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367B1 - 유아용 빨대컵 - Google Patents

유아용 빨대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367B1
KR102182367B1 KR1020190047039A KR20190047039A KR102182367B1 KR 102182367 B1 KR102182367 B1 KR 102182367B1 KR 1020190047039 A KR1020190047039 A KR 1020190047039A KR 20190047039 A KR20190047039 A KR 20190047039A KR 102182367 B1 KR102182367 B1 KR 102182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traw
pressure control
infants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917A (ko
Inventor
정승채
Original Assignee
정승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채 filed Critical 정승채
Priority to KR1020190047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367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Equipmen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아시기에서 유아시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사용할 수 있는 빨대컵에 관한 것으로, 젖병과 젖병 상단에 결합되며, 환형으로 형성된 연결부재와, 탄성재질이며,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꼭지몸체부와, 관 형태로 꼭지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꼭지 및 흡입부 하단에 결합되는 빨대유닛을 포함하되, 흡입부는, 상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내부를 폐구하는 막 형태의 셉텀이 형성되고, 셉텀 중앙부는 선형으로 절개된 형태의 흡입홀이 형성되며, 흡입부의 외부에는 셉텀이 형성된 지점 근방에 유도홈이 형성되어 유아의 앞니가 안착되도록 유도하여 음료가 쏟아지지 않으면서도 유아가 빨대컵을 사용할 시에는 유도홈의 구성을 통하여 흡입홀이 개구될 수 있는 가압지점을 안내하여 원활한 음용이 가능한 유아용 빨대컵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유아용 빨대컵{A Straw Bottle For Child}
본 발명은 빨대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병을 사용하는 영아시기에서 유아시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빨대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의 경우 젖병을 통하여 분유를 섭취한다. 젖병은 젖병과 젖병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과, 상기 연결부재에 끼워지는 젖꼭지로 구성되는데, 젖꼭지의 형상은 유두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끝단에 수유공이 형성되어 영아가 분유를 섭취할 시 젖꼭지를 가압하여 섭취하도록 한다.
한편, 영아가 성장하여 생후 4-6개월에 접어들면 치아가 자라남에 따라, 치아가 고르게 자라날 수 있도록 위하여 유아로 하여금 젖병이 아닌 빨대컵을 사용하도록 교육을 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기존에 사용하던 젖병에 익숙하던 유아들은 빨대컵의 사용에 거부감을 느끼거나, 기존에 젖병을 사용하던 습관대로 빨대컵을 뒤집어 빨대컵에 수용되어 있던 음료를 쉽게 쏟아버리는 등 빨대컵에 적응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왔다.
이에 따라, 젖병을 사용하던 유아로 하여금 빨대컵에 쉽게 적을할 수 있는 유아용 빨대컵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485082호("빨대컵용 밸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4249호("일회용 통기관을 구비한 젖병") 3.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9-000570호("빨대가 구비된 컵")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로 하여금 안정적으로 빨대컵을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빨대컵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아용 빨대컵은 상단이 개구된 젖병; 상기 젖병 상단에 결합되며, 환형으로 형성되되, 상단부는 내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부재; 탄성재질이며,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압력조절홀과 상기 압력조절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꼭지몸체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이격돌기가 형성된 꼭지몸체부와, 관 형태로 상기 꼭지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꼭지; 및 상기 흡입부 하단에 결합되는 호스를 포함하는 빨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는, 내부에 상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내부를 폐구하는 막 형태의 셉텀이 형성되고, 상기 셉텀 중앙부는 선형으로 절개된 형태의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의 외부에는 상기 셉텀이 형성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상기 흡입부의 직경에 해당하는 범위 이내에 오목하게 유도홈이 형성되어 유아의 앞니가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흡입부는 그 상단 외측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꼭지몸체부는 일측에 압력조절홀과, 상기 압력조절홀 근방에 형성되며, 상기 압력조절홀을 사이에 두고 상기 꼭지몸체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이격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꼭지몸체부는, 하단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제2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꼭지몸체부의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에 끼워지되, 상기 제1돌기에는 상기 꼭지몸체부와 인접한 일측에 보조압력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보조압력조절홀이 형성된 상측 