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104Y1 - 이종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이종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104Y1
KR200336104Y1 KR20-2003-0030792U KR20030030792U KR200336104Y1 KR 200336104 Y1 KR200336104 Y1 KR 200336104Y1 KR 20030030792 U KR20030030792 U KR 20030030792U KR 200336104 Y1 KR200336104 Y1 KR 200336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container
mixing hole
coupled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20-2003-0030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1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7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lid or cover seated on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종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배출구와 어댑터결합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형성된 통형상의 상부용기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갖는 이종액체용기에 있어서, 하향 개구되고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부혼합공이 상면 중앙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혼합공이 상기 어댑터결합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상부용기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어댑터와; 저부에 형성된 하부액체수용부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부어댑터연결부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하부어댑터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가 상기 상부어댑터의 내표면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에 결합되는 하부용기와; 중앙영역에 상기 상부어댑터에 형성된 상부혼합공과 동일한 직경의 하부혼합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부혼합공의 상단 둘레영역에는 환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혼합공이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어댑터연결부에 결합되는 하부어댑터와; 상기 상부혼합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차단부와; 상기 하부혼합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어댑터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차단부와; 상기 상부혼합공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어댑터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외표면에 형성된 고정환턱과 상기 고정환턱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과 상기 안착홈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환턱의 외표면에 복수 개소에서 점결합되며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는 분리환턱을 가지며,상기 하부용기의 상승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환턱이 상기 상부어댑터의 천정면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상부차단부에 상방향의 압력을 가하도록 상승한 후 상기 하부용기의 계속되는 상승동작에 의해 상기 분리환턱이 상기 고정환턱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부차단부에 하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승위치를 유지하는 관형상의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액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용기에 담긴 액체가 상부용기와의 결합단계나 보관단계에서 외부충격 등에 의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에 주입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용기의 용적 선택성을 증가시킬수 있다.

Description

이종액체용기{Dual Bottle}
본 고안은 이종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종류의 액체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필요할 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종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액상의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에는 두 종류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새로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있다. 그러나 액체에 따라서는 혼합 상태로 장시간 저장하면 변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하나의 용기에 두 종류의 액체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필요할 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종액체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종액체용기는 일반적으로 두 종류의 액체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상부용기 및 하부용기와, 하부용기와 상부용기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하부용기와 상부용기의 내부에 마련되는 차단수단과, 하부용기를 상승시키기 위한 하부용기상승수단과, 하부용기의 상승동작에 연동하여 하부용기와 상부용기가 연통되도록 차단수단에 압력을 가하기 개방수단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종액체용기는 2001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7263호(고안의 명칭 : 성분이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포장용 용기, 이하 종래기술1이라고 함), 200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6734호(고안의 명칭 :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이하 종래기술2라고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1은 하부용기의 상측에 설치된 속캡의 상단에 결합된 차단판을 차단수단으로, 하부용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용기를 차단판을 가압하도록 상승시키는 받침캡과 하부용기의 상승을 안내하는 속캡을 하부용기상승수단으로 갖고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1에서 하부용기의 상단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개방단부가 개방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종래기술2는 하부용기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공과 하부용기의 하강위치에서 배출공을 폐쇄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를 차단수단으로, 하부용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출공이 가이드부재로부터 벗어나는 위치까지 하부용기를 상승시키는 회전캡을 하부용기상승수단으로 갖고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2에서 가이드부재는 고정되어 있고 하부용기가 상승함에 따라 배출공이 개방되므로, 하부용기 자체가 개방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종래의 이종액체용기에 따르면, 차단수단이 하부용기와 상부용기가 공유하는 형태로 즉, 단일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작상의 잘못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차단수단이 손상되는 경우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액체가 혼합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차단수단이 단일형태로 되어 있어 하부용기는 밀폐하지 않은 상태로 상부용기와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부용기에 담긴 액체가 상부용기와의 결합단계나 보관단계에서 외부충격 등에 의해 유출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단수단이 단일형태로 되어 있어 하부용기를 상부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상부용기 또는 하부용기에 주입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 종래의 이종액체용기에 따르면, 개방수단이 하부용기의 둘레 또는 하부영역에 설치되어 있고 하부용기가 개방수단으로 작용(이에 따라 하부용기는 상승동작완료시 상부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어야 함)하여야 하기 때문에 액체혼합기구(하부용기상승수단과 개방수단)에 의해 하부용기의 용적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용기와 상부용기사이를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고 액체혼합기구에 의한 하부용기의 용적 제한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이종액체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B영역 상세단면도,
