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4081B1 -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4081B1
KR100434081B1 KR10-2001-0065477A KR20010065477A KR100434081B1 KR 100434081 B1 KR100434081 B1 KR 100434081B1 KR 20010065477 A KR20010065477 A KR 20010065477A KR 100434081 B1 KR100434081 B1 KR 100434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eaweed
herbal
processed food
herbal ingred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480A (ko
Inventor
김철호
Original Assignee
김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호 filed Critical 김철호
Priority to KR10-2001-0065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08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우뭇가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생약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유익하며, 국수채, 냉채 또는 샐러드형태로 성형되어 먹기에 편리하고 기호성이 개선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우뭇가사리 50-60 중량%, 앵초 또는 곡류 분말 5-7 중량%, 해조류 5-10 중량%, 생약성분 5-10 중량%, 알긴산나트륨 1-2 중량%, 식염 2-3 중량%, 향료 0.1-0.5 중량% 및 수분으로 구성된 우뭇가사리 가공원료를 국수채, 냉채 또는 샐러드 형태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Ceylon moss processed foodstuffs containing the herb medicin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우뭇가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생약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유익하며, 국수채, 냉채 또는 샐러드형태로 성형되어 먹기에 편리하고 기호성이 개선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우뭇가사리는 조간대 중부 및 하부에서 바위에 착생하는 몸길이는 보통 10∼30cm, 주축의 나비는 1mm 내외로 굵은 홍조식물 우뭇가사리과의 바닷말의 일종으로서, 한천질(寒天質)을 포함하므로 한천 제조의 주원료로 이용되는 해초로서 일찍부터 잘 알려져 있는데, 특히 우뭇가사리와 개우무가 한천 원료로 많이 이용된다.
우뭇가사리는 주로 식용, 약용, 연구용, 공업용 등의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식용으로서 잼, 젤리, 양묵, 스프 등의 첨가물로서 영양적으로 많은양의 탄수화물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철분과 칼슘도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
예전에는 이 우뭇가사리를 끊여서 식혀, 묵처럼 굳어지면 도마에서 썰고 거기에 양념을 쳐서 주로 여름 때 "더위 깬다"고 하서 많이 먹었으나, 요즘은 해외 수출용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한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는 우뭇가사리에 분말상태의 들깨, 살구씨 등을 혼합한 한천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1998-77101호), 냉수 가용성 한천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1995-18058호) 등이 알려져 있으마,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우뭇가사리 자체를 가공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종래의 우무(한천)은 식단용으로 두부처럼 네모형태로 공급되어 채로 썰어서 식초, 간장, 기름 등을 섞어 만든 양념장과 함께 먹는데, 잘 부서지고 먹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한천의 맛보다는 양념장의 맛으로 먹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한천고유의 성질 때문에 씹을 때의 미끈거림으로 인하여 섭취를 기피하거나 여러가지 양념을 섞어 별도의 양념장을 제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식품에 관한 것으로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청량음료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1992-21069호), 정제입상 한천이 첨가된 저지방 식품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1997-25443호), 한천과 콩, 매실을 혼합한 쥬스의 제조방법(한국특허공고 제1975-218호)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시도역시 우뭇가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약간의 첨가제 또는 곡류를 혼합한 정도에 불과하여 종래의 우뭇가사리 가공식품과 크게 다를 바가 없는 것으로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의 개발과 제품의 고급화에 그 한계를 지니고 있다.
