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814Y1 -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 Google Patents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814Y1
KR200481814Y1 KR2020150002430U KR20150002430U KR200481814Y1 KR 200481814 Y1 KR200481814 Y1 KR 200481814Y1 KR 2020150002430 U KR2020150002430 U KR 2020150002430U KR 20150002430 U KR20150002430 U KR 20150002430U KR 200481814 Y1 KR200481814 Y1 KR 2004818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wl
vessel
foo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682U (ko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석 filed Critical 이종석
Priority to KR2020150002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1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6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국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외측의 양 측면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1 손잡이가 구성된 제1 외측부재와, 중단부에 구성되어 물을 붓는 표시량을 나타내는 적정선이 구성된 하단그릇과, 하단그릇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밥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하단그릇에 있는 음식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밀폐력을 제공하며, 일 측면에 사용자가 잡음으로써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중단그릇과, 중단그릇의 상단부에 적층되어 각종반찬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상단그릇 및 끼움부재에 끼워넣어 2차 밀폐력으르 제공하는 끼움부재와, 제1 손잡이와 동일선상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2 손잡이와, 상단부에 구성되어 하단그릇과 결합되어 고정하도록 구성된 돌출부재로 이루어진 용기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Integrated package for food}
본 고안은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밥, 국, 반찬을 각각 용기에 담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하고, 하단그릇의 받침부재와 용기뚜껑의 돌출부재를 구성하여 용기의 돌출된 받침대가 뚜껑의 돌출된 받침대에 끼움으로써 용기가 차례대로 적층된 구성된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일하는 직장인이 간편하게 아침식사를 위해 마트 또는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삼각김밥 및 간편도시락의 판매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고, 업계에서는 이에 대응하는 간편히 먹을 수 있는 먹거리가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마트 또는 편의점에서는 간편히 먹을 수 있도록 밥,국,반찬이 각각 따로 판매하여 구매자들이 각각 별도로 구매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80195호에는 '일회용 도시락 용기'관한 특허를 공개한 바가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회용 도시락 용기에 있어서, 밥 이나 반찬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바닥면에는 다수의 구획공간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외향연장된 연장편이 형성되며, 저면 일단 양측과 타단 양측에는 적층시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제1,2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음식물 수용부와 상기 음식물 수용부의 상부를 덮는 것에 의해 연장편을 내측면과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음식물의 밀폐 및 음식물 수용부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면 일단 양측과 타단 양측에는 상부로 적층된 다른 일회용 도시락 용기의 음식물 수용부에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를 각각 수용하여 적층에 따른 쓰러짐을 방지가능하도록 제1,2수용홈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도시락 용기를 개시한 바가 있다.
그러나, 밥과 반찬이 들어있고 국은 따로 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용기를 제작하는 비용 또한 소비자판매가격 대비 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80195호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밥, 국, 반찬을 각각 용기에 담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하고, 하단그릇의 받침부재와 용기뚜껑의 돌출부재를 구성하여 용기의 돌출된 받침대가 뚜껑의 돌출된 받침대에 끼움으로써 용기가 차례대로 적층된 구성된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복수의 패키지로 구성된 용기를 적층하여 운반중에도 흔들리지 않음으로써 용기가 파손되지 않는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에 있어서, 국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외측의 양 측면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1 손잡이가 구성된 제1 외측부재와, 중단부에 구성되어 물을 붓는 표시량을 나타내는 적정선이 구성된 하단그릇과, 상기 하단그릇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밥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상기 하단그릇에 있는 음식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밀폐력을 제공하며, 일 측면에 사용자가 잡음으로써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중단그릇과, 상기 중단그릇의 상단부에 적층되어 각종반찬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상단그릇 및 상기 끼움부재에 끼워넣어 2차 밀폐력으르 제공하는 끼움부재와, 상기 제1 손잡이와 동일선상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2 손잡이와, 상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하단그릇과 결합되어 고정하도록 구성된 돌출부재로 이루어진 용기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그릇은, 상기 제1 외측부재의 내측에 소정의 틈이 구성되어 상기 중단그릇이 걸치도록 구성되는 용기턱과, 하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재와 끼움으로써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지지홈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외측에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재의 외측에 끼움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지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용기뚜껑의 상기 양 측면에 구성된 돌출부재의 외측에 견착되어 상기 지지홈에 끼워넣음으로써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지지홈에 끼워넣음으로써 결합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되 사용자가 일정이상 힘을 가하면 분리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은, 상단부에 하단그릇을 적층함으로써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단그릇 및 상단그릇은, 각각 유명 브랜드의 기성품을 활용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그릇은, 상기 중단그릇과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중단그릇과 상기 상단그릇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밥, 국, 반찬을 각각 용기에 담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하고, 하단그릇의 받침부재와 용기뚜껑의 돌출부재를 구성하여 용기의 돌출된 받침대가 뚜껑의 돌출된 받침대에 끼움으로써 용기가 차례대로 적층된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패키지로 구성된 용기를 적층하여 운반중에도 흔들리지 않음으로써 용기가 파손을 억제 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저면도,
도 4는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배면도,
도 5는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사용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저면도, 도 4는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배면도, 도 5는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제1 실시 예의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의 사용 예시도이다.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100)는 국을 담을 수 있는 하단그릇(110)과, 하단그릇(110)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햇반과 같은 밥이 담겨있으며 하단그릇(110)의 밀폐력이 제공되도록 구성된 중단그릇(130)과, 중단그릇(130)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반찬이 담겨있는 상단그릇(150) 및 상단그릇(150)의 상단부에 구성되고 하단그릇(110)에 끼움으로써 2중으로 밀폐력을 제공하는 용기뚜껑(170)이 이루어져 있다.
