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580B1 -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 Google Patents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580B1
KR102037580B1 KR1020170172215A KR20170172215A KR102037580B1 KR 102037580 B1 KR102037580 B1 KR 102037580B1 KR 1020170172215 A KR1020170172215 A KR 1020170172215A KR 20170172215 A KR20170172215 A KR 20170172215A KR 102037580 B1 KR102037580 B1 KR 102037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cap
incision
cosmetic container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291A (ko
Inventor
추승영
Original Assignee
추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승영 filed Critical 추승영
Priority to KR102017017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5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액을 용이하게 배출하면서도 화장액이 배출되는 부분을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화장액이 저장되는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튜브체와 결합되는 캡 베이스, 상기 캡 베이스에 끼움 결합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퍼프, 및 상기 캡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퍼프를 감싸는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퍼프에는 상기 퍼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개부가 이어져 형성된다.

Description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TUBE TYPE COSMETIC CONTANINER AND CAP FOR THE SAME}
본 발명은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퍼프를 통해서의 화장액의 배출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액상의 화장액을 저장하는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로 이루어진 용기와, 비교적 점성이 있는 화장액을 짜서 손을 통해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연질의 튜브형으로 이루어진 용기가 사용된다.
튜브형의 화장품 용기는 통상, 화장액을 저장하는 튜브본체와, 튜브본체의 일측 개방구에 결합되며 유출공을 갖는 유출구와, 유출구를 커버하는 덮개로 구성되어 사용시 덮개를 제거한 후 튜브본체를 눌러 유출공을 통해 화장액이 일정량 손에 흘러나오도록 한 다음 손을 비벼 얼굴 등 피부에 바르게 된다.
하지만, 화장액을 필요부위에만 바르고자 할 경우에도 반드시 손을 통해 비빈후 피부에 바르게 됨에 따라 화장후 손에 묻은 화장액을 씻어내야 하는 번거러움 또는 화장전 손에 묻은 이물질에 의해 세균 등의 침투로 피부에 상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화장품용기를 개폐시키는 캡의 기능적 단순함을 탈피하고자, 최근에는 캡의 기능을 다양화하고 확대시키는 기술이 소개 되고 있다.
그 예로는, 손에 덜어서 바르는 스킨ㆍ로션과 같은 기초 화장품을 제외한 화장품 예컨대, BB크림ㆍ자외선차단제와 같은 점액질 화장품 또는 파운데이션과 같은 겔상 화장품 등의 경우, 피부에 도포하는 별도의 도구인 퍼프(Puff)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퍼프를 화장품튜브용기 내지는 화장품튜브용기의 캡에 구비시켜 기능의 다양화를 모색하고 있다.
일부 화장품 용기는 용기의 일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 공간에 퍼프 등을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기는 별도의 퍼프가 수용 공간 내에 고정이나 결합 구조 없이 수용되어 있으므로, 화장을 할 때 퍼프를 수용 공간으로부터 꺼내어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다른 화장품 용기는 다공성을 갖는 스펀지 형태의 퍼프를 고정키고, 스펀지 형태의 퍼프에 홀을 형성하거나(제10-0915595호) 홀을 형성하지 않고(제20-0297617호) 퍼프의 다공성을 이용하여 화장액을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홀이 형성된 화장품 용기는 덮개로 홀을 막기 전에는 홀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홀을 통해서 공기 및 세균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홀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화장액이 퍼프의 내부로 퍼져서 낭비될 뿐만 아니라 퍼프에 뭍은 화장액이 오염되거나 세균이 번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915595호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97617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액을 용이하게 배출하면서도 화장액이 배출되는 부분을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이에 적용되는 캡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이에 적용되는 캡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퍼프에 화장액이 함침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퍼프에 뭍은 화장액이 변질되거나 오염되어 퍼프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이에 적용되는 캡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는 화장액이 저장되는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튜브체와 결합되는 캡 베이스, 상기 캡 베이스에 끼움 결합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퍼프, 및 상기 캡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퍼프를 감싸는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퍼프에는 상기 퍼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개부가 이어져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는 타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프는 비다공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프의 표면에는 복수의 미세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프에는 상기 퍼프의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이어진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의 길이는 상기 퍼프 중심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베이스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퍼프는 