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279A -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279A
KR20060021279A KR1020057002788A KR20057002788A KR20060021279A KR 20060021279 A KR20060021279 A KR 20060021279A KR 1020057002788 A KR1020057002788 A KR 1020057002788A KR 20057002788 A KR20057002788 A KR 20057002788A KR 20060021279 A KR20060021279 A KR 20060021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lastic member
membrane
shaped elastic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2037B1 (ko
Inventor
히로미치 우에다
카즈히로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4478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91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44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20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44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38230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447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91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44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918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톱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톱
Publication of KR2006002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용기(2)에 구비된 펌프 수단(4)에 의해 용기(2) 내에 수납된 액체를 토출한다. 용기(2)는, 액체를 수용하는 중공부(6)와, 중공부(6)를 폐색하는 막 형상 탄성 부재(5)를 구비한다. 막 형상 탄성 부재(5)는, 중공부(6) 내의 액체가 토출되어 감소함에 따라 중공부(6)의 내부로 향하여 신장한다.

Description

토출 장치 {DELIVERING DEVICE}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 향수, 정발제((整髮劑) 등의 액체를, 용기의 정상부에 장착된 펌프에 의해 토출하는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종래, 도 17에 나타내는 토출 장치(50)가 알려져 있다. 이 토출 장치(50)는, 바닥부에 개구부(51)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용기(52)와, 용기(52)의 정상부(52a)에 장착된 펌프 수단(53)과, 용기(52)의 둘레 벽 내면을 따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설치된 개스킷(5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펌프 수단(53)은, 가압부(55)를 가압하여 상하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펌프 작용을 발생시켜서, 용기(52) 내에 수납된 액체를 흡인구(56)로부터 흡인하여, 가압부(55)에 설치된 토출구(57)로부터 토출한다.
개스킷(54)은, 적절한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며, 외주측에는 얇은 설편(舌片) 형상으로 형성된 압접부(壓接部)(58)를 구비하고 있다. 개스킷(54)은, 용기(52)의 바닥부 개구부(51)로부터 용기(52) 내에 삽입되며, 압접부(58)가 용기(52)의 둘레 벽 내면에 압접됨으로써 바닥부 개구부(51)를 밀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토출 장치(50)에 있어서는, 펌프 수단(53)을 조작함으로써 액체가 토출되며, 용기(52) 내의 액체의 감소에 수반하여 개스킷(54)이 용기(52)의 정상부(52a)로 향하여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용기(52)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일 없이 액체를 토출시킬 수 있고, 용기(52) 내에 보관되어 있는 액체의 변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토출 장치(50)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액체의 변질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향수나 화장품을 수용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그러나, 종래의 토출 용기(52)에서는, 개스킷(54)이 열화하면 밀봉성이 저하하여 용기(52) 내부의 액체가 외부에 샐 우려가 있다.
또, 이런 종류의 토출 장치(50)는, 통상, 용기(52)는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되고 있으나, 수납되어 있는 액체의 잔량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렇지만, 용기(52)를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면, 개스킷(54)이 보이게 되기 때문에, 미관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 이런 종류의 토출 장치(50)에 있어서는, 용기(52) 내부를 이동하는 개스킷(54)에 의해 용기(52) 내의 밀봉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안 되므로, 용기(52) 내부의 형상은, 개스킷(54)의 이동 범위의 내경이 일정하게 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용기(52)를 향수나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용기(52)의 외형을 원통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개스킷(54)을 밀봉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 용기 내부는 원통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개스킷(54)은 용기(52)의 축선에 대한 기울기에 의한 밀봉성의 저하나 이동 불량 등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대형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고, 용기(52)의 용량이 외관에 비해 적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본 발명은, 용기의 형상에 좌우되는 일 없이 용기의 밀봉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여 용기 내의 액체를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용기 내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더구나 디자인성이 높은 용기를 채용 가능하게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 내에 수납된 액체를, 이 용기에 구비되는 펌프 수단에 의해 토출하는 토출 장치로서, 상기 용기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중공부와, 이 중공부를 폐색하는 막 형상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이 막 형상 탄성 부재는, 펌프 수단에 의해 상기 중공부 내의 액체가 토출되어 감소함에 따라 이 중공부의 내부로 향하여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개스킷에 대신하여 상기 용기의 바닥부를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로 폐색하고 있으므로, 뛰어난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개스킷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용기를 투명하게 해도 개스킷이 보이는 일이 없어서, 외관 품질로서의 미장성을 해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종래와 같은 개스킷에 대신하여, 상기 용기의 중공부를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에 의해서 폐색하므로, 뛰어난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이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중공부 내의 액체의 감소에 수반하여 이 중공부의 내부로 향하여 돔 형상으로 신장하며, 중공부 내의 액체에 공기를 접촉시키는 일 없이 중공부 내의 액체를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용기의 바닥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를 폐색하고, 이 중공부 내의 액체의 감소에 수반하여 이 중공부의 내주 벽면을 따라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용기 내의 액체의 감소에 따라 이 용기의 원통 형상의 둘레 벽 내면에 밀착하여 정상부 방향으로 신장하지만, 이때 이 막 형상 탄성 부재의 내주부는 상기 용기의 정상부 방향으로 돔 형상으로 신장한다. 그리고,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신장할 때 중공부의 내주 벽면에 접촉하므로, 신장한 막 형상 탄성 부재와 중공부의 내주 벽면과의 간극에 액체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 좋게 토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충분한 신장량을 얻을 수 있고, 게다가 높은 내구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의 바람직한 재료의 하나로서,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연신율이 극히 높고, 파손 등이 생기는 일 없이 용기의 중공부 내에서 충분히 크게 신장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펌프 수단은, 용기 내에 위치하여 용기 내의 액체를 흡인하는 펌프부와, 이 펌프부에 의해 흡인한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여 가압 조작함으로써 이 펌프부를 작동시키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펌프 수단을 장착하는 펌프 부착부를 구비하며, 이 펌프 장착부는, 펌프 수단의 용기 내에 위치하는 펌프부를 상기 중공부 내에 있어서 신장하는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는 위치에 수용하는 펌프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신장하는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가 펌프부를 폐색하는 일 없이 용기 내의 액체를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는,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외측을 덮는 뚜껑 부재를 구비하고, 이 뚜껑 부재는 용기의 외측과 막 형상 탄성 부재에 대향하는 측에서 통기가 자유롭게 연통되는 연통 구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 부재는,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외측을 덮음으로써, 이 막 형상 탄성 부재에의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막 형상 탄성 부재의 부주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뚜껑 부재에는, 상기 연통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기 내의 액체의 감소에 수반하여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중공부 내에 신장할 때, 연통 구멍부를 통하여 공기가 막 형상 탄성 부재와 뚜껑 부재와의 사이에 원활히 도입되고, 뚜껑 부재에 의해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신장이 저해되는 일 없이 중공부 내의 액체를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다.
