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838A -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838A
KR20130017838A KR1020110080513A KR20110080513A KR20130017838A KR 20130017838 A KR20130017838 A KR 20130017838A KR 1020110080513 A KR1020110080513 A KR 1020110080513A KR 20110080513 A KR20110080513 A KR 20110080513A KR 20130017838 A KR20130017838 A KR 20130017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container
contents
container
pressuriz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미
Original Assignee
송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미 filed Critical 송영미
Priority to KR1020110080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7838A/ko
Publication of KR20130017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piston co-operating with a screw-thread 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5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rig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점성을 갖는 내용물(A)을 포장을 위한 포장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중앙에 단차결합부(12a)가 일체로 마련된 가압봉(12)이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내경에 암나사부(14)가 형성된 가압받침대(10)와; 상기 가압받침대(10)의 내경에 안내되며, 내부에는 내용물(A)이 충진되고, 상부에 내용물 배출을 위한 출구(21)가 형성되며, 하부 외측둘레에는 상기 암나사부(14)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22)가 형성되고, 수나사부(22)가 형성된 외측둘레에는 공기배출공(23)이 다수개 배열 형성된 충전용기(20)와; 원형의 몸체(31)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충전용기(20)의 내경에 안내 밀착되기 위한 밀착편(32)이 돌출형성되고, 몸체(31)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가압받침대(10)의 단차결합부(12a)에 중앙이 안내되어 결합되는 결합공(33)이 형성되며, 몸체(31)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지지편(34)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고, 지지편(34)의 끝 부분에는 충전용기(20)의 하부 외측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어 지지편(34)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편(35)이 일체로 형성된 가압구(30)와; 상기 충전용기(20)의 출구(21)를 막기 위한 마개(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기존과 같은 튜브방식이 아닌 플라스틱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충전용기와 충전용기를 꽂아 세워 사용할 수 있고, 충전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나사체결방식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받침대의 조합으로 출구를 통한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내용물 소진 후 폐기시에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알루미늄판과 비닐의 코팅소재로 제작된 기존의 튜브방식에 폐기에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Content discharge pressurization type of package}
본 발명은 내용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젤과 같이 소정의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포장되는 포장용기를 개선하여 내용물을 요구하는 정도로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용물의 소진율을 최대한 높이고, 내용물을 모두 소진하고 난 이후의 포장용기의 폐기시에는 기타 재활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내용물이 충진된 제품만을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한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의 점성을 지닌 액상 상태의 내용물 예를 들어, 샴푸 등의 세제 또는 젤 상태의 화장용액, 소스 등과 같은 식품용액은 치약이 충전된 구강청결용액 등등의 통상 입구부에 마개가 결합된 포장용기에 저장되어 내용물을 배출할 경우에는 마개를 개방한 다음 한 손으로 용기 몸체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다른 한 손에 내용물을 일정량 쏟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포장용기는 내용물을 배출할 경우 어느 정도 내용물이 소진된 상태에서는 포장용기를 기울이거나 거꾸로 세워 놓은 상태에서 포장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배출시켜야 하는 취급상의 불편함은 물론,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없어 필요 이상으로 내용물을 소모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포장용기가 일반적으로 재활용 소재로 가능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성형된 소재는 재활용은 되지만 대체로 포장용기가 경질로 성형 제작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완전히 배출시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반면, 치약을 포장하는 튜브타입의 포장용기는 연성의 알루미늄 판에 비닐을 다수의 겹으로 코팅 처리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향후 폐기물 처리시 알루미늄과 비닐의 분리가 쉽지 않고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내용물인 치약을 짜내는 방식은 치약이 거의 소진되기 이전 포장용기의 출구까지 밀어 짜내는 불편함이 있고, 이 또한 치약을 완전하게 짜내기 어렵기 때문에 잔량이 남은 상태에서 버려지곤 하였다.
최근에서 상기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배출장치가 개시되었다.
즉 마개에 삽입되는 상부몸체 및 이에 삽입 결합되는 하부몸체와 하부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몸체 상측으로 돌출되는 이송부재와, 이송부재 상단과 연통되고, 일측으로 배출노즐이 형성된 누름부재 및 이송부재 하측에 삽입 설치되는 밀착패드와 밀착패드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압축스프링으로 액체배출장치가 구성된다.
상기의 액체배출장치는 액상 내용물을 배출할 경우 누름부재의 상면에 가압력을 인가하면 이송부재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송부재에 의해 밀착패드가 하부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이동되는 한편 압축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밀착패드를 통해 이송부재로 유입되어 누름부재의 배출노즐로 일정량씩 배출된다.
