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254A - 병마개 - Google Patents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254A
KR20200126254A KR1020190050021A KR20190050021A KR20200126254A KR 20200126254 A KR20200126254 A KR 20200126254A KR 1020190050021 A KR1020190050021 A KR 1020190050021A KR 20190050021 A KR20190050021 A KR 20190050021A KR 20200126254 A KR20200126254 A KR 20200126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flow
stepped
lock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린
Original Assignee
영진에스피공업 주식회사
서동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에스피공업 주식회사, 서동린 filed Critical 영진에스피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6254A/ko
Publication of KR2020012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본체, 유동캡 및 보호캡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는 용기의 체결부에 회전결합되고, 외주면에 돌기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결합부, 결합부의 상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보호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단턱부, 제1 단턱부의 상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유동캡이 안착되는 제2 단턱부 및 제2 단턱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단에 개폐돌기가 구비되며,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유출부를 포함하고, 유동캡은 유출부를 개폐시키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호캡은 제1 단턱부에 탈착되면서 용기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 및 용기의 내용물이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병마개{Bottle cap}
본 발명은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용기 내의 내용물을 마시는 경우, 내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겪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한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음료 및 식수를 담고 있는 용기(병)는 플라스틱 재질의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용기의 상부에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새거나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병마개를 체결하고 있다.
이러한 병마개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병마개 상부의 음료 유출부 외면에 원터치 뚜껑을 조립하여 상기 원터치 뚜껑의 승강 작동에 의해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원터치 뚜껑의 외면에는 보호캡이 구비되어 생산 후 운반, 보관, 진열시에 먼지 등으로 인한 원터치 뚜껑의 오염을 방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원터치로 개폐시켜 사용자가 별도의 컵 없이도 음료 및 식수를 여러번 나누어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병마개는 사용자가 원터치 뚜껑을 흡입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음용하는 경우, 외부공기의 유입이 적어 순간적으로 압력이 낮아지게 됨에 따라 침과 같은 이물질 및 입안에 남아있는 불순물 등이 음료 유출부를 통해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터치 뚜껑을 강하게 흡입하게 되면 용기 내의 압력이 급격히 낮아지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혀가 원터치 뚜껑에 끼이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7509호(2008년 01월 1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용기 내의 내용물을 마시는 경우, 내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겪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한 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내외부의 압력차로 인하여 유동캡에 사용자의 혀가 끼이는 상황을 방지하고자 한 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외부공기가 유동캡 내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용기 내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한 병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는 본체, 유동캡 및 보호캡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는 용기의 체결부에 회전결합되고, 외주면에 돌기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단턱부; 상기 제1 단턱부의 상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동캡이 안착되는 제2 단턱부; 및 상기 제2 단턱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단에 개폐돌기가 구비되며,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캡은 상기 유출부를 개폐시키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호캡은 상기 제1 단턱부에 탈착되면서 용기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 및 용기의 내용물이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섭취할 때에만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섭취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이 외부요인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내용물을 섭취할 때, 유동캡 내부로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유동캡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용기 내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유출되고, 사용자의 혀가 유동캡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유동캡이 개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유동캡이 폐쇄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뙤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는 내외부의 압력차로 인하여 유동캡에 사용자의 혀가 끼이는 상황을 방지하고, 외부공기가 상기 유동캡 내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용기 내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10)는 본체(100), 유동캡(200) 및 보호캡(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용기(도면 미도시)의 개구부와 체결되고, 용기 내의 내용물이 유출되며, 유동캡(200)과 보호캡(30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결합부(110), 제1 단턱부(120), 제2 단턱부(130) 및 유출부(140)로 구성된다.
결합부(110)는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부에 회전결합되고, 외주면에 돌기(11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0)는 용기의 체결부와 회전결합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나선(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또, 결합부(110)는 외주면에 돌기(11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이 결합부(11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결합부(110)는 일정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예컨대 도면과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결합부(110)는 용기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합부(110)의 상부에는 제1 단턱부(120)가 형성된다.
