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252B1 -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252B1
KR101612252B1 KR1020140033026A KR20140033026A KR101612252B1 KR 101612252 B1 KR101612252 B1 KR 101612252B1 KR 1020140033026 A KR1020140033026 A KR 1020140033026A KR 20140033026 A KR20140033026 A KR 20140033026A KR 101612252 B1 KR101612252 B1 KR 101612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container body
container
pa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772A (ko
Inventor
김준영
지혜란
최정선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MYPI201670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MY181223A/en
Priority to CN201580015171.4A priority patent/CN106132239A/zh
Priority to SG11201607156QA priority patent/SG11201607156QA/en
Priority to JP2016557024A priority patent/JP6332775B2/ja
Priority to EP15764770.2A priority patent/EP3103363B1/en
Priority to PCT/KR2015/000537 priority patent/WO2015141937A1/ko
Priority to US15/121,752 priority patent/US9936791B2/en
Publication of KR2015008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252B1/ko
Priority to HK16114434A priority patent/HK1225932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2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for compacts, vanity boxes or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무배출패드를 결합하여 고무배출패드를 가압하게 되면 탄성에 의해 상기 고무배출패드가 용기본체의 아래쪽까지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잔량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본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상기 고무배출패드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패드를 누르는 힘에 따라 토출구의 팽창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용기본체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무배출패드와 텐션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텐션캡을 결합시켜 상기 텐션돌기가 고무배출패드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무배출패드를 팽팽하게 만들고, 텐션캡이 고무배출패드를 용기본체에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고무배출패드를 가압할 때 상기 고무배출패드가 용기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수용홈(15)이 형성된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10)에 수용되며 내벽(32)이 형성된 용기본체(30);
상기 용기본체(30)와 힌지 결합되는 용기뚜껑(40);
상기 용기본체(30) 상단에 결합되며 토출구(51)가 형성된 고무배출패드(50);
상기 고무배출패드(50)를 눌러주는 동시에 용기본체(30)에 고정시키는 텐션캡(60);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끝단에 끼움부(5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52)는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끼워져 고무배출패드(50)가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텐션캡(60)은 텐션돌기(61)를 형성하며, 용기본체(30)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돌기(61)가 고무배출패드(50)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고무배출패드(50)를 팽팽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본체(30)는 옆면에 내벽(32)과 외벽(3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벽(32)에는 끼움돌기(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뚜껑(40)은 아래쪽에 밀폐편(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구(51)는 0.01mm 내지 1.2mm의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구(51)는 100개 내지 600개를 고무배출패드(50)에 분포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300개 내지 500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에는 프레임(7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텐션캡(60)과 프레임(70) 사이에 결합되어 용기본체(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본체(30) 내측에는 함침부재(8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rubber discharging pad}
본 발명은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무배출패드를 결합하여 고무배출패드를 가압하게 되면 탄성에 의해 상기 고무배출패드가 용기본체의 아래쪽까지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잔량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본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상기 고무배출패드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패드를 누르는 힘에 따라 토출구의 팽창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용기본체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무배출패드와 텐션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텐션캡을 결합시켜 상기 텐션돌기가 고무배출패드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무배출패드를 팽팽하게 만들고, 텐션캡이 고무배출패드를 용기본체에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고무배출패드를 가압할 때 상기 고무배출패드가 용기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신의 얼굴을 아름답게 보이기 위해 사용되는 화장품은 그 기능에 따라 크게 기초 화장품, 기능성 화장품 및 색조 화장품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색조화장품은 얼굴이나 손톱 등 신체에 도포하여 색채감을 부여함으로써 피부색을 아름답게 표현하고, 기초 제품으로 커버할 수 없는 피부 결점을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색조화장품은 공해나 먼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며 얼굴 윤곽을 수정해 주고 입체감을 주는 