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316B1 - 혼합용 마개장치 - Google Patents

혼합용 마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316B1
KR101982316B1 KR1020160058998A KR20160058998A KR101982316B1 KR 101982316 B1 KR101982316 B1 KR 101982316B1 KR 1020160058998 A KR1020160058998 A KR 1020160058998A KR 20160058998 A KR20160058998 A KR 20160058998A KR 101982316 B1 KR101982316 B1 KR 10198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plunger
spac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733A (ko
Inventor
이영란
Original Assignee
(주)제주자연초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주자연초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제주자연초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160058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31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액이 담겨있는 용기의 입구와 혼합시킬 액체의 용기 입구에 각각 연결하여 용기에 흘리지 않고 원하는 양을 쉽게 따르도록 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액체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용기(40) 입구 내벽에 직접 삽입 고정되며, 하단면이 이형재질로 마감 처리된 마개(20)와;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는 끝단면이 상기 마개(20)의 하단을 향해 내삽되며, 수직 운동하여 이형재질을 파열시키는 밀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혼합용 마개장치{INGREDIENT DISPENSING CAP FOR MIXING BEVERAGES}
본 발명은 원액이 담겨있는 용기의 입구와 혼합시킬 액체의 용기 입구에 각각 연결하여 용기에 흘리지 않고 원하는 양을 쉽게 따르도록 하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TV나 라디오와 같은 무수히 많은 매체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건강식품이 소개되고 있다. 그중 과일식초를 마시면 다이어트 효과는 물론 피로회복 및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섭취하고 있다.
하지만 식초를 그냥 섭취하기에는 너무 셔서 보통 생수에 희석시킨 물통에 들고 다니면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섭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초와 생수를 혼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용기에 각각 담겨있는 액체를 한쪽 용기에 액체를 따라서 혼합하여 섭취한다.
혼합할 때 입구가 넓은 용기를 사용하면 쉽게 따라서 섞을 수 있지만 휴대하여 마시기 불편하여 입구가 좁은 형태의 용기를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액체를 따르다보면 용기 주변으로 액체를 흘려 주변을 어지럽히고 지저분하게 만들게 된다.
또한 식초를 섞을 때 정확한 양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눈대중이나 감으로 식초의 양을 짐작하기 때문에 마실 때 마다 농도가 변하게 되어 항상 일정한 농도로 음용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형태의 마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149호(등록일자:2016.04.12.)는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뚜껑 내부 수용공간에 보관되는 첨가재가 용기 내에 투입되어 혼합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예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3-0003384호(공개일자:2013.06.07.)는 혼합용 병 마개에 관한 것으로, 압하 멤브레인 부재는 힘을 받아 탄성 변형되어 입구 밀봉부재를 가압하게 되며 개구를 형성하여 병 본체에 혼합물이 투입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149호(등록일자:2016.04.12.)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3384호(공개일자:2013.06.07)
본 발명은 혼합시킬 용액이 포함되어 있는 마개를 용기의 입구에 결합시켜 원하는 양으로 조절하여 용기의 원액과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에 결합되어 있는 마개를 분리하지 않아도 음료를 원활하게 마실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마개장치는 내부에 액체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용기 입구 내벽에 직접 삽입 고정되며, 하단면이 이형재질로 마감 처리된 마개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끝단면이 상기 마개의 하단을 향해 내삽되며, 수직 운동하여 이형재질을 파열시키는 밀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외주면에 액체의 분량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개와 밀대 사이에 위치하여 밀대의 수직운동을 방지하는 스타퍼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길이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와 상기 마개의 내벽 사이의 공간에 액체를 보관한다.
본 발명은 희석시킬 용액을 원하는 양만큼 조절하여 원액의 용기에 혼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입구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혼합된 음료를 음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개가 진직도를 형성하고 있어 다양한 크기의 용기 입구와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마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마개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마개장치의 작동모습,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마개장치가 용기에 삽입된 모습,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마개장치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마개장치의 사시도로 마개의 내부에 밀대가 내삽되어 있는 모습이다.
혼합용 마개장치(10)(이하'마개장치'라고 호칭함)는 물이나 소주 등의 원액이 저장되어 있는 용기(40)에 과일 진액이나 각종 추출물과 같은 용액을 손쉽게 투입하고 희석시켜서 마실 수 있도록 한다.
마개(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용액이 저장되어 있고, 희석시킬 원액을 담고 있는 용기(40)의 입구 내주면으로 삽입 고정되며, 마개(20)의 내부에서 수직운동 하는 밀대(30)에 의해 용액이 용기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마개(20)와 밀대(30)는 사람이 음용하는 액체와 오랜 시간동안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인체에 해가 없으며, 환경호르몬과 같은 각종 유해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재질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폴리 프로필렌(P.P)으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도 저렴하면서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면 어느 재질을 사용하더라도 좋은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마개장치에서 마개와 밀대를 분리시킨 분해도이다.