또, 신장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상기 돔 형상은 보기에 미려하므로, 상기 용기를 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으로, 신장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를 보고 확인할 수 있어 외관 품질로서 뛰어난 미장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토출 장치는,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용기의 중공부의 형상에 좌우되는 일 없이 용기의 밀봉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여 용기 내의 액체를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다. 용기의 중공부의 형상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원통 형상 또는 다각통(多角筒)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중공부의 형상을 바닥부로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원뿔 형상 또는 다각뿔(多角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상기 중공부의 일부를 폐색하여 이 중공부 내의 액체가 토출되어 감소하는 것에 따라 이 중공부의 내부로 향하여 대략 구 형상으로 신장할 때에는, 상기 용기는 상기 중공부의 형상이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신장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이 바닥부의 내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적어도 중앙부가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용기 내부에 있어서의 액체의 감소에 따른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신장 상태가 그 둘레 가장자리부에 비해 중앙부가 크게 되는 것을 시험에 의해 알게되었다. 즉,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돔 형상으로 신장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서서히 상기 용기의 둘레 벽 내면에 밀착하면서 신장이 진행한다. 이 때, 용기의 둘레 벽 내면에 밀착한 부분의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신장이 억제되는데 대하여,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중앙부는 비교적 강하게 연신된다. 그리고,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연신된 상태로 되면 펌프 수단에 의한 토출이 원활히 행해질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막 형상 탄성 부재를 적어도 그 중앙부가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두껍게 되는 형상으로 하고, 이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중앙부가 충분히 신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것에 의해, 이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중앙부에 있어서 완전히 신장하는 일 없이 펌프 수단에 의한 토출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내주 형상에 대응하여 각 각부(角部)간의 직선 가장자리로부터 각 각부로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되며, 또한 각 각부로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용기의 중공부의 형상이 다각통 형상 또는 다각뿔 형상인 경우에는,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신장하는 과정에서, 중공부 내의 평탄면과 각부에서는, 각부보다 먼저 평탄면에의 막 형상 탄성 부재의 밀착이 생긴다. 그래서,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점차 두껍게 되는 형상을 중공부의 바닥부의 형상에 대응시켜둠으로써, 막 형상 탄성 부재를 용기 형상에 대응하여 균형있게 신장시킬 수 있어서 펌프 수단에 의한 토출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용기는, 그 대략 상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제1 중공부와 대략 하반부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제2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의 경계 위치에는, 상기 제1 중공부를 폐색하는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중공부에는, 그 외부로부터 이 제2 중공부 안으로 공기 도입을 자유롭게 하는 연통 구멍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중공부에 있어서는 이 제2 중공부 내에 신장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의 내측에 액체가 수용되고, 이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펌프 수단의 토출에 의한 용기 내의 액체의 감소에 따라 제2 중공부 내에 있어서는 수축하며, 제1 중공부 내에 있어서는 용기 정상부로 향하여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토출 장치에 의하면, 상기 용기가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용기의 바닥부에서가 아니라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와의 경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내에 액체가 충전되었을 때에, 제1 중공부의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제2 중공부 측으로 팽창하도록 신장하여 그 내측에 액체가 수용된다.
상기 펌프 수단이 조작되어 용기 내의 액체가 토출되면, 먼저, 이 액체의 감소에 따라 제2 중공부의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수축한다. 다시 용기 내의 액체가 감소하면,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와의 경계 위치에 있어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 후, 추가적인 액체의 감소에 따라 제1 중공부 측으로 팽창하는 것처럼 신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액체의 토출시에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수축한 후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와의 경계 위치를 통하여 신장 전개로 변하므로, 용기의 바닥부에 막 형상 탄성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 비해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신장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이 막 형상 탄성 부재의 부주의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성에 의하여, 용기의 내부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그 신장에 의해 제1 중공부의 형상 및 제2 중공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아 자유로우므로,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를 소망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가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용기 형상의 일 양태로서,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와의 경계 위치에 있어서 그 내주벽 전 둘레에 걸쳐서 직경이 축소된 축경부(縮徑部)를 형성하고,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를 이 축경부에 설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용기 내부의 구체적 형상의 일례를 들면, 상기 축경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를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용기의 외형 형상을 내부 형상에 대응시켜서 예를 들면 한 쌍의 구체(球體)를 합체시킨 형상으로 하는 것이 지극히 용이하게 행해지며, 이것에 의해 용기를 시각적으로 미관이 높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축경부에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설치된다. 여기서, 비교를 위해 예를 들면 막 형상 탄성 부재를 용기의 바닥부(제2 중공부의 바닥부)에 설치한 경우를 설명하면, 액체의 감소에 따라 제2 중공부로부터 팽창하도록 신장한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제1 중공부로 향하여 신장할 때 축경부에 접촉되며, 제1 중공부 내부에의 신장이 중지되거나, 또 제2 중공부와 막 형상 탄성 부재와의 사이에 액체가 봉입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축경부에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신장 도중의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축경부에 접촉하는 것이 없이, 원활히 또한 확실히 용기 내의 액체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와의 경계 위치에 막 형상 탄성 부재를 설치했을 때에도,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신장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서서히 상기 용기의 둘레 벽 내면에 밀착하면서 신장이 진행하며, 용기의 둘레 벽 내면에 밀착한 부분의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신장이 억제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것을 해소하기 위해, 막 형상 탄성 부재를 적어도 그 중앙부가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두껍게 되는 형상으로 하고, 이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중앙부가 충분히 신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것에 의해, 이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중앙부에 있어서 끝까지 신장하는 일 없이 펌프 수단에 의한 토출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적 단면도,
도 2는 제1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적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막 형상 탄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적 단면도,
도 4는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막 형상 탄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설명적 사시도,
도 6은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막 형상 탄성 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의 외형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적 사시도,
도 8은 도 7(1)의 토출 장치의 설명적 종단면도,
도 9a 및 9b는 제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막 형상 탄성 부재를 나타내는 설명적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의 외형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적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적 종단면도,
도 12a 및 12b는 제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막 형상 탄성 부재를 나타내는 설명적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적 종단면도,
도 14는 제6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a 및 15b는 제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막 형상 탄성 부재를 나타내는 설명적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설명적 단면도,
도 17은 종래의 토출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적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용기(2)와, 용기(2)의 정상부(3)에 장착된 펌프(4) 수단과, 용기(2)의 바닥부에 고정되어서 이 바닥부를 폐색하는 막 형상 탄성 부재(5)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2)의 내부에는 액체를 수용하는 중공부(6)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 수단(4)은, 중공부(6) 내의 액체를 흡인하는 펌프부(7)와, 가압 조작함으로써 이 펌프부(7)를 작동시키는 가압부(8)를 구비하고 있다. 펌프부(7)에는, 중공부(6) 내의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구(9)가 설치되고 있고, 가압부(8)에는, 이 흡 인구(9)로부터 흡인한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구(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펌프부(7)는, 용기(2)의 정상부에 형성된 통 형상의 펌프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있다.