샴프보다 더욱 점성이 높은 치약, 헤어젤, 연고, 겔제품 등은 튜브 형상의 용기에 넣어 보관되고, 사용시에는 뚜껑을 열어 짜서 사용하며, 사용한 뒤에 뚜껑을 막는 형태의 것이 일반적이나, 근래에는 펌프식으로 제조되어 상단 손잡이를 누르면 제품이 토출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들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조립성 및, 향후 이들의 폐기시 금속소재인 압축스프링,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의 분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젤과 같이 소정의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포장된 포장용기를 개선하여 내용물을 요구하는 정도로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내용물의 소진율을 최대한 높이고, 내용물을 모두 소진하고 난 이후의 포장용기의 폐기시에는 기타 재활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내용물이 충진된 제품만을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가능하도록 한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점성을 갖는 내용물을 포장을 위한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중앙에 단차결합부가 일체로 마련된 가압봉이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내경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가압받침대와; 상기 가압받침대의 내경에 안내되며, 내부에는 내용물이 충진되고, 상부에 내용물 배출을 위한 출구가 형성되며, 하부 외측둘레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수나사부가 형성된 외측둘레에는 공기배출공이 다수개 배열 형성된 충전용기와; 원형의 몸체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충전용기의 내경에 안내 밀착되기 위한 밀착편이 돌출형성되고, 몸체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가압받침대의 단차결합부에 중앙이 안내되어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몸체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지지편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고, 지지편의 끝 부분에는 충전용기의 하부 외측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어 사용상에 따른 지지편 제거를 위한 제거편이 일체로 형성된 가압구와; 상기 충전용기의 출구를 막기 위한 마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충전용기의 공기배출공은 하단으로부터 '∩'자 형으로 형성되며, 충전용기의 저면과 가압구의 저면이 동일선상이 되게 안내된 상태에서 가압구의 밀착편 사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구의 상부 중앙에는 내용물을 충전용기의 개방된 출구측까지 밀어 올리기 위한 가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돌기는 충전용기의 출구 내부로 진입 이전 출구측 내의 잔여 압을 상쇄시키면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요홈이 다수개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암나사부는 가압받침대로부터 충전용기의 수나사부 체결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나선방향으로 나사산 및 골이 일정간격 파선형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는 기존과 같은 튜브방식이 아닌 플라스틱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충전용기와 충전용기를 꽂아 세워 사용할 수 있고, 충전용기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을 나사체결방식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가압받침대의 조합으로 출구를 통한 내용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내용물 소진 후 폐기시에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알루미늄판과 비닐의 코팅소재로 제작된 기존의 튜브방식에 폐기에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포장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가압받침대와 충전용기를 각각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기의 하부측 가압구에 연결된 제거편을 제거하는 상태를 예시한 일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에서 가압구의 제거편이 제거되는 상태를 예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용기를 가압받침대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가압구가 최대한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점성을 갖는 내용물(A)을 포장을 위한 포장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중앙에 단차결합부(12a)가 일체로 마련된 가압봉(12)이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내경에 암나사부(14)가 형성된 가압받침대(10)와;
상기 가압받침대(10)의 내경에 안내되며, 내부에는 내용물(A)이 충진되고, 상부에 내용물 배출을 위한 출구(21)가 형성되며, 하부 외측둘레에는 상기 암나사부(14)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22)가 형성되고, 수나사부(22)가 형성된 외측둘레에는 공기배출공(23)이 다수개 배열 형성된 충전용기(20)와; 원형의 몸체(31)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충전용기(20)의 내경에 안내 밀착되기 위한 밀착편(32)이 돌출형성되고, 몸체(31)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가압받침대(10)의 단차결합부(12a)에 중앙이 안내되어 결합되는 결합공(33)이 형성되며, 몸체(31)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지지편(34)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고, 지지편(34)의 끝 부분에는 충전용기(20)의 하부 외측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어 지지편(34)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편(35)이 일체로 형성된 가압구(30)와; 상기 충전용기(20)의 출구(21)를 막기 위한 마개(4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요소들은 내용물(A)을 제외한 상태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모두 성형제작된다.
