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732B1 -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81732B1 KR100381732B1 KR10-2001-0000812A KR20010000812A KR100381732B1 KR 100381732 B1 KR100381732 B1 KR 100381732B1 KR 20010000812 A KR20010000812 A KR 20010000812A KR 100381732 B1 KR100381732 B1 KR 1003817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odles
- flour
- red
- purple
- extract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12055 fruits and vegetables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6068 Berberi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1
- 241000335053 Beta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5000019571 color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1508 Diospyros virgin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614 black pepp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6906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371652 Curvularia clavat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0019 Diospyros kaki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41000723267 Diospyro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IVNZBWNBYXERPK-DZGBHZPSSA-K trisodium;(8Z)-7-oxo-8-[(4-sulfonatonaphthalen-1-yl)hydrazinylidene]naphthalene-1,3-disulfonate Chemical compound [Na+].[Na+].[Na+].C1=CC=C2C(N\N=C3/C(=O)C=CC=4C=C(C=C(C=43)S([O-])(=O)=O)S(=O)(=O)[O-])=CC=C(S([O-])(=O)=O)C2=C1 IVNZBWNBYXERPK-DZGBHZPSSA-K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238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07 poiso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572 poison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22 soy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496 Acn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137884 Cucumaria min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925 Dental Car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655 Diospyros digy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31 Diospyros digy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17 Diospyros tex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964 Diospyros virgin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970 Ephelid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3 Erythrocyt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327 Menstru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41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453 Spinacia oler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337 Spinaci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107 Stomach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9 garn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20 hamburg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14 mens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06 menstru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7082 red pepper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92 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8 vitamin 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2 vitamin 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8—Cadmiu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1—Pediatric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지 과일 및 야채의 