막 형상 탄성 부재(5)는,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막 형상 탄성 부재(5)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용기(2)의 둘레 벽 외면에 끼워 장착된 바닥 뚜껑 부재(12)(본 발명의 뚜껑 부재)에 의해, 용기(2)와의 사이에 밀봉성을 가져 협지되고 있다. 바닥 뚜껑 부재(12)는, 외부와 막 형상 탄성 부재(5)측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부(6)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로서는, 예를 들면, 화장용액, 액상 의약품 등을 들 수 있다.
이 토출 장치(1)는, 펌프 수단(4)의 가압부(8)를 가압하여 상하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중공부(6) 내의 액체를 토출구(10)로부터 토출할 수 있다. 이 때의 토출에 의해 중공부(6) 내의 액체가 감소하면, 중공부(6) 내가 부압으로 되는 한편, 바닥 뚜껑 부재(12)의 연통 구멍부(1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대기압에 의해, 막 형상 탄성 부재(5)가 신장한다.
이 결과, 막 형상 탄성 부재(5)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부(5b)가 용기(2)의 원통 형상의 둘레 벽 내면에 밀착하고, 내주부(5a)가 정상부(3) 방향으로 돔 형상으로 신장한다. 이 때, 막 형상 탄성 부재(5)의 외주부(5b)는 중공부(6)의 둘레 벽과 내면과의 접촉 마찰에 의해 연신이 억제되고 있으나, 내주부(5a)는 용기(2)의 둘레 벽 내면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자유롭게 연신하여 연신량이 크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막 형상 탄성 부재(5)의 내주부(5a)는 외주부(5b)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신량이 크게 되어도 파단할 우려가 없다. 또한, 펌프 수단(4)의 펌프부(7)는 상기 펌프 수용부(11)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중공부(6)의 내부에서 신장한 막 형상 탄성 부재(5)가 흡인구(9)에 접촉하여 폐색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어서 중공부(6) 내의 액체를 끝까지 돌출할 수 있다.
또, 내주부(5a)는 연신량이 커짐에 따라 점차 얇게 되고, 외부의 돌기물 등과 접촉하여 파단되는 것이 염려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막 형상 탄성 부재(5)의 외측에 바닥 뚜껑 부재(12)가 배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얇게 된 막 형상 탄성 부재(5)의 내주부(5a)가 외부의 돌기물 등과 접촉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막 형상 탄성 부재(5)는, 상기와 같이 신장하기 위해, 500~2000%의 파단 신장을 구비하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막 형상 탄성 부재(5)는, 중공부(6)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용액이나 액상 의약품이라고 하는 액체와 직접 접촉하므로, 그 접촉에 의해 팽윤(膨潤), 경화 등의 변질을 나타내지 않는 내약품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막 형상 탄성 부재(5)는, 액체와의 접촉에 의해 액체의 색 향기 등을 변질시키는 것과 같은 성분이 용출되는 일이 없고, 또 반대로 액체의 성분을 흡착하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람직한 조건을 구비한 재료로서 예를 들면,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계 또는 스티렌-이소프렌계의 경우,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10중량 %-톨루엔 용액(30℃)의 점도가 1000m P·S 이상의 범위에 있고, 스티렌의 함유량이 15∼35 몰%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연화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막 형상 탄성 부재(5)는, 용기(2)의 바닥부에 있어서, 바닥 뚜껑 부재(12)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즉, 도 3a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 형상 탄성 부재(5)의 외주 가장자리에 따라 기립하는 기립부(14)가 설치되고, 이 기립부(14)가 용기(2)의 바닥부 단부(2a)와 바닥 뚜껑 부재(12)의 둘레 벽(15)과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막 형상 탄성 부재(5)가 높은 유연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이 막 형상 탄성 부재(5)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뚜껑 부재(12)는 용기(2)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에는 도시하지 않으나, 용기(2)에 바닥 뚜껑 부재(12)를 나사식 부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막 형상 탄성 부재(5)는, 도 3a에 있어서는 중공부(6)의 안쪽으로 향하여 부풀어오르고, 외측으로 되는 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는 것을 나타냈으나, 적어도 내주부(5a)가 외주부(5b)보다 두껍게 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형상으로서 예를 들면,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부(6)측과 외측이 모두 볼록면인 경우, 혹은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부(6)측이 볼록면이고, 외측이 오목면인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 막 형상 탄성 부재(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부(5b)보다 두꺼운 내주부(5a)가 단차를 통하여 얇은 외주부(5b)에 연접된 형상이라도 된다.