상기 충전용기(20)의 공기배출공(23)은 하단으로부터 '∩'자 형으로 형성되며, 충전용기(20)의 저면과 가압구(30)의 저면이 동일선상이 되게 안내된 상태에서 가압구의 밀착편(32) 사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가압구(30)의 상부 중앙에는 내용물(A)을 충전용기(20)의 개방된 출구(21)측까지 밀어 올리기 위한 가압돌기(36)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가압돌기(36)는 충전용기(20)의 출구(21) 내부로 진입 이전 출구측 내의 잔여 압을 상쇄시키면서 내용물(A)을 배출하기 위한 요홈(36a)이 다수개 배열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14)는 가압받침대(10)로부터 충전용기(20)의 수나사부(22) 체결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나선방향으로 나사산 및 골이 일정간격 파선형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포장용기(100)에 내용물의 충전과 그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충전용기(20)의 내경에 충전되는 내용물(A)은 점성을 갖는 치약, 가공 고추냉이, 화장품, 크림형태의 왁스류 등 용도에 맞는 내용물을 충전시켜 주고, 그 하부로부터 내경에는 가압구(30)를 안내시켜 준다.
상기 가압구(3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밀착편(32)은, 상기 충전용기(20)의 내경에 밀착되어 충전용기(20)에 담긴 내용물(A)을 밀봉 포장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구(30)를 충전용기(20)의 저부로부터 삽입한 상태는 가압구의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편(34)이 충전용기(20)의 저면에 위치하고, 지지편의 끝 부분에는 제거편(35)이 충전용기의 하부 외측둘레를 감싼 형태로서 포장된다.
상기 충전용기(20)의 사용은 첨부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편(35)을 잡고 원주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가압구(30)의 저면 가장자리로부터 제거편(35)을 연결하고 있는 지지편(34)은 뜯겨져 나가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거편(35)으로부터 가압구(30)를 연결하고 있는 다수개의 지지편은 제거편쪽의 폭이 더 넓고 가압구측의 지지편 끝 부분은 폭이 좁은 상태로 하여 제거편의 제거시 지지편이 제거편을 따라 가압구에서 모두 뜯겨져 나가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거편(35)의 제거로서 충전용기(20)의 하부 외측둘레에는 수나사부(22)가 노출되어 드러나는 상태가 되고, 이 수나사부(22)를 가압받침대(10)의 암나사부(14)에 체결하여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받침대(10)의 상부로부터 충전용기(20)를 결합한다.
이때 가압받침대(10)의 가압봉(12) 상부에 마련된 단차결합부(12a)는 가압구(30)의 결합공(33)에 안내되며, 나사체결이 점차 이루어지면 가압봉(12)이 상기 가압구(30)를 밀어올리게 되어 충전용기(20) 내부의 내용물(A)을 가압하고, 내용물의 가압에 따라 충전용기(20)의 상부측 출구(21)를 통해 내용물을 요구하는 정도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구(30)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밀착편(32)은 피스톤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용물을 밀어 배출시키게 되며, 최초 가압봉(12)이 가압구를 밀어올리는 상태에서 가압구의 밀착편 사이의 공기는 충전용기(20) 하단에 형성된 공기배출공(23)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져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 가압구(30)를 충전용기(20)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가압받침대(10)의 암나사부(14)에 체결이 이루어지는 충전용기(20)의 수나사부(22)는 2~3회의 나사산 및 골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와 체결되는 암나사부(14)는 나사산 및 골이 파선형태로 이격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받침대(10)로부터 충전용기(20)의 체결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암나사부(14)와 이격된 부분을 통해 공기가 유통되어 가압받침대(10)로부터 충전용기의 체결, 가압은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충전용기(30)를 수용하도록 별도 사출 성형된 가압받침대(10)는 충전용기(30)와 함께 세트로 판매되며, 충전용기(20) 내의 내용물(A)을 소진한 상태에서는 별도 내용물(A)이 포장된 충전용기(20)를 구입하여 가압받침대(1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돌기(36)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와 같이 출구(21)측까지 내용물을 밀어내어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36)는 그 외측둘레에 형성된 요홈(36a)으로 하여금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 배출시 가압돌기(36)가 충전용기(20)의 출구(21) 내경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받는 잔여 압은 요홈(36a)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그 압이 상쇄되어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A)의 최종 배출시까지 큰 무리 없이 내용물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내용물 잔량이 거의 남지 않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포장용기(100)는 충전용기(20) 내의 내용물(A)을 소진한 상태에서 폐기시에는 별도로 플라스틱 소재의 재활용으로 처리하여 후 재활용에서 기타 다른 물품의 성형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받침대(10)는 파손되지 않는 한 내용물이 포장된 충전용기만을 별도 구매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받침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10: 가압받침대 12: 가압봉
12a: 단차결합부 14: 암나사부
20: 충전용기 21: 출구
22: 수나사부 23: 공기배출공
30: 가압구 31: 몸체
32: 밀착편 33: 결합공
34: 지지편 35: 제거편
36: 가압돌기 36a: 요홈
40: 마개 A: 내용물

Claims (5)

  1. 점성을 갖는 내용물(A)을 포장을 위한 포장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중앙에 단차결합부(12a)가 일체로 마련된 가압봉(12)이 내부 중앙에 형성되고, 내경에 암나사부(14)가 형성된 가압받침대(10)와;