부위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꼭지몸체부의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에 마련된 목부는 상기 보조압력조절홀과 절개홈이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연통홈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빨대유닛은, 상기 흡입부 하단과 호스 상단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관 형태이되, 상부는 상기 흡입부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의 하부에 끼워지고, 하부는 상기 호스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스 상부에 끼워지며, 중앙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형태의 커넥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스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빨대유닛은, 소정 형상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되, 상단은 상기 호스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호스 하부에 끼워지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유아용 빨대컵은,
셉텀의 구성을 통해 젖병 내부의 음료가 쏟아지지 않게 하면서도 유아가 빨대컵을 사용할 시에는 유도홈의 구성을 통하여 흡입홀이 개구될 수 있는 가압지점을 안내하여 원활한 음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압력조절홀 근방에 형성된 이격돌기의 구성을 통해 유아의 입술이 압력조절홀을 폐구하지 않도록 하고, 공기가 유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젖병 내외부 압력차를 원활히 조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개홈의 구성을 통하여, 연결부재와 꼭지의 탈착을 더욱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꼭지 외측에 형성된 보조압력조절홀의 구성을 통하여 젖병 내외부 압력차를 원활히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꼭지와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꼭지와 연결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꼭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꼭지와 빨대유닛의 분해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호스가 무게추에 의해 방향이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은, 젖병을 사용하는 영아기에서 유아기로 넘어가는 시기의 유아들이 사용할 수 있는 빨대컵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젖병(100)과, 꼭지(300)와, 연결부재(400)와, 빨대유닛(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손잡이(200)와 뚜껑(600)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1000)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젖병(100)은 상단이 개구된 일반적인 버킷 형태이되, 상단부는 그 직경이 줄어든 형태이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젖병(100) 상부 외측에는 후술할 연결부재(400)와의 결합을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젖병(100) 상단부에는 손잡이(200)가 끼워질 수 있다. 손잡이는 환 형태의 플렌지부(210)와 상기 플렌지부(210) 외측에서 대략 'ㄱ'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홀딩바(230)로 이루어져, 유아가 빨대컵(1000)을 이용하여 음료를 음용할 시 홀딩바(230)를 잡고 음용할 수 있도록 한다.
뚜껑(600)은 젖병(100) 최상측에 결합되어 후술할 꼭지(300)가 외부에 노출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젖병(100) 상단부 혹은 손잡이(200) 상단에는 환형의 연결부재(400)가 젖병(100)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꼭지와 연결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연결부재(400)는 꼭지(300)를 탈착시켜, 꼭지(300)를 젖병(100) 상측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꼭지(300)와 연결부재(400)는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보다 다양한 형태의 꼭지(300)를 젖병(100)에 고정하여 사용 가능함과 동시에 위생적인 꼭지(300)의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부재(400)는 환 형상이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 되어 연장부(410)가 형성되고, 내측면는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이다. 연결부재(4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젖병(100) 상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 된다. 연장부(410)는 연결부재(400)가 젖병(100)에 나사결합 될 시, 젖병(100) 상단 외주연에 결려 젖병(100)에 대한 연결부재(400) 및 연결부재(400)에 끼워지는 꼭지(300)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꼭지와 연결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꼭지(300)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진다. 꼭지(300)는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꼭지몸체부(310)와, 관 형태이며 상기 꼭지몸체부(31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흡입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꼭지몸체부(31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면, 꼭지몸체부(310)는 하단에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체 직경이 상기 연결부재(400)의 연장부(410) 하측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돌기(330)와, 상기 제1 돌기(330)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돌기(350)가 형성된다.
