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70412A -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70412A
KR20220170412A KR1020210081080A KR20210081080A KR20220170412A KR 20220170412 A KR20220170412 A KR 20220170412A KR 1020210081080 A KR1020210081080 A KR 1020210081080A KR 20210081080 A KR20210081080 A KR 20210081080A KR 20220170412 A KR20220170412 A KR 20220170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s
spout
cylindrical tube
cosmetic contain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종필
Original Assignee
방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종필 filed Critical 방종필
Priority to KR102021008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70412A/ko
Publication of KR20220170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4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01N59/20C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36Bending and joining, e.g. for mak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65D35/08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from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Tubes (AREA)
  • Cosme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시트를 말아 원통형 관으로 성형하는 시트가공단계, 상기 시트가공단계를 통해 제조된 원통형 관의 일단면에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스파우트를 형성하고, 상기 스파우트의 단부를 밀봉재로 밀봉하는 스파우트형성단계 및 상기 스파우트형성단계를 통해 일단면에 스파우트가 형성된 원통형 관에 화장품을 주입하고, 원통형 관의 타단면을 원반형의 마감재로 마감하는 마감단계 및 상기 마감단계를 통해 화장품이 밀봉된 원통형 관에 형성된 스파우트에 캡을 결합하는 캡결합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은 화장품의 보관용량이 증가되며, 용기 내에 충전된 화장품의 보존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키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tubular cosmetic container filled with cosmetics}
본 발명은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의 보관용량이 증가되며, 용기 내에 충전된 화장품의 보존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키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스킨, 로션, 크림, 파우더 등으로 크게 구분되며, 이러한 화장품들은 점도에 또는 사용법에 따라 특정 용기에 수용된다.
상기 파우더 화장품은 분말 자체 또는 압축 고형화된 경우 함체 또는 팔레트에 수용되고, 액체인 경우에는 튜브 용기에 수용되며, 스킨 등과 같이 점성이 있는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튜브형 화장품용기는 용기의 상부에 용액 토출구와 캡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 결합부에 캡을 조립 또는 분리시켜 용액 토출구를 개폐함으로써 용기를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킬 수 있게되고, 캡을 분리시켜 용액 토출구를 개방한 상태에서 용기의 몸체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용기 내부의 화장용액을 용액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튜브형 화장품용기는 용기를 가압하여 용액을 배출하도록 되어 가압시 배출된 액체가 환경에 따라 점도 낮아 흘려 내리거나 유출된 양이 제대로 조절되지 못하는 점이 발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경우 하부면이 밀봉되어 내부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화장품을 주입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화장품 용기가 자립되지 못하기 때문에, 화장품 용기 캡을 넓게 제조하여, 거꾸로 세우는 방법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형태의 용기는 용기 캡이 제대로 닫혀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점도가 낮은 내용물이 쉽게 용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512442호(2015.04.09) 한국특허등록 제10-2037580호(2019.10.22)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의 보관용량이 증가되며, 용기 내에 충전된 화장품의 보존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키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 시트를 말아 원통형 관으로 성형하는 시트가공단계, 상기 시트가공단계를 통해 제조된 원통형 관의 일단면에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스파우트를 형성하고, 상기 스파우트의 단부를 밀봉재로 밀봉하는 스파우트형성단계, 상기 스파우트형성단계를 통해 일단면에 스파우트가 형성된 원통형 관에 화장품을 주입하고, 원통형 관의 타단면을 원반형의 마감재로 마감하는 마감단계 및 상기 마감단계를 통해 화장품이 밀봉된 원통형 관에 형성된 스파우트에 캡을 결합하는 캡결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 시트는 올레핀 수지와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천연 항균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내면층, 상기 내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폴리에틸렌 수지와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항균제는 구리나노입자, 키토산, 아미노화합물, 삼백초 추출물 및 천연유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은 