    상기 가압받침대(10)의 내경에 안내되며, 내부에는 내용물(A)이 충진되고, 상부에 내용물 배출을 위한 출구(21)가 형성되며, 하부 외측둘레에는 상기 암나사부(14)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부(22)가 형성되고, 수나사부(22)가 형성된 외측둘레에는 공기배출공(23)이 다수개 배열 형성된 충전용기(20)와;
    원형의 몸체(31) 상하부측 외측둘레에 충전용기(20)의 내경에 안내 밀착되기 위한 밀착편(32)이 돌출형성되고, 몸체(31)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가압받침대(10)의 단차결합부(12a)에 중앙이 안내되어 결합되는 결합공(33)이 형성되며, 몸체(31)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지지편(34)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되고, 지지편(34)의 끝 부분에는 충전용기(20)의 하부 외측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어 지지편(34)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편(35)이 일체로 형성된 가압구(30)와;
    상기 충전용기(20)의 출구(21)를 막기 위한 마개(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기(20)의 공기배출공(23)은 하단으로부터 '∩'자 형으로 형성되며, 충전용기(20)의 저면과 가압구(30)의 저면이 동일선상이 되게 안내된 상태에서 가압구의 밀착편(32) 사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30)의 상부 중앙에는 내용물(A)을 충전용기(20)의 개방된 출구(21)측까지 밀어 올리기 위한 가압돌기(36)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36)는 충전용기(20)의 출구(21) 내부로 진입 이전 출구측 내의 잔여 압을 상쇄시키면서 내용물(A)을 배출하기 위한 요홈(36a)이 다수개 배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14)는 가압받침대(10)로부터 충전용기(20)의 수나사부(22) 체결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나선방향으로 나사산 및 골이 일정간격 파선형태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KR1020110080513A 2011-08-12 2011-08-12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KR20130017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13A KR20130017838A (ko) 2011-08-12 2011-08-12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13A KR20130017838A (ko) 2011-08-12 2011-08-12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838A true KR20130017838A (ko) 2013-02-20

Family

ID=4789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513A KR20130017838A (ko) 2011-08-12 2011-08-12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78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853B1 (ko) * 2014-06-12 2014-11-13 손병문 음료용기
CN108502381A (zh) * 2018-04-18 2018-09-07 黄文佳 一种眼药水包装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853B1 (ko) * 2014-06-12 2014-11-13 손병문 음료용기
WO2015190761A1 (ko) * 2014-06-12 2015-12-17 손병문 음료용기
CN108502381A (zh) * 2018-04-18 2018-09-07 黄文佳 一种眼药水包装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400B1 (ko)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EP3558844B1 (en) A shell container suitable for housing a discrete refill container
US3592365A (en) Pump-type dispensing apparatus
CA2668852C (en) Device for dispensing, by means of a pump, fluid substances contained under airtight conditions in a deformable bag housed in a rigid container
US2728494A (en) Containers for pasty and similar substances
JPH1084876A (ja) アイシングセット
US20060163287A1 (en) Device forming packaging for viscous products, which can be fully emptied by means of manual pumping
EA035834B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пополнения первичной тары и способ пополнения первичной тар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упаковки
KR20130017838A (ko)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JP2024500576A (ja) 包装廃棄物を減らすための容器及びシステム
US3937371A (en)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closure device
KR101864187B1 (ko)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
US4003503A (en) Dispensing device for highly viscous liquids supported in inclined position
KR20130016764A (ko) 점성을 갖는 내용물 포장용기
KR20160001945U (ko) 내용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KR20210127889A (ko) 화장품 등 액상 유체 공급장치
EA020415B1 (ru) Колпачок для емкости
JP7123501B2 (ja) 吐出容器
KR20080023974A (ko) 주름유도관이 적용된 배출용기
EP3049341A1 (en) Container for personal care
JP6125955B2 (ja) ブロー成形二重容器
JP6910715B2 (ja) 二重容器、注出具付き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
KR20160128099A (ko)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JP2004149199A (ja) 薄肉容器に適した液体注出装置と薄肉容器からなる注出容器
CN218173006U (zh) 一种替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