또,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내외 양면이 원통형의 형상을 구비하는 용기(2)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용기(2)는 적어도 중공부(6)가 원통형이면 되며, 외면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16)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17)의 외형 형상이 사각통 형상으로 되며, 그 내부에 형성된 액체를 수용하는 중공부(18)(도 6 참조)도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 형상 탄성 부재(19)는 중공부(18)의 바닥부 형상에 대응하여 평면으로 봤을 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 두께가 증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막 형상 탄성 부재(19)는, 그 각 각부(角部)(19a)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선 가장자리(19b)로부터 각 각부(19a)로 향하여 점차 두께가 증대하며, 더욱 중앙부(19c)로 향하여 두께가 증대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은 사각 형상의 막 형상 탄성 부재(19)일 때는, 그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대각선으로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된다. 이것에 의해, 액체의 감소에 수반하여 신장하는 막 형상 탄성 부재(19)는, 그 신장의 과정에 있어서 용기(17)의 각부에 원활히 밀착하게 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리고, 막 형상 탄성 부재(19)는, 평면으로 봤을 때 사각 형상으로 사각통 형상의 중공부(18) 안으로 신장함으로써, 저면(底面) 형상이 사각형의 돔 형상으로 신장된다. 즉, 이와 같이 하여 신장된 막 형상 탄성 부재(19)는, 도시하지 않지만, 그 각 각부(19a) 사이의 직선 가장자리(19b)측으로부터 중공부(18)의 내벽에 밀착하며, 각 각부(19a)와 중공부(18)의 내측 각부와의 밀착이 조금 늦게 발생한다. 이 사이, 막 형상 탄성 부재(19)의 중공부(18)의 내벽에 밀착한 부분에서는 중공부(18)의 내벽과의 마찰에 의해 성장이 억제된다. 한편, 막 형상 탄성 부재(19)의 중공부(18)의 내벽에 밀착하고 있지 않는 부분(각부에 대응하는 부분과 중앙부(19c))이 더욱 인장된다. 이 때, 막 형상 탄성 부재(19)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각 각부(19a)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선 가장자리(19b)로부터 각 각부(19a)로 향하여 점차 두께가 증대하고, 다시 중앙부로 향하여 두께가 증대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공부(18)의 내벽에의 밀착이 늦은 부분일수록 큰 신장량을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공부(18) 내의 액체의 양이 적게 되어 막 형상 탄성 부재(19)가 비교적 크게 인장된 상태로 되어도, 이 막 형상 탄성 부재(19)가 인장 한계로 되는 일 없이, 액체의 감소에 추종하여 액체를 끝까지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막 형상 탄성 부재(19)가 그 각 각부(19a)의 사이에 위치하는 직선 가장자리(19b)로부터 각 각부(19a)로 향하여 점차 두께가 증대하고, 다시 중앙부로 향하여 두께가 증대하는 형상인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막 형상 탄성 부재(19)는 적어도 그 중앙부(19c)가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두껍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되며,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도 4에 도시된 막 형상 탄성 부재(5)와 같은 형상이라도 된다.
또,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17) 내의 중공부(18)의 형상이 사각 통 형상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도시하지 않지만, 삼각통 형상이나 육각통 형상이라고 하는 다른 다각통 형상의 내부 형상을 갖는 용기를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형상에 대응하여 외형 형상을 다각통 형상으로 하면, 시각적인 미관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 제2의 실시 형태에 의해 나타낸 용기(17)는, 외형 형상과 내부 형상이 서로 대응하는 것을 들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기의 외형 형상은 다각통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에는, 용기를 투명하게 형성하면, 용기의 외형 형상과 다른 다각통 형상의 중공부(18)가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해지며, 이것에 의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3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0)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21)의 외형 형상 및 그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22)(도 8 참조)의 형상이 대략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용기(21)의 정상부(21a)에는, 펌프 수단(4)이 장착되어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21)의 바닥부에는 이 바닥부를 폐색하는 막 형상 탄성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막 형상 탄성 부재(23)의 외측(하부측)에는, 이 막 형상 탄성 부재(23)를 덮는 판 형상의 바닥 뚜껑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닥 뚜껑 부재(24)에는, 이 바닥 뚜껑 부재(24)와 막 형상 탄성 부재(23)와의 사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연통 구멍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21)의 외형 형상은 바닥부로 향하여 점차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대략 원뿔 형상이므로, 제1의 실시 형태나 제2의 실시 형태와 같은 원통 형상 혹은 다각통 형상의 용기에 비해 극히 넘어지기 어렵고, 또 시각적으로 미관이 높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펌프 수단(4)은,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막 형상 탄성 부재(23)는 그 재료로서 수소 첨가 스티렌 엘라스토머가 채용되고 있다.
이 토출 장치(20)에 의하면, 먼저 펌프 수단(4)에 의한 토출에 의해 중공부(22) 내의 액체가 감소하면, 도 8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의 감소에 따라 막 형상 탄성 부재(23)가 중공부(22)의 위쪽으로 향하여 돔 형상으로 신장한다. 이 때, 막 형상 탄성 부재(23)와 바닥 뚜껑 부재(24)와의 사이에는, 연통 구멍부(25)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며, 막 형상 탄성 부재(23)는 바닥 뚜껑 부재(24)로부터 이반하여 원활히 늘여진다.
또한, 용기(21)의 중공부(22)의 형상이 원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중공부(22)의 높이 치수에 대하여 중공부(22)의 바닥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공부(22)의 내용량에 대하여 막 형상 탄성 부재(23)의 형상을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막 형상 탄성 부재(23)의 인장 한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공부(22) 내의 액체의 양이 적게 되어 막 형상 탄성 부재(23)가 비교적 크게 인장된 상태로 되어도, 이 막 형상 탄성 부재(23)가 인장 한계로 되는 일 없이, 액체의 감소에 추종하여 액체를 끝까지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다.