마개(20)를 보면, 용기(40)의 입구에 삽입 고정되는 형태로, 다양한 크기의 입구와 고정이 용이하도록 마개(20)의 외관이 직진도를 형성하고 있다. 즉, 마개의 상단부는 하단부보다 직경이 긴 형태로 되어있어, 다양한 크기의 용기 입구에서 마개를 눌러주면 알맞은 직경에 도달하여 액체가 새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용기(40)의 하단을 향해 위치하는 마개(20)의 하단부에는 액체를 저장하였다가 외부의 충격에 쉽게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재질의 마감재(미도시)로 도포되어 있어 용기에 액체를 쏟아 붓게 된다.
마감재는 외부의 충격인 밀대(30)와 접촉에 쉽게 파열되어야 할 것이며, 마감재의 반대 방향에서 발생하는 충격에는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있는 것으로, 양쪽의 재질이나 강도를 서로 달리한 마감재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용기(40)에 삽입되어 직접 면과 접하게 되는 마개(20)의 외관에는 다수의 미세한 주름(22)이 형성되어 있어, 용기(40)와 좀 더 튼튼하게 결합시키고, 헛돌지 않도록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마개(20)의 외관은 액체의 종류와 그 양을 가늠하기 용이하도록 투명재질의 창(24)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액체가 얼마나 남았는지, 어떤 색인지 눈으로 인식하여 무슨 맛인지 예측할 수 있을 것이며, 뿐만 아니라 액체가 용기(40)에 잘 투입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기존의 마개장치(10)는 저장된 용액을 원액에 전부 투입시켜 개인의 취향이나 기호에 상관없이 항상 같은 농도의 맛을 즐긴데 반해, 마개(20)의 외주면으로 눈금(25)이 더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 각자가 원하는 농도로 만들어 마실 수 있다.
밀대(30)는 병원에서 흔히 보는 주사기의 피스톤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단면에는 돌출부(32)가 더 구비되어 있어 마개(20)의 하단면을 마감 처리한 마감재 찢거나 뚫어주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32)는 바늘과 같은 첨예한 형상을 하여 마감재가 쉽게 찢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십자가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타단면에는 마개(20)의 액체를 원액으로 투입하기 용이하도록 엄지손가락이 안착하여 눌러 주기위한 손잡이(3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밀대(30)의 몸체를 보면 밀대(30)의 길이 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36)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칸막이(36)와 마개(20) 사이에 액체가 위치하게 된다. 칸막이(36)의 개수는 3개 일수도 있고, 4개 일수도 있을 것이며, 또한 반드시 밀대에 칸막이(36)가 구비되어 있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즉, 칸막이(36) 없이 밀대(30)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해주는 지지대만 구비되어 그 사이에 용액이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마개장치의 작동모습이다.
마개(20)의 내부로 삽입된 밀대(30)는 마개(20)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개(20)의 상단에 노출되어 있는 손잡이(34)를 눌러주게 되면 밀대(30)가 마개(20)의 몸체를 따라 아래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계속해서 밀대(30)가 하강하게 되면 마개(20)의 하단에 위치한 마감재를 파열시키게 되고, 마개(2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액체가 마감재의 파열된 곳을 통해 아래로 쏟아지게 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용 마개장치가 용기에 삽입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새 마개장치(10)는 마개(20)에 밀대(30)가 내삽되어 마개(2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의 양 만큼 밀대(30)가 마개(20)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개장치(10)에 식초나 커피, 과실액 등 다양한 종류의 액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마개(20)와 밀대(30) 사이에 스타퍼(35)가 더 구비되어 있어 마개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밀대(30)의 직선운동으로 마감재(10)를 파열시키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마개장치(10)를 사용하려면 먼저 투입될 액체의 양 만큼 용기(40)에 이미 저장된 원액의 일부를 덜어내거나 마셔서 원액과 액체가 희석시킬 때 넘쳐흐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용기(40)의 입구에 마개(20)의 하단부가 위치하도록 삽입 고정시킨 후, 스타퍼(35)를 분리한다.
그 후에 밀대(30)를 아래로 밀어주어 마개(20)의 하단에 위치한 마감재를 파열시키고, 마개(20)의 눈금(25)을 보며 사용자의 기호에 알맞게 용액을 투입시킨다.
원액을 저장하고 있는 용기(40)에 원하는 양만큼 용액이 투입되면 조심스럽게 용기(40)를 흔들어주며 희석시킨다.