즙을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을 가진 국수면을 제조하고 이를 1인분씩 단위포장 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다양한 맛과 색상이 어우러진 칼국수를 음미할 수 있도록 하고 영양가 있는 건강식으로도 매우 좋은 칼국수를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과일 및 야채의 즙을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가진 국수면을 제조하여 이를 1인분씩 단위포장 함으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각각의 과일 및 야채가 내는 다양하고 독특한 맛과 색상을 가진 칼국수를 음미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에도 매우 좋은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주식인 밥을 대신하여 별식으로서 다양한 곡물을 이용하여 만든 국수 예컨대, 메밀국수나 녹말국수 또는 칼국수 등을 즐겨왔다. 곡물가루를 물과 함께 반죽하여 얇게 밀어 만든 국수를 삶아 육수에 말거나 또는 육수에 넣고 끓인 후 그 위에 여러 가지 고명을 넣어 먹으면 밥을 대용한 식사로도충분하고 소화도 잘 되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즐겨먹을 수 있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식생활이 점차 서구화되기 시작하면서 성장기의 어린이나 청소년은 물론이고 성인들까지도 국수와 같은 전통음식보다는 피자나 햄버거 등과 같은 서구음식을 즐기게 되었고, 또한 육류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당뇨병이나 심장병 및 고혈압, 나아가 암과 같은 질병이 늘고 있으며, 심지어 어린이들에게까지 비만과 당뇨병 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식생활이 질병의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은 과학적으로도 입증되고 있는 만큼, 식생활의 개선만으로도 암과 같은 질병을 어느 정도 예방 및 억제할 수 있는데, 최근 연구를 통해 칼국수, 오이, 두유, 야채주스 등이 위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칼국수를 자주 먹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위암 위험도가 0.51배에 불과하고, 야채주스는 0.47배, 두유는 0.49배 등과 같이 위암발생의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한편, 농촌에서는 농민에게 상당한 수익을 가져다 주던 감이나 배추 등의 과일 또는 야채 값의 폭락과 인건비 등의 유지관리비로 인해 농민들의 부담이 증가하여 농촌경제가 매우 어려워진 실정으로, 감과 배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과일이나 야채를 이용한 식품 등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관하여, 과일이나 야채를 이용한 면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2000-058410호의 과일국수 또는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998-068011호의 우동면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과일만을이용하거나 또는 시금치나 부추 등 부차적인 농산물만을 소량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물을 사용하지 않고 홍시감이나 배추와 같은 국내의 주된 농산물과, 비트뿌리나 적채와 같은 녹황색 채소 등을 이용한 추출액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가진 국수면을 제조하고 이를 각각 색상별로 모아 1인분으로 포장함으로써 소비자가 과일 및 야채의 다양한 맛과 색상 및 효능을 즐길 수 있도록 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다양한 과일 및 야채를 사용하여 유색의 칼국수를 제조하고 이를 1인분씩 단위 포장하여 소비자가 독특한 색감과 맛을 즐길 수 있고 건강에도 매우 좋은 칼국수를 제조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원료는 홍시감, 배추, 비트뿌리, 적채(붉은 양배추) 등이며, 이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은 감나무 백그루 가지면 쌀 백섬도 부럽지 않다는 옛말이 있을 만큼 우리 몸에 이로운 과실로서, 유기산과 탄닌 및 비타민 A, C, K가 많이 함유되어 감기, 빈혈, 고혈압 및 동맥경화 등에 효과가 있고, 식욕부진, 어린이의 발육불량, 충치발생과 여러 가지 유행성 질환예방에도 좋으며, 또한, 단백질과 지방, 탄수화물, 철분 등 각종 영양소가 고루 함유되어 있어 식사대용으로도 적합하다.
게다가 감을 숙성시킨 홍시감(이하, 홍시라고 함)은 맛이 달고 독이 없어 심장과 폐를 좋게 하며, 갈증을 멎게 하고 열독 및 주독을 푸는데 효과적이다.
배추는 비타민C와 칼슘이 풍부하며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이 많은 채소로, 특히, 칼슘은 뼈를 만들고 튼튼하게 하며 산성을 중화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강장수를 돕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배추는 정신을 맑게 하고 갈증이나 숙취로 인한 갈증 해소에 좋으며, 한방에서는 배추가 침의 분비를 원활히 하여 장내에서의 소화를 돕거나 열을 내리는 작용을 하며, 섬유소가 풍부해 변비해소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비트뿌리는 근공채, 홍두채 또는 화염채라고도 하며 쌈밥용으로 사용되는 야채로 남부유럽이 원산지로서, 적혈구생성 및 혈액조절에 좋고 혈액정화작용도 하며 어린이의 발육 및 골격형성에 좋고 치아를 튼튼하게 하며, 또한 모발의 성장을 돕고, 여성들의 경우 월경장해나 월경폐지에도 효과적이다.
