립체(2140)의 원주부의 일부 내에 더 많이 집중될 수 있다.
도 28은 밀봉되지 않은 구성에 있는 음용 컵(2100)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음용 컵(2100)은 힘(2180)을 밀봉 조립체(2140)에 가하는, 아동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밀봉된 및 밀봉되지 않은 구성 사이에서 전환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힘(2180)을 밀봉 조립체(2140)의 밸브 림(2144)에 가하고, 그에 따라 밀봉 조립체(2140)의 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충분하게 변형되면, 밀봉 조립체(2140)의 밀봉 표면(2146)은 리드 조립체(2120)의 밀봉 립(2126)으로부터 변위되고, 그에 따라 주 밀봉부(2156)(도 22 및 23에 도시됨)를 파열시킨다.
주 밀봉부(2156)가 파열될 때에, 유체 유동 경로(2182)가 리셉터클(2110)과 사용자의 입 사이에 제공되고, 그에 따라 대체로 밸브 림(2144) 그리고 리드 조립체(2120)의 상부 립(2124)의 각각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유체 유동 경로(2182)는 대체로 리셉터클(2110) 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유체 통로(2148)를 통해, 밀봉 표면(2146)과 밀봉 립(2126) 사이로 그리고 밀봉 조립체(2140)의 밸브 림(2144)과 리드 조립체(2120)의 상부 립(2124) 사이에 한정되는 환형 간극(2190)을 통해 연장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음용 컵(2100)은 추가로 음용 컵(2100)이 밀봉되지 않은 구성에 있을 때에 리셉터클(2110)의 통기를 용이하게 한다. 힘(2180)이 밸브 림(2144)에 가해질 때에, 밀봉 조립체(2140)는 추가로 변형되고 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유체 통로(2189)에 인접한 밀봉 조립체(2140)의 제2 부분에서도 밀봉 표면(2146)이 밀봉 립(2126)으로부터 변위된다. 예를 들어, 도 28에서, 제2 유체 통로(2189)는 제1 유체 통로(2148)에 실질적으로 대향한다. 사용 중에, 제2 유체 통로(2189)는 통기가 리셉터클(2110) 내에서의 진공부 형성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밀봉 조립체(2140)는 밀봉되지 않은 구성에 있을 때에 변형되고 그에 따라 공기 유동 경로(2184)가 한정되도록 구성된다. 공기 유동 경로(2184)는 대체로 환형 간극(2190)을 통해, 밀봉 표면(2146)과 밀봉 립(2126) 사이로, 제2 유체 통로(2189)를 통해 그리고 리셉터클(2110) 내로 연장한다. 따라서, 유체가 리셉터클(2110)을 떠나서 유체 유동 경로(2182)를 따라가는 동안에, 공기는 공기 유동 경로(2184)를 따라 리셉터클(2110) 내로 진입하여 유체 체적을 대체할 수 있다.
