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8099A -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8099A
KR20160128099A KR1020150059903A KR20150059903A KR20160128099A KR 20160128099 A KR20160128099 A KR 20160128099A KR 1020150059903 A KR1020150059903 A KR 1020150059903A KR 20150059903 A KR20150059903 A KR 20150059903A KR 20160128099 A KR20160128099 A KR 20160128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ody case
stopper
main body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철
Original Assignee
김회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철 filed Critical 김회철
Priority to KR102015005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8099A/ko
Publication of KR2016012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재료가 수납되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개구부부 측으로 걸림홈부,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가 간격을 유지하며 차례로 배치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개구부에 접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를 밀폐시키고 절개 가능한 두께의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마개시트;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안착되는 제3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시트에 안착되는 시트부재를 수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개구부에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걸림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본체케이스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SEPARATE STORAGE CONTAINER FOR SHEET AND LIQUID INGREDIENT}
본 발명은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팩 또는 물티슈 등과 같이 시트부재에 액상재료가 함침되어 이루어지는 제품을 포장할 때에 시트부재와 액상물질을 별도의 공간에 수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순간에는 시트부재에 액상물질을 용이하게 함침시킬 수 있는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의 일종인 마스크팩은 일반적으로 화장품 로션, 크림을 바른 후 피부를 탄력 있고 영양 공급이 원활하도록 화장품 로션, 크림을 바른 위에 덧바르는 화장품으로서, 일반적으로 겔상을 이루며 마스크팩을 피부에 바른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겔상 마스크팩이 얇은 고무피막과 같이 경화되어 경화된 마스크 팩을 피부로부터 뜯어내는 타입이 일반적이며, 피부에 바른 마스크팩이 경화되지 않고 겔상의 마스크팩이 그대로 유지되어 일정시간 경과 후 물로 씻어내는 타입의 마스크팩이 있다.
종래의 마스크팩은 튜브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짜서 얼굴에 바르거나 병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손으로 찍어서 펴 바른 후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누워서 일정시간 경과 후 피부의 마스크팩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마스크팩을 바르고 제거하기까지의 일정시간은 사용자의 느낌으로만 가늠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얼굴에 마스크팩을 바른 후 너무 일찍 제거하면 피부활성화가 되기 전에 마스크팩을 제거하게 되어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지 못하여 마스크팩의 효과가 없으며, 너무 늦게 제거하면 피부 노폐물이 배출되다가 다시 피부 내로 환입되어 그 효과가 떨어지며 피부의 호흡을 장시간 방해해 피부에 부담을 주는 것이므로 각 마스크팩마다 적정한 시간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009호(2007년 10월 25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태엽식 타이머가 설치된 마스크팩 용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마스크팩은 하나의 용기에 액상의 미용소재가 시트부재에 함침된 상태로 포장되기 때문에 액상재료가 함침된 상태의 시트부재는 쉽게 부패될 수 있어 액상재료에 시트부재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방부제가 포함되고, 액상재료에 포함되는 방부제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용기에 물티슈 등의 제품이 포장되는 경우에도 시트부재에 함침되는 세제용액에 시트부재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방부제가 포함되므로 사용자가 물티슈를 사용하여 손이나 얼굴 등의 피부를 닦을 때에 방부제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마스크팩 또는 물티슈 등과 같이 시트부재에 액상재료가 함침되어 이루어지는 제품을 포장할 때에 시트부재와 액상물질을 별도의 공간에 수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순간에는 시트부재에 액상물질을 용이하게 함침시킬 수 있는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액상재료가 수납되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개구부부 측으로 걸림홈부,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가 간격을 유지하며 차례로 배치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개구부에 접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를 밀폐시키고 절개 가능한 두께의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마개시트;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안착되는 제3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시트에 안착되는 시트부재를 수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개구부에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걸림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본체케이스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시트부재는 건조공정 및 압축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섬유재질을 포함하는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케이스는 상기 시트부재에 상기 액상재료가 함침되어 팽창한 부피와 비교하여 작은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마감부는, 상기 걸림홈부에 내측 단부가 삽입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걸림홈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걸림홈부의 