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90761A1 -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90761A1
WO2015190761A1 PCT/KR2015/005665 KR2015005665W WO2015190761A1 WO 2015190761 A1 WO2015190761 A1 WO 2015190761A1 KR 2015005665 W KR2015005665 W KR 2015005665W WO 2015190761 A1 WO2015190761 A1 WO 20151907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inlet
beverage contain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566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손병문
홍순기
Original Assignee
손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병문 filed Critical 손병문
Publication of WO20151907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907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8Threaded or like closure members secured by rotation; Bushes therefor
    • B65D39/10Threaded or like closure members secured by rotation; Bushes therefor with bayonet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Definitions

  • the pist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protrusion of the open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part pressed by the opening protrusion of the opening member.
  • An incision line may be formed along the main surface of the wrapping paper between the lid member and the container member.
  • the sealing force is greatly increased, the storage period can be greatly extended, and in particular, the liquid is easy to use and highly viscous.
  • FIG. 1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d member 130 may be screwed to the inlet portion 111, which can be easily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inlet portion 111.
  • the locking means is for fixing so that the opening member 150 is not pressed by an external impact,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112 in a ring shape and the shaft
  • a plurality of outer locking protrusions 112a formed in a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ning groove 151 of the opening member 150 in a ring shape, and the inner locking protrusions hung between the outer locking protrusions 112a and supported; 153).
  • the suction force is sucked through the inlet 111.
  • the piston 120 moves toward the inlet portion 111, and the liquid is pressurized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120 to draw out through the inlet portion 111. You can drink it.
  • the opening member 150 ' is screwed to be movable to the fastening portion 112' of the container member 110 '. That is, when the opening member 150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112' is rotated, the opening member 150 'is rotated and is gradual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art 112'. Likewise, the opening protrusion 152 ′ of the opening member 150 ′ forms a hole while penetrating the cover member 140 ′.
  • the beverage container 10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bondability by screwing the opening member 150' to the fastening portion 112 ', and the opening member 150 from an external impact.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 the wrapping paper 160 has an incision line 161 formed along the main surface between the lid member 130 "and the container member 110", and wraps the lid member 130 "through the incision line 161.
  • the lid member 130 ′′ may be removed without removing the wrapping paper 160. That is, when the lid member 130 "is rotated, the incision line 161 is cut while twisting the wrapping paper 160 together with the lid member 130", and thus the lid member 130 "is opened at the inlet 111. Can be easily rem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용기부재와; 상기 용기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재에 저장된 액체를 가압하여 상기 입구부를 통해 인출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입구부를 개폐하는 뚜껑부재와; 상기 체결부를 밀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체결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를 완벽하게 인출시켜서 음용이 가능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차 또는 음료 등의 액체를 담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야외 또는 사무실에서까지 차 또는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편리함과 신속함을 증대시키기 위한 일회용 음료용기가 출시되고 있다.
종래기술에서 음료용기는 수용된 액체를 완벽하게 외부로 인출하여 음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점성이 높은 농축액의 경우 완벽한 음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완벽하게 외부로 인출하여 음용이 가능하며, 특히 점성이 높은 농축액 또한 완벽한 음용이 가능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음료용기는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용기부재와; 상기 용기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재에 저장된 액체를 가압하여 상기 입구부를 통해 인출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입구부를 개폐하는 뚜껑부재와; 상기 체결부를 밀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체결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는 상기 입구부에 삽입되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입구부까지 이동하면 상기 입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는 상기 용기부재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재에는 상기 입구부에 삽입되는 누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의 일면에는 누름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는 은박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의 주면을 따라 열융착되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외측 걸림돌기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재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개방홈과, 상기 개방홈의 내주면에 상기 외측 걸림돌기에 걸려서 지지되는 내측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시 상기 체결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재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면서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하는 개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돌기에 의해 눌려지는 이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재에는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재에 결합된 뚜껑부재와 개방부재를 함께 감싸는 형태로 밀봉하는 포장용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재와 상기 용기부재 사이의 상기 포장용지에는 주면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마련되며, 상기 포장용지에는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재에 저장된 액체를 확인하는 투명한 확인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력을 크게 증대시킴에 따라 보관주기를 크게 연장시킬 수 있으며, 특히 사용이 간편하고 점성이 높은 액체도 완벽하게 음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개방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은 음료가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개방부재가 눌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용기부재로부터 뚜껑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흡입력에 의해 피스톤이 상승하면서 용기부재로부터 음료가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용기부재에 수용된 음료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용기부재에 다시 뚜껑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식음이 가능한 액체를 하나의 실시예로 설명하는 한편,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흡입력을 이용하여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를 음용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가 저장된 용기부재(110), 용기부재(110)에 저장된 액체를 밖으로 인출시키는 피스톤(120), 용기부재(110)의 일측을 개폐하는 뚜껑부재(130), 용기부재(110)의 타측을 밀폐하는 커버부재(140) 및 커버부재를 개방하는 개방부재(150)를 포함한다.
