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49Y1 -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49Y1
KR200480149Y1 KR2020140007474U KR20140007474U KR200480149Y1 KR 200480149 Y1 KR200480149 Y1 KR 200480149Y1 KR 2020140007474 U KR2020140007474 U KR 2020140007474U KR 20140007474 U KR20140007474 U KR 20140007474U KR 200480149 Y1 KR200480149 Y1 KR 200480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in body
additive
nozzl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성현
Original Assignee
엄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성현 filed Critical 엄성현
Priority to KR2020140007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7/00Details of mixing containers or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첨가재가 보관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단에 상기 첨가재를 용기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주입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 일단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입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첨가재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노즐과, 일측 내주면에 상기 노즐이 관통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 용기의 개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상기 노즐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와, 상기 본체의 타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며 상기 용기에 보관되는 내용물 및 첨가재가 혼합된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커버, 및 상기 배출커버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마개를 포함하는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CONTAINER LID FOR MIXING DIFFERENT KINDMATERIAL}
본 고안은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 내에 별도의 첨가재를 더 보관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첨가재와 용기 내에 보관된 내용물을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한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상의 물질을 저장하는 용기는 내부에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저장하고, 상기 용기의 출입구에는 용기 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이 결합된다.
즉, 용기의 출입구를 밀폐하고 있는 뚜껑을 개방한 후 용기의 출입구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음용 또는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은 일정한 맛을 갖거나 일정한 기능을 갖는 기능액이므로 경우에 따라 별도의 첨가재를 혼합하여 음용자의 기호에 맞게 맛을 변경하거나, 용도에 맞게 기능액의 기능을 변경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음료수의 맛 또는 기능액의 기능을 변경하기 위해 용기 내의 내용물에 별도의 첨가물을 투입하여 혼합시키거나, 제2의 용기를 더 구비하여 첨가물을 혼합한 후 음용 또는 사용하였다.
그로 인해, 내용물과 첨가물을 혼합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단점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용기 내의 내용물과 혼합하기 위한 별도의 첨가물을 따로 휴대하거나 보관해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뚜껑에 일정 공간 구비하고 이 공간에 첨가물을 저장한 후 음용 또는 사용시 뚜껑을 개방하는 동작을 통해 내용물과 첨가물이 혼합될 수 있도록 한 뚜껑이 제안되었으나,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상의 불편한 단점이 발생하였으며,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뚜껑들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즉, 뚜껑을 개방하는 동시에 내용물과 첨가물을 구획하고 있는 구획부재가 파손되면서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을 강구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은 구성이 간단하여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첨가재가 보관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단에 상기 첨가재를 용기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주입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 일단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입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첨가재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된 노즐과, 일측 내주면에 상기 노즐이 관통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 용기의 개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상기 노즐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와, 상기 본체의 타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며 상기 용기에 보관되는 내용물 및 첨가재가 혼합된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커버, 및 상기 배출커버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마개를 포함하는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내에 보관되는 내용물과, 제2용기에 보관되는 첨가재를 뚜껑을 일방향으로 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쉽고 간편하게 혼합할 수 있으며, 또한, 내용물과 첨가재를 구획하고 있는 구획부를 재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한 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의 내용물 및 첨가재가 배출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작동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용기를 밀폐하고 있는 용기뚜껑에 제2용기를 구비하도록 한 다음 용기 내에 제2용기에 저장된 첨가재를 선택적으로 혼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이종물질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사용한 용기 및 용기뚜껑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100)은 첨가재가 보관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외주면 일단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120)과, 일측 내주면에 상기 노즐(120)이 관통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나사부(132)가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 용기(10)의 개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제2나사부(134)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10)의 개구부에 상기 노즐(120)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130)와, 상기 본체(110)의 타단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되며 상기 용기(10)에 보관되는 내용물 및 첨가재가 혼합된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142)가 형성된 배출커버(140)와, 상기 배출커버(14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42)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마개(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첨가재를 용기(10)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주입부(112)가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배출커버(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주입부(11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10)의 일단에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태의 주입부재(113)와, 상기 주입부재(113)를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과 동심원상으로 위치되도록 고정하되,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고정하는 지지부재(114)로 이루어진다.