붉은 양배추 즉, 적채는 비타민과 칼슘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가벼운 위궤양에도 효과가 있으며, 혈액을 맑게 하고 몸의 저항력을 높이며 주근깨, 여드름 기타 피부병 등에도 유효하다. 또한, 생장에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이 많아 발육기의 어린이가 섭취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덧붙여,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된 원료인 홍시, 배추, 비트뿌리, 적채 등의 원료군은 이들만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과일 및 야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은 여러 가지 과일 및 야채를 사용하여 유색의 칼국수를 제조하고 이를 1인분씩 단위 포장함으로써 소비자가 독특한 색감 및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된 농산물인 배추 및 홍시, 여러 가지 유익한 성분을 지닌 비트뿌리, 적채 등의 녹황색채소를 이용하여 칼국수를 제조함으로써 건강에도 좋고 농촌 경제의 이익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 는 도 1 의 제조과정에 따라 완성된 칼국수를 조리하여 1인분으로 그릇에 담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은, 밀가루와 찹쌀가루를 적정량 혼합한 국수가루에 다양한 색상을 가진 색상 추출액을 혼합 반죽하여 여러 가지 색상의 국수면을 제조한 후 각각의 색상으로 제조된 유색의 국수면을 색상별로 10~30가락씩 모아 1인분으로 단위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밀가루 75~85wt% 및 찹쌀가루 15~25wt%를 혼합한 국수가루 60~75wt%와, 상기 국수가루에 과일 및 야채의 독특한 색상과 맛을 부가하도록 다수의 색상 추출액 25~40wt%를 각각 별도로 배합하고 여기에 식용유 0.6~0.8wt%를 넣어 반죽한 후 이를 건조시켜 여러 가지 색상을 지닌 국수면을 제조하며, 상기 색상 추출액은 노란색 국수면을 만들어 내는 홍시액과, 녹색 국수면을 만들어 내는 배추 추출액과, 자주색 국수면을 만들어 내는 비트뿌리 추출액 및 보라색 국수면을 만들어 내는 적채 추출액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색상 추출액은 홍시와, 배추와, 비트뿌리 및 적채를 분쇄하여 50~150메쉬로 여과한 후 소금 0.5~1.5wt% 및 후추가루 0.1~0.3wt%를 첨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을 공정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색 칼국수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로서, 본 발명의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은 추출, 혼합 및 포장 등의 과정을 거쳐서 완성된다.
제 1 공정 : 국수가루 준비단계
밀가루 75~85wt% 및 찹쌀가루 15~25wt%를 혼합한 국수가루를 준비한다.
제 2 공정 : 색상 추출물 준비단계
채취한 감은 저온 하에서 숙성시켜 홍시를 얻은 후 씨와 껍질을 제거하고, 배추는 푸른 잎을 골라 깨끗이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한다. 또한, 비트뿌리는 세척한 후 껍질을 벗겨내고, 적채는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킨 후 흰 부분을 잘라낸다.
제 3 공정 : 색상 추출물 분쇄 및 색상 추출액 추출단계
씨와 껍질을 제거한 홍시는 소금 0.5~1.5wt%를 첨가하여 믹서로 갈거나 으깨어 노란색의 홍시액을 얻는다.
물기를 제거한 배추는 녹즙기로 갈아 50~150 메쉬 정도의 천이나 체 등의 여과기로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소금 0.5~1.5wt%와 후추가루 0.1~ 0.3wt%를 첨가하여 녹색의 배추 추출액을 얻는다.
껍질을 벗긴 비트뿌리는 녹즙기로 갈아 50~150 메쉬 정도의 천이나 체 등의 여과기로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소금 0.5~1.5wt%와 후추가루 0.1~0.3wt%를 첨가하여 자주색의 비트뿌리 추출액을 얻는다.
보라색 부위만을 남긴 적채는 녹즙기로 갈아 50~150 메쉬 정도의 천이나 체 등의 여과기로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소금 0.5~1.5wt%와 후추가루 0.1~0.3wt%를 첨가하여 보라색의 적채 추출액을 얻는다.
제 4 공정 : 혼합 및 반죽단계
상기 제 1 공정에서 얻어진 국수가루 60~75wt%에, 상기 제 3 공정에서 추출된 홍시액 25~40wt%와 식용유 0.5~0.7wt%를 배합하고 반죽을 하여 노란색 반죽을 얻는다. 이때 물은 첨가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공정에서 얻어진 국수가루 60~75wt%에, 상기 제 3 공정에서 추출된 배추 추출액 25~40wt%와 식용유 0.6~0.8wt%를 배합하고 반죽을 하여 녹색 반죽을 얻는다. 이때 물은 첨가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공정에서 얻어진 국수가루 60~75wt%에, 상기 제 3 공정에서 추출된 비트뿌리 추출액 25~40wt%와 식용유 0.6~0.8wt%를 배합하고 반죽을 하여 자주색 반죽을 얻는다. 이때 물은 첨가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공정에서 얻어진 국수가루 60~75wt%에, 상기 제 3 공정에서 추출된 적채 추출액 25~40wt%와 식용유 0.6~0.8wt%를 배합하고 반죽을 하여 보라색 반죽을 얻는다. 이때 물은 첨가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공정에서 얻어진 국수가루 60~75wt%에, 물 25~40wt%와 식용유 0.6~0.8wt%를 배합하고 반죽을 하여 흰색 반죽을 얻는다.