깊이와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는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를 절단시켜 상기 걸림홈부 외측으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링부재에 구비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링부재의 외면 일부분에 형성되어 형성되는 절개홈부; 및 상기 절개홈부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링부재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본체케이스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마개시트를 가압하여 절개시키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가압돌기; 및 상기 가압돌기의 단부에 경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절개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상기 마개시트 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중공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는, 마개시트에 의해 본체케이스가 밀폐되어 액상재료와 시트부재를 별도의 공간에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시트부재가 건조된 상태로 보관되어 시트부재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을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시트부재를 본체케이스 내부로 가압하여 마개시트를 절개시킴과 동시에 시트부재를 본체케이스 내부로 쉽게 삽입시킬 수 있어 액상재료가 시트부재에 함침된 직후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는, 커버부재에 의해 마개시트 및 시트부재가 덮여지도록 보관되므로 제품의 운반과정에서 마개시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커버부재를 본체케이스 측으로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시트부재를 본체케이스 내부로 삽입하여 액상재료가 함침된 시트부재를 용이하게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는, 커버부재가 본체케이스 측으로 필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가 구비되므로 제품 운반 중이나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해 커버부재가 본체케이스 측으로 가압될 때에 커버부재가 본체케이스 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여 마개시트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는, 액상재료(72)가 수납되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개구부부 측으로 걸림홈부(12), 제1스토퍼(14) 및 제2스토퍼(16)가 간격을 유지하며 차례로 배치되는 본체케이스(10)와, 본체케이스(10)의 개구부에 접착되어 본체케이스(10)를 밀폐시키고 절개 가능한 두께의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마개시트(50)와, 제1스토퍼(14)와 제2스토퍼(16) 사이에 안착되는 제3스토퍼(32)를 구비하고 마개시트(50)에 안착되는 시트부재(74)를 수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도록 본체케이스(10)의 개구부에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커버부재(30)와, 걸림홈부(1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커버부재(30)가 본체케이스(1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80)를 포함한다.
본체케이스(10)는 상면이 개방되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액상재료(72)가 담수되는 용기를 이루게 되고, 개구된 상면에 마개시트(50)가 부착되어 액상재료(72)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체케이스(10)의 상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간격을 유지하며 단계적으로 제2스토퍼(16), 제1스토퍼(14) 및 걸림홈부(12)가 형성되고, 제2스토퍼(16), 제1스토퍼(14) 및 걸림홈부(12)가 형성되는 본체케이스(10)의 상부는 하부와 비교하여 지름이 다소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저면이 개방되고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커버부재(30)가 본체케이스(10) 상부에 결합되면 지름이 일정한 원기둥 모양의 용기를 이루게 된다.
커버부재(30)는 저면이 개방되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커버부재(30)의 하부에는 제1스토퍼(14)와 제2스토퍼(16) 사이에 걸림결합되는 제3스토퍼(32)가 형성되므로 본체케이스(10)의 상단을 커버부재(30)의 저면으로 삽입하면 커버부재(30)가 변형되면서 제3스토퍼(32)가 제1스토퍼(14)와 제2스토퍼(16) 사이의 간격으로 안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3스토퍼(32)가 제1스토퍼(14)와 제2스토퍼(16) 사이의 간격에 안착되면 제3스토퍼(32)는 제1스토퍼(14)에 간섭되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2스토퍼(16)에 간섭되어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되므로 커버부재(3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커버부재(30)의 길이는 제3스토퍼(32)가 제1스토퍼(14)와 제2스토퍼(16) 사이의 간격에 안착되었을 때에 커버부재(30)의 상면 내벽과 마개시트(50) 사이의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커버부재(30)의 상면 내벽과 마개시트(50) 사이의 간격에는 시트부재(74)가 개재된다.
시트부재(74)는 건조공정 및 압축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섬유재질을 포함하는 시트를 포함하고, 본체케이스(10)는 시트부재(74)에 액상재료(72)가 함침되어 팽창한 부피와 비교하여 작은 공간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동전을 3~5개 정도 적층시킨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시트부재(74)를 커버부재(30)로 가압하여 마개시트(50)를 절개하면서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삽입시키면 액상재료(72)가 시트부재(74)에 함침되면서 시트부재(74)가 팽창되고, 팽창이 완료된 시트부재(74)는 본체케이스(10)의 개구부를 통해 일부분이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상재료(72)가 함침되어 팽창하는 시트부재(74)가 본체케이스(10) 외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 사용자는 용이하게 시트부재(74)를 잡고 본체케이스(10) 외측으로 꺼내어 마스크팩 또는 물티슈 등의 제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마감부(80)는, 걸림홈부(12)에 내측 단부가 삽입되고 외측 단부는 걸림홈부(12) 외측으로 돌출되어 커버부재(30)를 지지하도록 걸림홈부(12)의 깊이와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는 링부재(82)와, 링부재(82)를 절단시켜 걸림홈부(12) 외측으로 분리시키도록 링부재(82)에 구비되는 제거부(84)를 포함한다.