효과가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색조화장품으로 피부 결함을 커버하여 매끈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파우더 팩트가 있는데, 상기 파우더 팩트는 분상의 내용물을 수용하고, 퍼프를 이용하여 상기 분상의 내용물을 화장부위에 도포하여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상기 파우더 팩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중에 분상의 내용물이 비산되고, 얼굴에 도포시 밀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겔(Gel)상 내용물의 파운데이션이 개발되었는데, 상기 파운데이션 화장품은 색조 분말원료에 고착제(binder), 유화제(emulsifier)와 같은 성분을 혼합하고 일정온도에서 용융, 냉각시킨 뒤 내용물을 파운데이션 케이스와 같은 화장품 용기에 담아 완제품으로 생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운데이션 용기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62370호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재료가 수용되는 내부용기(1)와 외주연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용기(1)가 내부에 마련된 용기수납공간(2)에 삽입 설치되는 하부용기(3)와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하부용기(3)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상부에 분첩이 보관되는 퍼프수납공간(4)이 형성된 상부용기(5) 및 상기 상부용기(5)의 일측면에 형성된 힌지에 힌지 축결합되어 상하 개폐되는 뚜껑(6)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파운데이션 용기는 화장을 할 때 용기 하부용기(3)로부터 상부용기(5)를 분리한 후 상부용기(5)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품 내용물을 퍼프로 직접 찍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한번에 너무 많은 양의 화장품 내용물이 퍼프에 묻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9877호로 겔상의 화장품 내용물을 함침부재(200)에 함침시켜 콤팩트 용기(100)에 수용한 제품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함침부재(200)에 함침되어 있는 겔상의 내용물을 퍼프로 찍어서 사용함에 따라 함침부재(200) 상부에 있던 내용물은 점점 없어져가는 동시에 중력에 의해 내용물이 함침부재(200) 하부로 이동하게 되어 함침부재(200) 하부에 함침된 내용물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함침부재(200)에 함침된 내용물을 퍼프로 직접 찍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량을 사용자가 임의로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본체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무배출패드를 결합하여 고무배출패드를 가압하게 되면 탄성에 의해 상기 고무배출패드가 용기본체의 아래쪽까지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잔량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상기 고무배출패드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패드를 누르는 힘에 따라 토출구의 팽창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용기본체에 다수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고무배출패드와 텐션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텐션캡을 결합시켜 상기 텐션돌기가 고무배출패드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고무배출패드를 팽팽하게 만들고, 텐션캡이 고무배출패드를 용기본체에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고무배출패드를 가압할 때 상기 고무배출패드가 용기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수용홈(15)이 형성된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10)에 수용되며 내벽(32)이 형성된 용기본체(30);
상기 용기본체(30)와 힌지 결합되는 용기뚜껑(40);
상기 용기본체(30) 상단에 결합되며 토출구(51)가 형성된 고무배출패드(50);
상기 고무배출패드(50)를 눌러주는 동시에 용기본체(30)에 고정시키는 텐션캡(60);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끝단에 끼움부(5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52)는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끼워져 고무배출패드(50)가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텐션캡(60)은 텐션돌기(61)를 형성하며, 용기본체(30)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돌기(61)가 고무배출패드(50)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고무배출패드(50)를 팽팽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본체(30)는 옆면에 내벽(32)과 외벽(3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벽(32)에는 끼움돌기(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뚜껑(40)은 아래쪽에 밀폐편(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구(51)는 0.01mm 내지 1.2mm의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구(51)는 100개 내지 600개를 고무배출패드(50)에 분포시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300개 내지 500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에는 프레임(7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텐션캡(60)과 프레임(70) 사이에 결합되어 용기본체(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본체(30) 내측에는 함침부재(8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에 고무배출패드를 결합하여 상기 고무배출패드가 용기본체의 아래쪽까지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잔량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상기 고무배출패드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패드를 누르는 힘에 따라 토출구의 팽창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에 고무배출패드와 텐션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텐션캡을 결합시켜 상기 텐션캡이 고무배출패드를 용기본체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므로 고무배출패드를 가압할 때 상기 고무배출패드가 용기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파운데이션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다른 파운데이션 용기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에 고무배출패드를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에 고무배출패드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에 