아래로 이어져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유도관과 상기 유도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보다 더 큰 두께를 갖되 상기 플랜지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실링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캡 베이스는 상기 유도관과 상기 실링 돌기 사이에 삽입되는 가압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덮개에는 상기 퍼프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퍼프를 가압하는 차단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차단 리브가 감싸는 공간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퍼프의 하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 홈의 높이는 상기 퍼프 두께의 1/4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퍼프의 하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제1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굽어져 상기 퍼프의 상면까지 이어진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2개의 절개면을 포함하고, 일측 절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절개면과 마주하는 타측 절개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홈부는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캡은,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캡에 있어서, 하부로 돌출된 결합 돌기를 갖는 캡 베이스, 상기 캡 베이스에 끼움 결합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퍼프, 및 상기 캡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퍼프를 감싸는 상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퍼프에는 상기 퍼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라인으로 이어져 길이를 갖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절개부를 통해서 화장액이 배출되므로 튜브를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절개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으며, 화장액의 배출이 중단될 때, 절개부의 하부에서부터 닫혀지므로 외부의 공기와 세균,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서 화장액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에 형성된 절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에 형성된 절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에 형성된 절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에 형성된 절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1000)는 화장액이 저장되는 튜브체(1100)와 튜브체(1100)에 결합되는 캡(1200)을 포함하며, 캡(1200)은 캡 베이스(1230), 퍼프(1240), 상부 덮개(1210), 안내부재(125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브체(1100)는 내부 공간을 갖고,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튜브체(1100)의 내부에는 선크림, 로션, 토너, 크림 등 다양한 기능성 화장액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튜브체(1100)를 가압하면 화장액이 튜브체(1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튜브체(110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에는 열 융착으로 형성된 평면 형태의 접합부(1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튜브체(1100)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체(11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납작해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튜브체(1100)의 타측 단부에는 배출구(1150)가 형성된 결합부(113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13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결합부(1130)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50)는 결합부(113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캡(1200)은 튜브체(1100)의 결합부(1130)에 나사 결합되며, 화장액의 배출과 도포를 돕는다. 캡(1200)은 튜브체(1100)가 놓이는 상태에서 따라 튜브체(1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캡 베이스(1230)는 대략 타원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로 돌출된 결합 리브(1233)를 갖는다. 캡 베이스(1230)의 상단 지지면(1231)에는 퍼프(1240) 및 안내부재(1250)의 결합을 위한 개구(1236)가 형성된다. 캡 베이스(1230)의 외측면(1232)에는 상부 덮개(1210)와의 결합을 위한 착탈 홈(123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면(1231)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1232)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측면(1232)에는 상부 덮개(1210)의 하단과 맞닿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리브(1233)는 튜브체(1100)를 향하여 돌출되며 원형으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 리브(1233)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결합 리브(1233)는 튜브체(1100)의 결합부(1130)와 나사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개구(1236)는 상기한 배출구(1150)와 이격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배출구(1150)에서 배출된 화장액은 개구(1236)를 통해서 퍼프(1240)로 공급될 수 있다.
캡 베이스(1230)에는 가압 돌기(1235)가 형성되는데, 가압 돌기(1235)는 개구(1236)의 둘레를 따라 이어져 형성되며 하부로 돌출된다. 가압 돌기는 퍼프(1240)의 하단을 가압하여 화장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튜브체(1100)가 캡 베이스(1230)에 결합되면서 안내부재(1250) 및 퍼프(1240)의 하단을 밀어 올리게 되는데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가압 돌기(1235)에 의하여 퍼프(1240)의 하단이 가압될 수 있다.