도 29-3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체로 도면부호 3100으로 표시되는, 음용 컵을 도시한다. 음용 컵(3100)은 액체를 보유하는 리셉터클(3110) 그리고 예컨대 리셉터클 나사(3115)를 리드 나사(3117)와 결합함으로써 또는 다른 적절한 부착 기술에 의해, 리셉터클(3110)에 해제가능하게 부착되어 리셉터클을 폐쇄하는 리드 조립체(3120)를 포함한다. 핸들(도시되지 않음)이 음용 컵(3100) 상에 제공되어 사용자(예컨대, 아동)가 음용 컵(3100)을 파지한 상태로 음용하게 할 수 있다. 리드 조립체(3120)는 탄성 밀봉 조립체(3140)를 수용하도록 성형되는 중심 구멍(3122)을 한정한다. 더 구체적으로, 리드 조립체(3120)는 보유 립(3126)을 포함하고, 밀봉 조립체(3140)는 밀봉 조립체(3140)가 중심 구멍(3122) 내로 삽입될 때에 보유 립(3126)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보유 홈(3142)을 포함한다. 조립될 때에, 보유 립(3126) 및 보유 홈(3142)은 서로에 대해 밀봉되어 유체가 리셉터클로부터 중심 구멍(3122)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드 조립체(3120)는 중심 구멍(3122)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유체가 리셉터클(3110)로부터 리드 조립체 체적부(3154) 내로 유출되게 하는 복수의 유체 통로(3128)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29 및 30에서, 음용 컵(3100)은 제1, 밀봉된 구성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밀봉된 구성에서, 탄성 밀봉 조립체(3140)의 상부 립(3146)이 리드 조립체(3120)의 내부 표면(3124)에 대해 밀봉되고, 그에 따라 주 밀봉부(3150)를 형성한다. 주 밀봉부(3150)는 대체로 유체가 음용 컵(3100)으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 구체적으로, 주 밀봉부(3150)는 음용 컵(3100)이 밀봉된 구성에 있을 때에 유체가 리드 조립체 체적부(3154)를 넘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1 및 32는 각각, 리드 조립체(3120)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리드 조립체(3120)는 밀봉 조립체(314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중심 구멍(3122)(도 29 및 30에 도시됨) 그리고 밀봉 조립체(3140)를 중심 구멍(3122) 내에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보유 립(3126)을 한정한다. 리드 조립체는 리드 조립체(3122)를 리셉터클(3110)에 결합하는 리드 나사(3117)(도 29 및 30에 도시됨)를 추가로 포함한다. 리드 조립체(3120)는 복수의 유체 통로(3128)를 추가로 한정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드 조립체(3120)는 리드 조립체 벽(3152) 그리고 리드 조립체 벽(3152)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링(3154)을 포함하고, 유체 통로(3128)는 내부 링(3154)의 원주부 주위에 분포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내부 링(3154)은 리셉터클 간극(3160)을, 리드 조립체 벽(3152)과 함께, 한정하는 환형 돌출부(3156)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29 및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간극(3160)은 음용 컵(3100)이 조립될 때에 리셉터클(311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3100)은 음용 컵(3100)이 조립될 때에 환형 돌출부(3156) 및 리드 조립체 벽(315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밀봉되어 리셉터클(3100)로부터의 누출을 감소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3128)는 내부 링(3154)의 원주부 주위에 분포되는 복수의 슬롯이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다른 형상을 갖는 유체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3128)는 내부 링(3154)을 관통하는 구멍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유체 통로(3128)는 내부 링(3154)의 원주부의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아치형 채널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내부 링(3154)의 원주부 주위에 있는 불균등한 분포의 유체 통로(312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3128)는 내부 링(3154)의 원주부의 일부 주위에서만 분포될 수 있거나 내부 링(3154)의 원주부의 일부 내에 더 많이 집중될 수 있다.
도 33 및 34는 각각, 밀봉 조립체(3140)의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밀봉 조립체(3140)는 상부 립(3146)을 포함하고, 보유 홈(3142)을 한정한다. 음용 컵(3100)이 조립될 때에, 보유 홈(3142)은 리드 조립체(3120)의 보유 립(3126)(도 28 및 29에 도시됨)을 수용한다. 밀봉 조립체(3140)는 복수의 리지(3160)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지(3160)는 상부 립(3142)에 인접한 밀봉 조립체(3140)의 원주부 주위에 분포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3140)는 상부 립(3124)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복수의 리지(3160)를 포함한다. 이들 리지(3160)는 대체로 밀봉 조립체(3140)를 리드 조립체(3120) 내에 지지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리지(3160)는 추가로 리드 조립체와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펄크럼(fulcrum)으로서 작용하고, 리지와 리드 조립체 사이의 접촉부에 의해 한정되는 각각의 펄크럼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리드 조립체(3120)의 조절된 변형을 용이하게 한다.