밀가루 50wt% 및 흑미찹쌀가루 50wt%를 혼합한 국수가루 60~70wt%에, 끓는물 30~40wt%와 식용유 0.6~0.8wt%를 배합하고 열 반죽을 하여 검은자주색 반죽을 얻는다.
제 5 공정 : 제면 및 포장단계
각각 노란색, 녹색, 자주색, 보라색, 흰색, 검은자주색의 색상을 지닌 반죽들을 제면기를 이용하거나 직접 손으로 밀어 유색의 국수면을 뽑고 이를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각각의 색상을 지닌 국수면들을 일정량씩 배합하여 1인분만큼 즉 180~250g이 되도록 하나로 결속한 후 단위 포장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을 이로써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국수가루 제조과정
밀가루 800g 및 밀가루에 끈기를 주도록 찹쌀가루 200g(중량대비 4:1)을 혼합한 국수가루 1000g(64.1wt%)을 5개 준비하고, 밀가루 500g 및 흑미찹쌀가루 500g(중량대비 1:1)을 혼합한 국수가루 1000g을 준비한다.
추출액 제조과정
늦가을 서리가 내린 후 잘 익은 감을 따서 냉암소에 공기가 잘 통하도록 검불이나 짚을 사이사이에 넣고 약 1개월 동안 보관해 두면 홍시가 된다. 이 홍시를 씨와 껍질을 제거한 후 소금 1wt%를 첨가하고 이를 믹서로 으깨어 노란색의 홍시 액을 만든다. 이때 소금을 넣으면 풋내가 가시고 제맛이 살아나며 체내 흡수가 빨라지게 된다.
배추는 푸른 잎을 골라 깨끗이 씻은 후 물기를 제거하고 녹즙기로 갈아 100메쉬의 여과기로 여과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다음 소금을 1wt%와 후추가루 0.2wt%를 첨가하여 녹색의 배추 추출액을 만든다.
비트뿌리는 뿌리의 붉은 색이 선명한 것을 골라 이를 깨끗이 씻어서 껍질을 벗긴 다음 녹즙기로 갈아서 상기 배추 추출액 제조과정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자주색의 비트뿌리 추출액을 만든다. 이때, 비트뿌리는 작은 것의 색이 더 진하므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적채는 흰 부분을 잘라내고 보라색 부분만을 녹즙기로 갈아 상기 배추 추출액 제조과정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보라색의 적채 추출액을 만든다.
혼합 반죽과정
밀가루 800g 및 찹쌀가루 200g을 혼합한 국수가루 1000g(64.1wt%)에 홍시액 550g(35.3wt%)과 식용유 10g(0.6 wt%)을 배합하고 이를 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죽하여 노란색 반죽을 얻는다.
밀가루 800g 및 찹쌀가루 200g을 혼합한 국수가루 1000g(65.9wt%)에 배추 추출액 506g(33.4wt%)와 식용유 10g(0.7wt%)를 배합하여 이를 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죽하여 녹색 반죽을 얻는다.
밀가루 800g 및 찹쌀가루 200g을 혼합한 국수가루 1000g(65.9wt%)에 비트뿌리 추출액 506g(33.4wt%)와 식용유 10g(0.7wt%)를 배합하여 이를 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죽하여 자주색 반죽을 얻는다.
밀가루 800g 및 찹쌀가루 200g을 혼합한 국수가루 1000g(65.9wt%)에 적채 추출액 506g(33.4wt%)와 식용유 10g(0.7wt%)를 배합하여 이를 물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죽하여 보라색 반죽을 얻는다.