또, 용기(21)의 바닥부에는 바닥 뚜껑 부재(24)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막 형상 탄성 부재(23)에의 외부로부터의 접촉이 방지되어 있으므로, 막 형상 탄성 부재(23)의 신장이 크게되어 얇게 되어도, 외부로부터의 접촉에 기인하는 부주의한 파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막 형상 탄성 부재(23)는, 적어도 그 중앙부(23b)가 둘레 가장자리부(23a)보다 두껍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9a에 단면으로 보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둘레 가장자리부(23a)로부터 중앙부(23b)로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되도록 형성해도 되고,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부(23a)보다 두꺼운 중앙부(23b)가 단차를 통하여 얇은 둘레 가장자리부(23a)에 연접된 형상이라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막 형상 탄성 부재(23)의 인장 한계를 한층 크게 할 수 있다. 즉, 펌프 수단(4)에 의해 토출됨으로써 감소하는 액체에 추종하여 막 형상 탄성 부재(23)가 신장할 때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부(23a)로부터 서서히 중공부(22)의 둘레 벽 내면에 밀착한다. 중공부(22)의 내면에 밀착한 부분의 막 형상 탄성 부재(23)는, 중공부(22)의 내면과의 접촉 마찰에 의해 신장이 억제되지만, 막 형상 탄성 부재(23)의 중앙부(23b)는 중공부(22)의 내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으므로 더욱 크게 인장된다. 이 때, 막 형상 탄성 부재(23)의 중앙부(23b)를 두껍게 하는 것으로, 충분한 신장량을 얻을 수 있어서 액체의 감소에 원활히 추종하여 양호하게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21)의 내부 형상이 대략 원뿔 형상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4의 실시 형태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 형상과 그 내부 형상(중공부(22)의 형상)이 사각뿔 형상(다각뿔 형상)의 용기(26)를 채용할 수 있다. 용기(26)의 중공부(22)의 형상이 사각뿔 형상이나 그 외의 다각뿔 형상이라도, 중공부(22)의 높이 치수에 대하여 바닥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공부(22)의 내용량에 대하여 큰 형상의 막 형상 탄성 부재(23)로 된다. 따라서, 중공부(22) 내의 액체의 양이 적게 되어 막 형상 탄성 부재(4)가 비교적 크게 인장된 상태로 되어도, 이 막 형상 탄성 부재(23)가 인장 한계로 되는 일 없이, 액체의 감소에 추종하여 액체를 끝까지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다.
또, 도시하지 않으나, 막 형상 탄성 부재(23)는 사각뿔 형상의 중공부(22)의 바닥부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이 되므로, 그 형상에 대응하여 둘레 가장자리부(23a)로부터 중앙부(23b)에 걸쳐서 점차 두껍게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즉,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공부(22)의 형상이 사각뿔이면, 막 형상 탄성 부재(23)가 신장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공부(22) 내의 네 개의 모퉁이에의 막 형상 탄성 부재(23)의 밀착보다 먼저 중공부(22) 내의 평탄면의 부분에의 막 형상 탄성 부재(23)의 밀착이 생긴다. 이것에 의해, 중공부(22) 내의 평탄면의 부분에 밀착한 막 형상 탄성 부재(23)의 성장이 억제된다. 이 때, 막 형상 탄성 부재(23)를 중공부(22)의 바닥부 형상에 대응하여 점차 두껍게 되도록 형성해 둠으로써, 중공부(22)의 네 개의 모퉁이에 대응하는 부분의 막 형상 탄성 부재(23)가 중공부(22)의 네 개의 모퉁이에 밀착할 때까지 충분한 신장량을 확보할 수 있고, 막 형상 탄성 부재(23)를 균형있게 신장시킬 수 있다.
또, 제3의 실시 형태 및 제4의 실시 형태에 의해 나타낸 용기(21, 26)는, 외형 형상과 중공부(22) 형상이 서로 대응하는 것을 들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기의 외형 형상은 원뿔 형상이나 다각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에는, 용기를 투명하게 형성하면, 용기의 외형 형상과 다른 원뿔 형상이나 다각뿔 형상의 중공부(22)가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해지며, 이것에 의해 미관을 향 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5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7)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구 형상의 용기(28)와, 용기(28)의 정상부(28a)에 장착된 펌프 수단(4)과, 용기(28)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이 바닥부를 폐색하는 막 형상 탄성 부재(29)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28)는 바닥부가 평탄하고, 용기(28)의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부(30)의 형상도 용기(28)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부(30)의 내부에는 액체가 수용된다. 중공부(30)의 형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공부(30) 내에 있어서 대략 구 형상으로 신장했을 때의 막 형상 탄성 부재(29)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용기(28)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막 형상 탄성 부재(29)의 하부측에는, 이 막 형상 탄성 부재(29)를 덮는 판 형상의 바닥 뚜껑 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닥 뚜껑 부재(31)에는, 이 바닥 뚜껑 부재(31)와 막 형상 탄성 부재(29)와의 사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연통 구멍부(32)가 형성되어 있다.
펌프 수단(4)은,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막 형상 탄성 부재(29)는 그 재료로서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채용되고 있다.
다음에, 제5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27)의 작동을 설명한다. 이 토출 장치(1)에 의하면, 먼저 펌프 수단(4)을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액체가 토출된다. 이 때의 토출에 의해 중공부(30) 내의 액체가 감소하면, 도 11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에 대응하여 막 형상 탄성 부재(29)가 중공부(30) 내에 있어서 그 위 쪽을 향하여 대략 구 형상으로 신장한다. 이 때, 막 형상 탄성 부재(29)와 바닥 뚜껑 부재(31)와의 사이에는 연통 구멍부(32)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며, 막 형상 탄성 부재(29)는 원활히 인장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부(30)의 형상은, 막 형상 탄성 부재(29)의 신장 형상(도 11 중 가상선으로 나타낸다)에 대응하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중공부(30) 내의 액체의 감소에 수반하여 대략 구 형상으로 신장되는 막 형상 탄성 부재(29)는 중공부(30) 내의 액체가 거의 없어질 때까지, 중공부(30)의 내벽에 밀착되지 않는다. 막 형상 탄성 부재(29)는, 그 신장 과정에 있어서 중공부(30)의 내면 등에 밀착하면, 그 밀착 부분은 중공부(30)의 내벽과의 접촉 마찰에 의해 신장이 억제되지만, 제5의 실시 형태와 같이 중공부(30)의 형상이 막 형상 탄성 부재(29)의 신장 형상에 대응함으로써, 막 형상 탄성 부재(29)의 신장 과정에 있어서의 중공부(30)의 내벽과의 접촉이 극히 적다. 따라서, 중공부(30) 내부에서 신장하는 막 형상 탄성 부재(29)는, 대략 균일하게 저항 없이 인장되며, 액체의 감소에 양호하게 추종하여 액체를 끝까지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다.
