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194A -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 Google Patents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194A
KR20210106194A KR1020200021054A KR20200021054A KR20210106194A KR 20210106194 A KR20210106194 A KR 20210106194A KR 1020200021054 A KR1020200021054 A KR 1020200021054A KR 20200021054 A KR20200021054 A KR 20200021054A KR 20210106194 A KR20210106194 A KR 20210106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lit
bottle
lid
baby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946B1 (ko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가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가프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가프라
Priority to KR1020200021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946B1/ko
Priority to CN202010325790.6A priority patent/CN113277213B/zh
Publication of KR2021010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4Feeding-bottles in general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8Protective covers for bottles
    • A61J9/085Lids for closing the bo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2547/063Details of spou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젖병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면 내측에는 오목하게 요홈부가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요입되어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저면에 절개되어 제1슬릿이 형성되며 요홈부의 상부에는 통공을 갖는 상판이 형성된 통기부;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젖병의 뚜껑을 대체하여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고, 젖을 뗀 이후에 유아들의 음료 취식이 가능하도록 빨대컵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Bottle compatible lid with straw}
개시되는 내용은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병에 결합하여 음료를 취식할 수 있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아용 젖병은 일정형상과 길이를 갖는 몸체와, 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되되 뚜껑에는 젖꼭지 대용의 취출부가 형성된다.
취출부는 연질의 실리콘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미세한 노즐공이 형성됨으로써 유아가 흡입할때만 소량의 내용물이 나오도록 하였다.
한편 유아가 어느 정도 크면 물이나 기타 음료를 취식할 수 있게 되므로 대개는 빨대컵이 구비된 음료용기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젖병은 버리고, 새로 음료용기를 구입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20-2000-0033222호
개시되는 내용은 젖병의 뚜껑을 대체하여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고, 젖을 뗀 이후에 유아들의 음료 취식이 가능하도록 빨대컵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젖병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면 내측에는 오목하게 요홈부가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요입되어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저면에 절개되어 제1슬릿이 형성되며 요홈부의 상부에는 통공을 갖는 상판이 형성된 통기부;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빨대;를 포함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빨대는 상하에 개구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 개구공에 인접되어 분리막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에는 음료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2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젖병의 뚜껑을 대체하여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고, 젖을 뗀 이후에 유아들의 음료 취식이 가능하도록 빨대컵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의 흡입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에 대한 저면도,
도 6은 젖병에 젖병 호환용 뚜껑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젖병 호환용 뚜껑에 추가로 빨대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을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의 흡입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에 대한 저면도, 도 6은 젖병에 젖병 호환용 뚜껑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젖병 호환용 뚜껑에 추가로 빨대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A)은,
젖병(10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220)가 형성되고, 상면 내측에는 오목하게 요홈부(240)가 형성되는 몸체(200); 상기 몸체(2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요입되어 요홈부(240)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240)의 저면에 절개되어 제1슬릿(312)이 형성되며 요홈부(240)의 상부에는 통공(330)을 갖는 상판(320)이 형성된 통기부(300); 상기 몸체(200)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빨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200)는 통상의 젖병(100)의 개구부의 직경과 부합되도록 형성되며, 결합부(220)는 몸체(200)의 개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면(260)은 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는 오목하게 요홈부(240)가 형성된다.
상면(260)의 외주연에는 결합부(220)가 환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면(260)과 결합부가 접하는 부위에 내측으로 요입되어 환형홈(280)이 형성된다.
상기 환형홈(280)에는 도시되지 않은 끈이나 별도의 링형상의 스트랩(미도시)을 착용함으로써 손에 들고 다니기 편해질 수 있고,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빨대(400)는 원통형상이며, 상하에 개구공(410,420)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450)가 형성되며, 상부 개구공(410,420)에 인접되어 분리막(430)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430)에는 음료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2슬릿(432)이 형성된다.
분리막(430)은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얇은두께로 형성되며,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십자형태로 절개되어 제2슬릿(43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막(430)은 가장자리에서 중심, 즉 제2슬릿(432)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분리막(430)이 정상상태, 즉 수평인 상태에서는 제2슬릿(432)이 거의 막혀있게 되어 먼지 등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0)를 거꾸로 세우더라도 제2슬릿(432)이 거의 막힌 상태이므로 물이 새지 않게 된다. 아울러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제2슬릿(432)을 막힌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빨대(400)에 입을 대로 흡입하면 분리막(430)이 상부로 볼록하게 상승됨과 동시에 제2슬릿(432)이 벌어지게 되면서 물이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통기부(300)는 몸체(2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요입되어 요부(250)가 형성되고, 요부(250)의 저면에 절개되어 제1슬릿(312)을 갖는 막부재(31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막부재(310)는 가장자리에서 중심, 즉 제1슬릿(312)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요부(250)의 내측 상부에는 통공(330)을 갖는 상판(320)이 형성된다.
상판(320)은 막부재(310)의 상부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강압에 의해 제1슬릿(312)을 뚫고 유입될 위험성을 차단해줄 수 있는 보호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판(320)의 통공(330)을 통해 공기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상판(320)의 통공(330)에 추가로 빨대(440')를 꽂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빨대(400)를 통해 흡입할때 용기(100) 내부의 압력변동으로 인해 막부재(310)가 하방으로 휘어지면서 제1슬릿(312)이 벌어지게 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공기가 용기(100) 내에 유입됨으로써 유체가 빨대(400)를 통해 수월하게 유출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젖병 200 : 몸체
220 : 결합부 240 : 요홈부
260 : 상면 280 : 환형홈
300 : 통기부 310 : 막부재
312 : 제1슬릿 320 : 상판
330 : 통공 400 : 빨대
410 : 상부 개구공 420 : 하부 개구공
432 : 제2슬릿 430 : 분리막