링부재(82)는 걸림홈부(12)의 깊이와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므로 링부재(82)를 걸림홈부(12)에 삽입하면 링부재(82)의 내측부는 걸림홈부(12)에 삽입되고, 링부재(82)의 외측부는 링부재(82) 외측으로 돌출되어 링부재(82)의 상면에 커버부재(30)의 하단부가 지지된다.
따라서 걸림홈부(12)에 링부재(82)를 삽입한 상태에서 커버부재(30)를 본체케이스(10)에 결합시키면 커버부재(30)의 하단부가 링부재(82)의 상면에 안착되어 커버부재(30)가 더 이상 본체케이스(10)의 하부 측으로 슬라이딩되지 못하도록 지지된다.
제거부(84)는, 링부재(82)의 외면 일부분에 형성되어 형성되는 절개홈부(84a)와, 절개홈부(84a)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링부재(82)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84b)를 포함한다.
링부재(82)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링부재(82)의 외측면 일부분에 'ㄱ' 모양의 절개홈부(84a)가 형성되고, 절개홈부(84a)의 외측 단부에는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84b)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84b)를 잡고 외측으로 당기면 절개홈부(84a)가 벌어지면서 절개홈부(84a)가 형성된 링부재(82)의 내측면의 얇은 부위가 절개되면서 링부재(82)가 걸림홈부(12) 외측으로 이탈되면서 본체케이스(1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링부재(82)가 본체케이스(10)로부터 분리되면 커버부재(30)의 하단부와 본체케이스(1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이때, 사용자가 커버부재(30)를 본체케이스(10)의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커버부재(30)가 변형되면서 제3스토퍼(32)가 제1스토퍼(14)를 넘어 본체케이스(1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커버부재(30)가 본체케이스(10)의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되면 커버부재(30)의 상면이 시트부재(74)를 본체케이스(10) 내부로 가압하게 되므로 마개시트(50)가 절개되면서 시트부재(74)가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를 제조할 때에는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액상재료(72)를 담수시켜 마개시트(50)를 개구부에 접착시키고, 걸림홈부(12)에 마감부(80)를 설치한다.
시트부재(74)를 건조하고 압축시켜 본체케이스(10)의 개구부와 비교하여 작게 제조하여 마개시트(50) 상면에 안착시키고, 본체케이스(10)의 개구부에 커버부재(30)를 압입한다.
이때,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부재(30)가 변형되면서 제3스토퍼(32)가 제1스토퍼(14)와 제2스토퍼(16) 사이의 간격에 안착되면서 커버부재(3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가 본체케이스(10)에 결합되면 커버부재(30)의 하단부는 링부재(82)의 상면에 안착되어 커버부재(30)가 더 이상 본체케이스(10) 하부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시트부재(74)를 사용할 때에는 손잡이부(84b)를 외측으로 당겨 링부재(82)를 절개시켜 걸림홈부(12) 외측으로 분리시키고, 커버부재(30)를 본체케이스(10) 하측으로 가압하면 커버부재(30)가 변형되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커버부재(30)의 상면이 시트부재(74)를 본체케이스(10) 내측으로 가압하여 마개시트(50)가 절개되면서 시트부재(74)가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된다.
시트부재(74)가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면 액상재료(72)가 시트부재(74)에 함침되면서 시트부재(74)가 팽창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커버부재(30)를 본체케이스(10)와 분리하여 일정시간 동안 본체케이스(10)를 방치하면, 본체케이스(10)의 개구부를 통해 시트부재(74)가 팽창되면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는 시트부재(74)를 당겨 본체케이스(10)로부터 배출시킨 후에 얼굴에 부착시켜 마스크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가 물티슈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트부재(74)를 꺼내어 손 등의 신체부위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는, 커버부재(30)를 본체케이스(10) 측으로 가압하면 마개시트(50)를 가압하여 절개시키는 절개부(9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커버부재(30) 상면 내벽에 절개부(90)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커버부재(3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킬 때에 절개부(90)의 작용에 의해 마개시트(50)가 보다 효과적으로 절개될 수 있게 된다.
절개부(90)는, 커버부재(30)로부터 연장되는 가압돌기(92)와, 가압돌기(92)의 단부에 경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절개날부(94)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부재(30)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절개날부(94)에 의해 마개시트(50)가 용이하게 절개된다.