또, 막 형상 탄성 부재(29)는, 적어도 그 중앙부(29b)가 둘레 가장자리부(29a)보다 두껍게 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2a에 단면으로 보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둘레 가장자리부(29a)로부터 중앙부(29b)로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되도록 형성해도 되며, 또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부(29a)보다 두꺼운 중앙부(29b)가 단차를 통하여 얇은 둘레 가장자리부(29a)에 연접된 형상이라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장 한계를 한층 크 게 할 수 있다. 즉, 펌프 수단(4)에 의해 토출됨으로써 감소하는 액체에 추종하여 막 형상 탄성 부재(29)가 신장할 때에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29a)보다 중앙부(29b)가 크게 인장된다. 이 때, 막 형상 탄성 부재(29)의 중앙부(29b)를 두껍게 하는 것으로 충분한 신장량을 얻을 수 있고, 액체의 감소에 원활히 추종하여 양호하게 신장시킬 수 있다.
또, 제5의 실시 형태의 용기(28)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형상에 맞춰서 외형 형상을 대략 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극히 용이하게 행해지며, 시각을 통하여 미관을 환기할 수 있다.
또, 제5의 실시 형태에 의해 나타낸 용기(28)는, 외형 형상과 중공부(30)의 형상이 서로 대응하는 대략 구형상으로 형성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 않으나, 대략 구 형상의 중공부(30)와 다른 형상을 용기의 외형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 때, 용기를 투명하게 형성하면, 대략 구 형상의 중공부(30)가 용기의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해지며, 이것에 의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6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33)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 형상에 대응하는 중공의 내부 형상을 갖는 용기(34)와, 용기(34)의 정상부(34a)에 장착된 펌프 수단(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용기(34)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중앙부의 전 둘레에 걸치는 축경부(35)가 형성되며, 한 쌍의 구체가 합체된 것과 같은 소위 표주박형으로 되어 있다. 용기(34)의 내부에 있어서, 축경부(35)를 통하여 상부(대략 상반부)는 대략 구 형상의 제1 중공부(36)로 되고, 축경부(35)를 통하여 하부(대략 하반부)는 평탄한 바닥부를 구비하는 제2 중공부(37)로 되어 있다. 축경부(35)에 위치하는 제1 중공부(36)와 제2 중공부(37)와의 사이에는 제1 중공부(36)를 폐색하여 신장이 자유로운 막 형상 탄성 부재(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막 형상 탄성 부재(38)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34)가 빈 상태에서는 대략 평판 형상으로 제1 중공부(36)와 제2 중공부(37)와의 사이를 구획하고 있고, 제1 중공부(36)를 밀봉성을 갖고서 폐색하고 있다. 그리고, 용기(34)의 내부에 액체가 충전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체는 막 형상 탄성 부재(38)에 의해 폐색된 제1 중공부(36)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막 형상 탄성 부재(38)가 제2 중공부(37)의 내면을 따라 신장하며, 액체가 막 형상 탄성 부재(38)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펌프 수단(4)은,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막 형상 탄성 부재(38)는 그 재료로서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가 채용되고 있다. 또, 용기(34)의 제2 중공부(37)의 바닥부에는, 이 제2 중공부(37)와 막 형상 탄성 부재(38)와의 사이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연통 구멍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6의 실시 형태의 토출 장치(33)의 작동을 설명한다. 이 토출 장치(33)에 의하면, 펌프 수단(4)을 상하 운동시킴으로써 액체를 토출할 수 있다. 이 때의 토출에 의해 용기(34) 내의 액체가 감소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에 따라 제2 중공부(37) 내의 막 형상 탄성 부재(38)가 수축하여 제2 중공부(37) 의 내면으로부터 이반하고, 제1 중공부(36)와 제2 중공부(37)와의 사이에 있어서 일단 평판 형상으로 복원한다. 이때, 막 형상 탄성 부재(38)와 제2 중공부(37)와의 사이에는 연통 구멍부(39)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며, 막 형상 탄성 부재(38)는 원활히 수축된다.
그리고 다시 용기(34) 내의 액체가 감소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 형상 탄성 부재(38)는 제1 중공부(36)의 내부로 향하여 대략 구 형상으로 신장하며, 액체의 감소에 양호하게 추종하여 액체를 끝까지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6의 실시 형태의 용기(34)에 있어서의 제1 중공부(36)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막 형상 탄성 부재(38)의 신장 형상에 대략 대응한다. 이것에 의하면, 막 형상 탄성 부재(38)의 신장 과정에 있어서의 제1 중공부(36)의 내면과의 접촉이 극히 적고, 제1 중공부(36) 내부에서 신장하는 막 형상 탄성 부재(38)는, 그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중앙부까지 대략 균일하게 저항 없이 인장되므로, 액체의 토출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막 형상 탄성 부재(38)는, 그 신장 과정에 있어서 용기의 내면 등에 밀착하면, 그 접촉 마찰에 의해 신장이 억제된다. 그래서, 막 형상 탄성 부재(38)를, 적어도 그 중앙부(38a)가 둘레 가장자리부(38b)보다 두껍게 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장 한계를 한층 크게 할 수 있다. 즉, 토출됨으로써 감소하는 액체에 추종하여 막 형상 탄성 부재(38)가 신장할 때, 막 형상 탄성 부재(38)의 둘레 가장자리부(38b)가 제1 중공부(36)의 둘레 벽 내면에 밀착해도, 막 형상 탄성 부재(38)의 중앙부(38a)는 제1 중공부(36)의 내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으므로 충분한 신 장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형상을 구비하는 막 형상 탄성 부재(38)는, 도 15a에 단면으로 보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둘레 가장자리부(38b)로부터 중앙부(38a)로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되도록 형성해도 되며,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가장자리부(38b)보다 두꺼운 중앙부(38a)가 단차를 통하여 얇은 둘레 가장자리부(38b)에 연접된 형상이라도 된다.