당귀, 겨우살이 등과 같은 생약성분을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는 한약재를 함유하는 술 또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한국특허출원 제1994-13066호, 한국특허출원 제1994-15861호, 한국특허출원 제1994-22699호)이 있으며, 생약성분이 함유된 연육제품의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 제1998-75166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우뭇가사리를 이용한 식품의 가공성과 그 응용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여 우뭇가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생약성분을 첨가시켜 건강성을 증진시키고, 이를 여러가지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먹기에 편하고 기호성이 좋게 가공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뭇가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생약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유익하며, 국수채, 냉채 또는 샐러드형태로 성형되어 먹기에 편리하고 기호성이 개선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뭇가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생약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좋으며, 국수채, 냉채 또는 샐러드형태로 성형되어 먹기에 편리하고 기호성이 개선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우뭇가사리 50-60 중량%, 앵초 또는 곡류 분말 5-7 중량%, 해조류 5-10 중량%, 생약성분 5-10 중량%, 알긴산나트륨 1-2 중량%, 식염 2-3 중량%, 향료 0.1-0.5 중량% 및 수분으로 구성된 우뭇가사리 가공원료를 국수채, 냉채 또는 샐러드 형태로 성형시킨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앵초는 도박 또는 천초가 바람직한데, 우뭇가사리에 천초를 첨가하고 끓이면 우무가 얻어지는데, 살충 및 해독작용을 하는 약효를 지니고 있는 천초는 가을에 익기 전 색이 푸를 때 채취하며 채취 후 붉은 색이 되며 국내산과 수입산의 차이는 중국산 천초의 열매는 매우 검고 국내산의 천초는 붉은 기운이 있는 것으로 구분하는데, 천초는 대부분 벌어져 있으나 간혹 벌어지지 않은 것은 독소를 지니고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곡류는 율무, 도토리, 메밀, 잣, 현미, 보리, 콩 또는 녹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데, 우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곡류 분말을 첨가하고 끓이면 율뮤묵, 도토리묵, 메밀묵 등과 같은 각종 묵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해조류는 미역 또는 다시마엑기스로서, 미역은 영양소를 고루 갖춘 강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산후나 미용에 좋고 성인병 예방효과가 뛰어난 식품이고, 다시마는 칼슘, 회분 등의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혈압을 내리게 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시마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의 주성분은 글루타민산으로 감칠맛을 내는 조미료로서 옛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약성분은 당귀, 녹차, 옥수수 수염, 미나리, 뽕나무오디, 꾸지뽕나무, 함초 또는 청출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으로서,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방향성 초본의 숙근으로서 깊은 산중에서 자생하나 오늘날에는 재배산이 일반적으로, 두통, 자궁출혈, 산후복통, 땀나기, 불임증, 부인의 온갖병, 코피, 시력장애, 위통, 빈혈 등에 그 효과가 있다.
녹차는 항암효과, 콜레스테롤 제거 효과, 동맥경화 억제작용, 혈압상승 억제 효과, 혈소판 응집 억제 작용, 식중독 예방 효과, 콜레라 예방 효과, 충치 예방 효과, 기타 항산화 작용, 노화억제 효과, 중금속제거 효과, 항당뇨 효과, 지방간의 예방, 다이어트 효과, 항알레르기 효과 등을 지니고 있다.
옥수수 수염은 한방에서 신장염과 당뇨병 등에 효능이 인정되고 있으며, 미나리는 구미를 돋우는 독특한 향미를 지니고 있으며, 해열, 혈압강하, 황달 또는 설사등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고, 오디는 뽕나무의 열매로서 신맛이 없으며, 저혈압, 냉증, 불면증 등에 좋은 효과를 지니고 있다.
꾸지뽕나무는 생리통, 생리불순, 냉.대하의 부인병, 항암작용, 위장질환, 폐질환, 이뇨작용, 어혈해소증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함초는 철, 인, 마그네슘과 미네랄이 가장 풍부한 갯벌에 서식하는 녹조류 식물로서 염초라고도 하는데, 복부비만, 당뇨, 악성변비, 혈액순환, 만성피로회복,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질 제거작용 및 피부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에는 알긴산나트륨, 식염 및 향료가 첨가되는데, 알긴산나트륨은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긴산나트륨은 바다에서 생산되는 조류(algae)로서 파래, 청태 등과 같은 녹조,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 또는 김과 같은 홍조에서 추출한 순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은 국수채, 냉채 또는 샐러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는데, 생약성분으로 녹차, 옥수수 수염 과 미나리 추출물을 사용한 것은 다이어트용으로, 생약성분으로 녹차, 뽕나무 오디와 당귀 추출물을 사용한 것은 당뇨병, 위장병, 간해독용, 숙취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생약성분으로 녹차, 뽕나무 오디와 청출을 사용한 것은 비만해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생약성분으로 꾸지뽕나무의 추출물을 사용한 것은 부인병과 항암작용, 위장강화, 이뇨작용, 어혈해소가 있어 환자치료식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생약성분으로 함초의 추출물을 사용한 것은 복부비만증, 당뇨, 악성변비, 중성지방제거, 피부노화방지용으로 사용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의 제조공정은 해조류 가공공정, 생약성분 추출공정, 혼합공정 및 성형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해조류 가공공정은 우뭇가사리, 미역 및 다시마를 각각 물에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시킨 다음, 진공냉동 건조기로 건조기켜 각각 분쇄하고 분급기에서 일정크기로 선별하여 미역과 다시마는 필요에 따라, 단독 또는 일정비율로 혼합하거나 미역 또는 다시마의 추출액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생약성분 추출공정은 당귀, 녹차, 옥수수수염, 미나리, 뽕나무오디, 꾸지뽕나무, 함초 또는 청출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생약성분에 50-100 배의 물을 가하고 80-100℃에서 3-5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60-80℃에서 감압농축시켜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제조한다.