Claims (4)

  1. 젖병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면 내측에는 오목하게 요홈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요입되어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저면에 절개되어 제1슬릿이 형성되며 요홈부의 상부에는 통공을 갖는 상판이 형성된 통기부;
    상기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빨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는
    상하에 개구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상부 개구공에 인접되어 분리막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막에는 음료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2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흡입력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얇은두께로 형성되며,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십자형태로 절개되어 상기 제2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몸체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요입되어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의 저면에 절개되어 제1슬릿을 갖는 막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KR1020200021054A 2020-02-20 2020-02-20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KR10240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54A KR102403946B1 (ko) 2020-02-20 2020-02-20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CN202010325790.6A CN113277213B (zh) 2020-02-20 2020-04-23 配备有吸管的奶瓶兼容盖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54A KR102403946B1 (ko) 2020-02-20 2020-02-20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194A true KR20210106194A (ko) 2021-08-30
KR102403946B1 KR102403946B1 (ko) 2022-06-02

Family

ID=7727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054A KR102403946B1 (ko) 2020-02-20 2020-02-20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3946B1 (ko)
CN (1) CN113277213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0923B1 (en) * 2000-09-01 2001-05-15 Lineo Baby Merchandise Work's Co., Ltd. Drinking bottle provided with a flexible liquid-sucking member adapted to serve as a drinking straw
KR20040034184A (ko) * 2002-10-21 2004-04-28 편성환 공기 흡입 통로가 제공된 유아용 우유병
EP0634922B2 (en) * 1992-04-07 2008-04-16 HABERMAN, Mandy Nicola Drinking vessel suitable for use as a trainer cup or the like
KR20100020215A (ko) * 2008-08-12 2010-02-22 하태선 유아용 스트로우 젖꼭지
KR101897663B1 (ko) * 2017-06-07 2018-09-12 주식회사 실리캠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7017A (ja) * 2018-07-10 2020-01-16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飲料容器
KR20200000153U (ko) * 2018-07-11 2020-01-21 주식회사 아이엔피 유아용 빨대 컵
CN209734556U (zh) * 2018-12-10 2019-12-06 广州天沅硅胶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奶嘴和奶瓶
CN209475174U (zh) * 2018-12-13 2019-10-11 王翔 一种易吸奶的奶瓶
CN109875901A (zh) * 2019-04-23 2019-06-14 昆山力普电子橡胶有限公司 一种用于儿童奶瓶的吸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4922B2 (en) * 1992-04-07 2008-04-16 HABERMAN, Mandy Nicola Drinking vessel suitable for use as a trainer cup or the like
US6230923B1 (en) * 2000-09-01 2001-05-15 Lineo Baby Merchandise Work's Co., Ltd. Drinking bottle provided with a flexible liquid-sucking member adapted to serve as a drinking straw
KR20040034184A (ko) * 2002-10-21 2004-04-28 편성환 공기 흡입 통로가 제공된 유아용 우유병
KR20100020215A (ko) * 2008-08-12 2010-02-22 하태선 유아용 스트로우 젖꼭지
KR101897663B1 (ko) * 2017-06-07 2018-09-12 주식회사 실리캠 역류방지체가 구비된 빨대형 젖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77213B (zh) 2022-11-22
CN113277213A (zh) 2021-08-20
KR102403946B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96826B2 (en) Cap
US7798347B2 (en) Feeding bottle
US8807386B2 (en) Accessory for drinking vessel
US8777028B2 (en) Spout for drinking container
US11951075B2 (en) Bottle teat and cap for a drinking bottle
KR102403946B1 (ko)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KR102182367B1 (ko) 유아용 빨대컵
US20050167437A1 (en) Drinking aid
US10993561B2 (en) Dispensing fluids from drinking containers
JP2004129940A (ja) 哺乳器
EP1297814B1 (en) Thick feed baby teat
KR200433734Y1 (ko) 스트로를 갖는 음료용기의 압력 평형 밸브
JP6957030B2 (ja) 飲料容器およびキャップ組立体
JP6903340B2 (ja) 飲料容器およびキャップ組立体
CN218401909U (zh) 一种冲泡装置
KR20170002104U (ko) 밸브패킹을 구비한 물병
KR100850796B1 (ko) 공기유입통로를 갖는 액상 내용물 배출 용기
KR200416676Y1 (ko) 젖병
KR20200106610A (ko) 보온 텀블러용 다이아프램
KR20200126254A (ko) 병마개
JP2018065597A (ja) 飲料容器の蓋
KR19990034973U (ko) 병마개꼭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