아동과 같은, 사용자가 음용 컵(3100)으로부터 음용하고 싶을 때에, 사용자는 주 밀봉부(315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열되어 유체가 리드 조립체 체적부(3154)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진행하는 것이 허용되는 제2, 밀봉되지 않은 구성으로 음용 컵(3100)이 진입하게 할 수 있다. 밀봉된 구성으로부터 밀봉되지 않은 구성으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부 립이 밀봉 조립체에 대해 위치된 상태로, 자신의 입술을 밀봉 조립체(3140) 및 리드 조립체(3120)에 대해 종래의 방식으로 위치시킨다. 사용자는 이어서 개방된 컵으로부터의 음용과 같은 종래의 음용 동작과 유사하게 보이는 단속적인 흡인 또는 지속적인 흡인 동작을 사용하여 유체를 컵(3100)으로부터 흡입한다. 밀봉 조립체(3120)의 외부 표면에 가해지는 이러한 단속적인 흡인력 또는 지속적인 흡인력은 밀봉 조립체(3120)의 모서리 단부를 리드 조립체(3140)로부터 멀리 후퇴시키고 주 밀봉부(3150)를 도 3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열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는 리셉터클(3110)로부터 제1 유체 통로(3182)를 따라 유동하고 여기서 유체는 리셉터클(3110)로부터, 유체 통로(3128)를 통해, 리드 조립체 체적부(3154)를 통해 그리고 사용자의 입 안으로 유동한다.
밀봉부(3150)를 파열시키는 2차 동작으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입으로 밀봉 조립체(3140)를 누름으로써 힘을 밀봉 조립체(3140)에 대해 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밀봉 조립체는 가해지는 힘의 부근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리지(3160)는 펄크럼으로서 작용하고 그에 따라 힘이 리지의 반경방향 내향에서 자신의 입에 의해 가해지면, 이러한 힘은 밀봉 조립체(3140)의 모서리 단부가 변형되게 하여 리드 조립체(3120)로부터 분리하고 그에 따라 밀봉부(3150)를 파열시킬 것이다. 리지(3160)는 또한 음용 컵이 밀봉되지 않은 구성에 있을 때에 밀봉 조립체(3140)와 내부 표면(3124) 사이의 오프셋을 유지하고, 그에 따라 유체의 리셉터클(3100)로부터 사용자에게로의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사용자가 음용 컵(3100)으로부터 음용하는 것이 종료될 때에, 사용자는 자신의 입을 음용 컵(3100)으로부터 후퇴시키고, 그에 의해 흡인력 및/또는 가해지는 힘을 밀봉 조립체(3140)로부터 제거한다. 따라서, 밀봉 조립체(3140)는 제1, 밀봉된 구성으로 탄성적으로 복귀한다.
예시된 음용 컵(3100)은 사용자가 밀봉되지 않은 구성에서 음용 컵(3100)으로부터 음용 중일 때에 일-방향 체크 밸브의 방식으로 공기의 리셉터클(3100) 내로의 통기를 용이하게 하는 슬릿 밸브와 같은, 통기 특징부(3191)를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액체가 음용 컵(3100)으로부터 흡입되게 하도록 흡인력이 가해지는 동안에, 공기는 제2 유체 통로(3189)를 따라 즉 통기 특징부(3191)를 거쳐 리셉터클 내로 유동한다.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음용 컵(100)이 제공된다. 음용 컵(100)은 개방 단부를 갖는 리셉터클(110)을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액체 챔버를 리셉터클(110) 내에 한정한다. 음용 컵(100)은 리셉터클과 그 개방 단부 위에서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리드 조립체(120)를 추가로 포함하고, 리드 조립체는 상부 립(146)을 포함한다. 음용 컵(100)은 리셉터클(110)의 개방 단부 위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142)를 한정하는 기부(141), 상부 립(146)에 인접한 폐쇄 디스크(145), 및 기부(141)를 폐쇄 디스크(145)에 결합하는 중심 스템(143)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140)를 또한 포함한다. 리드 조립체(120) 및 밸브 조립체(140)는 폐쇄 디스크(145)가 상부 립(146)과 밀봉 결합하는 밀봉된 구성과, 유체가 리셉터클(110)로부터 폐쇄 디스크(145)와 상부 립(146) 사이로 유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개방된 구성 사이에서 폐쇄 디스크(145)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음용 컵(10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기부(141) 및 중심 스템(143)의 각각은 폐쇄 디스크(145)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음용 컵(200)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기부(241) 및 중심 스템(243)의 각각은 리드 조립체(2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중심 스템은 폐쇄 디스크(245)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환형 홈(248)을 한정한다.