1. 용기부재
용기부재(11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체가 저장되는 것으로, 긴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10a)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기 저장공간(110a)과 연통되는 입구부(111)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저장공간(110a)과 연통되는 체결부(112)가 형성된다.
입구부(111)는 저장공간(110a)으로 액체를 주입하거나 또는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부재(110)의 일단(도 2에서 보았을 때 상단)에 용기부재(110)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체결부(112)는 개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부재(110)의 타단(도 2에서 보았을 때 하단)에 상기 저장공간(110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그 끝단에 개방부재(150)가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부(112)는 용기부재(110)의 외주면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112)의 끝단에 개방부재(150)를 체결하면, 용기부재(110)와 개방부재(150)가 동일한 높이의 외주면을 가지게 되며, 이에 시각적인 고급스러움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체결부재(112)와 용기부재(110)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벽(110b)과 개방부재(150)의 선단 사이의 거리를 통해 개방부재(150)의 이동 거리를 짐작할 수 있으며, 이는 개방부재(150)가 커버부재(140)를 관통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한편, 음료용기의 사용여부용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용기부재(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기부재(110)의 밖에서도 저장된 액체의 유무 및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2. 피스톤
피스톤(120)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부재에 저장된 액체를 가압하여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용기부재(11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피스톤(120)은 입구부(111)를 향해 이동하면, 용기부재(110)에 저장된 액체를 가압하여 입구부(111)를 통해 밖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피스톤(120)의 일측에는 입구부(111)에 남아 있는 액체를 밖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가압부(121)가 포함된다. 즉, 가압부(121)는 피스톤(120)의 일측(도 2에서 보았을때 상측)에 입구부(111)를 향해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에 가압부(121)는 피스톤(120)이 입구부(111)의 내측에 지지되면 입구부(111)에 삽입되면서 입구부(111)에 남아 있는 액체를 가압하고, 외부로 인출시킨다.
한편, 가압부(121)의 길이는 입구부(111)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가압부(121)의 선단이 입구부(111) 밖으로 인출되면서 입구부(111)에 남아 있는 액체를 완벽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한편, 피스톤(120)의 타측에는 피스톤(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22)가 포함된다. 즉, 지지부(122)는 피스톤(120)의 타측(도 2에서 보았을 때 하측)에 구비되고 용기부재(110)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122a)가 형성된다. 이에 지지부(122)는 피스톤(120)과 함께 지지돌기(122a)가 용기부재(110)의 저장공간(110a)에 지지되면서 피스톤(120)의 안정된 이동을 유도하며, 지지돌기(122a)가 용기부재(110)에 지지됨에 따라 지지면적을 최소화하여 마찰로 인한 피스톤(120)의 이동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지돌기(122a)를 융기부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용기부재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스톤(120)은 입구부(111)를 통해 흡입력이 발생하면, 점차 입구부(111)를 향해 이동하면서 용기부재(110)에 저장된 액체를 가압하여 입구부(111)를 통해 인출시킨다. 그리고 피스톤(120)이 입구부(111)의 내측에 지지되면 가압부(121)가 입구부(111)에 삽입되면서 입구부(111)에 남아 있는 액체까지 외부로 인출시킨다. 즉, 피스톤(120)은 용기부재에 저장된 액체를 완벽하게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3. 뚜껑부재
뚜껑부재(130)는 도 2를 참조하면, 입구부(111)를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입구부(111)에 결합되는 결합부(131)와, 상기 결합부(131)를 입구부(111)에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해제하는 손잡이부(132)를 포함한다.
한편, 뚜껑부재(130)는 입구부(111)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뚜껑부재(130)를 입구부(111)에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해제할 수 있다.