노즐(120)은 상기 주입부(112)가 형성된 본체(110)의 일단을 감쌀 수 있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밀폐된 말단에는 상기 본체(110) 내에 보관되는 첨가재가 용기(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 주입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122)는 상기 주입부재(113)가 억지끼움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110) 내의 첨가재가 용기 내로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주입구(122) 내에 주입부재(113)가 끼움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본체(110) 내의 첨가재가 용기(10) 내로 주입되지 않고, 상기 주입부재(113)가 상기 주입구(122)에서 이격되어 있을 경우에는 본체(110)에 형성된 주입부(112)의 통공을 경유한 첨가재가 상기 주입구(122)를 통해 용기(10)로 주입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노즐(120)은 상기 본체(1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120)의 내주면에는 링 형태로 걸림돌기(12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게 상기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24)가 형성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20)의 걸림돌기(124)가 본체(110)에 형성된 걸림홈(116) 내에서 이동되되, 걸림돌기(124)가 걸림홈(116)의 단턱에 걸리면 결과적으로 상기 본체(110)와 노즐(120)의 슬라이딩이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120)의 타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용기(10)의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결합구(130)와 나사결합된다.
상기 결합구(13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노즐(120)이 관통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의 내주면에는 상기 노즐(120)의 일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나사부(132)가 형성되고, 타측 내주면에는 용기(10)의 개구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될 수 있도록 한 제2나사부(134)가 형성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20)이 결합구(130)를 관통한 상태로 용기(10)의 개구부에 나사결합됨으로써, 개구부에 노즐(120)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에 노즐(120)이 고정되면 본체(110)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할 수 있는 구조가 되면서, 상기 주입구(122)에 상기 주입부재(113)가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본체(110) 내의 첨가재가 용기(10) 내로 주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본체(110)의 타단에는 배출커버(140)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배출커버(140)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며, 용기(10) 내에서 혼합된 내용물과 첨가재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출구(1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42)가 형성된 배출커버(14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내용물과 첨가재의 배출을 제한할 수 있게 마개(150)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100)은 초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용기뚜껑(100)의 본체(110)를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본체(110) 내에 저장된 첨가재가 주입부(112)를 통해 노즐(120)의 주입구(122)를 통과하여 용기(10) 내로 주입되면서 용기(10) 내의 내용물과 혼합되게 된다.
이후, 혼합된 내용물과 첨가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를 뒤집어 용기(10) 내의 내용물과 첨가재를 외부로 배출하여 음용하거나, 필요한 곳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100)은 상기 첨가재를 보관하고 있는 본체(110) 및 노즐(120)이 용기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용기를 뒤집어도 전량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측면 및 노즐(120)의 측면에 각각 복수개의 관통공(118,128)을 형성하여 내용물 및 첨가재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부재(113)가 주입구(122)에 삽입되어 첨가물을 밀폐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8)과 노즐(120)에 형성된 관통공(128)이 엇갈려 첨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부재(113)가 주입구(122)에서 이격될 경우에는 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8)과 노즐(120)에 형성된 관통공(128)의 위치가 일치되어 첨가재가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를 뒤집으면 상술한 관통공(118, 128)을 통해 용기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 및 첨가재를 모두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부재(113)와 주입구(122)의 위치를 달리할 수도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110)에 주입부(112)를 형성하고, 주입구(122)를 노즐(120)에 형성하도록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주입부(112)를 노즐(120)에 형성하고, 주입구(122)를 본체(110)에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작동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100)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유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빨대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체(110)에 형성된 주입부재(113)를 관통하도록 원통형태의 빨대부재(160)를 설치하여 용기(10) 내에서 혼합된 내용물과 첨가물을 음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빨대부재(160)는 상기 주입부재(113)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움결합되어 일단은 용기(10)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은 배출커버(140)의 배출구(142) 상부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있음으로, 빨대부재(160)를 통해 용기(10) 내부의 혼합물을 흡입하여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빨대부재(1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42)의 상부로 돌출된 일단에 주름부(162)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상기 주름부(162)를 구부리는 간단한 동작으로 쉽고 간편하게 음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를 뒤집을 경우에는 주입구(122)에서 주입부재(113)가 이격된 상태임으로 혼합물이 주입구(122)을 통해 본체(110) 내를 경유하여 배출구(142)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100)은 쉽고 간편하게 첨가물과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으며, 사용후에는 용기(10)의 개구부에 나사결합된 결합구(130)를 분리 또는 결합하는 방식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용기뚜껑 110 : 본체