도4는 도1의 C영역 상세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분해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결합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도7a는 상부차단마개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7b는 하부차단마개가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분해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분해단면도,
도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결합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사용상태도로서,
도11a는 상부차단실링지가 절단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11b는 하부차단실링지가 절단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상부용기 11, 111 : 배출구
12, 112 : 캡 20, 120 : 상부어댑터
21, 121 : 하부용기결합부 22 : 상부차단마개결합부
23 : 상부하강방지부 24, 124 : 상부용기끼움부
30, 130 : 하부용기 31, 131 : 하부액체수용부
32 : 하부하강방지부 33, 133 : 상부어댑터연결부
34, 134 : 하부어댑터연결부 40, 140 : 하부어댑터
42, 142 : 안착홈 43, 44 : 하부어댑터플랜지
50 : 상부차단마개 51 : 상부차단마개부
52 : 상부고정띠 60 : 하부차단마개
61 : 하부차단마개부 62 : 하부고정띠
70, 171 : 상승방지태그 81 : 상부차단마개고정구
86 : 하부차단마개고정구 90, 190 : 개방부재
91, 191 : 고정환턱 92, 192 : 분리환턱
122 : 상부차단실링지결합부 123 : 안내확경부
125 : 걸림턱 132 : 언더컷형성확경부
150 : 상부차단실링지 160 : 하부차단실링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배출구와 어댑터결합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형성된 통형상의 상부용기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갖는 이종액체용기에 있어서, 하향 개구되고 내표면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상부혼합공이 상면 중앙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혼합공이 상기 어댑터결합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상부용기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어댑터와; 저부에 형성된 하부액체수용부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부어댑터연결부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하부어댑터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가 상기 상부어댑터의 내표면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에 결합되는 하부용기와; 중앙영역에 상기 상부어댑터에 형성된 상부혼합공과 동일한 직경의 하부혼합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부혼합공의 상단 둘레영역에는 환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혼합공이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어댑터연결부에 결합되는 하부어댑터와; 상기 상부혼합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차단부와; 상기 하부혼합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어댑터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차단부와; 상기 상부혼합공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어댑터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외표면에 형성된 고정환턱과 상기 고정환턱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과 상기 안착홈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환턱의 외표면에 복수 개소에서 점결합되며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는 분리환턱을 가지며, 상기 하부용기의 상승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환턱이 상기 상부어댑터의 천정면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상부차단부에 상방향의 압력을 가하도록 상승한 후 상기 하부용기의 계속되는 상승동작에 의해 상기 분리환턱이 상기 고정환턱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부차단부에 하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승위치를 유지하는 관형상의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액체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재는 상단에 하나의 상부톱니제거영역을 갖도록 상향 톱니가 형성되고 하단에 하나의 하부톱니제거영역을 갖도록 하향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차단부와 상기 하부차단부는 각각 실링지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하거나, 상기 상부차단부는 상기 상부혼합공에 삽입되는 상부차단마개부와 상기 상부차단마개부를 상기 상부어댑터에 연결하는 상부고정띠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차단부는 상기 하부혼합공에 삽입되는 하부차단마개부와 상기 하부차단마개부를 상기 하부어댑터에 연결하는 하부고정띠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용기(상부어댑터연결부)를 상부어댑터의 내표면을 따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사이에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언더컷형성확경부와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의 외표면에 높이차를 두고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언더컷형성리브 및 걸림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어댑터는 내표면에 상기 언더컷형성확경부와 상기 언더컷형성리브사이에 끼움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걸림리브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언더컷형성확경부의 상승을 안내하도록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안내확경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상부어댑터의 내표면에는 상부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의 외표면에는 상기 상부나사부에 대응하는 하부나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부용기가 상부용기로부터 분리되어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어댑터는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내표면에 기립형태의 하강방지리브가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용기의 상승회전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하강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사이에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측 모서리에는 상기 하부용기의 하강회전동작을 방해하도록 상기 하강방지리브와 상호 작용하는 하강방지돌기가 형성되는 하부하강방지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의도적으로 액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용기의 상승을 저지하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사이에 개재하는 상승방지태그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B영역 상세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C영역 상세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분해단면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배출구(11)가 형성된 상부용기(10)와, 상부용기(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어댑터(20)와, 상부어댑터(20)에 결합되는 하부용기(30)와, 하부용기(30)에 결합되는 하부어댑터(40)와, 상부어댑터(20)와 하부어댑터(40)에 상부차단마개고정구(81)와 하부차단마개고정구(86)를 개재하여 각각 결합되는 상부차단마개(50) 및 하부차단마개(60)와, 상부어댑터(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개방부재(90)를 갖고 있다.