제1 단턱부(120)는 결합부(110)의 상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보호캡(30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단턱부(12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단턱이 형성되되, 보호캡(300)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1 단턱부(120)는 보호캡(300)의 결합을 위해 형성한 것으로, 보호캡(300)이 끼움결합 되거나 분리된다.
제2 단턱부(130)는 제1 단턱부(120)의 상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유동캡(200)이 안착된다. 이 제2 단턱부(130)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단턱을 형성하되, 제1 단턱부(120)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단턱부(130)는 평소에 유동캡(200)이 안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섭취하려는 경우 유동캡(200)을 개방시킴에 따라 안착된 유동캡(200)이 이격된다.
이와 같은 제1 단턱부(120)와 제2 단턱부(130)는 유동캡(200)과 보호캡(300)이 상호 간섭 없이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유출부(140)는 제2 단턱부(130)의 상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흡입에 따라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되, 개방된 부분에 개폐돌기(141)가 구비된다. 여기서, 개폐돌기(141)는 유동캡(200)이 제2 단턱부(130)에 안착된 경우, 유출부(140)의 상단을 폐쇄하여 음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유동캡(200)이 제2 단턱부(130)로부터 이격되면 유출부(140)의 상단을 개방하여 음료가 유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개폐돌기(141)는 유동캡(200)의 중앙에 형성된 홀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출부(140)는 외주면에 걸림홈(142)이 형성된다. 걸림홈(142)은 유출부(140)의 일측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함몰되게 형성되고, 유동캡(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01, 도3 참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걸림홈(142)은 유동캡(2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유동캡(200)의 걸림돌기(201)와 결합되어 상하 이동 시 유동캡(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걸림홈(142)에는 복수개의 공기 유도홈(142H)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유동캡(200)은 유출부(140)를 개폐시키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01)가 걸림홈(14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원터치형 뚜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동캡(200)은 상단이 하단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고, 중앙에 홀(202)이 형성되며, 유출부(140)의 상부로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 유동캡(200)은 유출부(140)에 억지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고, 유출부(140)를 감싸게 된다. 이때, 유동캡(200)의 중앙에 형성된 홀(202)은 개폐돌기(141)와 결합된다. 유동캡(200)은 유출부(140)에 결합됨에 따라, 개폐돌기(141)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게 된다. 유동캡(200)이 개폐돌기(141)를 폐쇄시킨 경우에는 하단이 제2 단턱부(130)의 상부에 안착되고, 유동캡(200)이 개폐돌기(141)를 개방시킨 경우에는 제2 단턱부(130)의 상부로부터 이격된다.
보호캡(300)은 제1 단턱부(120)의 상부에 탈착되면서 용기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 및 병의 내용물이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캡(300)은 제1 단턱부(12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고,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유동캡이 개방되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의 유동캡이 폐쇄되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10)는 걸림홈(142)에 복수개의 공기 유도홈(142H)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 유도홈(142H)은 유동캡(200)이 개방된 경우 외부공기가 유동캡(200)내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바라보았을 때 걸림홈(14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때, 공기 유도홈(142H)은 유동캡(200)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01)와 간섭이 생기지 않는 범위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10)는 유동캡(200)이 공기 유도홈(142H)을 개방하는지 또는 폐쇄하는지에 따라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입되지 않는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유동캡(200)을 개방시킨 경우, 유동캡(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01)는 걸림홈(142)의 외주면을 타고 위쪽으로 승강함에 따라, 공기 유도홈(142H)이 형성된 쪽에 위치하게 된다. 걸림돌기(201)가 공기 유도홈(142H) 쪽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돌기(201)와 걸림홈(142)에 의해 밀폐되어 유입되지 않던 외부 공기가 공기 유도홈(142H)을 통해 유입되는 것이다.