꼭지(300)는 연결부재(400)와의 결합 시 도 3과 같이 연결부재(400)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어 결합되는데, 연결부재(400)의 연장부(410)와 가장 먼저 접촉하는 제2 돌기(350)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형태임에 따라, 꼭지(300)가 상측으로 진행할수록 연장부(410)는 제2 돌기(350)의 경사면을 따라 제2 돌기(350)를 하측으로 밀어 접혀지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제2 돌기(350)에는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절개홈(351)이 형성되어 있어, 절개홈(351)을 이루는 양단면의 사이가 좁아지면서 제2 돌기(350) 전체 외경이 쉽게 줄어듦에 따라, 제2 돌기(350)가 연장부(410)를 쉽게 통과하여 연장부(410)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연장부(410)의 상면 내측은 다단으로 형성되어 제2돌기안착홈(도면부호 미지정)이 형성되고, 제2 돌기(350)의 외경은 상기 제2돌기안착홈의 직경에 대응되거나 소정 크기 크게 형성하면, 연결부재(400)와 꼭지(300)의 결합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기(350)의 외면이 제2돌기안착홈에 끼워져 젖병(10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2 돌기(350)가 연장부(410) 상측에 위치되게끔 결합되면, 제1 돌기(330)는 연장부(410) 하측에 위치되며, 제1 돌기(330)의 외경과 연장부(410)의 하측 내경이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제1 돌기(330) 또한 젖병(100)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꼭지몸체부(310) 외면의 제1 돌기(330)와 제2 돌기(350) 사이 부위인 목부(315)의 외경은 상기 연장부(410)의 내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데, 이 또한 젖병(100)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상기 꼭지몸체부(310)에는 일측에 압력조절홀(311)이 형성된다. 압력조절홀(311)은 유아가 상기 흡입부(370)를 통해 젖병 내부의 음료를 빨아들여, 젖병 내외부공간간의 기압차가 발생할 때 기압을 조절해 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압력조절홀(311)의 형상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꼭지몸체부(310)는 일측에 소정 직경의 압력조절홀(311)이 형성되고, 압력조절홀(311)에는 압력조절홀(311) 하측으로 만곡형성되며, 그 두께까 2mm이하로 매우 얇게 형성되되, 하단에 선형의 개폐홀(313)이 형성된 압력조절막(312)이 형성된 형태이다. 즉, 압력조절홀(311)에는 두께가 얇게 형성된 압력조절막(312) 및 그 끝단에 형성된 개폐홀(313)을 통해 유아용 빨대컵이 넘어지는 경우 젖병(100) 내부에 수용된 음료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젖병(100) 내외부에 기압차가 발생될 경우에는 쉽게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압력조절막(312)의 형태가 꼭지몸체부(310) 내측에서 하측으로 만곡 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쉽게 손상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꼭지의 평면도이다.
한편, 유아용 빨대컵의 사용 시 유아의 입술이 압력조절홀(311)을 폐구하여 기압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조절홀(311) 근방에는 압력조절홀(311)을 사이에 두고 꼭지몸체부(31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이격돌기(314)가 더 형성된다. 즉, 유아의 입술이 압력조절홀(311) 상측에 접촉될 시 한 쌍의 이격돌기(314)가 압력조절홀(311)을 폐구하는 것을 방지하고, 한 쌍의 이격돌기(314) 사이공간으로 공기가 유통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여 압력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압력조절홀(311)이 단일개수인 경우 압력조절홀(311)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압력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가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상기 제1 돌기(330)에는 보조압력조절홀(331)이 더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압력조절홀(331)은 제1 돌기(330)의 절개홈(351)이 형성된 하측부위에 형성된다. 보조압력조절홀(331)은 꼭지(300)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폐구될 가능성이 적은 것이다. 한편, 목부(315)에는 상기 보조압력조절홀(331)과 절개홈(351)이 서로 연통되도록 일측면이 함몰형성되어 연통홈(317)이 형성된다. 즉, 목부(315)는 연장부(410)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결합되되, 연통홈(317)이 형성된 부위는 연장부(41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공기가 유통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젖병(100) 내부의 기압이 젖병(100) 외부의 기압보다 저기압이 되면, 젖병(100) 외부의 공기는 절개홈(351)과, 연통홈(317)과, 보조압력조절홀(331)을 차례로 유통하여 젖병(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압력조절홀(331)의 형상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돌기(330)에는 상기 절개홈(351) 하측 부위에 꼭지몸체부(310)와 인접하도록(더욱 바람직하게는 연접하도록) 보조압력조절홀(331)이 소정 직경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보조압력조절홀(331)에는 제1 돌기(330)의 두께방향 중앙부에, 중심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중심부에 선형으로 절개된 형태의 보조개폐홀(333)이 형성된 보조압력조절막(332)이 형성된 형태이다. 이때, 상기 보조압력조절막(332)의 최하측 끝단 위치는 상기 제1 돌기(33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보조압력조절막(332)이 보조압력조절홀(331)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보조압력조절막(332)의 손상을 예방하는 데에 좋다.