상부 덮개(1210)는 캡 베이스(1230)에 착탈 결합되는데, 상부 덮개(1210)는 상면(1212)과 상면(1212)에서 캡 베이스를 감싸도록 돌출된 외주면(1213)을 포함한다. 상면(1212)은 대략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이 돌출되거나 함몰된 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주면(1213)은 상면(1212)의 측단을 따라 이어져 캡 베이스(1230)를 향하여 돌출되며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외주면(1213)의 내측에는 상기한 착탈 홈(1234)에 삽입되는 착탈 돌기(1215)가 형성될 수 있다. 착탈 돌기(1215)는 외주면(1213)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1213)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상부 덮개(1210)에는 퍼프(1240)를 향하여 돌출된 차단 리브(1216)가 형성되는데, 차단 리브(1216)는 상면(1212)의 하부에서 아래로 돌출되며,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차단 리브(1216)는 상면(121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리브(1216)는 퍼프(124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면(1212)과 퍼프(1240) 상면의 간격보다 더 큰 높이를 갖는다. 차단 리브(1216)는 화장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바, 이를 위해서 절개부(1246)는 차단 리브(1216)가 감싸는 공간 하부에 형성된다. 상부 덮개(1210) 캡 베이스(1230)에 결합되면 퍼프(1240)에는 차단 리브(1216)에 의하여 눌려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재(1250)는 퍼프(1240)의 하단과 결합부의 선단 사이에 삽입되며, 상부로 돌출된 지지관(1251)과 지지관(125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지지판(1252)을 포함한다. 지지판(1252)은 원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퍼프(1240)의 하단과 튜브체(1100) 사이에 위치한다. 지지관(1251)은 퍼프(1240)에 형성된 유도관(1242)에 삽입되어 개구(1236)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캡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퍼프(124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비다공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비다공성이라 함은 미세 기공이 형성되지 않은 소재뿐만 아니라 화장액이 침투할 수 없는 극미세 기공이 형성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1240)는 캡 베이스(1230) 및 튜브체(1100) 보다 더 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퍼프(1240)가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면 절개부(1246)를 통해서 화장액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장액이 배출된 후에 절개부(1246)가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닫혀질 수 있다.
퍼프(1240)는 절개부(1246)가 형성된 도포 플레이트(1241)와 도포 플레이트(1241)의 하면에서 튜브체(1100)를 향하여 이어져 배출구(1150)와 절개부(1246)를 연결하는 유도관(1242)과 유도관(1242)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1243)와 플랜지(1243)의 측단에 형성된 실링 돌기(1245)를 포함한다. 도포 플레이트는 중앙부분이 외측단보다 더 높게 형성된 곡면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포 플레이트(1241)의 측단은 캡 베이스(1230)에 맞닿아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퍼프(1240)를 이용하여 화장액을 피부에 도포할 때, 도포 플레이트(1241)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포 플레이트(1241)의 중앙에는 절개부(1246)가 이어져 형성되는데, 절개부(1246)는 도포 플레이트(124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퍼프(1240)의 반경방향으로 이어진 길이를 갖는다. 즉, 퍼프(1240)의 상부에서 볼 때, 절개부(1246)는 라인으로 이어져 길이를 갖는다.
도포 플레이트(1241)에는 하나의 절개부(12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절개부(1246)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절개부(1246)는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절개부(1246)는 하나 또는 복수의 직선라인 및 곡선라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246)는 하단이 날카로운 타발 도구(1300)를 이용하여 퍼프(1240)를 두께 방향으로 눌러서 타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타발 도구(13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이어져 형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발 시에 길이를 갖는 절개부(1246)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1246)는 압력의 의해 개방되고 폐쇄되는 안전 밸브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탄성력에 의하여 절개부가 폐쇄되며, 외력이 작용하여 튜브체(1100)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밸브가 개방되면 화장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절개부(1246)의 길이는 퍼프(1240) 중심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퍼프(1240) 중심의 두께는 절개부의 길이의 0.5배 내지 0.9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퍼프(1240) 중심의 두께가 0.5배 보다 더 작으면 화장액의 배출이 중단될 때 절개부(1246)를 안정적으로 폐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퍼프(1240) 중심의 두께가 0.9보다 더 크면 화장액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포 플레이트(1241)의 상면에는 복수의 미세 돌기(1247)가 형성되는데, 미세 돌기(1247)는 반구 형상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미세 돌기(1247)는 도포 플레이트(1241)의 상면에서 기 설정된 간격으로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포 플레이트(1241)에 미세 돌기(1247)가 형성되면 보다 용이하게 화장액을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종래의 퍼프는 스펀지로 이루어져서 퍼프 내에 화장액이 잔존하고 화장액이 퍼프 내부로 퍼져서 퍼프 내부의 화장액이 오염되거나 화장액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제1 실시예와 같이 퍼프(1240)가 다공성을 갖지 않는 무독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면 퍼프(1240) 내부에 화장액이 침투하지 못하여 퍼프(1240) 내부의 화장액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도관(1242)은 도포 플레이트(1241)에서 튜브체(1100)를 향하여 이어져 형성되며, 개구(1236)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유도관(1242)에는 지지관(1251)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플랜지(1243)는 유도관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며 캡 베이스(1230)와 지지판(1252) 사이에 삽입된다. 