텐션캡을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에 텐션캡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함침부재가 장착되고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텐션캡과 고무배출패드와 프레임이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텐션캡과 고무배출패드와 프레임을 결합한 후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텐션캡과 고무배출패드와 프레임을 결합한 후 용기본체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에 고무배출패드를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에 고무배출패드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에 텐션캡을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에 텐션캡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에 함침부재가 장착되고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텐션캡과 고무배출패드와 프레임이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텐션캡과 고무배출패드와 프레임을 결합한 후 용기본체에 결합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텐션캡과 고무배출패드와 프레임을 결합한 후 용기본체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수용홈(15)이 형성된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10)에 수용되며 내벽(32)이 형성된 용기본체(30)와 상기 용기본체(30)와 힌지 결합되는 용기뚜껑(40)과 상기 용기본체(30) 상단에 결합되며 토출구(51)가 형성된 고무배출패드(50)와 상기 고무배출패드(50)를 팽팽하게 눌러주는 동시에 용기본체(30)에 고정시키는 텐션캡(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용기(10)는 일측면에 잠금턱(12)을 구비한 누름버튼(11)과 상기 누름버튼(12)의 마주보는 쪽에 힌지가 형성되어 외용기뚜껑(20)과 힌지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용기본체수용홈(15)을 구비하고, 내주면에는 결합돌기(13)가 형성되고, 내주연에는 힌지블라켓장착홈(14)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11)은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누름버튼(11)의 상부에 연장 형성된 잠금턱(12)이 용이하게 후퇴되어 외용기뚜껑(20)의 잠금돌기(21)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돌기(13)는 외용기(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용기본체(30)가 장착 결합된다.
상기 힌지블라켓장착홈(14)에는 용기본체(30)의 힌지블라켓(36)이 장착되며, 상기 용기본체수용홈(15)에는 용기본체(30)가 위치한다.
상기 외용기뚜껑(20)은 외용기(10)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외용기(10)와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며, 외용기(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용기뚜껑(20)의 일측에는 잠금돌기(21)를 형성하되 외용기(10)의 잠금턱(12)과 대응되도록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30)는 내용물수용공간(31)을 구비하며 옆면에는 내벽(32)과 외벽(33)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33)의 외주면에는 결합홈(35)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수용공간(31)에는 내용물이 수용된다.
또한, 용기본체(30)의 내용물수용공간(31)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함침부재(8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함침부재(80)는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라텍스, 실리콘,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32)은 상단에 끼움돌기(34)가 형성되며,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돌기(34)에는 고무배출패드(50)의 끼움부(52)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외벽(33)은 용기뚜껑(40)의 밀폐편(42)이 끼워져서 용기본체(30)의 기밀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벽(32)과 외벽(33) 사이에는 텐션캡(60)이 끼움 결합된다.
상기 결합홈(35)은 외벽(33)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용기본체(30)가 외용기(10)의 용기본체수용홈(15)에 수용될 때, 상기 용기본체(30)를 고정 결합시켜주는 것으로 외용기(10)의 결합돌기(13)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30)는 용기뚜껑(40)과 결합을 위한 힌지블라켓(36)과 힌지핀(37)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블라켓(36)은 용기본체(30)의 측면에 형성되며 외용기(10)의 힌지블라켓장착홈(14)에 장착되고, 힌지핀(37)에 의해 용기뚜껑(40)과 힌지 결합된다.
상기 용기뚜껑(40)의 일측면에는 용이한 개폐를 위해 개폐손잡이(41)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뚜껑(40)의 하단에는 밀폐편(42)이 형성되어 용기본체(30)의 외벽(33) 내측에 끼워져서 상기 용기본체(30)의 기밀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기뚜껑(40)은 일측에 힌지돌기(43)를 형성하며, 용기본체(30)의 힌지블라켓(36)에 끼워진 후, 힌지핀(37)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용기뚜껑(40)의 상면에는 화장도구인 퍼프(도면미도시)를 보관할 수 있는 퍼프내장공간(44)이 형성된다.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게 다수의 토출구(51)가 형성되며, 끝단에 끼움부(52)가 형성된다.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탄성에 의해서 용기본체(30)의 아래쪽까지 고무배출패드(50)가 눌려져서 용기본체(30)에 수용된 내용물을 잔량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내용물이 고무배출패드(50)의 토출구(51)를 통과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고무배출패드(50)를 누르는 힘에 따라 용기본체(30)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천연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고무 또는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출구(51)의 크기는 0.01mm 내지 1.2mm로 형성되며, 토출구(51)의 개수는 100개 내지 600개를 고무배출패드(50)에 분포시켜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300개 내지 500개로 한다.
아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의 각각의 고무배출패드에 대하여, 20대에서 30대 여성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사용감을 알아보았다.
[실험예 1] 고무배출패드의 토출구 크기에 따른 사용감 측정
고무배출패드의 토출구 크기에 따른 소비자의 사용감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토출구 크기