화장품의 보관용량이 증가되며, 용기 내에 충전된 화장품의 보존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키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을 통해 튜브형 화장품 용기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 시트를 말아 원통형 관(10)으로 성형하는 시트가공단계(S101), 상기 시트가공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원통형 관(10)의 일단면에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스파우트(20)를 형성하고, 상기 스파우트(20)의 단부를 밀봉재로 밀봉하는 스파우트형성단계(S103), 상기 스파우트형성단계(S103)를 통해 일단면에 스파우트(20)가 형성된 원통형 관(10)에 화장품을 주입하고, 원통형 관(10)의 타단면을 원반형의 마감재(14)로 마감하는 마감단계(S105) 및 상기 마감단계(S105)를 통해 화장품이 밀봉된 원통형 관(10)에 형성된 스파우트(20)에 캡(30)을 결합하는 캡결합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가공단계(S101)는 합성수지 시트를 말아 원통형 관(10)으로 성형하는 단계로, 합성수지 시트를 말아 원통형 관(10)으로 만든 후에 합성수지 시트의 접촉부분을 영융착하여 고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는 올레핀 수지와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천연 항균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내면층(11), 상기 내면층(11)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폴리에틸렌 수지와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중간층(12) 및 상기 중간층(12)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층(13)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내면층(11)은 50 내지 60㎛의 두께로 형성되며, 올레핀 수지와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천연 항균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250 내지 350 중량부 및 천연 항균제 1 내지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항균제는 구리나노입자, 키토산, 아미노화합물, 삼백초 추출물 및 천연유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천연 항균제가 함유되면 상기 본체에 담겨지는 화장품이 수분 등에 의해 뭉쳐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균 등에 의해 부패되는 현상이 차단되어 보존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 항균제로는 구리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리나노입자는 10 내지 100 나노미터의 입자크기를 나타내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의 구리나노입자의 입자크기가 10 나노미터 미만이면 구리나노입자간의 뭉침현상이 발생하여 올레핀 수지와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대한 분산력이 저하되며, 상기 구리나노입자의 입자크기가 100 나노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구리나노입자의 비표면적이 줄어들어 항균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12)은 상기 내면층(11)의 상부면에 5 내지 15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 수지와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은 접착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중간층(12)은 수분투과율을 낮추는 역할을 할 뿐마 아니라, 상기 내면층(11)과 상기 외피층(13)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피층(13)은 상기 중간층(12)의 상부면에 10 내지 2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며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외피층(13)은 수분투과율을 낮춰줄 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우수하여 촉감이나 외관품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파우트형성단계(S103)는 상기 시트가공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원통형 관(10)의 일단면에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스파우트(20)를 형성하고, 상기 스파우트(20)의 단부를 밀봉재로 밀봉하는 단계로, 이때 상기 밀봉재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파우트를 통해 화장품이 용출되지 않고록 할 수 있는 성분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나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알루미늄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20)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 내에 충전된 화장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그 종류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단, 이때 상기 스파우트(20)의 성분은 상기 외피층(13)을 구성하는 성분과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져, 사출과정을 통해 상기 원통형 관(10)의 일단면에 사출되었을 때, 상기 원통형 관(10)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단계(S105)는 상기 스파우트형성단계(S103)를 통해 일단면에 스파우트(20)가 형성된 원통형 관(10)에 화장품을 주입하고, 원통형 관(10)의 타단면을 원반형의 마감재(14)로 마감하는 단계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마감단계(S105)를 거치면, 튜브형 화장품 용기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직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캡을 넓게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장품의 투입량을 늘릴 수 있다.