음용 컵(10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음용 컵(100)은 리드 조립체(120) 및 리셉터클(11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130)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5-7을 참조하면, 음용 컵(300)이 제공된다. 음용 컵(300)은 개방 단부를 갖는 리셉터클(310)을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액체 챔버를 리셉터클(310) 내에 한정한다. 음용 컵(300)은 상부 립(346)을 갖는 리드 조립체(320)를 추가로 포함한다. 리드 조립체(320)는 리셉터클(310)과 그 개방 단부 위에서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음용 컵(300)은 리셉터클(310)로부터의 액체가 유동하는 복수의 창(353)을 한정하는 원통형 측벽(351) 그리고 원통형 측벽(351)의 상부 단부(348)에서 상부 립(346)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폐쇄 디스크(345)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340)를 추가로 포함한다. 리드 조립체(320) 및 밸브 조립체(340)는 폐쇄 디스크(345)가 상부 립(346)과 밀봉 결합하는 밀봉된 위치와, 유체가 리셉터클(310)로부터 폐쇄 디스크(345)와 상부 립(346) 사이로 유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폐쇄 디스크(345)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음용 컵(30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310)은 상부 림(347)을 추가로 포함하고, 밸브 조립체(340)는 원통형 측벽(351)의 저부 단부(349)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355)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랜지(355)는 상부 림(347)과 리드 조립체(320) 사이의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음용 컵(30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창(353)은 원통형 측벽(351)의 하부 단부(349)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창(353)은 원통형 측벽(351)의 하부 단부(349) 주위에서 서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된다.
도 8-21을 참조하면, 음용 컵(1100)이 제공된다. 음용 컵(1100)은 개방 단부를 갖는 리셉터클(1110)을 포함하고, 리셉터클은 액체 챔버를 리셉터클(1110) 내에 한정한다. 음용 컵(1100)은 하나 이상의 유체 통로(1122)를 한정하는 리드 조립체(1120)를 추가로 포함한다. 리드 조립체(1120)는 리셉터클(1110)과 그 개방 단부 위에서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음용 컵(1100)은 밀봉 본체(1142) 그리고 밀봉 본체(1142)로부터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144)를 갖는 밀봉 조립체(1140)를 추가로 포함한다. 밀봉 조립체(1140)는 리드 조립체(1120)와 결합하고 그에 따라 결합될 때에, 돌출부(1144)의 각각이 리드 조립체(1120)의 유체 통로(1122)의 대응 유체 통로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리드 조립체(1120) 및 밀봉 조립체(1140)는 돌출부(1144)의 각각이 그것이 삽입되는 대응 유체 통로(1122)와 밀봉 결합하는 밀봉된 위치와, 유체가 리셉터클(1110)로부터 유체 통로(112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유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개방된 위치 사이에서 밀봉 조립체(1140)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음용 컵(110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1120)는 리드 조립체(1140)에 결합될 때에 밀봉된 위치로 편의되고, 힘을 밀봉 본체(1142)의 적어도 일부에 가함으로써 밀봉된 위치로부터 개방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음용 컵(110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음용 컵(1100)은 리셉터클(1110)의 액체 챔버 내에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위치가능하여 사용 중에 음용 컵(1100)의 통기를 가능케 하는 통기 조립체(1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기 조립체(1130)는 리드 조립체(112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1140)는 통기 조립체(1130)와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밀봉 본체(1142)로부터 연장하는 플랜지(1148)를 추가로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1140)는 통기 조립체(1130)와 유체 연통하는 밀봉 통기부(1150)를 추가로 한정하고 그에 따라 사용 중의 음용 컵(1100)의 통기는 밀봉 통기부(1155)를 통해 일어난다.
음용 컵(110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리드 조립체(1120)는 4개 내지 12개의 유체 통로(1122)를 포함하고, 밀봉 조립체(1140)는 리드 조립체(1120)의 유체 통로(112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돌출부(1144)를 포함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리드 조립체(1120)는 리드 조립체(1120)의 원주부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8개의 유체 통로(1122)를 포함한다.