또, 제1 중공부(36)와 제2 중공부(37)와의 경계 위치에 막 형상 탄성 부재(38)를 설치함으로써, 제1 중공부(36)와 제2 중공부(37)의 형상에 거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내부의 액체를 남김없이 효율 좋게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으나, 제1 중공부(36)와 제2 중공부(37)의 형상을 서로 다른 것으로 하고, 그 경계 위치에 막 형상 탄성 부재(38)를 설치하는 것으로, 미관이 뛰어나 향수나 화장품을 수용하기 위해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제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34)의 제1 중공부(36)와 제2 중공부(37)와의 경계 위치에 축경부(35)를 구비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에는 제7의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4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제1 중공부(41)와 제2 중공부(42)를 연속하는 원통 형상으로 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대략 구형의 제1 중공부(41)와 달리, 막 형상 탄성 부재(38)는, 그 신장에 수반하는 제1 중공부(41)의 내주면 및 제2 중공부(42)의 내주면과의 접촉 면적이 비교적 커진다.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막 형상 탄성 부재(38)를, 적어도 그 중앙부(38a)가 둘레 가장자리부(38b)보다 두껍게 되는 형상으 로 형성함으로써, 제1 중공부(41)의 내주면 및 제2 중공부(42)의 내주면과의 접촉이 작게 되는 중앙부(38a)의 신장량이 충분히 확보되어 액체를 원활히 토출할 수 있다. 게다가, 막 형상 탄성 부재(38)는 제1 중공부(41)와 제2 중공부(42)와의 경계 위치에 있어서, 용기(40) 전체에 액체가 충전되고 있을 때는 제2 중공부(42) 내에 신장 상태로 되며 액체가 감소하면 제1 중공부(41) 내에 신장하므로, 용기(40)의 용량에 대하여 약 1/2의 신장량으로 내부의 액체의 감소에 추종시킬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용기를 높이 방향으로 홀쭉하게 형성해도 막 형상 탄성 부재(38)의 파손 등을 방지하며 액체를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용기의 내부의 액체를 원활히 토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의 디자인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의해 나타낸 용기(34, 40)는, 외형 형상과 내부 형상이 서로 대응하는 것을 들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용기의 외형 형상은 표주박형이나 원통 형상이라고 하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에는, 용기를 투명하게 형성하면, 용기의 외형 형상과 다른 형상의 내부가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이 가능해지며, 이것에 의해서도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의 밀봉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여 토출할 수 있으므로, 외기에 접촉하여 변질되기 쉬운 액상 약품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적합하다. 또, 디자인성이 높은 용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액상의 방향제, 향수, 정발제, 또는 액상 화장품 등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적합하다.

Claims (16)

  1. 용기 내에 수납된 액체를, 이 용기에 구비되는 펌프 수단에 의해 토출하는 토출 장치로서,
    상기 용기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중공부와, 이 중공부를 폐색하는 막 형상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이 막 형상 탄성 부재는, 펌프 수단에 의해 상기 중공부내의 액체가 토출되어 감소함에 따라 이 중공부의 내부로 향하여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용기의 바닥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부를 폐색하며, 이 중공부 내의 액체의 감소에 수반하여 이 중공부의 내주 벽면을 따라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수단은, 용기 내에 위치하여 용기 내의 액체를 흡인하는 펌프부 와, 이 펌프부에 의해 흡인한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여 가압 조작함으로써 이 펌프부를 작동시키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펌프 수단을 장착하는 펌프 장착부를 구비하며, 이 펌프 장착부는, 펌프 수단의 용기 내에 위치하는 펌프부를 상기 중공부 내에 있어서 신장하는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는 위치에 수용하는 펌프 수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외측을 덮는 뚜껑 부재를 구비하고, 이 뚜껑 부재는 용기의 외측과 막 형상 탄성 부재에 대향하는 측에서 통기가 자유롭게 연통되는 연통 구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투명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중공부의 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중공부의 형상이 다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중공부의 형상이 바닥부로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중공부의 형상이 바닥부로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일부를 폐색하여 이 중공부 내의 액체가 토출되어 감소하는 것에 따라 이 중공부의 내부로 향하여 대략 구 형상으로 신장하며, 상기 용기는 상기 중공부의 형상이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의 신장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용기의 바닥부에 설치되어서 이 바닥부의 내 주 형상에 대응하는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적어도 중앙부가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13.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내주 형상에 대응하여 각 각부 사이의 직선 가장자리로부터 각 각부(角部)로 향하여 점차 두껍게 되며, 다시 각 각부로부터 중앙부로 향하여 점차로 두껍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그 대략 상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제1 중공부와, 대략 하반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제2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와의 경계 위치에는, 상기 제1 중공부를 폐색하는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중공부에는, 그 외부로부터 이 제2 중공부 안으로 공기 도입을 자유롭게 하는 연통 구멍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중공부에 있어서는 이 제2 중공부 내로 신장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의 내측에 액체가 수용되며, 이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상기 펌프 수단의 토출에 의한 용기 내의 액체의 감소에 따라 제2 중공부 내에 있어서는 수축하고, 제1 중공부 내에 있어서는 용기 정상부로 향하여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와의 경계 위치에 있어서 그 내주벽 전 둘레에 걸쳐서 직경이 축소된 축경부(縮徑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이 축경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막 형상 탄성 부재는 적어도 중앙부가 둘레 가장자리부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장치.