실링 돌기(1245)는 플랜지(1243)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며 플랜지(1243)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다. 실링 돌기(1245)는 대략 원형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고리 형상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실링 돌기(1245)는 가압 돌기(1235)와 결합될 수 있는데, 가압 돌기(1235)는 실링 돌기(1245)의 내측에서 유도관(1242)과 실링 돌기(1245) 사이에 끼워져 실링 돌기(1245)와 플랜지(1243)의 상면을 함께 가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서 화장액이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튜브체(1100)를 누르면 화장액(1400)이 위로 상승하면 퍼프(1240)를 가압하여 절개부(1246)의 하부가 개방되고 상단은 폐쇄된 상태에서 화장액(1400)이 절개부(1246)로 유입된다. 한편, 사용자가 가압을 중단하면, 절개부(1246)의 상단으로 화장액(1400)이 배출될 때 절개부(1246)의 하단부터 폐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액(1400)의 배출이 시작될 때, 절개부(1246)의 상단은 폐쇄된 상태에서 절개부(1246)의 하부로 화장액(1400)이 유입되고, 화장액(1400)의 배출이 중단될 때에는 절개부(1246)의 하단부터 닫혀지므로 공기의 유입, 또는 외부의 이물질이나 세균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에 형성된 절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퍼프(2100)에는 절개부(1246)가 형성되며, 절개부(2120)의 하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안내 홈(21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절개부(2120)는 일자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안내 홈(2130)은 퍼프(2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 홈(2130)의 높이는 퍼프(2100) 중심 두께의 1/4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 홈(2130)에서 절개부(212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닫혀 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안내 홈(2130)이 형성되면 외력이 작용할 때, 화장액이 안내 홈(2130)을 통해서 보다 용이하게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안내 홈(2130)은 타발로 절개부(2120)가 형성된 후에 커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에 형성된 절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퍼프(2200)에는 절개부(2210)가 형성되며, 절개부(2210)는 퍼프(2200)의 하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제1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부분(2212)과 제1 부분(2212)에서 굽어져 퍼프(2200)의 상면까지 이어진 제2 부분(2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2210)는 십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퍼프(2200)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대하여 10도 내지 30도 경사진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분(2212)은 퍼프(2200) 두께의 1/2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직선으로 이어진 타발 도구를 이용하여 타발로 절개부(2210)를 형성하되, 제1 부분(2212)을 형성한 후, 타발 도구로 누르는 방향을 변경하여 제2 부분(2213)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타발 도구를 이용하여 한번 더 타발하면 십자 형태의 절개부(2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부(2210)가 퍼프(220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부분(2212)과 제2 부분(2213)을 포함하면, 퍼프(2200)가 개방될 때에는 제1 부분이 먼저 개방되고, 제2 부분(2213)은 닫혀지며 퍼프(2200)가 폐쇄될 때에는 제1 부분(2212)이 먼저 닫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퍼프에 형성된 절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퍼프(2300)에는 절개부(2310)가 형성되며, 절개부(2310)는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2개의 절개면(2312, 2313)을 포함한다.
일측 절개면(2312)에는 2개의 돌출부(2315)가 형성되고, 일측 절개면(2312)과 마주하는 타측 절개면(2313)에는 돌출부(2315)가 삽입되는 2개의 홈부(2316)가 형성된다. 돌출부(2315) 및 홈부(2316)는 절개부(2310)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315)는 일측 절개면(2312)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홈부(2316)는 타측 절개면(1313)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2315) 및 홈부(2316)가 형성되면 절개부(2310)를 보다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튜브형 화장품 용기
1100: 튜브체
1150: 배출구
1130: 결합부
1200: 캡
1150: 배출구
1210: 상부 덮개
1212: 상면
1213: 외주면
1215: 착탈 돌기
1216: 차단 리브
1230: 캡 베이스
1231: 지지면
1232: 외측면
1233: 결합 리브
1234: 착탈 홈
1235: 가압 돌기
1236: 개구
1240, 2100, 2200, 2300: 퍼프
1241: 도포 플레이트
1242: 유도관
1243: 플랜지
1245: 실링 돌기
1246, 2120, 2210, 2310: 절개부
1247: 미세 돌기
1250: 안내부재
1251: 지지관
1252: 지지판
1300: 타발 도구
1400: 화장액
2130: 안내 홈
2212: 제1 부분
2213: 제2 부분
2312, 2313: 절개면
2315: 돌출부
2316: 홈부

Claims (11)

  1. 화장액이 저장되는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튜브체와 결합되는 캡 베이스;
    상기 캡 베이스에 끼움 결합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퍼프; 및
    상기 캡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퍼프를 감싸는 상부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퍼프에는 상기 퍼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개부가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퍼프의 하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제1 방향으로 이어진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굽어져 상기 퍼프의 상면까지 이어진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타발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는 비다공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의 표면에는 복수의 미세 돌기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에는 상기 퍼프의 중심에서 외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이어진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의 