112 : 주입부 113 : 주입부재
114 : 지지부재 116 : 걸림홈
118 : 관통공 120 : 노즐
122 : 주입구 124 : 걸림돌기
128 : 관통공 130 : 결합구
132 : 제1나사부 134 : 제2나사부
140 : 배출커버 142 : 배출구
10 : 용기 150 : 마개
160 : 빨대부재 162 : 주름부

Claims (4)

  1. 첨가재가 보관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단에 상기 첨가재를 용기(10)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주입부(112)가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외주면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입부(112)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첨가재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주입구(122)가 형성된 노즐(120)과,
    일측이 상기 노즐(120)과 결합되고, 타측이 용기(10)의 개구부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노즐(120)을 상기 용기(10)의 개구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결합구(130)와
    상기 본체(110)의 타단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10)에 보관되는 내용물 및 첨가재가 혼합된 혼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2)가 형성된 배출커버(140), 및
    상기 배출커버(140)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42)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 마개(150)를 포함하되, 상기 주입부(11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본체(110)의 일단에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주입부재(113)와,
    상기 주입부재(113)를 상기 본체(110)의 내주면과 동심원상으로 위치되도록 고정하되,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고정하는 지지부재(114)로 구성되는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120)은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걸림홈(116)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120)의 내주면에는 걸림돌기(124)가 돌출되게 형성된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는 주입부재(113)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관통결합되어 일단은 상기 용기(10) 내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구(142)의 상부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빨대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KR2020140007474U 2014-10-15 2014-10-15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KR200480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74U KR200480149Y1 (ko) 2014-10-15 2014-10-15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474U KR200480149Y1 (ko) 2014-10-15 2014-10-15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149Y1 true KR200480149Y1 (ko) 2016-04-19

Family

ID=55916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474U KR200480149Y1 (ko) 2014-10-15 2014-10-15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8733A (ko) 2016-05-13 2017-11-23 주식회사 제주자연초 농업회사법인 혼합용 마개장치
WO2024039820A1 (en) * 2022-08-19 2024-02-22 H.J. Heinz Company Brands Llc Dispensing cap, insertable cartridge, dispensing container, dispensing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e and us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8733A (ko) 2016-05-13 2017-11-23 주식회사 제주자연초 농업회사법인 혼합용 마개장치
WO2024039820A1 (en) * 2022-08-19 2024-02-22 H.J. Heinz Company Brands Llc Dispensing cap, insertable cartridge, dispensing container, dispensing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e and use
WO2024039818A1 (en) * 2022-08-19 2024-02-22 H.J. Heinz Company Brands Llc Dispensing cap, insertable cartridge, dispensing container, dispensing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e and use
WO2024039816A1 (en) * 2022-08-19 2024-02-22 H.J. Heinz Company Brands Llc Dispensing cap, insertable cartridge, dispensing container, dispensing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e and use
WO2024039821A1 (en) * 2022-08-19 2024-02-22 H.J. Heinz Company Brands Llc Dispensing cap, insertable cartridge, dispensing container, dispensing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e and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9423A (ko) 용시 혼합 용기
KR101749699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JP2006290462A (ja) 少なくとも2種類の製品を即席接触させるための器具
CN110062738B (zh) 具有喷口的闭合件和用于将添加剂引入饮料容器的装置
KR101296574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US9408778B2 (en) Chambered mixing bottle
US9114910B1 (en) Mixing container
JP2017520489A (ja) 万能ボトルキャップ
KR200480149Y1 (ko) 이종물질 혼합용 용기뚜껑
US9345351B2 (en) Liquid and solid packaging and mixing system and container
KR20160012490A (ko) 이종물질 혼합용기
KR100602418B1 (ko) 용기마개
KR101740663B1 (ko) 환제 내장용 음료 용기 마개
KR101811247B1 (ko)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WO2017174963A1 (en) Container closure having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a liquid in the container
KR100593244B1 (ko) 용기 마개
JP5193936B2 (ja) 混合容器
JP5785060B2 (ja) 混合容器
KR101654363B1 (ko) 용기 캡 내부에 형성된 반응물 탱크
KR102110847B1 (ko) 이종 재질의 혼합을 위한 이중 용기조립체
TWI694822B (zh) 混合藥劑用容器
KR102305471B1 (ko) 분리수용 가능한 마개
KR101311199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1717286B1 (ko) 용기 캡에 형성된 반응물 탱크
KR20180069311A (ko) 휴대용 분리형 향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