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21Y1 - 식품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121Y1
KR200489121Y1 KR2020170001602U KR20170001602U KR200489121Y1 KR 200489121 Y1 KR200489121 Y1 KR 200489121Y1 KR 2020170001602 U KR2020170001602 U KR 2020170001602U KR 20170001602 U KR20170001602 U KR 20170001602U KR 200489121 Y1 KR200489121 Y1 KR 200489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protrusion
ski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903U (ko
Inventor
이제관
Original Assignee
이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관 filed Critical 이제관
Priority to KR2020170001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21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9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견과류나 된장, 고추장 등의 장류의 식품을 보관하고, 뚜껑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된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품 보관 용기는 용기와 뚜껑의 결합 구조가 복잡하여 뚜껑의 분리가 어렵고 뚜껑의 주변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들이 유입되며, 원터치로 뚜껑을 결합하는 것이 어렵고, 용기의 파지가 불편하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대향하는 양측 외측면에 파지용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형성된 입구부 상단 외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입구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돌기부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부를 내측에 형성하고, 하측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부를 가지는 뚜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 및 뚜껑의 구조가 간단하고 뚜껑이 원터치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제조비가 저렴하며, 용기 내로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어 매우 위생적으로 된다.

Description

식품 보관 용기{Food keeping container}
본 고안은 견과류 등의 식품이나 된장 고추장 등의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와, 이 용기에 결합되어 분리 및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고 먼지 등 이물질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과류 등의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는 합성수지 또는 유리제의 용기 상측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 분리되는 뚜껑을 결합하거나 뚜껑의 가장자리에 회동하여 용기의 상부 턱에 걸려 잠금되는 잠금판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자는 결합 및 분리가 나사에 의해 이루어져 사용이 불편하고 금형 제작비 등의 상승으로 제조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후자는 구조가 복잡하고 이 역시 금형 제작비의 상승으로 제조비가 상승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된장이나 고추장 등의 장류를 보관하는 식품용기의 원터치 개폐구조가 실용신안등록 제20-0138095호로 개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는 덮개의 일측에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며, 상기 덮개 및 뚜껑에는 손잡이와 잠금 시 잠금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잠금장치가 구비됨으로써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뚜껑의 개폐가 매우 어려워 사용이 불편하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0-0254277호에는 용기의 상부 내측 각 모서리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그 상측에 결합되는 뚜껑의 각 모서리에는 상기 요홈부 내에 삽입되는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측에는 손가락이 위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식품용기의 뚜껑 결합구조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용기의 상측에 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을 용기로부터 분리할 때 손가락을 삽입하는 공간부가 있어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뚜껑의 분리가 어렵고 뚜껑에 형성된 공간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문제점과 각 모서리의 요홈부 내에 돌기가 삽입되어야 결합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원터치로 결합하는 것이 어렵고, 파지 불편하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들도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터치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고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용기 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인 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 의한 식품 보관 용기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 외측면에 파지용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형성된 입구부 상단 외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입구부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돌기부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부를 내측에 형성하고, 하측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부를 가지는 뚜껑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 및 뚜껑의 구조가 간단하고 뚜껑이 원터치로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제조비가 저렴하며, 용기 내로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어 매우 위생적으로 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 보관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 보관 용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 보관 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 보관 용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 보관 용기는 내측에 식품이 보관되는 용기(10)와, 이 용기(10)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된 입구부(11)를 가지며, 상기 입구부(11)의 상단 외측면에는 돌기부(12)가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10)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유리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의 외측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파지용 요홈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용 요홈부(13)는 용기(10)를 잡고 이후에 설명되는 뚜껑(20)을 분리 또는 결합하거나 이동할 때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11)에는 뚜껑(20)이 결합되는데, 상기 뚜껑(20)은 재질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20)은 용기(10)의 상부 가장자리에 하부 선단이 위치하는 스커트부(21)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부(21)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돌기부(12)의 하측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부(22)가 전 둘레에 걸쳐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 돌기부(22)는 스커트부(21)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탄성을 가지도록 스커트부(21)와는 분리되고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은 용기(10)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 즉 원형, 사각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상기 스커트부(21)의 하부 선단은 용기(10)의 상측에 형성된 걸럼턱(14)에 위치되어 안정된 자세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기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식품 보관 용기는 용기(10)의 외측면에 파지용 요홈부(13)가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용기(10)를 파지할 때 엄지와 다른 손가락들이 상기 파지용 요홈부(13) 내에 위치됨으로써 용기(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할 때 낙하되지 않게 되고, 또한 용기(10)로부터 뚜껑(20)을 개방 또는 분리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파지가 용이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식품이 보관된 상태에서 뚜껑(20)을 입구부(11)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하측으로 하중을 가하면 뚜껑(2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부(22)가 돌기부(12)를 지나면서 걸림 상태가 됨으로써 뚜껑(20)의 결합이 원터치에 가능케 되고, 또한 분리 시에는 한 손으로 용기(10)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뚜껑(20)의 스커트부(21)를 잡고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돌기부(12)의 하측에 결합된 걸림 돌기부(22)가 상측으로 벗어나면서 걸림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뚜껑(20)이 용기(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 돌기부(22)는 스커트부(21)에 의해 외측으로 벗어나는 량이 한정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게 되어 결합 상태에서는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20)에는 하측으로 연장하여 입구부(11)를 감싸는 스커트부(21)가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냉장고 등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 보관할 시에도 먼지 등이 입구부(11) 주변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매우 위생적으로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10)의 상측에 형성된 입구부(11)의 상측에는 밀봉 시트(30)가 열압착 등에 의해 접착되고, 상기 밀봉 시트(30)의 상부면 내측에는 일시에 개봉이 가능하도록 원터치 개봉부재(31)가 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용기(10)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는 파지용 요홈부(13)가 형성되어 파지가 용이하고 이동이나 뚜껑(20)의 결합 또는 분리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11)에는 뚜껑(2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뚜껑(20)에는 입구부(11)의 상단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12)에 걸려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걸림 돌기부(22)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에는 용기(10)의 입구부(11)의 주변을 감싸는 스커트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뚜껑(20)의 형상은 대략 용기(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20)에 형성된 스커트부(21)의 선단은 용기(10)의 상측면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14) 내에 위치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10)의 내측에 된장, 고추장 등의 장류나 꿀 등의 점성을 가지는 식품을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10)의 내측에 식품을 보관한 상태에서는 입구부(11)의 상측에 밀봉 시트(30)를 접착 또는 열압착 등의 방법으로 밀봉한 후 뚜껑(20)을 결합하면 식품을 일정 기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어 구매한 소비자는 뚜껑(20)을 용기(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원터치 개봉부재(31)를 사용하며 개방하면 원터치로 상기 밀봉 시트(30)를 개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내부에 저장된 식품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밀봉 시트(30)를 개봉한 후에는 뚜껑(20)을 상측에서 힘을 가하여 입구부(11)에 결합시키면 내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22)가 입구부(11)의 상측에 형성된 돌기부(12)의 하측에 위치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스커트부(21)는 용기(10)의 상측면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14)에 긴밀하게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10)의 입구부(11)는 매우 위생적으로 되며, 상기 뚜껑(20)의 개방 또는 결합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20)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는 파지용 요홈부(13)가 형성되어 이동이나 뚜껑(20)의 분리 및 결합시 손으로부터는 용기(10)가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10: 용기 11: 입구부
12: 돌기부 13: 파지용 요홈부
14: 걸림턱 20: 뚜껑
21: 스커트부 22: 걸림 돌기부
30: 밀봉 시트 31: 원터치 개봉부재