길이는 상기 퍼프 중심의 두께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베이스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퍼프는 아래로 이어져 상기 개구에 삽입되는 유도관과 상기 유도관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확장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보다 더 큰 두께를 갖되 상기 플랜지의 둘레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실링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캡 베이스는 상기 유도관과 상기 실링 돌기 사이에 삽입되는 가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에는 상기 퍼프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퍼프를 가압하는 차단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차단 리브가 감싸는 공간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에는 상기 퍼프의 하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안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 홈의 높이는 상기 퍼프 두께의 1/4보다 더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9. 삭제
  10. 화장액이 저장되는 튜브체와 상기 튜브체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튜브체와 결합되는 캡 베이스;
    상기 캡 베이스에 끼움 결합되며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퍼프; 및
    상기 캡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퍼프를 감싸는 상부 덮개;
    를 포함하고,
    상기 퍼프에는 상기 퍼프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절개부가 이어져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서로 마주하여 접하는 2개의 절개면을 포함하고, 일측 절개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절개면과 마주하는 타측 절개면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홈부는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11. 삭제
KR1020170172215A 2017-12-14 2017-12-14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KR102037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215A KR102037580B1 (ko) 2017-12-14 2017-12-14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215A KR102037580B1 (ko) 2017-12-14 2017-12-14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91A KR20190071291A (ko) 2019-06-24
KR102037580B1 true KR102037580B1 (ko) 2019-10-28

Family

ID=67055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215A KR102037580B1 (ko) 2017-12-14 2017-12-14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5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410A (ko) 2021-06-22 2022-12-30 방종필 화장품의 보관용량 및 보존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220170412A (ko) 2021-06-22 2022-12-30 방종필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KR20230036444A (ko) 2021-09-07 2023-03-14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10Y1 (ko) * 2012-06-25 2013-09-17 양향우 화장품 실리콘 브러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617Y1 (ko) 2002-06-04 2002-12-12 주식회사 화진코스메틱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캡
KR100915595B1 (ko) 2009-01-09 2009-09-07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 일체형 화장품 튜브 용기
KR101556652B1 (ko) * 2013-04-10 2015-10-01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KR101512442B1 (ko) * 2013-10-07 2015-04-16 변문성 연질 브러시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10Y1 (ko) * 2012-06-25 2013-09-17 양향우 화장품 실리콘 브러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410A (ko) 2021-06-22 2022-12-30 방종필 화장품의 보관용량 및 보존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220170412A (ko) 2021-06-22 2022-12-30 방종필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KR20230036444A (ko) 2021-09-07 2023-03-14 박영란 튜브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91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4605A (en) Dispensing head for a product of liquid to viscous consistency, comprising an elastic closing element and a dispensing unit thus equipped
KR102037580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KR200479855Y1 (ko) 버튼부재 측면에 탈부착되는 도포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10531721B2 (en) Deodorant dispenser and refill cartridge therefor
US6688793B2 (en) Applicator device for applying product
JP2005324868A (ja) 物質特に化粧品やケア製品の包装装置
JP6183796B2 (ja) 液剤容器用キャップ
US10117496B2 (en) Dropper and cosmetics container having the same
EP2744723B1 (en) Product dispensing head for a container and associated dispensing device
KR101845460B1 (ko) 액체 도포 마개
KR20160074689A (ko) 주름관이 형성된 이액 혼합 용기
US4485807A (en) Applicator for massaging the cutaneous covering
JP2005118563A (ja) 物質の包装及び塗布装置
KR200481202Y1 (ko) 다수의 도포용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펌프 용기
JP4510580B2 (ja) 包装及びアプリケータ装置
EP0100204B1 (en) Applicator for creams and viscous liquids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JP2002000354A (ja) 塗布具
KR200370137Y1 (ko) 액체 어플리케이터
KR102036479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200490765Y1 (ko) 화장품 용기
KR102203954B1 (ko) 화장품 용기
KR102343788B1 (ko) 화장품 용기
JP6923751B2 (ja) 製品、とりわけ液体化粧品を梱包及び塗布するための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