상부용기(10)의 하단에는 어댑터결합개구(15)가 배출구(11)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용기(10)의 외표면 하부에는 기립상의 끼움리브(14)가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고, 끼움리브(14)의 상측에는 상부용기언더컷결합리브(16)가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1)에는 캡(12)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부어댑터(20)는 원형단면형상의 하부용기결합부(21)와, 하부용기결합부(21)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차단마개결합부(22)와, 하부용기결합부(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부하강방지부(23)와, 상부하강방지부(23)의 외측에 형성된 상부용기끼움부(24)를 갖고 있다.
하부용기결합부(21)의 내표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상부나사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나사부(21a)의 상측 영역에는 상승방지협경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용기결합부(21)의 상면 중앙영역에는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부혼합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차단마개결합부(22)는 하부용기결합부(2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상부고정구언더컷결합리브(22a)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부하강방지부(23)의 내표면에는 기립형태의 하강방지리브(23a)가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다. 각 하강방지리브(23a)는 하부용기(30)의 상승회전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부용기끼움부(24)의 내측에는 상부용기(10)에 형성된 끼움리브(14)에 대응하는 끼움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상부용기언더컷결합홈(24a)이 높이차를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어댑터(20)는 상부용기언더컷결합홈(24a)과 상부용기(10)의 상부어댑터언더컷결합리브(16)를 이용한 언더컷결합방식으로 상부용기(10)에 결합된다. 이 때 끼움리브(14)사이에 끼움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진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용기(10)의 어댑터결합개구(15)의 둘레영역은 상부어댑터(20)에 의해 폐쇄되고, 어댑터결합개구(15)의 중앙영역은 상부혼합공(21a)에 연통하게 된다.
하부용기(30)는 하부액체수용부(31)와, 하부액체수용부(31)에 연통하도록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된 하부하강방지부(32), 상부어댑터연결부(33) 및 하부어댑터연결부(34)를 갖고 있다.
하부액체수용부(31)는 상부용기(10)와 거의 같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하강방지부(32)는 하부액체수용부(31)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측 모서리에는 하부용기(30)의 하강회전동작을 방해하도록 하강방지리브(23a)와 상호 작용하는 하강방지돌기(32a)가 형성되어 있다. 하강방지돌기(32a)는 상호 대향하는 2개영역에 분리 형성되어 있다.
상부어댑터연결부(33)는 하부하강방지부(32)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표면에 상부어댑터(20)의 상부나사부(21a)에 대응하는 하부나사부(33a)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하부어댑터연결부(34)는 상부어댑터연결부(33)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어댑터언더컷결합리브(34a)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용기(30)는 하부나사부(33a)와 상부어댑터(20)의 상부나사부(21a)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승할 수 있도록 상부어댑터(20)에 결합된다.
하부어댑터(40)는 중앙영역에 하부혼합공(40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혼합공(40a)의 상단 둘레영역에는 환상의 안착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혼합공(40a)은 상부혼합공(21a)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하부어댑터(40)의 외표면 저부에는 하부차단마개언더컷결합리브(40b)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어댑터(40)는 하부혼합공(40a)에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어댑터플랜지(43, 44)를 갖고 있다. 외측 하부어댑터플랜지(43)의 내표면에는 하부어댑터연결부(34)의 어댑터언더컷결합리브(34a)에 대응하는 언더컷결합홈을 형성하는 하부어댑터언더컷형성리브(4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어댑터(40)는 하부혼합공(40a)이 하부액체수용부(31)에 연통하도록 하부어댑터언더컷형성리브(43a)가 형성하는 언더컷결합홈과 하부어댑터연결부(34)의 어댑터언더컷결합리브(34a)를 이용하여 언더컷결합방식으로 하부용기(30)에 결합된다.
상부차단마개고정구(81)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관벽에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상부고정구플랜지(82, 83)를 갖고 있다. 외측 상부고정구플랜지(82)의 내표면에는 상부차단마개결합부(22)의 상부고정구언더컷결합리브(22a)에 대응하는 상부어댑터언더컷결합홈(8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차단마개고정구(81)는 상부어댑터언더컷결합홈(82a)과 상부차단마개결합부(22)의 상부고정구언더컷결합리브(22a)를 이용하여 언더컷결합방식으로 상부차단마개결합부(22)에 결합된다.
상부차단마개(50)는 상부차단마개부(51)와, 상부차단마개부(51)와 상부어댑터(20)사이를 연결하는 상부고정띠(52)를 갖고 있다. 상부차단마개부(51)는 중앙영역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삽입부(51a)와, 상부삽입부(51a)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상부지지플랜지(51b)를 갖고 있다. 도2 및 도5에는 상부고정띠(52)가 상부어댑터(2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어댑터(2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차단마개(50)는 상부차단마개결합부(22)에 결합된 상부차단마개고정구(81)의 상측 개구에 상부삽입부(51a)를 억지끼움함으로써 상부어댑터(20)에 결합된다.