음용 컵(110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밀봉 조립체(1120)는 실리콘, 라텍스, 니트릴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폴리에틸렌, 및 나일론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음용 컵(110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1122)의 각각은 대략 0.12 인치 내지 대략 0.79 인치의 직경을 갖는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1122)의 각각은 대략 0.30 인치의 직경을 갖는다. 또 다른 그러한 실시예에서, 유체 통로(1122)의 각각은 대략 0.30 인치의 직경을 갖고, 돌출부(1144)의 각각은 대략 0.26 인치의 제1 돌출부 직경(1161)을 갖는 제1 돌출부 부분(1160) 그리고 대략 0.33 인치의 제2 돌출부 직경(1163)을 갖는 제2 돌출부 부분(1162)을 추가로 포함한다.
음용 컵(110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돌출부(1144)의 각각은 대략 0.08 인치 내지 대략 0.59 인치의 제1 돌출부 직경(1161)을 갖는 제1 돌출부 부분(1160) 그리고 대략 0.16 인치 내지 대략 0.98 인치의 제2 돌출부 직경(1163)을 갖는 제2 돌출부 부분(1162)을 포함한다.
음용 컵(110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출부(1144)는 둥근형 및 테이퍼형 팁(1146)을 추가로 포함한다.
음용 컵(1100)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리드 조립체(1120)는 하나 이상의 리드 나사(1117)를 포함하고, 리셉터클(1110)은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나사(1115)를 포함하고, 리드 조립체(1120) 및 리셉터클(1110)은 나사(1115/1117)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또는 그 다양한 버전, 실시예(들) 또는 양태의 요소를 소개할 때에, 관사("a", "an", "the" 및 "said")는 요소 중 하나 이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하는(including)" 및 "갖는(having)"은 포괄적이고 나열된 요소 이외의 추가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특정 배향을 표시하는 용어(예컨대, "상부(top)", "저부(bottom)", "측면(side)" 등)의 사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설명되는 구성요소의 임의의 특정 배향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양한 변화가 위에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행해질 수 있으므로, 위의 상세한 설명 내에 포함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되는 모든 대상은 예시적인 그리고 비제한적인 의미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음용 컵이며,
    개방 단부를 갖는 리셉터클로서, 리셉터클은 액체 챔버를 리셉터클 내에 한정하는, 리셉터클;
    리셉터클과 그 개방 단부 위에서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리드 조립체로서, 리드 조립체는 밀봉 립을 포함하는, 리드 조립체; 및
    밀봉 표면을 포함하고 밀봉 표면의 횡단방향 외향에 배치되는 복수의 유체 통로를 갖는 밀봉 조립체로서, 밀봉 조립체는 리드 조립체가 리셉터클과 결합될 때에 리셉터클과 리드 조립체 사이에 보유되도록 구성되는, 밀봉 조립체
    를 포함하고,
    리드 조립체 및 밀봉 조립체는 밀봉 조립체가 밀봉된 구성과 밀봉되지 않은 구성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고,
    밀봉된 구성에서, 밀봉 립은 복수의 유체 통로의 횡단방향 내향에 있는 밀봉 표면과 밀봉 결합하고 그에 따라 밀봉 립 및 밀봉 표면은 유체가 리셉터클로부터 밀봉 립 및 밀봉 표면을 지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개방된 구성에서, 간극이 밀봉 립의 적어도 일부와 밀봉 표면의 대응 부분 사이에 한정되고, 유체는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유체 통로를 통해 그리고 간극을 통해 유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음용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조립체는 환형 보유 홈을 한정하고, 상기 밀봉 조립체는 보유 환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그에 따라 보유 환형부는 밀봉 조립체가 리셉터클과 리드 조립체 사이에 보유될 때에 환형 보유 홈 내에 배치되는, 음용 컵.