반면,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유동캡(200)을 폐쇄시킨 경우, 유동캡(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01)는 걸림홈(142)의 외주면을 타고 아래쪽으로 하강함에 따라, 공기 유도홈(142H) 측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병마개(10)는 사용자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섭취할 때에만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섭취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이 외부요인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유도홈(142H)은 걸림홈(142)의 상부에 1.8mm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 1.8mm보다 길게 형성하거나,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 유도홈(142H)은 걸림홈(142)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걸림홈(142)의 말단에서 선단측으로 점차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공기 유도홈(142H)이 걸림홈(142)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경우, 유동캡(200)이 개방되었을 때, 외부로 부터 공기의 유입이 가장 원활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공기 유도홈(142H)이 걸림홈(142)과 동일한 길이를 갖게 되면, 유동캡(200)이 개폐돌기(141)를 폐쇄한 상태더라도 적은 양의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기 내의 내용물이 변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유도홈(142H)은 걸림홈(142)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유동캡(200)이 개방되어 사용자가 용기 내의 내용물을 섭취할 때에만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걸림홈(142)의 말단에서 선단측으로 점차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도홈(142H)의 길이는 유동캡(200)내에 외부공기가 효율적으로 유입되도록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도홈(142H)은 유동캡(200)이 개방된 후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될 때, 유동캡(20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유동캡(200)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대기압과 내부 기압을 동일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용기 내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유출되지 않는 점을 개선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혀가 유동캡(200)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현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병마개 100: 본체
110: 결합부 111: 돌기
120: 제1 단턱부 130: 제2 단턱부
140: 유출부 141: 개폐돌기
142: 걸림홈 142H: 공기 유도홈
200: 유동캡 201: 걸림돌기
202: 홀 300: 보호캡

Claims (3)

  1. 본체, 유동캡 및 보호캡으로 이루어진 병마개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용기의 체결부에 회전결합되고, 외주면에 돌기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단턱부;
    상기 제1 단턱부의 상부에 단턱지게 형성되고, 상기 유동캡이 안착되는 제2 단턱부; 및
    상기 제2 단턱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단에 개폐돌기가 구비되며,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된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캡은
    상기 유출부를 개폐시키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호캡은
    상기 제1 단턱부에 탈착되면서 용기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 및 용기의 내용물이 임의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2. 청구항 1에서, 상기 걸림홈은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공기 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부는
    상기 유동캡이 개방되면 상기 복수개의 공기 유도홈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동캡이 폐쇄되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3. 청구항 2에서, 상기 복수개의 공기 유도홈은
    상기 걸림홈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걸림홈의 말단에서 선단측으로 점차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마개.
KR1020190050021A 2019-04-29 2019-04-29 병마개 KR20200126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021A KR20200126254A (ko) 2019-04-29 2019-04-29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021A KR20200126254A (ko) 2019-04-29 2019-04-29 병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54A true KR20200126254A (ko) 2020-11-06

Family

ID=7357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021A KR20200126254A (ko) 2019-04-29 2019-04-29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62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509B1 (ko) 2006-05-29 2008-01-24 서동린 원터치형 위생 병뚜껑의 결로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509B1 (ko) 2006-05-29 2008-01-24 서동린 원터치형 위생 병뚜껑의 결로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33869A1 (en) Lid with cap for beverage receptacle
US7753240B2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5878898A (en) Protective overcap assembly for fluid containers
EP3124394A1 (en) Combined wine glass and wine bottle package
CN102459023B (zh) 防漏饮用杯和用于该防漏饮用杯的隔片
ITBO20110722A1 (it) Contenitore per bere bevande e apparato per chiudere tale contenitore
US20100102094A1 (en) Package with fluid-dispenser system
US20120217241A1 (en) Cup lid for additive to be conveniently added therein
CN107920957A (zh) 用于防漏饮用杯的阀组件
KR20200126254A (ko) 병마개
JP4276726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US9848722B1 (en) Container assembly with a lid and the lid thereof that allow for drinking from the side
US20020074366A1 (en) Vented fluid container closure
JP2010260586A (ja) 中栓付容器
KR200413867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US20070068893A1 (en) Spill proof drinking cap for bottles
KR200287574Y1 (ko) 원터치형 위생병뚜껑
US20230234759A1 (en) Poppet lid
US11999537B2 (en) Poppet lid
KR102403946B1 (ko) 빨대가 구비된 젖병 호환용 뚜껑
US2659507A (en) Beverage container
KR20040011409A (ko)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KR200328696Y1 (ko) 기능성 젖병
KR20220001468U (ko) 음료용기의 원터치형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