하단그릇(110)은 국을 담을 수 있도록 일정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뜨거운 음식물이 내장되는 용기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이 용기로부터 전해지는 열의 전도율을 저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단그릇(110)은 상단부 및 외측에 구성된 제1 외측부재(111)와, 하단그릇(110)의 중단부에 구성되고 물을 붓는 표시량을 나타내는 적정선(113)과, 하단부에 구성되고 후술한 용기뚜껑(170)의 돌출부재(175)와 동일선상에 일치시킨 후 끼움으로써 하단그릇(110)과 용기뚜껑(170)이 고정이 되도록 구성된 지지홈(115)과, 지지홈(115)의 양 측 일면에 구성되고 하단그릇(110)을 지지하는 받침부재(117) 및 내측에 구성되어 중단그릇(130)와 접착 또는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밀폐 틈(119)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단그릇(110)의 상단부 및 외측에 구성되는 제1 외측부재(111)는 일정한 폭으로 구성되며, 제1 외측부재(111)의 양 측 단면에는 사용자가 뜨거운 음식물이 담긴 하단그릇(110)을 손쉽게 운반이 가능하도록 제1 손잡이(111a)가 이루어져 있다.
제1 손잡이(111a)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제1 외측부재(111)보다 폭이 넓게 구성되고, 사용자가 양쪽의 제1 손잡이(111a)를 잡을 때 무게중심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그릇(110)의 중단부에 구성되는 적정선(113)은 물을 붓는 표시량을 나타내도록 일정한 높이에 미세하게 파임으로써, 시각적으로 선으로 부각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국과 같이 물이 필요한 반찬에 일정량의 물이 첨가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하단그릇(110)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지지홈(115)은 양 측 단면에 구성되고 후술한 용기뚜껑(170)의 돌출부재(175)와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부재(175)의 형태에 맞게 홈이 구성됨에 따라, 본 고안에서의 지지홈(115)은 반달형태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재(175)의 형태에 맞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홈(115)의 외측에 구성된 받침부재(117)는 하단그릇(110)의 하단부에 구성되고, 일체로 구성되며, 일정한 폭으로 구성됨에 따라 하단그릇(11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하단그릇(110)으로부터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의 받침부재(117)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단그릇(110)의 하단부 외측을 기준으로 휘어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구성되지 아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하단그릇(110)의 내측에 구성되는 용기턱(119)은 제1 외측부재(111)의 내측에 소정의 틈에 구성되고, 중단그릇(130)이 걸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단그릇(110)에 있는 음식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밀폐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다.
한편, 하단그릇(110)의 내측 및 상단부에 구성된 중단그릇(130)은 하단그릇(110) 내에 있는 음식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밀폐력을 제공하고, 밥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한, 중단그릇(130)은 외측에 구성되어 용기턱(119)에 걸침으로써 하단그릇(110)에 탑재가 되도록 구성된 제2 외측부재(131)와, 사용자가 중단그릇(130)에 있는 음식물을 밀폐가 되도록 이루어진 제1 밀폐부재(133)와, 제1 밀폐부재(133)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구성된 분리수단(135)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단그릇(130)의 외측에 구성되는 제2 외측부재(131)는 중단그릇(130)의 외측에 일정한 폭으로 돌출되어 구성되고, 용기턱(119)에 걸침으로써 하단그릇(110)내에 탑재가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단그릇(110)에 담긴 음식물이 부패가 되지 않도록 밀폐력을 제공한다.