  3. 제1항에 있어서, 리드 조립체는 유동 홈을 밀봉 립에 인접하여 한정하고, 유동 홈은 유동 통로 중 적어도 일부와 유체 연통하는, 음용 컵.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동 통로는 밀봉 조립체의 원주부 주위에 분포되는, 음용 컵.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유동 통로는 원형 통로인, 음용 컵.
  6. 제1항에 있어서, 밀봉 조립체는 밸브 링을 추가로 포함하고, 밀봉 조립체는 힘을 밸브 링에 가함으로써 밀봉된 구성과 개방된 구성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음용 컵.
  7. 제1항에 있어서, 개방된 구성에서, 간극은 밀봉 립의 제1 부분과 밀봉 표면의 대응 제1 부분 사이에 한정되는 제1 간극이고, 제2 간극이 밀봉 립의 제2 부분과 밀봉 표면의 대응 제2 부분 사이에 한정되고, 제2 간극은 제1 간극에 실질적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음용 컵.
  8. 음용 컵이며,
    개방 단부를 갖는 리셉터클로서, 리셉터클은 액체 챔버를 리셉터클 내에 한정하는, 리셉터클;
    리셉터클과 그 개방 단부 위에서 해제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리드 조립체로서, 리드 조립체는 내부 표면을 갖는 리드 조립체 벽 그리고 리드 조립체 벽으로부터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부 링을 포함하고, 내부 링은 복수의 유체 통로를 한정하는, 리드 조립체; 및
    내부 링에 의해 보유되도록 구성되는 밀봉 조립체로서, 밀봉 조립체는 상부 립을 포함하는, 밀봉 조립체
    를 포함하고,
    리드 조립체 및 밀봉 조립체는 밀봉 조립체가 밀봉된 구성과 밀봉되지 않은 구성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구성되고,
    밀봉된 구성에서, 상부 립은 내부 표면과 밀봉 결합하고, 유체는 리드 조립체와 밀봉 조립체 사이에 한정되는 리드 조립체 체적부를 통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개방된 구성에서, 유체는 리셉터클로부터, 복수의 유체 통로를 통해, 그리고 밀봉 립의 일부에 의해 한정되는 간극과 밀봉 표면의 대응 부분 사이에서, 유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음용 컵.
  9. 제8항에 있어서, 내부 링은 보유 립을 포함하고, 밀봉 조립체는 보유 홈을 한정하고, 밀봉 조립체는 보유 립을 보유 홈 내에 보유함으로써 내부 링에 의해 보유되도록 구성되는, 음용 컵.
  10. 제8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은 개방 단부에 있는 리셉터클 림을 추가로 포함하고, 내부 링은 환형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환형 돌출부 및 리드 조립체 벽은 리셉터클 간극을 그 사이에 한정하고, 리셉터클 간극은 리드 조립체가 리셉터클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때에 리셉터클 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음용 컵.
  11. 제10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림은 리드 조립체가 리셉터클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때에 리드 조립체 벽 및 환형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밀봉되는, 음용 컵.
  12. 제8항에 있어서, 유체 통로는 내부 링의 원주부 주위에 분포되는 반경방향 연장 슬롯인, 음용 컵.
  13. 제8항에 있어서, 밀봉 조립체는 상부 립에 인접하여 분포되는 복수의 리지를 추가로 포함하고 그에 따라 리지는 내부 표면에 인접하고, 개방된 구성에서, 밀봉 조립체는 리지 중 적어도 일부를 중심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음용 컵.
  14. 제8항에 있어서, 밀봉 조립체는 개방된 구성에서 이로부터의 유체의 음용 중에 공기가 이를 통해 리셉터클 내로 유동하는 일-방향 통기 특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음용 컵.
  15. 제8항에 있어서, 밀봉 조립체는 힘을 밀봉 조립체에 가함으로써 밀봉된 구성과 개방된 구성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음용 컵.
