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053A - 일회용 종이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종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053A
KR20190053053A KR1020170149028A KR20170149028A KR20190053053A KR 20190053053 A KR20190053053 A KR 20190053053A KR 1020170149028 A KR1020170149028 A KR 1020170149028A KR 20170149028 A KR20170149028 A KR 20170149028A KR 20190053053 A KR20190053053 A KR 20190053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attachment
cap
reinforc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철
Original Assignee
강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철 filed Critical 강현철
Priority to KR102017014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3053A/ko
Publication of KR2019005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뚜껑(400)과 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종이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바닥면(310)과 제1면 내지 제4면(320,330,340,350) 및 상기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면(260,270,280,290,360,370,380,390)으로 이루어지며,

Description

일회용 종이용기{The disposal paper vessel}
본 고안은 일회용 종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밥과 같은 음식물 또는 아이스크림과 같은 식품을 포장하는 종이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수처리된 일회용 종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과 같은 음식물 또는 아이스크림과 같은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일회용 용기로서 종이용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이용기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되며, 과일 또는 식사의 대용의 경우에는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으로 된 종이 용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2는 전개도로써 삽입절개(43,53)부분에 접혀진 부분(61,62,63,64)이 삽입되어 일정한 용기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수분이 있는 식품을 내용물로 담을 경우에 이는 절단된 삽입절개부분에서 수분이 누설되어 용기의 용량을 대부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리함이 있다.
도1과 도3은 도2의 조립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도4는 도5의 전개도를 조립하는 것으로 도4의 덮개부분을 살펴보면 덮개부분이 평면으로 이루워져서 별도의 접착제로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조립에 의하여 조립된 것이어서 약간의 힘에 의하여도 조립한 용기가 훼손될 염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은 해결하고자 다른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선행문헌1:10-2014-0130903(2014.11.12) 선행문헌2:10-2014-0102076(2014.08.21)
종이와 같은 재질로 조립된 식품용기의 훼손가능성을 없애고 매우 견고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며 한번에 용기의 덮개를 씌우거나 덮개를 벗길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는 것이다.
본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것으로 목적한바를 달성할 수 있다.
뚜껑(400)과 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종이용기에 있어서,상기 용기본체는 바닥면(310)과 제1면 내지 제4면(320,330,340,350) 및 상기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면(260,270,280,290,360,370,380,390)으로 이루어지며,상기 제1면 내지 제4면의 상부에는 별도의 4개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2면(330)과 상기 제4면(350)에는 상기 뚜껑이 결착되는 제2-1면(331)과 제4-1면(35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면과 제3면의 상부에는 각 각 제1-1면(321)과 제3-1면(341)에는 각 각 제1부착면(321)과 제3부착면(3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착면과 접착될 상응한 부착면은 제1부착면에는 상기 보강면(360,390)의 상부에 형성된 부착면(361,391)에 부착되고 제3부착면과 부착될 부착면은 상기 보강면(370,380)의 상부에 형성된 부착면(371,381)이 형성되어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뚜껑과 결착하도록 상기 제2-1면과 상기 제4-1면에는 캡모양의 칼선이 있는 것을 구성하는것으로 한다.
또 본고안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캡모양의 칼선에 대응되게 또 다른 캡모양의 칼선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고안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캡모양의 칼선에 대응되게 또 다른 캡모양의 칼선을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뚜껑을 구성하되 용이하게 원터치로 용기를 체결하고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 ,도3 및 도4는 종래기술의 음식물 포장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와 도5는 종래 기술의 음식물 포장상자를 나타낸 내측전개도이다.
도6은 본고안의 전개도이다.도7은 도6의 전개도를 접는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도7에서 보강면을 접고 부착면을 접착하기 전 상태이다.
도9는 도8에서 접착면을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뚜껑에 대한 전개도이다.
도11은 도10을 조립한 도이다.
도12는 도9와 도11을 조립한 도이다.
본고안을 실시하기 위하여 도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6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뚜껑(400)과 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종이용기에 있어서,상기 용기본체는 바닥면(310)과 제1면 내지 제4면(320,330,340,350) 및 상기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면(260,270,280,290,360,370,380,3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면 내지 제4면의 상부에는 별도의 4개면이 형성되는데 도면부호로는 321,331,341,351 네개의 면을 둔것이다. 이 4개의 면을 1-1,2-1,3-1,4-1면으로 호칭하되 상기 제2면(330)과 상기 제4면(350)에는 상기 뚜껑이결착되는 제2-1면(331)과 제4-1면(351)이 형성된다.
상기 제1면과 제3면의 상부에는 각 각 제1-1면(321)과 제3-1면(341)에는 각 각 제1부착면(321)과 제3부착면(341)이 형성된다.
상기 도시되어 있는면의 뒷면이 대응되는 부착면과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1부착면과 접착될 상응한 부착면은 제1부착면에는 상기 보강면(360,390)의 상부에 형성된 부착면(361,391)에 부착되고 제3부착면과 부착될 부착면은 상기 보강면(370,380)의 상부에 형성된 부착면(371,381)이 형성되는 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8,9는 도6의 전개도를 점선을 따라 접는 순서에 따라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9에서 칼집을 내는 도면부호 332와 352는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과 결착하도록 상기 제2-1면과 상기 제4-1면에는 캡모양의 칼선이 두는 것이다.
도10도는 뚜껑의 전개도이며 도11은 도10을 점선을 따라서 접으면 완성되는 것이다.
도11은 뚜껑에 본체와 결합하기 위하여 칼선을 내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상기 뚜껑은 상기 캡모양의 칼선에 대응되게 또 다른 캡모양의 칼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도9와 도11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다.
뚜껑을 본체인 도 9위에서 결합할 때 손끝으로 하방향으로 누르면 원터치로 결합하는 것으로 결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1 : 음식물 포장상자
10 : 바닥부
20 : 정면
30 : 배면
40 : 좌측면
50 : 우측면
53 : 홈부
63 : 제4연장부 64 : 제2연장부
70 : 덮개부 74 : 삽입공
76 : 걸림돌기
100:본체 110:코너부분 120:측면보강부 200:뚜껑
310: 바닥면 320:제1면 330:제2면 340:제3면 350:제4면
260,270,280,290,360,370,380,390:보강면
321:제1-1면 331:제2-1면 341:제3-1면 351:제4-1면
321의 이면:제1부착면 341의 이면:제2부착면
361,371,381,391:부착면
332,352:본체 상부칼선
400:뚜껑 411,412:뚜껑의 결합을 위한 칼선