제2 외측부재(131)와 결합되는 제1 밀폐부재(133)는 중단그릇(130)에 담긴 음식물의 밀폐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성된다.
중단그릇(130)의 양 측면에 구성된 분리수단(135)은 제2 외측부재(131)에 접제1 밀폐부재(133)를 사용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양 측면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양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일 측면에 구성될 수도 있다.
중단그릇(130)의 상단부에 적층되어 구성되는 상단그릇(150)은 각종반찬이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상단부에 상단그릇(150)이 밀봉되도록 제2 밀폐부재(151)가 구성된다.
아울러, 중단그릇(130) 및 상단그릇(150)은 각각 유명 브랜드의 기성품을 활용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중단그릇(130) 및 상단그릇(150)에 밥과 반찬을 담아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단그릇(150)의 상단에 구성된 용기뚜껑(170)은 제1 외측부재(111)에 끼움으로써 결합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단그릇(150)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되어 상단그릇(150)을 감싸도록 구성된다.
또한, 용기뚜껑(170)은 중단그릇(130)에 기재된 음식물의 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투명하고, 사용자가 앞접시로도 활용이 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재질인 폴리 카보네이트(PC)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인체에 무해한 종이재질 또는 합성섬유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용기뚜껑(170)은 외측에 구성되어 하단그릇(110)에 끼움으로써 2차 밀폐력을 제공하는 끼움부재(171)와, 양 측 단면에 구성되어 하단그릇(110)에서 발생하는 열의 일부분을 억제하는 제2 손잡이(173) 및 상단부의 양 측에 구성되어 일정하게 돌출됨으로써 다른 하단그릇(11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돌출부재(175)가 이루어져 있다.
용기뚜껑(170)의 외측에 구성된 끼움부재(171)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용기턱(119)에 끼워넣음으로써 하단그릇(110)과 결합되어 밀폐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하단그릇(110)과 용기뚜껑(170)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끼움부재(171)의 두께는 용기뚜껑(170)에 끼워넣기 위해 용기턱(119)에 구성된 소정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밀폐력을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뚜껑(170)의 양 측일면에 구성된 제2 손잡이(173)는 하단그릇(110), 중단그릇(130), 상단그릇(150)에 담긴 음식물이 전자레인지 또는 온수로 인해 뜨거운 하단그릇(110)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2 손잡이(173)는 하단그릇(110)에 구성된 제1 손잡이(111a)까지 열전도가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제1 손잡이(111a)만으로 잡기가 어려우며, 제2 손잡이(173)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용기뚜껑(170)의 양 측 단면에 구성된 돌출부재(175)는 일체로 구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하단그릇(110)과 결합이 되도록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양 측단면에 구성된 돌출부재(175)의 외측에 양 측단면에 구성된 받침부재(117)의 내측이 억지 끼움으로써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하되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했을 경우 하단그릇(110)과 용기뚜껑(17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재(175)의 폭은 지지홈(115)의 폭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지지홈(115)에 끼워넣음으로써 복수로 적층된 용기(100)가 운반중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100)는 적층되도록 용기뚜껑(170)의 돌출부재(175)에 하단그릇(110)의 받침부재(117)사이의 공간을 통해 끼워넣고, 돌출부재(175)의 폭은 지지홈(115)의 폭과 일치하여 받침부재(117)와 더불어 원활하게 끼워넣음으로써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층된 용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그릇(110), 중단그릇(130), 상단그릇(150)으로 구성된 제1 용기(200), 제2 용기(300), 제3 용기(400)를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로 적층될 수 있고, 또는, 3단 이외에도 반찬구성에 따라 용기(100)가 적층되는 수가 차이 날 수 있다.