하부차단마개고정구(86)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관벽에 나란하게 형성된 하나의 하상고정구플랜지(87)를 갖고 있다. 하부고정구플랜지(87)의 내표면에는 하부어댑터(40)의 하부차단마개언더컷결합리브(40b)에 대응하는 하부어댑터언더컷결합홈(87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차단마개고정구(86)는 하부어댑터언더컷결합홈(87a)과 하부어댑터(40)의 하부차단마개언더컷결합리브(40b)를 이용하여 언더컷결합방식으로 하부어댑터(40)에 결합된다.
하부차단마개(60)는 하부차단마개부(61)와, 하부차단마개부(61)와 하부어댑터(40)사이를 연결하는 하부고정띠(62)를 갖고 있다. 하부차단마개부(61)는 중앙영역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삽입부(61a)와, 하부삽입부(61a)의 하단으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하부지지플랜지(61b)를 갖고 있다. 도2 및 도5에는 하부고정띠(62)가 하부어댑터(4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어댑터(4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차단마개(50)는 하부어댑터(40)에 결합된 하부차단마개고정구(86)의 하측 개구에 하부삽입부(61a)를 억지끼움함으로써 하부어댑터(40)에 결합된다.
개방부재(9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표면에 중앙영역에 형성된 고정환턱(91)과 고정환턱(91)의 외표면 하단에 복수 개소에서 점결합된 분리환턱(92)와, 분리환턱(92)의 하측에 2회절곡되어 형성된 가압협경부(93)를 갖고 있다. 분리환턱(92)은 고정환턱(91)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과 안착홈(42)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방부재(90)는 분리환턱(92)이 하부어댑터(40)의 안착홈(42)에 안착되도록 상부어댑터(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는 상부용기끼움부(24)와 하부액체수용부(31)사이에 개재하는 상승방지태그(70)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승방지태그(70)는 상부어댑터(20)와 별도로 제작하거나 상부어댑터(20)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승방지태그(70)는 고리상으로 형성되고, 절단팁(71)을 잡아당김으로써 초기위치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차단마개고정구(81)를 상부어댑터언더컷결합홈(82a)을 이용하여 상부차단마개결합부(22)에 언더컷결합방식으로 결합한다.
다음에 상부차단마개(50)를 상부차단마개고정구(81)의 상측개구에 상부삽입부(51a)를 억지끼움하여 상부어댑터(20)에 결합한다.
다음에 상부어댑터(20)를 상부용기언더컷결합홈(24a)과 상부용기(10)의 상부어댑터언더컷결합리브(16)를 이용한 언더컷결합방식으로 상부용기(10)에 결합한다. 이 때 끼움리브(14)와 끼움돌기(도시되지 않음)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부어댑터(20)와 상부용기(10)사이의 결합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다음에 캡(12)을 배출구(11)로부터 분리한 후, 배출구(11)를 통해 상부용기(10)에 액체를 주입한다.
다음에 하부어댑터연결부(34)의 개구를 통해 하부액체수용부(31)에 액체를 주입한다.
다음에 하부차단마개고정구(86)를 하부어댑터언더컷결합홈(87a)을 이용하여 하부어댑터(40)에 결합한다.
다음에 하부차단마개(60)를 하부차단마개고정구(86)의 하측 개구에 하부삽입부(61a)를 억지끼움하여 하부어댑터(40)에 결합한다.
다음에 하부용기(30)를 상부나사부(21a)와 하부나사부(33a)를 이용한 나사결합방식으로 상부어댑터(20)에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상승방지태그(70)를 상부용기끼움부(24)와 하부액체수용부(31)사이에 끼운다.
여기서 상승방지태그(70)는 하부용기(30)의 상승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에 주입된 액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도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승방지태그(70)를 제거한다.
다음에 하부용기(30)를 상승하도록 회전시킨다. 여기서 하부용기(30)의 상승은 상부하부어댑터연결부(34)의 상단이 상승방지협경부(21b)에 접촉되어 상승이 저지될 때까지 계속되고, 하부용기(30)의 역회전은 하강방지리브(23a)와 하강방지돌기(32a)의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저지된다.