KR1020057002788A 2002-08-26 2003-08-05 토출 장치 KR100922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44789A JP3709179B2 (ja) 2002-08-26 2002-08-26 吐出装置
JPJP-P-2002-00244791 2002-08-26
JP2002244793A JP3782047B2 (ja) 2002-08-26 2002-08-26 吐出装置
JP2002244790A JP3823077B2 (ja) 2002-08-26 2002-08-26 吐出装置
JPJP-P-2002-00244792 2002-08-26
JPJP-P-2002-00244789 2002-08-26
JPJP-P-2002-00244793 2002-08-26
JP2002244792A JP3709181B2 (ja) 2002-08-26 2002-08-26 吐出装置
JP2002244791A JP3709180B2 (ja) 2002-08-26 2002-08-26 吐出装置
JPJP-P-2002-00244790 2002-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279A true KR20060021279A (ko) 2006-03-07
KR100922037B1 KR100922037B1 (ko) 2009-10-19

Family

ID=3195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788A KR100922037B1 (ko) 2002-08-26 2003-08-05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50211795A1 (ko)
EP (2) EP2177451A3 (ko)
KR (1) KR100922037B1 (ko)
CN (1) CN100447060C (ko)
AT (1) ATE483654T1 (ko)
AU (1) AU2003254809B2 (ko)
CA (1) CA2486813A1 (ko)
DE (1) DE60334467D1 (ko)
MY (1) MY146959A (ko)
TW (1) TWI252204B (ko)
WO (1) WO20040183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382B1 (ko) * 2013-03-07 2014-04-16 손병문 음료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04745D0 (en) * 2007-03-12 2007-04-18 Packaging Technology Participa A container for holding a fluid and an assembly of a container and an outlet
KR200458000Y1 (ko) * 2010-01-07 2012-01-16 (주)아모레퍼시픽 잔량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화장품용기
JP5785755B2 (ja) * 2010-04-02 2015-09-30 花王株式会社 内容物押出容器
JP5885318B2 (ja) * 2012-10-15 2016-03-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液体を封入したカプセル及びこのカプセルを備えた喫煙物品
US9403632B1 (en) * 2013-06-17 2016-08-02 José Luis Marrero Ramos Fluid dispenser
EP3125852B1 (en) * 2014-03-31 2023-04-12 Amcor Rigid Plastics USA, LLC Controlled release container
USD842121S1 (en) * 2017-09-29 2019-03-05 Have&Be Co., Ltd Cosmetic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7598A (en) * 1942-03-17 1945-10-23 Mercier Jean Oleopneumatic storage device
US3415425A (en) * 1966-11-15 1968-12-10 Johnson & Johnson Aerosol dispenser
DE1586797A1 (de) * 1967-05-12 1970-07-09 Beszedes Dipl Chem Dr St G Mueller,John Joseph,Richmond Heights,Ohio(V.St.A.)
US4106674A (en) * 1975-09-24 1978-08-15 Schultz Robert S Pressure-operated container for viscous products
US4222499A (en) * 1979-05-07 1980-09-16 Kain's Research & Development Company, Inc. Pressurized fluid dispensing apparatus having expansible bladder held in place with compressive forces
US4295582A (en) * 1979-08-09 1981-10-20 Acres Alexander D Dispensing container with improved air valve
US4508239A (en) * 1983-03-01 1985-04-02 Rozzen David L Toothpaste dispenser
JPS6173574A (ja) 1984-09-17 1986-04-15 Ricoh Co Ltd スイツチング電源装置
JPS6173574U (ko) * 1984-10-18 1986-05-19
AU7588587A (en) * 1986-07-16 1988-02-10 Richard Friedrich Container with at least one chamber formed by a tubular body, tubular body, process and device for producing the same
JP2509769Y2 (ja) * 1989-06-20 1996-09-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小形噴霧器
CN2067264U (zh) * 1990-01-09 1990-12-12 温萌 手控可换软包装袋的膏霜类容器
CN1054567A (zh) * 1990-03-05 1991-09-18 仙迪亚投资股份有限公司 用于液体的密封装置
JPH05147666A (ja) * 1991-11-28 1993-06-15 Bridgestone Corp 可変自噴式容器
FR2734247B1 (fr) * 1995-05-17 1997-06-27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liquide ou pateux
US5687882A (en) * 1995-05-31 1997-11-18 Containaire Incorporated Flexible dispenser with bladder
JPH1191756A (ja) 1997-09-18 1999-04-06 Mitsubishi Materials Corp 異形缶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00083A (ja) 1997-09-29 1999-04-13 Osaka Ship Building Co Ltd 密封容器
BE1011597A6 (nl) * 1997-12-10 1999-11-09 Cruysberghs Rudiger Zelfledigende verpakking.
WO2002040122A2 (en) * 2000-10-23 2002-05-23 Py Patent, Inc. Fluid dispenser with bladder inside rigid vi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382B1 (ko) * 2013-03-07 2014-04-16 손병문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54809A1 (en) 2004-03-11
CN1665728A (zh) 2005-09-07
EP2177451A2 (en) 2010-04-21
EP2177451A3 (en) 2010-07-07
ATE483654T1 (de) 2010-10-15
EP1544131A1 (en) 2005-06-22
KR100922037B1 (ko) 2009-10-19
CA2486813A1 (en) 2004-03-04
TWI252204B (en) 2006-04-01
US20050211795A1 (en) 2005-09-29
AU2003254809B2 (en) 2009-01-29
WO2004018321A1 (ja) 2004-03-04
EP1544131B1 (en) 2010-10-06
EP1544131A4 (en) 2008-04-09
TW200404611A (en) 2004-04-01
DE60334467D1 (de) 2010-11-18
MY146959A (en) 2012-10-15
CN100447060C (zh) 2008-12-31
EP2177451A9 (en)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8685B2 (ja) 自動充填式アプリケータを有する収容塗布装置
JP3292718B2 (ja) 自動装填アプリケータを備えた収容塗布装置
US10285486B2 (en) Foundation container having discharging pump having short stroke distance and content diffusion member
KR100922037B1 (ko) 토출 장치
KR100963155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이중화장품용기
US20110250008A1 (en) Roller-type dual cosmetic case having airless pump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JP2002186519A (ja) 受皿を備える容器
US9961981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illing pipette
KR20070014884A (ko) 화장품의 펌핑 배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JPH11240554A (ja) 合成樹脂製注出容器
KR100858320B1 (ko) 유체용기
JP3782047B2 (ja) 吐出装置
US20160367083A1 (en) Vent valves and refill units with vent valves for use with inverted non-collapsing containers
JP3823077B2 (ja) 吐出装置
CN212165188U (zh) 化妆品容器
JP3709179B2 (ja) 吐出装置
JP3709181B2 (ja) 吐出装置
CN215131446U (zh) 双腔眼药瓶
JP2004083048A (ja) 吐出装置
JP2002205784A (ja) 摺動蓋付き注出容器
JP2022076654A (ja) キャップ
JP2024043791A (ja) 塗布容器
KR200186605Y1 (ko) 에어리스타입 디스펜서의 피스톤구조
KR200166434Y1 (ko) 에어리스타입디스펜서의피스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