0.007mm

0.01mm

0.05mm

0.8mm

1.2mm

1.5mm

사용감 점수

2.42

4.24

4.65

4.82

4.18

2.78
(1.0:매우나쁨, 2.0:나쁨, 3.0:보통, 4.0:좋음, 5.0:매우좋음)
고무배출패드(50)의 토출구(51) 크기에 따른 소비자 사용감 측정 결과 토출구(51)의 크기가 0.01mm미만이면 내용물의 입자가 표면장력에 의해 내용물의 배출이 원할하지 않아 소비자의 사용감이 나쁘며, 1.2mm을 초과하면 내용물이 과도하게 배출되어 소비자의 사용감은 나쁘고 고무배출패드(50)가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없게 된다.
[실험예 2] 고무배출패드의 토출구 개수에 따른 사용감 측정
고무배출패드(50)의 토출구(51) 개수에 따른 소비자의 사용감을 측정하기 위해 고무배출패드(50)의 토출구(51) 크기를 0.08mm로 한 후, 다양한 토출구(51) 개수의 고무배출패드(50)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 후 소비자의 사용감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토출구 개수

70개

100개

300개

400개

600개

650개

사용감 점수

2.36

4.18

4.85

4.90

4.24

2.72
(1.0:매우나쁨, 2.0:나쁨, 3.0:보통, 4.0:좋음, 5.0:매우좋음)
고무배출패드(50)의 토출구(51) 개수에 따른 사용감을 측정한 결과 토출구(51)의 개수가 100개 미만이면 내용물의 배출이 원할하지 않아 소비자의 사용감이 나쁘며, 600개를 초과하면 내용물의 배출량이 너무 많아져서 소비자의 사용감이 나쁘고 고무배출패드(50)가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출구(51)의 개수가 300개 이상 400개 미만일 경우 내용물의 배출량이 가장 적절하고, 사용감이 매우 우수하다.
즉, 내용물이 고무배출패드(50)의 토출구(51)를 통과하여 배출되기 때문에, 크기는 0.01mm 내지 1.2mm로 형성하고, 개수는 100개 내지 600개를 가져야 소비자의 사용감이 우수하며, 적절한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끝단에 끼움부(5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52)는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끼워져 고무배출패드(50)가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고정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고무배출패드(50)가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직접 고정 결합되지만, 도 8a 내지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70)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텐션캡(60)과 프레임(70) 사이에 결합된 후, 용기본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0)은 상단에 결합돌기(7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71)에 고무배출패드(50)의 끼움부(52)를 끼워서 결합한다.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도 8b와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70)에 끼워진 다음, 텐션캡(60)에 결합되어 용기본체(30) 내벽(32)의 끼움돌기(34)에 결합되면 프레임(70)이 없이 결합되는 것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무배출패드(50)가 결합된 프레임(70)을 텐션캡(60)에 미리 조립해 둔 후, 용기본체(30)에 조립하면 본 발명의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생산할 때 부품의 모듈화에 따라 공정이 간편하여 생산속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텐션캡(60)은 상면에 텐션돌기(61)가 형성되며, 상기 텐션캡(60)은 용기본체(30)의 내벽(32)과 외벽(33)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텐션돌기(61)는 도 5와 도 6d와 도 7과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배출패드(50)의 테두리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고무배출패드(50)를 팽팽하게 만들고, 텐션캡(60)이 고무배출패드(50)를 용기본체(30)에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고무배출패드(50)를 가압할 때 상기 고무배출패드(50)가 용기본체(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수용홈(15)이 형성된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는 외용기뚜껑(20)에서 상기 외용기(10)의 내측으로 용기본체(30)가 결합된다.
상기 용기본체(30)는 용기뚜껑(40)과 힌지 결합으로 결합된다.
이후, 도 6a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30)의 상단에 고무배출패드(50)를 결합하여 조립한 후, 도 6c와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30)에 탠션캡(60)을 끼움 결합하여 본 발명의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또는, 상기 고무배출패드(50)가 용기본체(30)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도 8a 내지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배출패드(50)가 프레임(70)에 결합되어 용기본체(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퍼프를 이용하여 고무배출패드(50)를 가압한다.
상기 고무배출패드(50)를 가압하면 고무배출패드(5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고무배출패드(50)가 용기본체(30)의 아래쪽까지 눌려짐으로써, 상기 용기본체(30)에 수용된 내용물을 잔량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30)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상기 고무배출패드(50)의 토출구(51)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고무배출패드(50)를 누르는 힘에 따라 토출구(51)의 팽창 크기가 달라지게 되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와 도 6d와 도 7과 도 8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텐션캡(60)의 텐션돌기(61)가 고무배출패드(50)의 테두리 부분을 가압하여 고무배출패드(50)를 팽팽하게 만들고, 텐션캡(60)이 고무배출패드(50)를 용기본체(30)에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를 사용할 때 상기 고무배출패드(50)가 용기본체(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30) 내에는 함침부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 저점도 유중수형 제품은 유통 중 용기내에서 장기간 보관시 내상인 수상과 외상인 유상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있는데 내용물을 함침부재(80)에 함침시켜 놓으면 스펀지 타입으로 이루어진 함침부재(80)의 작은 셀내에 내용물이 담겨져 있게 되므로 셀내의 표면장력에 의해 수상과 유상으로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외용기 11:누름버튼
12:잠금턱 13:결합돌기
14:힌지블라켓장착홈 15:용기본체수용홈
20:외용기뚜껑 21:잠금돌기
30:용기본체 31:내용물수용공간
32:내벽 33:외벽
34:끼움돌기 35:결합홈
36:힌지블라켓 37:힌지핀
40:용기뚜껑 41:개폐손잡이
42:밀폐편 43:힌지돌기
44:퍼프내장공간 50:고무배출패드
51:토출구 52:끼움부
60:텐션캡 61:텐션돌기
70:프레임 71:결합돌기
80:함침부재