다음, 흡입부(37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흡입부(3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꼭지몸체부(310)를 상하로 관통한 관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부(370)의 상단은 그 외측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단 형상이 전체적으로 둥근 형태로 형성되어 유아가 흡입부(370)를 통해 음료를 음용할 시 거부감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혀, 입술 등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흡입부(370)는 상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흡입부(370)의 내부를 폐구하는 막 형태의 셉텀(371)이 더 형성된다. 상기 셉텀(371)은 중앙부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더욱 정확하게는 십자 형태로 절개된 흡입홀(372)이 형성된 형태이다. 따라서 흡입부(370)는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셉텀(371)에 의해 폐구된 형태이며, 셉텀(371) 부근의 흡입부(370) 외면을 가압할 시에만 흡입홀(372)이 개방되어 음료의 음용이 가능하게 된다. 셉텀(371)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지나치게 먼 지점을 가압하는 경우, 흡입홀(372)은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흡입부(370)의 외면에는 상기 셉텀(371)이 형성된 지점 근방 또는 동일 선상에 오목하게 유도홈(373)이 형성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셉텀(371)이 형성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상기 흡입부(370) 직경에 해당하는 범위 이내에 상기 유도홈(37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유도홈(373)의 구성을 통해 유아는 흡입부(370)를 통해 음료를 흡입 할 시 자연적으로 흡입부(370)의 가압지점을 찾아 가압함으로써 흡입홀(372)이 개방될 수 있게끔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꼭지와 빨대유닛의 분해측면도이다.
상기 흡입부(370)는 하부 내측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하측으로 진행할수록 내부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흡입부(370)는 하단부에 빨대유닛(500)이 결합되는데, 흡입부(370) 하부 내측이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빨대유닛(500)과의 결합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빨대유닛(500)은 크게 호스(510)와, 커넥터(530)로 구성된다. 호스(510)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넥터(530)를 통해 상기 흡입부(370)와 연결된다. 커넥터(530)는 관 형태이되, 상부는 외경이 흡입부(370)의 중앙부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외경이 호스(510)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커넥터(530)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는 외면에 걸림돌기(531)가 형성된 형태이다. 이러한 커넥터(530)의 상부는 흡입부(370) 하부에 삽입되고, 하부는 호스(510)가 끼워지는데, 각각의 결합 시 걸림돌기(531)는 커넥터(530)가 흡입부(370) 내부로 지나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넥터(530)의 상단부 외면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흡입부(370) 내부로 쉽게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흡입부(370)와 커넥터(530)와 호스(510)가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각각 구성의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음용하려는 음료에 알갱이 등이 포함된 경우 알갱이가 유입될 수 있을 만큼의 내경을 가진 커넥터(530) 및 호스(510)로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맞춤식 호스의 제공 또한 가능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 호스(510) 하단에는 무게추(550)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무게추(550)는 소정 형상과 무게를 가지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되, 상단은 호스(510)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빨대컵의 호스가 무게추에 의해 방향이 조절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무게추(550)의 구성을 통해 호스(510)의 하단은 항상 무게추(550)의 무게에 의해 연직방향을 향하게 됨으로써, 젖병(100) 내부의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젖병
200: 손잡이 210: 플랜지부
230: 홀딩바
300: 꼭지 310: 꼭지몸체부
311: 압력조절홀 312: 압력조절막
313: 개폐홀 314: 이격돌기
315: 목부 317: 연통홈
330: 제1 돌기 331: 보조압력조절홀
332: 보조압력조절막 333: 보조개폐홀
350: 제2돌기 351: 절개홈
370: 흡입부 371: 셉텀
372: 흡입홀 373: 유도홈
400: 연결부재 410: 연장부
500: 빨대유닛 510: 호스
530: 커넥터 531: 걸림돌기
550: 무게추 551: 유로
600: 뚜껑

Claims (6)

  1. 상단이 개구된 젖병;
    상기 젖병 상단에 결합되며, 환형으로 형성되되, 상단부는 내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연장부가 형성된 연결부재;
    탄성재질이며,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압력조절홀과 상기 압력조절홀을 사이에 두고 꼭지몸체부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이격돌기가 형성된 꼭지몸체부와, 관 형태로 상기 꼭지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꼭지; 및
    상기 흡입부 하단에 결합되는 호스를 포함하는 빨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는,
    내부에 상단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내부를 폐구하는 막 형태의 셉텀이 형성되고, 상기 셉텀 중앙부는 선형으로 절개된 형태의 흡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의 외부에는 상기 셉텀이 형성된 지점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상기 흡입부의 직경에 해당하는 범위 이내에 오목하게 유도홈이 형성되어 유아의 앞니가 안착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빨대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그 상단 외측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빨대컵.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몸체부는,
    하단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제2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꼭지몸체부의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에 끼워지되,
    상기 제1돌기에는 상기 꼭지몸체부와 인접한 일측에 보조압력조절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돌기는 상기 보조압력조절홀이 형성된 상측 부위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꼭지몸체부의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 사이에 마련된 목부는 상기 보조압력조절홀과 절개홈이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연통홈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빨대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유닛은,
    상기 흡입부 하단과 호스 상단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관 형태이되, 상부는 상기 흡입부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의 하부에 끼워지고, 하부는 상기 호스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스 상부에 끼워지며, 중앙부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형태의 커넥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빨대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빨대유닛은,
    소정 형상을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되, 상단은 상기 호스 내경과 동일한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호스 하부에 끼워지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빨대컵.