혼합공정은 상기공정에서 얻어진 우뭇가사리 등의 해조류, 및 생약성분 추출물에 앵초 또는 곡류 분말, 알긴산나트륨, 식염 및 향료를 첨가하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충분히 교반시키면서 열탕하여 우무 또는 율무묵, 도토리묵, 메밀묵 등과 같은 각종 묵류를 제조한다.
성형공정은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우뭇가사리 가공원료를 국수채, 냉채 또는 샐러드 형태로 성형시키는 공정으로서, 성형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는데 성형한 후 중심온도가 50-100℃가 되도록 15-30분 동안 가열하여 냉각하고 포장단위별로 포장하여 냉장보관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를 각각 물에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시킨 다음, 진공냉동 건조기로 건조시켜 각각 분쇄하고 분급기에서 1 mm 이하의 크기로 선별하였다.
녹차, 옥수수 수염, 미나리에 100 배의 물을 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70℃에서 감압농축시켜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우뭇가사리 60 중량부, 미역과 다시마 10 중량부, 생약성분 5 중량부에 천초 7 중량부, 알긴산나트륨 2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향료 0.3 중량부를 첨가하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충분히 교반시키면서 열탕하여 우무를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우무를 국수 채받이에 부어 성형되어 나오는 우무를 15-17℃의 흐르는 냉수통에 냉각시켜 국수채 형태의 우무 가공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를 각각 물에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시킨 다음, 진공냉동 건조기로 건조시켜 각각 분쇄하고 분급기에서 1 mm 이하의 크기로 선별하였다.
녹차, 뽕나무 오디와 당귀 추출물에 100 배의 물을 가하고 80℃에서 5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80℃에서 감압농축시켜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우뭇가사리 55 중량부, 미역과 다시마 10 중량부, 생약성분 10 중량부에 천초 5 중량부, 알긴산나트륨 2 중량부, 식염 3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충분히 교반시키면서 열탕하여 우무를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우무를 몰드에 부어 성형되어 나오는 우무를 100℃의 온수에 익혀 냉채 형태의 우무 가공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를 각각 물에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시킨 다음, 진공냉동 건조기로 건조시켜 각각 분쇄하고 분급기에서 1 mm 이하의 크기로 선별하였다.
녹차, 뽕나무 오디와 청출에 80 배의 물을 가하고 90℃에서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80℃에서 감압농축시켜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우뭇가사리 50 중량부, 미역과 다시마 10 중량부, 생약성분 10 중량부에 천초 5 중량부, 알긴산나트륨 2 중량부, 식염 3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충분히 교반시키면서 열탕하여 우무를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우무를 몰드에 부어 성형되어 나오는 우무를 100℃의 온수에 익혀 샐러드 형태의 우무 가공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를 각각 물에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시킨 다음, 진공냉동 건조기로 건조시켜 각각 분쇄하고 분급기에서 1 mm 이하의 크기로 선별하였다.
녹차, 옥수수 수염, 미나리에 100 배의 물을 가하고 100℃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70℃에서 감압농축시켜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우뭇가사리 60 중량부, 미역과 다시마 10 중량부, 생약성분 5 중량부에 율무분말 7 중량부, 알긴산나트륨 2 중량부, 식염 2 중량부, 향료 0.3 중량부를 첨가하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충분히 교반시키면서 열탕하여 율무묵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율무묵을 국수 채받이에 부어 성형되어 나오는 율무묵을 15-17℃의 흐르는 냉수통에 냉각시켜 국수채 형태의 율무묵 가공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를 각각 물에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시킨 다음, 진공냉동 건조기로 건조시켜 각각 분쇄하고 분급기에서 1 mm 이하의 크기로 선별하였다.
녹차, 뽕나무 오디와 당귀 추출물에 100 배의 물을 가하고 80℃에서 5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80℃에서 감압농축시켜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우뭇가사리 55 중량부, 미역과 다시마 10 중량부, 생약성분 10 중량부에 도토리분말 5 중량부, 알긴산나트륨 2 중량부, 식염 3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충분히 교반시키면서 열탕하여 도토리묵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도토리묵을 몰드에 부어 성형되어 나오는 도토리묵을 100℃의 온수에 익혀 냉채 형태의 도토리묵 가공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를 각각 물에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탈수시킨 다음, 진공냉동 건조기로 건조시켜 각각 분쇄하고 분급기에서 1 mm 이하의 크기로 선별하였다.