Claims (3)

  1. 뚜껑(400)과 용기본체로 이루어지는 종이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바닥면(310)과 제1면 내지 제4면(320,330,340,350) 및 상기 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보강면
    (260,270,280,290,360,370,380,39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면 내지 제4면의 상부에는 별도의 4개면이 형성되되 상기 제2면(330)과 상기 제4면(350)에는 상기 뚜껑
    이 결착되는 제2-1면(331)과 제4-1면(35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면과 제3면의 상부에는 각 각 제1-1면(321)과 제
    3-1면(341)의 이면에는 각 각 제1부착면(321)과 제3부착면(3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착면과 접착될 상응한 부
    착면은 제1부착면에는 상기 보강면(360,390)의 상부에 형성된 부착면(361,391)에 부착되고 제3부착면과 부착될
    부착면은 상기 보강면(370,380)의 상부에 형성된 부착면(371,38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과 결착하도록 상기 제2-1면과 상기 제4-1면에는 캡모양의 칼선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캡모양의 칼선에 대응되게 또 다른 캡모양의 칼선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용기.
KR1020170149028A 2017-11-09 2017-11-09 일회용 종이용기 KR20190053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028A KR20190053053A (ko) 2017-11-09 2017-11-09 일회용 종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028A KR20190053053A (ko) 2017-11-09 2017-11-09 일회용 종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53A true KR20190053053A (ko) 2019-05-17

Family

ID=6667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028A KR20190053053A (ko) 2017-11-09 2017-11-09 일회용 종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30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862A1 (en) * 2020-11-06 2022-05-1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Tray for food products
FR3128451A1 (fr) * 2021-10-26 2023-04-28 Ds Smith Packaging France Coiffe réalisée à partir d’un flan prédécoupé, emballage comportant une telle coiffe, outil et procédé d’assemblage d’un tel emball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2076A (ko) 2013-02-13 2014-08-21 주식회사 팩스타 음식물 포장상자
KR20140130903A (ko) 2013-05-02 2014-11-12 김송이 일회용 방수코팅 종이용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2076A (ko) 2013-02-13 2014-08-21 주식회사 팩스타 음식물 포장상자
KR20140130903A (ko) 2013-05-02 2014-11-12 김송이 일회용 방수코팅 종이용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862A1 (en) * 2020-11-06 2022-05-12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Tray for food products
US11827430B2 (en) 2020-11-06 2023-11-28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Tray for food products
US11952181B2 (en) 2020-11-06 2024-04-09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for food products
FR3128451A1 (fr) * 2021-10-26 2023-04-28 Ds Smith Packaging France Coiffe réalisée à partir d’un flan prédécoupé, emballage comportant une telle coiffe, outil et procédé d’assemblage d’un tel emballage
WO2023072900A1 (fr) * 2021-10-26 2023-05-04 Ds Smith Packaging France Sas Coiffe réalisée à partir d'un flan prédécoupé, emballage comportant une telle coiffe, outil et procédé d'assemblage d'un tel emball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7929B2 (en) Leakage-resistant packaging
KR101813224B1 (ko) 접착날개부를 갖는 절첩식 박스
AU2015356760B2 (en) A package assembly, a blan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ckage assembly
KR20190053053A (ko) 일회용 종이용기
KR20200007235A (ko) 소형 상자로 재가공이 가능한 피자상자
US8484855B1 (en) Flexible plastic utensil
KR20160004292U (ko) 일회용 종이용기
KR20190003194U (ko) 진공포장지
KR200481814Y1 (ko)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US20220144478A1 (en) Nested Paper Tray Having Divided Compartments
US20130075293A1 (en) Packaging case
KR20130029497A (ko) 포장용 박스
CN207917574U (zh) 一种新型具有保护功能的玩具包装盒
KR200474476Y1 (ko) 이중 덮개를 구비한 포장용 상자
KR200478210Y1 (ko) 포장 용기
KR200415674Y1 (ko) 통닭용 종이 포장용기
KR20170011880A (ko) 포장용 박스
KR101707667B1 (ko) 포장용 박스
CN208181606U (zh) 一种包装盒
JP3133835U (ja) 通気性木質容器
KR102074220B1 (ko) 일체형 방수 포장 구조
KR101968978B1 (ko) 포장케이스 및 제작방법
KR101999227B1 (ko) 포장랩 상자
US20210276762A1 (en) Variable food packaging container
KR200484314Y1 (ko) 슬리브 원터치 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