밀가루 800g 및 찹쌀가루 200g을 혼합한 국수가루 1000g(65.9wt%)에 물506g(33.4wt%)와 식용유 10g(0.7wt%)를 혼합한 후 반죽하여 흰색 반죽을 얻는다.
밀가루 500g 및 흑미찹쌀가루 500g을 혼합한 국수가루 1000g(66.7wt%)에 물 489g(32.65wt%)와 식용유 10g(0.65wt%)를 혼합한 후 검은자주색 반죽을 얻는다.
제면 과정
상기 노란색 반죽을 제면기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밀어 노란색 국수면을 만들며, 국수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30cm정도이다.
상기 녹색 반죽을 제면기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밀어 녹색 국수면을 만들며, 국수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30cm정도이다.
상기 자주색 반죽을 제면기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밀어 자주색 국수면을 만들며, 국수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30cm정도이다.
상기 보라색 반죽을 제면기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밀어 보라색 국수면을 만들며, 국수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30cm정도이다.
상기 흰색 반죽을 제면기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밀어 흰색 국수면을 만들며, 국수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30cm정도이다.
상기 검은자주색 반죽을 제면기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밀어 검은자주색 국수면을 만들며, 국수면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30cm정도이다.
포장 과정
상기 노란색, 녹색, 자주색, 보라색, 흰색, 검은자주색의 색상을 지닌 국수면을 건조시킨 후, 중량기준으로 노란색 홍시면 30%, 녹색 배추면 22%, 자주색 비트뿌리면 12%, 보라색 적채면 12%, 흰색면 12%, 검은자주색면 12%를 각각 색상별로구분되도록 하여서 200g이 되도록 만들고 이를 1인분으로 포장한다.
조리 과정
색상이 진한 국수면과 색상이 연한 국수면을 서로 색이 물들지 않도록 별도로 4~5분간 삶아 건진 후 노란색 홍시면 30가락, 녹색 배추면 20가락, 자주색 비트뿌리면 10가락, 보라색 적채면 10가락, 흰색면 10가락을 1인분으로 하여 육수국물에 살짝 끓여내면 홍시의 단맛과 배추 등 야채의 담백한 맛이 어우러지고 도 2 와 같이 빛깔이 고운 유색 칼국수가 만들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홍시나 배추 등 영양성분이 많은 농산물과 비트뿌리와 적채 등과 같은 녹황색 채소를 이용한 추출액을 밀가루 및 찹쌀가루와 혼합 반죽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갖는 국수를 제조하고 이를 1인분씩 단위포장 함으로써 소비자가 과일 및 야채가 지닌 독특하고 다양한 맛과 색상을 함께 음미할 수 있으며, 평소에 칼국수를 즐기지 않는 어린이들에게도 호응을 얻어 편식을 예방하고 자연스럽게 영양성분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과일 및 야채가 가진 비타민, 칼슘 등의 성분으로 인해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억제에 효과적이며 나아가 국민건강증진은 물론 농민들에게도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 밀가루 75~85wt% 및 찹쌀가루 15~25wt%를 혼합하여 60~75wt%인 국수 가루를 구성하고, 상기한 국수 가루에 노란색 및 맛을 부가하도록 홍시에서 씨와 껍질을 제거한 후 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얻은 소정량의 홍시액을 혼합하며, 상기한 국수 가루와 홍시액을 혼합할 때 물을 섞지 않고 식용유 0.5~0.8wt%를 첨가하여 칼국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칼국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홍시액을 제조할 때 풋내를 제거하도록 소금 0.5~1.5wt%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칼국수 제조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한 국수 가루에 배추에서 녹색 부분만을 절취한 후 여기에서 찌꺼기를 제거한 배추 추출액과, 비트 뿌리에서 붉은 색이 선명한 부분만을 선별 재취하여 미세하게 분쇄하여 여기에서 찌꺼기를 제거한 비트뿌리 추출액과, 적채에서 흰 부분을 제거하고 보라색 부분만을 선별 채취하여 미세하게 분쇄한 적채 추출액을 각각 소정량 혼합하여 녹색과 자주색 및 보라색 칼국수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색 칼국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0812A KR100381732B1 (ko) | 2001-01-06 | 2001-01-06 |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00812A KR100381732B1 (ko) | 2001-01-06 | 2001-01-06 |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57744A KR20020057744A (ko) | 2002-07-12 |