Claims (12)

  1. 용기본체수용홈(15)이 형성된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10)에 수용되며 내벽(32)이 형성된 용기본체(30);
    상기 용기본체(30)와 힌지결합되는 용기뚜껑(40);
    상기 용기본체(30) 상단에 결합되며 토출구(51)가 형성된 고무배출패드(50);
    상기 고무배출패드(50)를 눌러주는 동시에 용기본체(30)에 고정시키는 텐션캡(60);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끝단에 끼움부(5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52)는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끼워져 고무배출패드(50)가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텐션캡(60)은 텐션돌기(61)를 형성하며, 용기본체(30)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돌기(61)가 고무배출패드(50)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고무배출패드(50)를 팽팽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2. 용기본체수용홈(15)이 형성된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는 외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10)의 내측으로 내벽(32)이 형성된 용기본체(30)가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30)는 용기뚜껑(40)과 힌지결합을 하고, 상기 용기본체(30)의 상단에 토출구(51)가 형성된 고무배출패드(50)가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30)에 텐션돌기(61)가 형성된 탠션캡(60)을 끼움 결합하되,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끝단에 끼움부(52)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52)는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끼워져 고무배출패드(50)가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3. 용기본체수용홈(15)이 형성된 외용기(10)와 상기 외용기(1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10)에 수용되며 내벽(32)이 형성된 용기본체(30);
    상기 용기본체(30)와 힌지결합되는 용기뚜껑(40);
    상기 용기본체(30) 상단에 결합되는 프레임(70);
    상기 프레임(70) 상부에 결합되며 토출구(51)가 형성된 고무배출패드(50);
    상기 고무배출패드(50)와 프레임(70)이 결합되는 텐션캡(60);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무배출패드(50)는 끝단에 끼움부(52)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52)는 프레임(70)의 결합돌기(71)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70)은 용기본체(30)의 내벽(32)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텐션캡(60)은 텐션돌기(61)를 형성하며, 용기본체(30)에 결합되고,
    상기 텐션돌기(61)가 고무배출패드(50)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고무배출패드(50)를 팽팽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0) 내벽(32)의 옆면에 외벽(3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0) 내벽(32)에는 끼움돌기(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30)는 내측에 함침부재(80)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부재(80)는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라텍스, 실리콘,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40)은 아래쪽에 밀폐편(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51)는 0.01mm 내지 1.2mm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51)는 100개 내지 600개를 고무배출패드(50)에 분포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토출구(51)는 300개 내지 500개를 고무배출패드(50)에 분포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0140033026A 2014-01-20 2014-03-20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1612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MYPI2016703079A MY181223A (en) 2014-01-20 2014-03-20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CN201580015171.4A CN106132239A (zh) 2014-01-20 2015-01-19 设置有橡胶排出垫的化妆品容器
SG11201607156QA SG11201607156QA (en) 2014-03-20 2015-01-19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JP2016557024A JP6332775B2 (ja) 2014-01-20 2015-01-19 ゴム排出パッド付き化粧品容器
EP15764770.2A EP3103363B1 (en) 2014-01-20 2015-01-19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PCT/KR2015/000537 WO2015141937A1 (ko) 2014-01-20 2015-01-19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15/121,752 US9936791B2 (en) 2014-01-20 2015-01-19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HK16114434A HK1225932A1 (zh) 2014-01-20 2016-12-20 設置有橡膠排出墊的化妝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901 2014-01-20
KR1020140006901 2014-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772A KR20150087772A (ko) 2015-07-30
KR101612252B1 true KR101612252B1 (ko) 2016-04-15