KR1020187017443A 2015-11-25 2016-11-23 스파우트가 없는 음용 컵 KR102558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59775P 2015-11-25 2015-11-25
US62/259,775 2015-11-25
US201662328153P 2016-04-27 2016-04-27
US62/328,153 2016-04-27
PCT/US2016/063454 WO2017091639A1 (en) 2015-11-25 2016-11-23 Spoutless drinking c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450A true KR20180086450A (ko) 2018-07-31
KR102558893B1 KR102558893B1 (ko) 2023-07-21

Family

ID=5876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443A KR102558893B1 (ko) 2015-11-25 2016-11-23 스파우트가 없는 음용 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81228B2 (ko)
EP (1) EP3379980A4 (ko)
KR (1) KR102558893B1 (ko)
CN (2) CN108495580B (ko)
AU (1) AU2016359669A1 (ko)
CA (1) CA3006047C (ko)
MX (1) MX2018006448A (ko)
WO (1) WO20170916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7828S1 (en) * 2014-12-10 2019-11-26 Leah Ceee O. Boomsma Pouch holder
US11465821B1 (en) 2013-12-10 2022-10-11 LCeeeDesigns LLC Holder for food and beverage containers
EP3411304B1 (en) * 2015-11-16 2021-08-04 Abdiye, Abbey Lid for beverage containers
GB201719635D0 (en) * 2017-11-27 2018-01-10 Ar Design Consulting Ltd Improvements to non-spill cup and fluid control valve system with all round drinking rim.
US11311094B2 (en) 2017-12-11 2022-04-26 Angelcare Feeding Usa, Llc Lip activated cup
AU2019257408B2 (en) * 2018-11-30 2021-02-18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Drinking Cup
GB201904882D0 (en) * 2019-04-05 2019-05-22 Magecup Ltd Fluid vessel closure device
USD947600S1 (en) * 2019-11-13 2022-04-05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Handle for bottle or cup
CN112273961A (zh) * 2020-10-20 2021-01-29 刘廷佑 一种具有自动开合功能的茶壶
CN116685531A (zh) * 2021-01-12 2023-09-01 即时品牌控股有限公司 聚硅氧烷食品和饮料存储容器
US11937716B2 (en) 2021-07-09 2024-03-26 Target Brands, Inc. Sippy cup having a spoutless training lid assembly
USD1021563S1 (en) 2021-07-09 2024-04-09 Target Brands, Inc. Combined sippy cup and handle b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946U (ko) * 2012-04-03 2013-10-14 김현숙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CN104323653A (zh) * 2014-09-11 2015-02-04 黄浩贸易(深圳)有限公司 杯子
US20150102032A1 (en) * 2013-10-16 2015-04-16 Munchkin, Inc. Non-spill drink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3368A (en) * 1950-07-13 1952-12-30 Edward F Olsen Spillproof glass
US3727808A (en) 1971-08-13 1973-04-17 Nospil Ltd Non-spill drinking cup top
GB1447626A (en) 1972-12-08 1976-08-25 Chenault B R Non-spill cover
US4184603A (en) * 1978-03-17 1980-01-22 Hamilton Calvin G Sr Non-spilling liquid container
US4238045A (en) 1979-08-27 1980-12-09 Andria Ernest F D Lip openable closure for containers
CN2288635Y (zh) * 1997-05-15 1998-08-26 王建中 杯盖
US5890619A (en) 1997-05-16 1999-04-06 Belanger; Richard A. Spill-proof drinking container
GB9802095D0 (en) * 1998-01-30 1998-03-25 Cannon Rubber Ltd Closure assembly
JP2003501315A (ja) * 1998-10-20 2003-01-14 プレイテックス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口唇で開口することが可能な中身がこぼれない容器
US8272525B1 (en) * 1998-10-20 2012-09-25 Playtex Products, Inc. Lip-openable spill-proof container
US6102244A (en) 1999-10-20 2000-08-15 The Thermos Company Mug with multiple sip holes and lid gasket
US6325236B1 (en) 2000-10-16 2001-12-04 Fu Hong Industries Ltd. Drinking device