Claims (3)

  1. 서로 대향하는 양측 외측면에 파지용 요홈부(13)가 형성되고, 상측에 형성된 입구부(11)의 상단 외측에는 돌기부(12)가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된 용기(10)와; 상기 입구부(11)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돌기부(12)의 하측에 걸려지는 걸림 돌기부(22)가 내측면 전 둘레에 걸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용기(10)의 상부 가장자리에 하부 선단이 위치하게 하측으로 연장하는 스커트부(21)를 가지는 뚜껑(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용기(10)의 외측면에 파지용 요홈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용 요홈부(13)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용기(10)를 파지할 때 엄지와 다른 손가락들이 위치하며,
    상기 걸림 돌기부(22)는 탄성을 가지도록 스커트부(21)와 분리되어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커트부(21)에 의해 외측으로 벗어나는 량이 한정되며,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아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입구부(11)의 상측에는 밀봉 시트(30)가 접착되고, 상기 밀봉 시트(30)의 상부면 내측에는 일시에 개봉이 가능하도록 원터치 개봉부재(31)가 결합되며,
    상기 용기(10)의 상측면 둘레에는 스커트부(21)의 선단이 긴밀하게 위치되어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걸림턱(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2. 삭제
  3. 삭제
KR2020170001602U 2017-03-31 2017-03-31 식품 보관 용기 KR200489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02U KR200489121Y1 (ko) 2017-03-31 2017-03-31 식품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602U KR200489121Y1 (ko) 2017-03-31 2017-03-31 식품 보관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03U KR20180002903U (ko) 2018-10-11
KR200489121Y1 true KR200489121Y1 (ko) 2019-05-03

Family

ID=6386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602U KR200489121Y1 (ko) 2017-03-31 2017-03-31 식품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2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178B2 (ja) * 1997-02-19 2000-02-14 マコトロイ工業株式会社 油穴を有する複合体丸棒
JP2009029441A (ja) * 2007-07-25 2009-02-12 Fukusuke Kogyo Co Ltd 包装用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327U (ja) * 1984-06-19 1986-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装置
JP3010178U (ja) * 1994-10-04 1995-04-25 株式会社カネカシーフーズ 包装用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178B2 (ja) * 1997-02-19 2000-02-14 マコトロイ工業株式会社 油穴を有する複合体丸棒
JP2009029441A (ja) * 2007-07-25 2009-02-12 Fukusuke Kogyo Co Ltd 包装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03U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410B1 (ko) 스푼이 설치된 안전 밀폐형 분유통 뚜껑
KR20110050564A (ko) 착탈방식의 밀봉형 용기
KR101272819B1 (ko) 음식 용기용 진공 패킹
US20200377267A1 (en) Storage container
US3121508A (en) Container
KR200489121Y1 (ko) 식품 보관 용기
KR20140003532U (ko) 식품 포장용기의 체결구조
KR100615946B1 (ko)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KR20110007691U (ko) 탈착이 용이한 밀폐용기뚜껑
JP6715058B2 (ja) 容器本体
KR101894158B1 (ko) 병의 속마개
KR200365929Y1 (ko) 밀폐 저장 용기 뚜껑 및 몸체의 원터치 체결 구조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KR20190000531U (ko) 다용도 용기
KR101381642B1 (ko) 누름 락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
KR102096907B1 (ko)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KR200474475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
TWI719502B (zh) 螺絲盛裝容器
KR102072494B1 (ko) 밀봉용기
KR200481323Y1 (ko) 보관 용기
KR200265988Y1 (ko) 손잡이의 이탈방지 수단을 가지는 용기뚜껑
KR200486133Y1 (ko) 원터치식 캔 뚜껑을 가지는 포장용기
KR200484789Y1 (ko) 다단적층식 식품용기
KR20030064084A (ko) 용기 뚜껑 밀폐용 클립
JPS6275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