또한, 가압돌기(92)는 커버부재(30)의 테두리와 중앙부 사이에 격벽을 형성하게 되므로 시트부재(74)가 커버부재(30)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게 안내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며, 커버부재(30)에 의해 시트부재(74)가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될 때에 마개시트(50)의 중앙부를 용이하게 절개하여 본체케이스(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압돌기(92)는 커버부재(30)로부터 마개시트(50) 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중공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지므로 커버부재(30)가 가압돌기(92)에 의해 이루어지는 중앙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가압돌기(9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시트부재(74)가 압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부재(30)로부터 시트부재(74)가 용이하게 분리되어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쉽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마스크팩 또는 물티슈 등과 같이 시트부재에 액상재료가 함침되어 이루어지는 제품을 포장할 때에 시트부재와 액상물질을 별도의 공간에 수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순간에는 시트부재에 액상물질을 용이하게 함침시킬 수 있는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수납용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케이스 12 : 제1걸림홈부
14 : 제1스토퍼 16 : 제2스토퍼
30 : 커버부재 32 : 제3스토퍼
50 : 마개시트 72 : 액상재료
74 : 시트부재 80 : 마감부
82 : 링부재 84 : 제거부
84a : 절개홈부 84b : 손잡이부
90 : 절개부 92 : 가압돌기
94 : 절개날부

Claims (7)

  1. 액상재료가 수납되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개구부부 측으로 걸림홈부,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가 간격을 유지하며 차례로 배치되는 본체케이스;
    상기 본체케이스의 개구부에 접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를 밀폐시키고 절개 가능한 두께의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마개시트;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 사이에 안착되는 제3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마개시트에 안착되는 시트부재를 수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의 개구부에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걸림홈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본체케이스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건조공정 및 압축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섬유재질을 포함하는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케이스는 상기 시트부재에 상기 액상재료가 함침되어 팽창한 부피와 비교하여 작은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상기 걸림홈부에 내측 단부가 삽입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걸림홈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걸림홈부의 깊이와 비교하여 두껍게 형성되는 링부재; 및
    상기 링부재를 절단시켜 상기 걸림홈부 외측으로 분리시키도록 상기 링부재에 구비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링부재의 외면 일부분에 형성되어 형성되는 절개홈부; 및
    상기 절개홈부에 형성되고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링부재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본체케이스 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마개시트를 가압하여 절개시키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가압돌기; 및
    상기 가압돌기의 단부에 경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절개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커버부재로부터 상기 마개시트 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넓어지는 중공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KR1020150059903A 2015-04-28 2015-04-28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KR20160128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903A KR20160128099A (ko) 2015-04-28 2015-04-28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903A KR20160128099A (ko) 2015-04-28 2015-04-28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099A true KR20160128099A (ko) 2016-11-07

Family

ID=5752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903A KR20160128099A (ko) 2015-04-28 2015-04-28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80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052B1 (ko) *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KR20220138565A (ko) * 2021-04-06 2022-10-13 어윤수 마스크팩 가스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052B1 (ko) * 2017-09-18 2018-07-20 김호동 검체 보관 용기
KR20220138565A (ko) * 2021-04-06 2022-10-13 어윤수 마스크팩 가스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252B1 (ko)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10850291B2 (en) Pump dispenser and system comprising a refill cartridge and the pump dispenser
US20160157580A1 (en) Deodorant dispenser and refill cartridge therefor
KR20190109514A (ko) 자동화된 네일 폴리쉬 적용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네일 폴리쉬 키트
KR101155400B1 (ko)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KR101512442B1 (ko) 연질 브러시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190100331A (ko) 화장 물품용 충전식 포장 장치
KR20130066435A (ko) 위생성이 향상된 포장 물티슈
KR20160128099A (ko) 시트부재와 액상재료용 분리형 수납용기
KR101583489B1 (ko) 뚜껑에 물티슈가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KR101492445B1 (ko) 물티슈 내용물유출방지라벨
KR20160080779A (ko) 파우치 리필 팩트
KR20170028552A (ko) 캡형 물티슈
KR102037580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KR101909115B1 (ko) 스펀지가 장착된 스포이트를 갖는 화장품
WO2007072040A1 (en) Depilatory cream dispenser
KR20160001945U (ko) 내용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EA020415B1 (ru) Колпачок для емкости
KR102110719B1 (ko) 개봉이 간편하고 보관이 용이하며 적층된 복수의 화장용 패드를 핀셋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다회사용 화장품 용기
US20120097563A1 (en) Knife cartridge holder
KR20170087062A (ko) 마스크 팩 포장용기
KR200486828Y1 (ko) 마스크 팩용 포장재
CN207890358U (zh) 一种面膜盒子
KR101971918B1 (ko) 임시저장소를 갖는 플로킹팁을 구비한 스포이드 용기
KR200227219Y1 (ko) 일회용 화장품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