다음에 하부용기(30)의 상승이 진행되어 개방부재(90)의 고정환턱(91)의 상면이 상부어댑터(20)의 천정면에 접촉할 때까지 개방부재(90)로부터 인가되는 상방향의 압력에 의해 상부차단마개(50)는 상부어댑터(20)로부터 분리된다(도7a 참조). 분리된 상부차단마개(50)는 상부고정띠(52)에 의해 유동이 제한된다.
다음에 하부용기(30)의 상승이 더 진행되면, 하부용기(30)로부터 인가되는 상방향의 압력에 의해 분리환턱(92)이 고정환턱(9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개방부재(90)는 현위치를 유지한다.
다음에 고정환턱(91)으로부터 분리된 분리환턱(92)이 하부용기(30)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개방부재(90)로부터 인가되는 하방향의 압력에 의해 하부차단마개(60)는 하부어댑터(40)로부터 분리된다(도7b 참조). 분리된 하부차단마개(60)는 하부고정띠(62)에 의해 유동이 제한된다.
다음에 하부용기(30)와 상부용기(10)를 함께 흔들면, 하부용기(30)의 액체와 상부용기(10)의 액체는 관형상의 개방부재(90)를 통해 혼합된다. 여기서 하부어댑터(40)로부터 분리된 하부차단마개(60)는 하부고정띠(62)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므로 하부용기(30)의 개구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캡(12)을 배출구(11)로부터 분리한 후 혼합된 액체를 배출구(11)를 통해 배출시켜 사용한다. 여기서 상부어댑터(20)로부터 분리된 상부차단마개(50)는 상부고정띠(52)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므로 배출구(11)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용기(30)의 상승을 안내하고 상부차단마개(50)와 협조하여 상부용기(10)의 어댑터결합개구(15)를 밀폐하는 상부어댑터(20)와 액체혼합개구를 가지고 하부용기(30)와 함께 상승하는 하부어댑터(40)와 하부어댑터(40)의 액체혼합개구를 밀폐하도록 하부어댑터(40)에 결합되는 하부차단마개(60)와 하부용기(30)의 상승동작시 하부용기(30)와의 하부차단마개개방유격(도6의 l)을 확보하면서 상부차단마개(50)에 개방압력을 인가하고 하부차단마개개방유격을 이용하여 하부용기(30)가 상승하는 동안 하부차단마개(60)에 개방압력을 인가하는 개방부재(90)를 마련함으로써, 하부용기(30)와 상부용기(10)사이를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고 액체혼합기구에 의한 하부용기(30)의 용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분리된 상부차단마개(50)와 하부차단마개(60)를 상부고정띠(52)와 하부고정띠(62)에 의해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배출구(11)와 하부용기(30)의 개구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강방지리브(23a)와 하강방지돌기(32a)의 상호작용에 의해 하부용기(30)의 하강회전동작을 방해하는 상부하강방지부(23)와 하부하강방지부(32)를 마련함으로써, 하부용기(30)가 상부용기(10)로부터 분리되어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용기(30)의 상승을 저지하는 상승방지태그(70)를 마련함으로써, 비의도적으로 액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차단부와 하부차단부를 마개형태로 구성하고 하부용기를 나사결합방식으로 상승시키고 있으나, 상부차단부와 하부차단부를 실링지형태로 구성하고 하부용기를 스트록(Sroke)방식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도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분해단면도이며, 도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배출구(111)가 형성된 상부용기(110)와, 상부용기(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어댑터(120)와, 상부어댑터(120)에 결합되는 하부용기(130)와, 하부용기(130)에 결합되는 하부어댑터(140)와, 상부어댑터(120)와 하부어댑터(140)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차단실링지(150) 및 하부차단실링지(160)와, 상부어댑터(1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개방부재(190)를 갖고 있다.
상부용기(110)의 하단에는 어댑터결합개구(115)가 배출구(111)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용기(110)의 외표면 하부에는 기립상의 끼움리브(114)가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고, 끼움리브(114)의 상측에는 상부용기언더컷결합리브(116)가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11)에는 캡(112)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부어댑터(120)는 원형단면형상의 하부용기결합부(121)와, 하부용기결합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차단실링지결합부(122)와, 하부용기결합부(12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안내확경부(123)와, 안내확경부(123)의 외측에 형성된 상부용기끼움부(124)를 갖고 있다.