4. 커버부재
커버부재(140)는 저장공간(110a)이 외부와 연결되지 않게 체결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부(112)의 타측(도 2에서 보았을 때 하측)에 결합되고, 체결부(112)의 개방홀을 밀폐한다. 즉, 커버부재(140)는 은박재질로 마련되며, 상기 체결부(112)의 개방홀을 밀폐되게 열융착하여 부착한다.
이에, 은박재질의 커버부재(140)를 통해 체결부(112)를 밀폐할 수도 있고, 손쉽게 구멍을 뚫을 수 있다.
5. 개방부재
개방부재(150)는 커버부재에 구멍을 뚫기 위한 것으로, 즉 커버부재(140)를 통해 피스톤(120)의 타측에 공기가 유입되어야 피스톤(120)을 입구부(111)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개방부재(150)는 체결부(112)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개방홈(151)이 형성되고, 개방홈(151)의 바닥면에 개방부재(150)가 축방향 이동시 커버부재(140)를 관통하면서 상기 커버부재(140)에 구멍을 형성하는 개방돌기(152)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돌기(152)를 중심으로 개방홈(151)의 바닥면에 개방홀(154)이 형성된다
이에, 개방부재(150)를 누르면, 개방부재(150)가 체결부(112)에 삽입되면서 개방돌기(152)가 커버부재(140)를 관통하며, 이에 커버부재(140)에 구멍이 형성되면서 상기 체결부(112)를 개방한다.
한편, 개방홈(151)과 체결부(112)의 상호 대응하는 대응면에는 개방부재(150)를 다단으로 걸림되게 지지하는 걸림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수단은 도 3 및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부의 충격으로 개방부재(150)가 눌려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부(112)의 외주면에 링 형태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형성되는 외측 걸림돌기(112a)와, 개방부재(150)의 개방홈(151) 내주면에 링 형태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외측 걸림돌기(112a)들 사이에 걸려서 지지되는 내측 걸림돌기(15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걸림수단은 개방부재(150)를 체결부(112)에 체결할 경우 내측 걸림돌기(153)를 외측 걸림돌기(112a)들 사이에 지지시킴에 따라 보다 안정된 고정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특히 내측 걸림돌기(153)와 외측 걸림돌기(112a)의 체결시 걸림감을 느낄 수 있어 고정여부를 손쉽게 알 수 있다.
한편, 개방돌기(152)와 대응하는 피스톤(120)의 타측(도 2에서 보았을 때 하측)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개방부재(150)의 개방돌기(152)에 의해 눌려지면서 피스톤(120)을 입구부(111)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는 이동부(123)가 형성된다.
즉, 액체가 저장된 용기부재(110)의 내부에 피스톤(120)이 장시간 방치되면, 용기부재(110)와 피스톤(120) 사이에 위치한 액체의 점성에 의해 피스톤(120)의 고정력이 증대될 수 있으며, 이에 입구부(111)를 통해 흡입력이 발생하더라도 피스톤(120)이 이동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개방부재(150)의 개방돌기(152)가 커버부재(140)를 개방함과 동시에 피스톤(120)의 이동부(123)를 가압하여 밀어줌에 따라 피스톤(120)이 소정 거리 이동하면서 액체의 점성에 의한 고정력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이동부(123)의 타측면(도 5에서 보았을 때 하측면)에는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홈(123a)이 형성되며, 경사홈(123a)에 개방돌기(152)가 삽입되면서 이동부(123)를 안정적으로 눌러줄 수 있다.
한편, 개방돌기(152)에 의해 피스톤(120)이 소정 거리 이동함에 따라 용기부재(110)에 저장된 액체가 가압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뚜껑부재(130)를 개방하면 입구부(112)에 있는 액체가 그대로 외부로 인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구부(112)에 액체가 없는 소정의 빈 공간을 미리 확보하며, 이에 뚜껑부재(130)가 개방되더라도 입구부(112)의 빈 공간으로 액체가 유입되면서 액체가 외부로 인출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즉, 뚜껑부재(130)의 타측에는 도 3을 참조하면, 입구부(111)에 삽입되는 누름부(133)가 형성되며, 누름부(133)는 뚜껑부재(130) 결합시 입구부(111)에 삽입되다. 이에, 입구부(111)로부터 뚜껑부재(130)를 제거하면, 누름부(133)가 입구부(111)로부터 제거되면서 입구부(111)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120)을 향하는 누름부(133)의 일면(도 3에서 보았을 때 저면)에는 누름홈(133a)이 형성되며, 누름홈(133a)은 음료용기의 식음 후 입구부(112)에 뚜껑부재(130)를 다시 결합하여 버리게 되는데, 이때 누름부(133)가 입구부(112) 밖으로 인출된 가압부(121)를 눌러주게 되어 가압부(121)를 다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때 가압부(121)의 선단이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누름부(133)에 누름홈(133a)을 형성함에 따라 가압부(121)을 안정적으로 눌러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액체가 저장된 음료용기(100)를 준비한다.