녹차, 뽕나무 오디와 청출에 80 배의 물을 가하고 90℃에서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심분리시키고 상등액을 80℃에서 감압농축시켜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우뭇가사리 50 중량부, 미역과 다시마 10 중량부, 생약성분 10 중량부에 메밀분말 5 중량부, 알긴산나트륨 2 중량부, 식염 3 중량부, 향료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충분히 교반시키면서 열탕하여 메밀묵을 제조하였다.
상기 공정에서 얻어진 메밀묵을 몰드에 부어 성형되어 나오는 메밀묵을 100℃의 온수에 익혀 샐러드 형태의 메밀묵 가공식품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본 발명에 의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의 기호성과 시식의 편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는데, 수치가 높을수록 양호함을 의미한다.
관능검사는 20-29세 남녀 20 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법에 의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의 종합적인 맛, 편리성 및 상품성을 평가하였는데, 표 1의 결과는 그 평균치를 나타낸 것으로 대조군은 시중에 시판중인 기존의 우무제품을 사용하였다.
<표 1>. 관능검사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대조군
종합적인 맛 4.2 4.2 4.0 4.1 4.2 4.1 3.4
편리성 4.3 4.4 3.9 4.8 4.8 4.7 2.3
상품성 4.8 4.2 4.0 4.0 3.8 4.0 3.1
본 발명에 의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은 생약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유익하며, 국수채, 냉채 또는 샐러드형태로 성형되어 먹기에 편리하고 기호성이 개선되어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우뭇가사리 50-60 중량%, 앵초 또는 곡류 분말 5-7 중량%, 해조류 5-10 중량%, 생약성분 5-10 중량%, 알긴산나트륨 1-2 중량%, 식염 2-3 중량%, 향료 0.1-0.5 중량% 및 수분으로 구성된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앵초는 도박 또는 천초 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3. 제 1항에 있어서,
    곡류는 율무, 도토리, 메밀, 잣, 현미, 보리, 콩 또는 녹두 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4. 제 1항에 있어서,
    해조류는 미역 또는 다시마엑기스 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5. 제 1항에 있어서,
    생약성분은 당귀, 녹차, 옥수수 수염, 미나리, 뽕나무 오디, 꾸지뽕나무, 함초 또는 청출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 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6. 제 1항에 있어서,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은 우무 또는 묵 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7. 우뭇가사리, 미역 및 다시마를 세척, 탈수, 건조 시킨 후 일정크기로 분쇄하는 해조류 가공공정과; 당귀, 녹차, 옥수수수염, 미나리, 뽕나무오디, 꾸지뽕나무, 함초 또는 청출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생약성분을 80-100℃에서 3-5 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60-80℃에서 감압농축하는 생약성분 추출공정과; 상기공정에서 얻어진 해조류와 생약성분에 앵초 또는 율무, 도토리, 메밀, 잣, 현미, 보리, 콩 또는 녹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곡류 분말, 알긴산나트륨, 식염 및 향료를 첨가하고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충분히 교반시키면서 열탕하는 혼합공정과; 상기 혼합공정에 의해 얻어진 우뭇가사리 가공원료를 국수채, 냉채 또는 샐러드 형태로 성형시키는 성형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KR10-2001-0065477A 2001-10-23 2001-10-23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4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477A KR100434081B1 (ko) 2001-10-23 2001-10-23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477A KR100434081B1 (ko) 2001-10-23 2001-10-23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480A KR20030033480A (ko) 2003-05-01
KR100434081B1 true KR100434081B1 (ko) 2004-06-04

Family

ID=2956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477A KR100434081B1 (ko) 2001-10-23 2001-10-23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0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41B1 (ko) * 2002-08-24 2005-04-27 김은실 기능성 묵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4202B1 (ko) * 2010-11-18 2013-02-18 최만득 꾸지뽕을 함유한 칼국수 제공방법
KR20200057213A (ko) 2018-11-16 2020-05-26 국대환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425B1 (ko) * 2001-12-20 2004-07-23 박연례 녹차분을 이용한 녹차묵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하여 제조된 녹차묵