하부용기결합부(121)의 상면 중앙영역에는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부혼합공(12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용기결합부(121)의 내표면에는 걸림턱(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차단실링지결합부(122)는 하부용기결합부(12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부용기끼움부(124)의 내측에는 상부용기(110)에 형성된 끼움리브(114)에 대응하는 끼움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다수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상부용기언더컷결합홈(124a)이 높이차를 두고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어댑터(120)는 상부용기언더컷결합홈(124a)과 상부용기(110)의 상부어댑터언더컷결합리브(116)를 이용한 언더컷결합방식으로 상부용기(110)에 결합된다. 이 때 끼움리브(114)사이에 끼움돌기(도시되지 않음)가 진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용기(110)의 어댑터결합개구(115)의 둘레영역은 상부어댑터(120)에 의해 폐쇄되고, 어댑터결합개구(115)의 중앙영역은 상부혼합공(121a)에 연통하게 된다.
하부용기(130)는 하부액체수용부(131)와, 하부액체수용부(131)에 연통하도록 순차적으로 연장 형성된 언더컷형성확경부(132), 상부어댑터연결부(133) 및 하부어댑터연결부(134)를 갖고 있다.
하부액체수용부(131)는 상부용기(110)와 거의 같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언더컷형성확경부(132)의 외경은 안내확경부(123)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어댑터연결부(133)는 언더컷형성확경부(132)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표면에 높이차를 두고 언더컷형성리브(133a)와 걸림리브(133b)가 둘레방향을따라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언더컷형성리브(133a)는 언더컷형성확경부(132)의 상면으로부터 하부용기결합부(121)의 걸림턱(125)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되고, 걸림리브(133b)는 걸림턱(125)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하부어댑터연결부(134)는 상부어댑터연결부(133)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어댑터언더컷결합리브(134a)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용기(130)는 언더컷형성확경부(132)의 상단이 상부어댑터(120)의 안내확경부(123)의 내표면 하부에 접촉되고 걸림리브(133b)의 저면이 하부용기결합부(121)의 걸림턱(125)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상부어댑터(120)에 결합된다.
하부어댑터(140)는 중앙영역에 하부혼합공(140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혼합공(140a)의 상단 둘레영역에는 환상의 안착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혼합공(140a)은 상부혼합공(121a)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어댑터(140)는 하부혼합공(140a)에 나란하게 형성된 한 쌍의 하부어댑터플랜지(143, 144)를 갖고 있다. 외측 하부어댑터플랜지(143)의 내표면에는 하부어댑터연결부(134)의 어댑터언더컷결합리브(134a)에 대응하는 언더컷결합홈을 형성하도록 하부어댑터언더컷형성리브(14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어댑터(140)는 하부혼합공(140a)이 하부액체수용부(131)에 연통하도록 하부어댑터언더컷형성리브(143a)와 하부어댑터연결부(134)의 어댑터언더컷결합리브(134a)를 이용하여 언더컷결합방식으로 하부용기(130)에 결합된다.
상부차단실링지(150)는 상부어댑터(120)의 상부혼합공(121a)을 밀폐하도록 상부차단실링지결합부(122)의 상단에 융착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차단실링지(150)의 재질로는 알루미늄을 채용할 수 있다.
하부차단실링지(160)는 하부혼합공(140a)을 밀폐하도록 하부어댑터(140)의 하단에 융착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하부차단실링지(160)의 재질로는 알루미늄을 채용할 수 있다.
개방부재(19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외표면에 중앙영역에 형성된 고정환턱(191)과 고정환턱(191)의 외표면 하단에 복수 개소에서 점결합된 분리환턱(192)을 갖고 있다. 분리환턱(192)은 고정환턱(191)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과 안착홈(142)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개방부재(190)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향톱니(193)와 하향톱니(19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향톱니(193)와 하향톱니(194)는 각각 우측에 상부톱니제거영역(193a)과 하부톱니제거영역(194a)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방부재(190)는 분리환턱(192)이 하부어댑터(140)의 안착홈(142)에 안착되도록 상부어댑터(1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는 상부용기끼움부(124)와 하부액체수용부(131)사이에 개재하는 상승방지태그(170)를 갖고 있다.
상승방지태그(170)는 고리상으로 형성되고, 절단팁(171)을 잡아당김으로써 초기위치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에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어댑터(120)를 상부용기언더컷결합홈(124a)과 상부용기(110)의 상부어댑터언더컷결합리브(116)를 이용한 언더컷결합방식으로 상부용기(110)에 결합된다. 이 때 끼움리브(114)와 끼움돌기(도시되지 않음)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부어댑터(120)와 상부용기(110)사이의 결합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다음에 캡(112)을 배출구(111)로부터 분리한 후, 배출구(111)를 통해 상부용기(110)에 액체를 주입한다.
다음에 하부어댑터연결부(134)의 개구를 통해 하부액체수용부(131)에 액체를 주입한다.