그런 다음,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개방부재(150)를 눌려준다. 이때 개방부재(150)의 내측 걸림돌기(153)가 체결부(112)의 외측 걸림돌기(112a)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강하게 눌러주어야 한다.
그러면 개방부재(150)가 용기부재(110)의 체결부(112)에 삽입되는 한편, 개방부재(150)의 개방돌기(152)가 커버부재(140)를 뚫고 들어가면서 커버부재(140)에 구멍을 형성하며, 이에 체결부(112)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개방돌기(152)는 피스톤(120)의 이동부(123)를 가압하면서 피스톤(120)를 소정 길이 이동시키며, 이에 피스톤(120)의 고정력을 해제시키는 한편, 피스톤(120)의 이동에 의해 용기부재(110)에 저장된 액체를 가압한다.
그런 다음,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입구부(111)에 결합된 뚜껑부재(130)를 제거한다. 그러면 피스톤(120)에 의해 가압된 액체가 입구부(111)를 향해 인출되는데, 이때 입구부(111)에 삽입된 뚜껑부재(130)의 누름부(133)이 제거되면서 입구부(111)에 빈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이 빈 공간에 액체가 채워지면서 외부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입구부(111)를 통해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용기부재(110) 내부의 압력이 작아지면서 피스톤(120)이 입구부(111)를 향해 이동하고, 피스톤(120)의 이동에 의해 액체가 가압되면서 입구부(111)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켜서 음용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피스톤(120)이 입구부(111)에 밀착되게 위치하면, 피스톤(120)의 가압부(121)가 입구부(111)에 삽입되면서 입구부(111)에 위치한 액체까지 완벽하게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와 같이 음용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뚜껑부재(130)를 다시 입구부(111)에 결합한다. 그러면 뚜껑부재(130)가 입구부(111)에 결합됨과 동시에 누름부(133)가 입구부(111) 밖으로 인출된 가압부(121)를 누르게 되며, 이에 가압부(121)가 입구부(111) 내부로 인입되고, 이와 같은 상태로 버리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액체 음용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밀폐성을 높임에 따라 보관기간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누구간 간편하게 조작하여 음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용기부재(110'), 피스톤(120'), 뚜껑부재(130'), 커버부재(140') 및 개방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재(150')는 용기부재(11O')의 체결부(112')에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즉, 체결부(112')에 결합된 상기 개방부재(150')를 회전시키면, 개방부재(150')가 회전함과 동시에 점차 체결부(112')에 삽입되면서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개방부재(150')의 개방돌기(152')가 커버부재(140')를 관통하면서 구멍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개방부재(150')를 체결부(112')에 나사 결합함에 따라 결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개방부재(150')가 눌려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100")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용기부재(110"), 피스톤(120"), 뚜껑부재(130"), 커버부재(140") 및 개방부재(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료용기(100")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밀봉되는 포장용지(160)를 포함한다. 즉, 포장용지(160)는 용기부재(110")에 결합된 뚜껑부재(130")와 개방부재(150)를 함께 감싸는 형태로 밀봉하는 포장용지(160)를 포함하며, 이에 음료용기(100")의 사용 유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용지(160)는 뚜껑부재(130")와 용기부재(110") 사이에 주면을 따라 절개선(161)이 형성되며, 절개선(161)을 통해 뚜껑부재(130")를 감싸는 포장용지(160)를 제거하지 않아도 뚜껑부재(130")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뚜껑부재(130")를 회전시키면 뚜껑부재(130")와 함께 포장용지(160)가 꽈배기 같이 꼬이면서 절개선(161)이 절개되며, 이에 뚜껑부재(130")를 입구부(111)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포장용지(160)에는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투명한 확인부(162)가 형성되며, 확인부(162)를 통해 용기부재(110")에 저장된 액체의 유무 및 색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개방부재(150")를 감싸는 표장용지(160)는 제1 실시예의 음료용기의 경우 제거하지 않더라도 개방부재(150")의 눌림이 가능하며, 제2 실시예의 음료용기의 경우 표장용지를 제거한 후 개방부재(150")의 눌림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는 용기부재와;
    상기 용기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부재에 저장된 액체를 가압하여 상기 입구부를 통해 인출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입구부를 개폐하는 뚜껑부재와;