KR100381732B1 true KR100381732B1 (ko) | 2003-04-30 |
Family
ID=2769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00812A KR100381732B1 (ko) | 2001-01-06 | 2001-01-06 |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817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9803B1 (ko) | 2009-03-12 | 2012-03-23 | 이현덕 | 칼국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8115A (ko) * | 2001-04-24 | 2001-07-13 | 양정박 | 면류의 제조방법 |
KR100821569B1 (ko) * | 2006-04-04 | 2008-04-14 | 구명서 | 무지개 칼국수 제조 방법 |
CN103932041A (zh) * | 2014-03-19 | 2014-07-23 | 王永帮 | 一种柿子板栗面条及其制备方法 |
CN103932040A (zh) * | 2014-03-19 | 2014-07-23 | 王永帮 | 一种黄花菜玉米面条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0398A (ko) * | 2000-02-24 | 2000-06-05 | 권영주 | 유색 칼국수의 제조 방법 |
-
2001
- 2001-01-06 KR KR10-2001-0000812A patent/KR1003817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0398A (ko) * | 2000-02-24 | 2000-06-05 | 권영주 | 유색 칼국수의 제조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9803B1 (ko) | 2009-03-12 | 2012-03-23 | 이현덕 | 칼국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57744A (ko) | 2002-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7834B1 (ko) | 컬러 가래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컬러 가래떡 | |
KR101671017B1 (ko) | 도토리 시루떡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15889B1 (ko) | 보리새싹 분말과 오디를 혼합하여 제공되는 기능성 찐빵/호도과자의 제조방법 | |
CN103621906A (zh) | 一种荸荠錾菜锅巴 | |
KR101914440B1 (ko) | 추어짬뽕의 제조방법 | |
KR100381732B1 (ko) | 유색 칼국수의 제조방법 | |
KR100330748B1 (ko) | 선인장 열매(백년초) 김치 및 제조방법 | |
KR102172098B1 (ko) | 홍삼찰떡 및 홍삼영양떡 제조방법 | |
KR100381731B1 (ko) | 다색 칼국수의 제조방법 | |
KR20090074386A (ko) |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밀가루 음식 및 그 제조 방법 | |
CN105660795A (zh) | 一种保健糕点及其制备方法 | |
KR102023684B1 (ko) | 쌀눈 찹쌀떡의 제조방법 | |
KR20110115327A (ko) | 쌀과 콩을 이용한 죽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90496B1 (ko) | 김치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96674B1 (ko) | 하수오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하수오 발효식품 | |
KR100836961B1 (ko) | 감자 옹심이의 제조방법 | |
KR100874573B1 (ko) | 토마토 죽 제조방법 | |
KR20050073941A (ko) | 시금치·파·부추를 액화 혼합한 반죽과 이를 이용한면(麵)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0448661B1 (ko) | 미나리 쌀국수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470832B1 (ko) | 발아찰현미를 함유하는 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17743B1 (ko) | 발아찰현미를 함유하는 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87524B1 (ko) | 인삼, 맥문동, 오미자 추출물 및 사과즙과 금산인삼1뿌리를 포함하는 고영양 잡곡밥 및 그 제조방법 | |
KR100694287B1 (ko) | 맛과 영양이 개선된 기능성 어묵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22413B1 (ko) | 생야채 비빔밥 | |
CN105433236A (zh) | 一种土茯苓豆薯营养细面的制作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32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