다음에 하부용기(130)를 걸림리브(133b)의 저면이 하부용기결합부(121)의 걸림턱(125)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상부어댑터(120)에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상승방지태그(170)를 상부용기끼움부(124)와 하부액체수용부(131)사이에 끼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액체용기에 주입된 액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도1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승방지태그(170)를 제거한다.
다음에 하부용기(130)를 저면으로부터 충격을 가해 상승시킨다. 여기서 하부용기(130)의 상승은 언더컷형성확경부(132)와 언더컷형성리브(133a)사이에 상부어댑터(120)의 걸림턱(125)이 언더컷결합될 때까지 계속된다.
하부용기(130)의 상승이 진행되어 개방부재(190)의 고정환턱(191)의 상면이 상부어댑터(120)의 천정면에 접촉할 때까지 개방부재(190)로부터 인가되는 상방향의 압력에 의해 상부차단실링지(150)는 절단된다(도11a 참조). 이 때 상향톱니(193)는 상부톱니제거영역(193a)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차단실링지(150)는 상부어댑터(12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한다.
하부용기(130)의 상승이 더 진행되면, 하부용기(130)로부터 인가되는 상방향의 압력에 의해 분리환턱(192)이 고정환턱(191)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개방부재(190)는 현위치를 유지한다.
다음에 고정환턱(191)으로부터 분리된 분리환턱(192)이 하부용기(130)와 함께 상승함에 따라 개방부재(190)로부터 인가되는 하방향의 압력에 의해 하부차단실링지(160)는 절단된다(도11b 참조). 이 때 하향톱니(194)는 하부톱니제거영역(194a)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차단실링지(160)는 하부어댑터(14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한다.
다음에 하부용기(130)와 상부용기(110)를 함께 흔들면, 하부용기(130)의 액체와 상부용기(110)의 액체는 관형상의 개방부재(190)를 통해 혼합된다. 여기서 하부차단실링지(160)는 하부어댑터(14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부용기(130)의 개구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캡(112)을 배출구(111)로부터 분리한 후 혼합된 액체를 배출구(111)를 통해 배출시켜 사용한다. 여기서 상부차단실링지(150)는 상부어댑터(1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배출구(111)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용기(130)의 상승을 안내하고 상부차단실링지(150)와 협조하여 상부용기(110)의 어댑터결합개구(115)를 밀폐하는 상부어댑터(120)와 액체혼합개구를 가지고 하부용기(130)와 함께 상승하는 하부어댑터(140)와 하부어댑터(140)의 액체혼합개구를 밀폐하도록 하부어댑터(140)에 결합되는 하부차단실링지(160)와 하부용기(130)의 상승동작시 하부용기(130)와의 하부차단마개개방유격(도10의 l)을 확보하면서 상부차단실링지(150)에 절단압력을 인가하고 하부차단마개개방유격을 따라 하부용기(130)가 상승하는 동안 하부차단실링지(160)에 절단압력을 인가하는 개방부재(190)를 마련함으로써, 하부용기(130)와 상부용기(110)사이를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고 액체혼합기구에 의한 하부용기(130)의 용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향톱니(193)와 하향톱니(194)는 각각 상부톱니제거영역(193a)과 하부톱니제거영역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배출구(111)와 하부용기(130)의 개구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용기(130)의 상승을 저지하는 상승방지태그(170)를 마련함으로써, 비의도적으로 액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용기와 상부용기사이를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액체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용기에 담긴 액체가 상부용기와의 결합단계나 보관단계에서 외부충격 등에 의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용기와 상부용기에 주입된 액체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혼합기구에 의한 하부용기의 용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하부용기의 용적 선택성이 증가된다.