    상기 체결부를 밀폐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체결부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하는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일측에는 상기 입구부에 삽입되는 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피스톤이 상기 입구부까지 이동하면 상기 입구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타측에는 상기 용기부재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된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에는 상기 입구부에 삽입되는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일면에는 누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은박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체결부의 주면을 따라 열융착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다수개의 외측 걸림돌기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재는 상기 체결부가 삽입되는 개방홈과, 상기 개방홈의 내주면에 상기 외측 걸림돌기에 걸려서 지지되는 내측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재는 상기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며, 회전시 상기 체결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재에는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면서 상기 커버부재를 개방하는 개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돌기에 의해 눌려지는 이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재에는 개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재에 결합된 뚜껑부재와 개방부재를 함께 감싸는 형태로 밀봉하는 포장용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와 상기 용기부재 사이의 상기 포장용지에는 주면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마련되며,
    상기 포장용지에는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부재에 저장된 액체를 확인하는 투명한 확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PCT/KR2015/005665 2014-06-12 2015-06-05 음료용기 WO201519076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597 2014-06-12
KR20140071597A KR101461853B1 (ko) 2014-06-12 2014-06-12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0761A1 true WO2015190761A1 (ko) 2015-12-17

Family

ID=5229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5665 WO2015190761A1 (ko) 2014-06-12 2015-06-05 음료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1853B1 (ko)
WO (1) WO201519076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104Y1 (ko) * 2003-09-30 2003-12-18 김홍배 이종액체용기
KR20110002992U (ko) * 2009-09-17 2011-03-23 (주)아모레퍼시픽 잔량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JP2012250768A (ja) * 2011-05-10 2012-12-20 Shinko Chemical Co Ltd 噴霧容器
KR20130017838A (ko) * 2011-08-12 2013-02-20 송영미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KR101386382B1 (ko) * 2013-03-07 2014-04-16 손병문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104Y1 (ko) * 2003-09-30 2003-12-18 김홍배 이종액체용기
KR20110002992U (ko) * 2009-09-17 2011-03-23 (주)아모레퍼시픽 잔량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JP2012250768A (ja) * 2011-05-10 2012-12-20 Shinko Chemical Co Ltd 噴霧容器
KR20130017838A (ko) * 2011-08-12 2013-02-20 송영미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KR101386382B1 (ko) * 2013-03-07 2014-04-16 손병문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853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87718A1 (ko) 이중 용기
WO2012070843A2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WO2014084520A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WO2015178592A2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WO2020145543A1 (ko) 버튼 출몰식 화장품 용기
WO2015182830A1 (ko) 화장품 용기
WO2015008906A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WO2013015533A2 (ko) 펜슬형 화장품 용기
WO2015064836A1 (ko) 음료용기용 캡슐캡
WO2018135806A1 (ko) 이종물질혼합용기
WO2013119088A2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WO2020246687A1 (ko) 버튼 출몰식 용기
WO2017039236A1 (ko) 액체용기의 액체 배출장치
WO2020213856A1 (ko) 휴대용 텀블러
WO2012074162A1 (ko) 디스펜서 용기
WO2019164065A1 (ko) 이중 용기
WO2014081061A1 (ko) 출몰식 진동 퍼프를 갖는 콤팩트
WO2016056852A1 (ko) 버튼형 펜슬 화장품 용기
WO2022149759A1 (ko) 내용물 용기
WO2016200128A1 (en) Cream cosmetics container having structure for automatically ejecting makeup spatula
WO2012074163A1 (ko) 디스펜서 용기
WO2018038320A1 (ko) 펌프 용기
WO2015023060A1 (ko) 자동충전 피펫장치
WO2017034150A1 (ko) 식별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15190761A1 (ko)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065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065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