KR100720343B1 (ko) * 2005-03-23 2007-05-21 하배진 함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가공식품
KR100765447B1 (ko) * 2006-05-25 2007-10-09 박민경 녹차함유 기능성 과일잼 제조방법
KR100856241B1 (ko) * 2007-04-25 2008-09-03 웅진식품주식회사 한천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KR100816422B1 (ko) * 2007-11-01 2008-03-25 주식회사 지지아이푸드엔터프라이즈 꾸지뽕나무 뿌리추출물로 코팅한 기능성 쌀과 그 제조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0873A (en) * 1979-05-12 1980-11-25 Megumi Haraguchi Bean curd containing seaweed
JPS58149666A (ja) * 1982-02-26 1983-09-06 Nagoya Seiraku Kk 海藻を含有する飲料
JPH01320972A (ja) * 1988-06-24 1989-12-27 Mineo Matsuyama ところてん豆腐の製造法
KR920021069A (ko) * 1991-05-27 1992-12-18 김후섭 우뭇가사리(天草)를 이용한 청량 음료의 제조방법
KR980000116A (ko) * 1997-12-23 1998-03-30 손종업 면의 제조방법
KR19980075166A (ko) * 1997-03-28 1998-11-16 김철호 생약성분이 함유된 연육제품의 제조방법
KR19990073306A (ko) * 1999-07-01 1999-10-05 고경식 해초류를이용한냉면가루와제분가루및숙면제조방법
KR20010097265A (ko) * 2000-04-21 2001-11-08 홍선표 해조묵의 제조방법
KR20010100092A (ko) * 2001-09-22 2001-11-14 방계룡 한천을 주체로 하는 겔 식품의 제조방법
KR20020032851A (ko) * 2000-10-27 2002-05-04 김병수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0873A (en) * 1979-05-12 1980-11-25 Megumi Haraguchi Bean curd containing seaweed
JPS58149666A (ja) * 1982-02-26 1983-09-06 Nagoya Seiraku Kk 海藻を含有する飲料
JPH01320972A (ja) * 1988-06-24 1989-12-27 Mineo Matsuyama ところてん豆腐の製造法
KR920021069A (ko) * 1991-05-27 1992-12-18 김후섭 우뭇가사리(天草)를 이용한 청량 음료의 제조방법
KR19980075166A (ko) * 1997-03-28 1998-11-16 김철호 생약성분이 함유된 연육제품의 제조방법
KR980000116A (ko) * 1997-12-23 1998-03-30 손종업 면의 제조방법
KR19990073306A (ko) * 1999-07-01 1999-10-05 고경식 해초류를이용한냉면가루와제분가루및숙면제조방법
KR20010097265A (ko) * 2000-04-21 2001-11-08 홍선표 해조묵의 제조방법
KR20020032851A (ko) * 2000-10-27 2002-05-04 김병수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KR20010100092A (ko) * 2001-09-22 2001-11-14 방계룡 한천을 주체로 하는 겔 식품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841B1 (ko) * 2002-08-24 2005-04-27 김은실 기능성 묵 및 그 제조 방법
KR101234202B1 (ko) * 2010-11-18 2013-02-18 최만득 꾸지뽕을 함유한 칼국수 제공방법
KR20200057213A (ko) 2018-11-16 2020-05-26 국대환 침상 흡입 파이프로 흡입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병 또는 용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480A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065B1 (ko) 야생초를 이용한 선식과 이를 이용한 선식음료
KR101589250B1 (ko) 노루궁뎅이버섯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0183B1 (ko) 곡물류 및 구근류를 이용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CN110122744A (zh) 一种藜麦营养粉及其制备方法
KR100718074B1 (ko) 뽕잎분말을 첨가한 김치와 그 제조방법
KR20000063213A (ko) 한약제가 첨가된 조리용 조청 조성물
KR100434081B1 (ko)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우뭇가사리 가공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104965A (ko) 해조류를 주제로 한 기능성 식품의 제조방법
KR101012224B1 (ko) 다색 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101156002B1 (ko) 식혜형 쌀두유의 제조방법
CN110301583A (zh) 富含微量元素硒的罗汉果米粉干粉及其制备方法
CN104431969A (zh) 一种阿胶杏脯黄豆酱及其制备方法
KR20000058409A (ko) 곡물국수
KR20090019964A (ko) 치아 종자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CN104605457B (zh) 一种黑木耳芝麻固体饮料的制备方法
JP2547573B2 (ja) 飲食品の製造方法
KR101781322B1 (ko) 기능성 약초뻥튀기 제조방법
KR100381732B1 (ko)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
KR101836040B1 (ko) 기능성 식품을 갖는 곶감강정 제조 방법
KR20110115327A (ko) 쌀과 콩을 이용한 죽 및 그 제조방법
KR101945023B1 (ko) 블루베리,아로니아 및 아피오스가 포함된 관능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칼국수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11031A (zh) 一种紫苏叶海参黑豆糕及其制备方法
CN108782902A (zh) 一种荞麦黄秋葵茶制品及其制备方法
KR102464983B1 (ko) 다이어트용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539641B1 (ko) 천연 산야초를 이용한 칼국수와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