CN1652712B (zh) 2002-01-18 2010-05-26 Oz10有限公司 饮用容器
US20050121405A1 (en) * 2003-12-05 2005-06-09 Cornell Drajan Pressure controlling dispensing valve for beverage container
US7100790B2 (en) 2004-04-15 2006-09-05 Dark Richard C G Spill-resistant metered flow cap for a cup
US20060060149A1 (en) 2004-09-23 2006-03-23 Response Engineering, Inc. Spill-resistant drinking container for animals
GB2447446A (en) 2007-03-10 2008-09-17 Gavin Reay Suction activated valve
GB2451493B (en) 2007-07-31 2011-12-14 Magicup Marketing Ltd Closure device for a fluid vessel
CN100553541C (zh) * 2008-02-28 2009-10-28 贾苹月 自动加氧式水杯
NO328413B1 (no) * 2008-04-07 2010-02-15 Gunnar Berg Anordning ved drikkekopp
EP2138075A1 (en) 2008-06-25 2009-12-30 Cecelia Maria Elisabeth Thorfinn Lip operable lid for a container
CN101721045A (zh) * 2008-10-28 2010-06-09 昆山富隆家庭用品有限公司 扣环盖
RU2011151634A (ru) * 2009-05-22 2013-06-27 Хэндикрафт Компани Устойчивая к утечке чашка для питья и мембрана для нее
CA2770731A1 (en) * 2009-09-11 2011-03-17 Handi-Craft Company Cup and lid assembly for a cup
CN201743158U (zh) * 2010-02-26 2011-02-16 商德申 一种新型的水温可调水壶
GB201011657D0 (en) * 2010-07-12 2010-08-25 Oz10 Ltd Drinking vessel
TW201210548A (en) * 2010-09-10 2012-03-16 Hos Win Entpr Co Ltd Lid structure
US20130240547A1 (en) 2010-09-14 2013-09-19 Silmlogic Holding B.V. Lip-operable spill-proof container
US9394087B2 (en) 2011-02-10 2016-07-19 Lids2Go Holdings Inc. Fluid flow control device for a container
CN102166063B (zh) * 2011-03-21 2012-07-18 方毅 饮水、喷雾两用壶
EP2594163A1 (en) 2011-11-17 2013-05-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osure assembly for a drinking cup
USD676709S1 (en) 2011-11-22 2013-02-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rinking cup
AT512045B1 (de) 2012-05-14 2013-05-15 Mam Babyartikel Trinkvorrichtung
US9204746B2 (en) 2012-11-07 2015-12-08 Dart Industries Inc. Variable flow training cup
CN204105607U (zh) * 2014-09-11 2015-01-21 黄浩贸易(深圳)有限公司 杯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946U (ko) * 2012-04-03 2013-10-14 김현숙 음료용기용 누출방지 캡 어셈블리
US20150102032A1 (en) * 2013-10-16 2015-04-16 Munchkin, Inc. Non-spill drinking container
CN104323653A (zh) * 2014-09-11 2015-02-04 黄浩贸易(深圳)有限公司 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81228B2 (en) 2021-01-05
CN108495580A (zh) 2018-09-04
WO2017091639A1 (en) 2017-06-01
AU2016359669A1 (en) 2018-06-07
EP3379980A4 (en) 2019-12-18
CN111358251A (zh) 2020-07-03
CN108495580B (zh) 2020-05-12
US20180344064A1 (en) 2018-12-06
MX2018006448A (es) 2018-11-09
EP3379980A1 (en) 2018-10-03
CA3006047C (en) 2023-08-01
CA3006047A1 (en) 2017-06-01
KR102558893B1 (ko)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6450A (ko) 스파우트가 없는 음용 컵
CN108202915B (zh) 杯盖
US11241110B2 (en) Valve assembly
US6758364B1 (en) Container cap for drinking containers having a valve body insert with a deformable sealing lip
US9591936B2 (en) Cup assembly
US8695841B2 (en) No-spill drinking cup apparatus
US11878842B2 (en) Bottle assembly and valve assembly
US10945546B2 (en) Drinking attachment for a drinking vessel and drinking vessel with such attachment
US8118182B1 (en) Ergonomic beverage container
US20050098567A1 (en) Cup assembly
KR20080005267U (ko) 부압조절 기능을 갖는 유아용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