Family

ID=53876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026A KR101612252B1 (ko) 2014-01-20 2014-03-20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6791B2 (ko)
JP (1) JP6332775B2 (ko)
KR (1) KR101612252B1 (ko)
HK (1) HK1225932A1 (ko)
MY (1) MY1812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228A1 (ko) * 2016-08-04 2018-02-08 정재용 이탈방지부를 갖는 배출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80016283A (ko) * 2016-08-04 2018-02-14 정재용 이탈방지부를 갖는 배출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6609A (ko)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1584512B1 (ko) * 2015-02-16 2016-01-25 (주)아모레퍼시픽 밀폐링을 갖는 리필용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30807B1 (ko) * 2015-05-29 2017-04-28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쿠션시트가 구비된 액상 화장품 콤팩트 케이스
US20180037375A1 (en) * 2015-11-04 2018-02-08 Pum-Tech Korea Co., Ltd Compact container having button integrally formed thereon
US20200017271A1 (en) * 2015-11-27 2020-01-16 Pum-Tech Korea Co., Ltd Foundation container capable of firmly fixing rubber pad
WO2017213298A1 (en) * 2016-06-10 2017-12-14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vessel
KR102373857B1 (ko) * 2016-10-26 2022-03-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D817755S1 (en) * 2016-11-23 2018-05-15 Kolmar Korea Co., Ltd. Container for cosmetics
TWD186486S (zh) * 2016-12-16 2017-11-01 Lg生活健康股份有限公司 粉餅容器
US10159324B2 (en) * 2016-12-25 2018-12-25 Pt Kemas Indah Maju Co., Ltd. Device having a sealable container for a volatile composition
US11779093B2 (en) 2016-12-25 2023-10-10 Pt. Kemas Indah Maju Co., Ltd Device having a sealable container for a volatile composition
USD850904S1 (en) * 2017-01-11 2019-06-11 Fskorea. Co., Ltd. Container for cosmetics
USD830166S1 (en) * 2017-01-11 2018-10-09 Fskorea. Co., Ltd. Container for cosmetics
USD832522S1 (en) * 2017-03-31 2018-10-30 Kolmar Korea Co., Ltd. Container for cosmetics
JP1600774S (ko) * 2017-04-06 2021-03-29
JP1600775S (ko) * 2017-04-06 2021-03-29
USD846196S1 (en) * 2017-04-06 2019-04-16 Kolmar Korea Co., Ltd. Container for cosmetics
USD832523S1 (en) * 2017-04-06 2018-10-30 Kolmar Korea Co., Ltd. Compact for cosmetics
CA3064814C (en) * 2017-05-26 2023-10-17 Estee Lauder International, Inc. Cosmetic substrate comprising crimped fibers
KR101851985B1 (ko) * 2017-09-23 2018-04-25 뉴프론텍(주) 화장품 컴팩트용 리필용기
KR102003714B1 (ko) * 2017-10-17 2019-07-25 옴니시스템주식회사 노즐부재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1942664B1 (ko) * 2017-10-17 2019-01-25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노즐이 형성된 파우치를 갖는 콤팩트형 화장품 케이스
KR102047262B1 (ko) * 2019-03-29 2019-11-21 뉴프론텍(주) 화장품 컴팩트용 리필용기
KR102354311B1 (ko) * 2020-02-28 2022-01-24 펌텍코리아(주) 내용물이 외부로 보이는 화장품 용기
KR102375067B1 (ko) * 2020-06-19 2022-03-16 펌텍코리아(주) 버튼의 분리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540825B1 (ko) * 2021-07-05 2023-06-12 (주)연우 힌지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내용물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612Y1 (ko) 2005-12-31 2006-03-29 강성일 파운데이션 콤팩트 케이스 구조
KR200437581Y1 (ko) 2007-02-22 2007-12-1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러버사출을 이용한 거름망을 가지는 파우더용기
KR200463142Y1 (ko) 2011-08-09 2012-10-18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케이스
KR101248345B1 (ko) 2012-12-07 2013-04-03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중간캡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6973A (en) * 1927-09-06 1928-10-09 William G Kendall Vanity case