Claims (7)

  1. 배출구와 어댑터결합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하도록 형성된 통형상의 상부용기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용기에 결합되는 캡을 갖는 이종액체용기에 있어서,
    하향 개구되고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상부혼합공이 상면 중앙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혼합공이 상기 어댑터결합개구에 연통하도록 상기 상부용기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부어댑터와;
    저부에 형성된 하부액체수용부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상부어댑터연결부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하부어댑터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가 상기 상부어댑터의 내표면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에 결합되는 하부용기와;
    중앙영역에 상기 상부어댑터에 형성된 상부혼합공과 동일한 직경의 하부혼합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하부혼합공의 상단 둘레영역에는 환상의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혼합공이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어댑터연결부에 결합되는 하부어댑터와;
    상기 상부혼합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차단부와;
    상기 하부혼합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하부어댑터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차단부와;
    상기 상부혼합공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어댑터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외표면에 형성된 고정환턱과 상기 고정환턱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과 상기 안착홈의 직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환턱의 외표면에 복수 개소에서 점결합되며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는 분리환턱을 가지며, 상기 하부용기의 상승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환턱이 상기 상부어댑터의 천정면에 접촉할 때까지 상기 상부차단부에 상방향의 압력을 가하도록 상승한 후 상기 하부용기의 계속되는 상승동작에 의해 상기 분리환턱이 상기 고정환턱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부차단부에 하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도록 상승위치를 유지하는 관형상의 개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액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재는 상단에 하나의 상부톱니제거영역을 갖도록 상향 톱니가 형성되고 하단에 하나의 하부톱니제거영역을 갖도록 하향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차단부와 상기 하부차단부는 각각 실링지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액체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차단부는 상기 상부혼합공에 삽입되는 상부차단마개부와 상기 상부차단마개부를 상기 상부어댑터에 연결하는 상부고정띠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차단부는 상기 하부혼합공에 삽입되는 하부차단마개부와 상기 하부차단마개부를 상기 하부어댑터에 연결하는 하부고정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액체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사이에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언더컷형성확경부와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의 외표면에 높이차를 두고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언더컷형성리브 및 걸림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어댑터는 내표면에 상기 언더컷형성확경부와 상기 언더컷형성리브사이에 끼움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걸림리브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언더컷형성확경부의 상승을 안내하도록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안내확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액체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어댑터의 내표면에는 상부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의 외표면에는 상기 상부나사부에 대응하는 하부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액체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어댑터는 하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내표면에 기립형태의 하강방지리브가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용기의 상승회전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하강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용기는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사이에 상기 상부어댑터연결부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측 모서리에는 상기 하부용기의 하강회전동작을 방해하도록 상기 하강방지리브와 상호 작용하는 하강방지돌기가 형성되는 하부하강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액체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용기의 상승을 저지하도록 상기 상부어댑터와 상기 하부액체수용부사이에 개재하는 상승방지태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액체용기.
KR20-2003-0030792U 2003-09-30 2003-09-30 이종액체용기 KR200336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792U KR200336104Y1 (ko) 2003-09-30 2003-09-30 이종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792U KR200336104Y1 (ko) 2003-09-30 2003-09-30 이종액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104Y1 true KR200336104Y1 (ko) 2003-12-18

Family

ID=4942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792U KR200336104Y1 (ko) 2003-09-30 2003-09-30 이종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1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717A2 (ko) * 2010-07-23 2012-01-26 (주)텔트론 용액 혼합 장치
WO2013025047A2 (ko) * 2011-08-16 2013-02-21 Kim Yoon Woo 다중 혼합 용기
KR101461853B1 (ko) * 2014-06-12 2014-11-13 손병문 음료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11717A2 (ko) * 2010-07-23 2012-01-26 (주)텔트론 용액 혼합 장치
WO2012011717A3 (ko) * 2010-07-23 2012-05-10 (주)텔트론 용액 혼합 장치
WO2013025047A2 (ko) * 2011-08-16 2013-02-21 Kim Yoon Woo 다중 혼합 용기
WO2013025047A3 (ko) * 2011-08-16 2013-04-18 Kim Yoon Woo 다중 혼합 용기
KR101461853B1 (ko) * 2014-06-12 2014-11-13 손병문 음료용기
WO2015190761A1 (ko) * 2014-06-12 2015-12-17 손병문 음료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0356C2 (ru) Открываемое посредством вращения дозирующе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прокладки
KR101202811B1 (ko) 용기마개
CN114786530B (zh) 双重容器
US20130220967A1 (en) Safety Bottle Cap
KR102321059B1 (ko) 내용물 용기
KR20210115707A (ko) 이중 용기
JP5046298B2 (ja) 2剤混合容器
KR200336104Y1 (ko) 이종액체용기
JP4954695B2 (ja) 詰め替え用容器
KR200488073Y1 (ko) 이종의 내용물 배출이 가능한 액체 배출용기
KR102188920B1 (ko) 이중 용기
KR200336105Y1 (ko) 이종액체용기
JP6351470B2 (ja) スクイズ容器用キャップ
KR20230079759A (ko) 내용물 용기
JP2019119522A (ja) 注出容器
KR102306251B1 (ko) 내용물 용기
JP3994354B2 (ja) カバーキャップ付き混合分配容器
JP7350442B2 (ja) 2種混合スポイト容器
KR200286135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JP5371665B2 (ja) キャップ付容器
JP3238239U (ja) 容器用蓋装置
JP7418921B2 (ja) 移行中栓キャップ
KR102496967B1 (ko) 내용물 용기
CN219750606U (zh) 能够连接瓶子的容器、容器组及瓶装产品
CN110817109B (zh) 端盖组件及利用该端盖组件的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