단, 이때 상기 마감재(14)의 성분은 상기 외피층(13)을 구성하는 성분과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감단계(S105)를 통해 상기 원통형 관(10)의 타단면에 형성되었을 때, 열융착 등을 통해 상기 원통형 관(10)에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결합단계(S107)는 상기 마감단계(S105)를 통해 화장품이 밀봉된 원통형 관(10)에 형성된 스파우트(20)에 캡(30)을 결합하는 단계로, 상기 캡(30)은 상기 스파우트(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파우트(20)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밀봉하여 원통형 관(10)에 투입된 화장품의 변질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은 화장품의 보관용량이 증가되며, 용기 내에 충전된 화장품의 보존성을 월등하게 향상시키는 튜브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S101 ; 시트가공단계
S103 ; 스파우트형성단계
S105 ; 마감단계
S107 ; 캡결합단계
10 ; 원통형 관
11 ; 내면층
12 ; 중간층
13 ; 외피층
20 ; 스파우트
30 ; 캡

Claims (3)

  1. 합성수지 시트를 말아 원통형 관으로 성형하는 시트가공단계;
    상기 시트가공단계를 통해 제조된 원통형 관의 일단면에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스파우트를 형성하고, 상기 스파우트의 단부를 밀봉재로 밀봉하는 스파우트형성단계;
    상기 스파우트형성단계를 통해 일단면에 스파우트가 형성된 원통형 관에 화장품을 주입하고, 원통형 관의 타단면을 원반형의 마감재로 마감하는 마감단계; 및
    상기 마감단계를 통해 화장품이 밀봉된 원통형 관에 형성된 스파우트에 캡을 결합하는 캡결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시트는 올레핀 수지와 메탈로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에 천연 항균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내면층;
    상기 내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폴리에틸렌 수지와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폴리아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외피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항균제는 구리나노입자, 키토산, 아미노화합물, 삼백초 추출물 및 천연유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KR1020210081080A 2021-06-22 2021-06-22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KR20220170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080A KR20220170412A (ko) 2021-06-22 2021-06-22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080A KR20220170412A (ko) 2021-06-22 2021-06-22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412A true KR20220170412A (ko) 2022-12-30

Family

ID=84538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080A KR20220170412A (ko) 2021-06-22 2021-06-22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7041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42B1 (ko) 2013-10-07 2015-04-16 변문성 연질 브러시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2037580B1 (ko) 2017-12-14 2019-10-28 추승영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42B1 (ko) 2013-10-07 2015-04-16 변문성 연질 브러시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102037580B1 (ko) 2017-12-14 2019-10-28 추승영 튜브형 화장품 용기 및 이에 적용되는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8005789A (es) Ensamblaje de valvula unidireccional.
KR101683098B1 (ko) 기능성 화장품 파우치
CN1273205A (zh) 多层容器
US8273280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thin-walled flexible plastic tube with label
US20140321898A1 (en) Plastic container for a roll-on deodorant
US6506464B1 (en) Squeezable multilayered container
JPH04114869A (ja) 肩部バリヤー性の向上したラミネートチューブ容器
KR20220170412A (ko) 화장품이 충전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제조방법
CN105540059B (zh) 具有加压开放的非熔接线的双重袋
CA2277948C (en) Rigid thermoplastic squeeze container having self-sealing dispensing valve
WO2006029055A3 (en) Squeezable multi-compartment container
JP2019182463A (ja) スパウト付き袋
DE102006028106A1 (de) Kunststoffverschlußsystem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8120426A (ja) 逆止弁付きチューブ
US10364087B2 (en) Container with an inner bag
KR20220170410A (ko) 화장품의 보관용량 및 보존성이 향상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JP2020172300A (ja) チューブ容器
CN110505955A (zh) 建立由彼此不同的塑料材料构成的构件之间的连接的方法和与其相关的具有倒出顶盖的容器
DE19726179A1 (de) Behälter mit einem im Behälter befindlichen Produkt
JPH07186190A (ja) 多層射出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CH706369A2 (de) Kaffeekapsel.
JPH0811157A (ja) 絞り出しチューブ状容器
WO2015090990A2 (de) Leichtverpackung mit dosierkammer
CN217865761U (zh) 一种树脂包装容器
KR200393705Y1 (ko) 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