US1922326A (en) * 1932-10-01 1933-08-15 Houston A Rauber Compact
US2737189A (en) * 1954-10-11 1956-03-06 Morningstar Otto Loose cosmetic powder compact
US4569438A (en) * 1985-02-04 1986-02-11 Revlon, Inc. Container having fluid-tight seal
FR2680455B1 (fr) * 1991-08-19 1993-11-05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cosmetique sous forme fluide.
JP2598957Y2 (ja) * 1993-08-30 1999-08-2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化粧料容器
JP3604500B2 (ja) * 1996-04-26 2004-12-22 株式会社コーセー パウダーコンパクト
JP3411187B2 (ja) * 1997-06-10 2003-05-26 カネボウ株式会社 化粧料容器
US6047710A (en) * 1998-04-13 2000-04-11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Hermetic compact case
US6609526B2 (en) * 2002-01-25 2003-08-26 Yoshida Kogyo Co., Ltd. Netted refillable container for powdery cosmetic material
JP5339511B2 (ja) * 2008-11-11 2013-11-13 株式会社カツシカ 粉状化粧料容器
KR20130116194A (ko) * 2012-04-13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612Y1 (ko) 2005-12-31 2006-03-29 강성일 파운데이션 콤팩트 케이스 구조
KR200437581Y1 (ko) 2007-02-22 2007-12-11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러버사출을 이용한 거름망을 가지는 파우더용기
KR200463142Y1 (ko) 2011-08-09 2012-10-18 (주)아모레퍼시픽 콤팩트 케이스
KR101248345B1 (ko) 2012-12-07 2013-04-03 정규선 화장용 파우더 용기의 중간캡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6228A1 (ko) * 2016-08-04 2018-02-08 정재용 이탈방지부를 갖는 배출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180016283A (ko) * 2016-08-04 2018-02-14 정재용 이탈방지부를 갖는 배출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037230B1 (ko) * 2016-08-04 2019-10-28 정재용 이탈방지부를 갖는 배출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32775B2 (ja) 2018-05-30
JP2017512538A (ja) 2017-05-25
MY181223A (en) 2020-12-21
HK1225932A1 (zh) 2017-09-22
KR20150087772A (ko) 2015-07-30
US20170099930A1 (en) 2017-04-13
US9936791B2 (en)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252B1 (ko)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73939Y1 (ko) 고무배출패드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77739Y1 (ko) 리필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74794Y1 (ko) 내용물 리필이 용이한 콤팩트 용기
KR101849536B1 (ko) 외부를 녹인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KR200479315Y1 (ko) 금속 재질의 배출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US10925374B2 (en) Cosmetic product further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outer surface thereof molten
EP3103363B1 (en) Cosmetic container provided with rubber discharge pad
KR101734176B1 (ko) 뚜껑겸용패킹을 갖는 리필용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94511B1 (ko) 하부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20170008378A (ko) 펌프의 측면에 수평으로 내용물저장용기가 결합된 콤팩트용기
KR200484833Y1 (ko) 파우치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180093707A (ko) 듀얼 캡슐 화장품 용기
KR20180012433A (ko)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1744399B1 (ko) 화장료 배출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101697966B1 (ko)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849549B1 (ko) 다층형 함침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101096294B1 (ko) 착탈식 퍼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82749Y1 (ko) 블로우 용기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82837Y1 (ko) 볼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용기
KR20170121722A (ko) 외부를 녹인 함침부재를 더 갖는 화장품
KR101663059B1 (ko) 하단마개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충전방법
KR200358763Y1 (ko) 화장용 퍼프
KR200482835Y1 (ko) 리필이 용이한 겔상 화장료용 용기
KR20170129315A (ko) 양, 음각으로 오픈셀과 클로즈셀이 함께 형성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