KR1020190047039A 2019-04-23 2019-04-23 유아용 빨대컵 KR102182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39A KR102182367B1 (ko) 2019-04-23 2019-04-23 유아용 빨대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039A KR102182367B1 (ko) 2019-04-23 2019-04-23 유아용 빨대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17A KR20200123917A (ko) 2020-11-02
KR102182367B1 true KR102182367B1 (ko) 2020-11-24

Family

ID=7339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039A KR102182367B1 (ko) 2019-04-23 2019-04-23 유아용 빨대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098A (ko) 2022-05-23 2023-11-30 박용운 역류방지용 유아 젖꼭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687A (ko) * 2021-05-10 2022-11-17 양진석 음료 용기의 이물질 역류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93Y1 (ko) * 2012-09-24 2015-04-08 주식회사 림스텍 젖병용 젖꼭지
CN204671583U (zh) * 2015-04-09 2015-09-30 何成富 一种新型防堵塞奶嘴
KR200482433Y1 (ko) * 2015-05-28 2017-01-23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성을 갖는 유아용 텀블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0215A (ko) * 2008-08-12 2010-02-22 하태선 유아용 스트로우 젖꼭지
GB0916318D0 (en) * 2009-09-17 2009-10-28 Samson Ilan Z Spout for a spill-proof beverage container
KR20140114249A (ko) 2013-03-18 2014-09-26 조효준 일회용 통기관을 구비한 젖병
KR101485082B1 (ko) 2013-10-04 2015-01-22 (주)프띠아띠 빨대컵용 밸브
KR20190000570U (ko) 2017-08-25 2019-03-06 지유건 빨대가 구비된 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93Y1 (ko) * 2012-09-24 2015-04-08 주식회사 림스텍 젖병용 젖꼭지
CN204671583U (zh) * 2015-04-09 2015-09-30 何成富 一种新型防堵塞奶嘴
KR200482433Y1 (ko) * 2015-05-28 2017-01-23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성을 갖는 유아용 텀블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098A (ko) 2022-05-23 2023-11-30 박용운 역류방지용 유아 젖꼭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917A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622B2 (en) Child's drinking cup
US7204380B2 (en) Drinking vessel
US5234117A (en) Straw adaptor for baby bottle
RU2461347C2 (ru) Зап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детской бутылочки для питья или детской чашки-поильника
US20130233869A1 (en) Lid with cap for beverage receptacle
US8622236B2 (en) Drinking vessel usable in different orientations
US6851565B2 (en) Nipple adapter for a standard narrow-mouthed beverage bottle
US8444004B1 (en) Fluid baffle device and system
US20180360245A1 (en) Convertible Silicone Toddler Cup
CN1652712B (zh) 饮用容器
KR102182367B1 (ko) 유아용 빨대컵
US11951075B2 (en) Bottle teat and cap for a drinking bottle
US20150231036A1 (en) Infant bottle assembly having a vented nipple
US20110101008A1 (en) Drink Cup Baffle Device and Drink Cup System
US9326916B2 (en) Non-spill valve
US10501242B2 (en) Oral motor development sipping spout
AU2021107447A4 (en) A drinks container
GB2314497A (en) Drinking vessel
WO2002087397A1 (fr) Tasse pour apprendre a boire a un enfant
KR200433734Y1 (ko) 스트로를 갖는 음료용기의 압력 평형 밸브
WO2014117209A1 (en) Drinking container cap with demand valve
KR101540973B1 (ko) 유아용 컵
KR102162890B1 (ko) 빨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아용 빨대컵
US11633055B2 (en) Beverage container
KR200328696Y1 (ko) 기능성 젖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