희석시킨 액체는 용기(40)에 고정된 마개장치(10)를 분리시킨 후에 마시거나 컵에 따라 음용할 수 있으며, 마개(20)에 저장된 액체를 다 희석시킨 경우 마개장치(10)를 제거할 필요 없이, 마개(20)에 삽입되어 있는 밀대(30)만을 제거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즉, 마개장치(10)에 저장되어 다양한 종류의 맛을 내는 액체를 기호에 따라 선택하여 생수나 음료, 소주와 같은 주류의 용기(40)에 결합시켜 누구나 손쉽게 희석시켜 마실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마개장치 20 : 마개
22 : 주름 24 : 창
25 : 눈금 30 : 밀대
32 : 돌출부 34 :손잡이
35 : 스타퍼 36 : 칸막이
40 : 용기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이형재질의 마감재가 구비되어 상기 공간에 액체를 보관하는 마개와
    상기 공간에 삽입되며, 일단에 상기 마감재를 파열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재를 파열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외력을 전달하는 밀대 및
    상기 밀대의 어느 일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마개의 타단면에 접촉하여 상기 밀대가 중력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타퍼를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외측면 중 어느 일부분이 용기의 입구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밀대는 상기 마개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중력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밀대중 적어도 어느 일부분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마개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를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는 상기 밀대의 중심축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마개 내면에 접촉하여 상기 마개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혼합용 마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외주면에 상기 마개의 내부 공간을 투영하는 투명재질의 창이 형성되고,
    상기 투명재질의 창은 상기 마개의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액체의 분량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을 포함하여 상기 눈금 중 적어도 어느 일부분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 마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을 기준으로 상기 마개의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용 마개장치.
  5. 삭제
KR1020160058998A 2016-05-13 2016-05-13 혼합용 마개장치 KR10198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998A KR101982316B1 (ko) 2016-05-13 2016-05-13 혼합용 마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998A KR101982316B1 (ko) 2016-05-13 2016-05-13 혼합용 마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733A KR20170128733A (ko) 2017-11-23
KR101982316B1 true KR101982316B1 (ko) 2019-06-10

Family

ID=6080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998A KR101982316B1 (ko) 2016-05-13 2016-05-13 혼합용 마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7125A (zh) * 2021-01-27 2021-05-11 茶立享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密封性即配式瓶盖及采用该瓶盖的瓶
CN113212972A (zh) * 2021-05-11 2021-08-06 茶立享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密封性抽屉式即配瓶盖及采用该瓶盖的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283A (ja) * 2004-11-08 2006-05-25 Nicchu Saisei Shigen Kk 容器の蓋体構造
CN204297316U (zh) * 2014-12-16 2015-04-29 李翡翡 医药试剂瓶盖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5421A (ko) * 2008-06-02 2009-12-07 하늘빛 주식회사 용기용 마개
TWM431147U (en) 2011-11-29 2012-06-11 Lie-Shi Wu Compatible bottle cap
KR200480149Y1 (ko) 2014-10-15 2016-04-19 엄성현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283A (ja) * 2004-11-08 2006-05-25 Nicchu Saisei Shigen Kk 容器の蓋体構造
CN204297316U (zh) * 2014-12-16 2015-04-29 李翡翡 医药试剂瓶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733A (ko)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141A (en) Beverage storage and mixing device
US8522968B2 (en) Beverage flavoring applicator
US8172079B2 (en) Container with secondary substance, preferably a liquid for attachment to and mixing with container of a primary liquid
US10064387B2 (en) Squeezable water bottle for pets with attached bowl
KR102505402B1 (ko) 단일-부분 패키지, 사용 및 조제 기계
US20050224515A1 (en) Pump dispenser and cartridge
CA2535629A1 (en) Pet drinking jar for receiving and opening a closed beverage can
US3568870A (en) Plastic bottle with self-contained drinking tube
US9114910B1 (en) Mixing container
CA3101998A1 (en) Beverage ingredient pod
KR101982316B1 (ko) 혼합용 마개장치
WO2021004538A1 (zh) 一种可加料调制的储物盖
EP1730048B1 (en) A capsule incorporating a doser and openable security cap, in particular for single-dose flagons
US6851580B2 (en)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JPH09254990A (ja) 二液混合容器
US20060231428A1 (en) Powder/liquid dispenser
US11332287B2 (en) Beverage container and cap
US20060226161A1 (en) Measured quantity beverage dispenser
KR101740663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US20180023991A1 (en) Dual purpose 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CN211495313U (zh) 一种二合一滴管装置
CN113665942B (zh) 便携式调酒装置
CN211483316U (zh) 一次性化妆品滴管装置
KR101331508B1 (ko) 알콜 및 탄산음료병 마개
KR101523520B1 (ko) 빨대 내장형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