또한, 용기(100)는 제1 용기(200), 제2 용기(300), 제3 용기(400)를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고 그 안에 구매자의 편의성을 위해 숟가락, 젓가락, 휴지, 물티슈와 같은 제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적층된 용기(100)는 상단의 양 측면에 구성된 돌출부재(175) 및 하단의 양 측면에 구성된 받침부재(117) 사이에 끼움으로써 구성된 지함(190)이 추가구성되며, 지함(190)은 용기(100)안에 있는 음식물의 정보가 기재되어 사용자가 음식물의 정보를 파악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용기(100)는 국이 담겨 있는 하단그릇(110)과 밥이 담겨 있는 중단그릇(130)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하단그릇(110)과 중단그릇(130)과 상단그릇(150)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하단그릇(110), 중단그릇(130), 상단그릇(150)은 종이컵, 종이재질,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4595호에 기재된 '열차단 용기커버'의 용기처럼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용기 110 : 하단그릇
111 : 제1 외측부재 111a : 제1 손잡이
113 : 적정선 115 : 지지홈
117 : 받침부재 119 : 용기턱
130 : 중단그릇 131 : 제2 외측부재
133 : 제1 밀폐부재 135 : 분리수단
150 : 상단그릇 170 : 용기뚜껑
171 : 끼움부재 173 : 제2 손잡이
175 : 돌출부재 190 : 지함
200 : 제1 용기 300 : 제2 용기
400 : 제3 용기

Claims (7)

  1. 국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외측의 양 측면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1 손잡이가 구성된 제1 외측부재와, 중단부에 구성되어 물을 붓는 표시량을 나타내는 적정선과, 상기 제1 외측부재의 내측에 소정의 틈이 구성되어 중단그릇이 걸치도록 용기턱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반달 형태로 구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켜 돌출부재와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되며, 용기뚜껑과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지지홈과, 돌출부재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홈의 외측에 구성되어 돌출부재의 외측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며, 용기뚜껑의 양 측면에 구성된 돌출부재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홈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 및 결합되는 받침부재가 포함된 하단그릇;
    상기 하단그릇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내부에 보관중인 음식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소정의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1 밀폐부재와, 일 측면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중단그릇;
    상기 중단그릇의 상단부에 적층되어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고, 내부에 보관되는 음식물이 부패하지 않도록 소정의 밀폐력을 제공하는 제2 밀폐부재가 포함된 상단그릇; 및
    상기 제1 외측부재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하여 이중으로 밀폐력을 제공하는 끼움부재와, 상기 제1 손잡이와 동일선상에 구성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2 손잡이와, 상단부 양 측에 일자형으로 구성되고 받침부재의 내측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어 하단그릇과 결합고정이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용기들이 적층되어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돌출부재로 이루어진 용기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그릇은, 용기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내측에 상기 중단그릇 및 상단그릇이 적층되며, 상기 중단그릇과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중단그릇 및 상단그릇이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중단그릇 및 상단그릇은, 각각 유명 브랜드의 기성품을 활용하여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중단그릇 및 상단그릇만 하나의 별도의 패키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150002430U 2015-04-15 2015-04-15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KR2004818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30U KR200481814Y1 (ko) 2015-04-15 2015-04-15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430U KR200481814Y1 (ko) 2015-04-15 2015-04-15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82U KR20160003682U (ko) 2016-10-25
KR200481814Y1 true KR200481814Y1 (ko) 2016-11-15

Family

ID=5723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430U KR200481814Y1 (ko) 2015-04-15 2015-04-15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1863A (zh) * 2019-07-26 2019-11-22 深圳爱她他智能餐饮技术有限公司 用于外卖打包碗具堆叠的机器人以及外卖打包碗具堆叠方法
KR102149613B1 (ko) * 2019-09-28 2020-08-28 김태준 식품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02B1 (ko) * 2011-09-28 2013-04-01 주식회사 다온에프앤씨 찬합식 도시락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195A (ko) 2012-01-04 2013-07-12 에코그린 (주)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101472955B1 (ko) * 2013-05-30 2014-12-22 고도연 도시락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02B1 (ko) * 2011-09-28 2013-04-01 주식회사 다온에프앤씨 찬합식 도시락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82U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8547B (en) Consumables container with nested inser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202262A (ja) 食品包装用トレー及び食品包装体
KR20100106947A (ko) 적층형 식품 보관용기
KR200481814Y1 (ko) 식음료용 통합형 패키지
KR20140055330A (ko) 용기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200471304Y1 (ko) 음식물 포장 캐리어
KR200489571Y1 (ko) 포장 용기
KR101472955B1 (ko) 도시락 용기
KR20150048573A (ko) 식품용 다용도 포장박스
RU141004U1 (ru) Пищевой двухкамерный контейнер из жесткого пластика
KR20170019851A (ko) 즉석식품용 세트포장용기
KR20110011324U (ko)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
JP3208448U (ja) 外嵌合蓋を有する連結食品容器
JP2016150774A (ja) 食品用容器および加熱調理器
KR200487369Y1 (ko) 다중 간편식 포장체
KR200359459Y1 (ko) 포장용 상자 어셈블리
JPH0449075Y2 (ko)
US20110017746A1 (en) Biomorphic containers
US20060124496A1 (en) X-trz food tray insert
KR102175815B1 (ko) 캐리어 기능을 구비한 컵 홀더
JP3200219U (ja) 飲料用携帯袋
KR20130115424A (ko) 보관이 용이한 플라스틱 용기
KR200495066Y1 (ko) 도시락 용기
KR102098830B1 (ko) 컵 홀더를 구비한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