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912A -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912A
KR20150120912A KR1020150141053A KR20150141053A KR20150120912A KR 20150120912 A KR20150120912 A KR 20150120912A KR 1020150141053 A KR1020150141053 A KR 1020150141053A KR 20150141053 A KR20150141053 A KR 20150141053A KR 20150120912 A KR20150120912 A KR 20150120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cooling pack
protruding piec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903B1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ublication of KR2015012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본체(4)와, 상기 본체(4)를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8)로 구성하며, 상기 본체(4)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빙 둘러 걸이부(6)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8)의 가장자리에는 빙 둘러 실링부재(16)를 구비함과 함께 커버(8)가 본체(4) 상부의 결합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40)를 형성하며, 마주하는 위치에는 커버(8)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커버(8)를 누르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걸이부(6)와 걸림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10)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10)는 걸이부(6)와 체결되는 걸림편(12)과, 밀폐된 커버(8)를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열기 위한 개방부재(14)로 구성하며, 상기 커버(8)에 형성된 결합공간부(18)에는 본체(4)에 보관된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팩(24)을 결합하여 구성하여서, 원터치 동작에 의해 밀폐용기(2)의 커버(8)를 개폐할 수 있어 편리하고, 커버(8)에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세척이 용이한 것이며, 밀폐용기(2)의 상부나 하부에 냉각팩(24)을 적층하여 결합함에 따라 더운 실외에서도 밀폐용기(2) 내에 보관중인 음식물이 쉽게 변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AIRTIGHT VESSEL FOR FOOD STORAGE WITH EASY TO OPEN AND CLOSE}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으로, 밀폐용기 커버를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식품보관용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보관하는 경우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밀폐용기를 많이 사용한다.
종래의 밀폐용기들은 용기 커버의 4면에 각각 체결용 날개를 구비한 상태에서 커버를 본체에 덮은 후 4면의 날개로 커버가 밀착되게 함으로써 본체 내부를 밀폐하여 음식을 보관하게 된다. 이때, 커버와 본체의 결합부에는 실링부재를 구비하여 밀폐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날개를 용기 본체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하고 커버를 덮은 후 본체의 날개를 이용하여 커버가 본체와 밀착되게 결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밀폐용기는 본체와 커버를 밀착력있게 결합하기 위해서 다수의 날개를 사방에서 수차례 체결하여야 하는 것임에 따라 사용이 불편한 것이며, 몸체와 커버의 체결시에 결합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지 않으면 날개가 닫히지 않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에 다수의 날개가 돌출되어 있어 커버를 씻기가 불편한 것이며, 밀폐용기의 계속적인 개폐로 인해 날개의 연결부에 크랙이 발생하여 끊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08515호, '밀폐용기'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285178호, '밀폐용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용기 커버의 개폐를 간편하게 하면서도 세척이 쉽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식품보관용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폐용기 내에 음식물을 보관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함과 함께 더운 실외에서 음식물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보관용 밀폐용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본체(4)와, 상기 본체(4)를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8)로 구성하며, 상기 본체(4)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빙 둘러 걸이부(6)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8)의 가장자리에는 빙 둘러 실링부재(16)를 구비함과 함께 커버(8)가 본체(4) 상부의 결합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40)를 형성하며, 마주하는 위치에는 커버(8)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커버(8)를 누르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걸이부(6)와 걸림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10)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10)는 걸이부(6)와 체결되는 걸림편(12)과, 밀폐된 커버(8)를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열기 위한 개방부재(14)로 구성하며, 상기 커버(8)에 형성된 결합공간부(18)에는 본체(4)에 보관된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팩(24)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본체(4)와, 상기 본체(4)를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8)로 구성하며, 상기 본체(4)의 상부에는 외측방으로 돌출된 체결편(42)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커버(8)의 가장자리에는 빙 둘러 실링부재(16)를 구비함과 함께 커버(8)가 본체(4) 상부의 결합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40)를 형성하며, 마주하는 위치에는 커버(8)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커버(8)를 누르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10)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10)는 본체(4)의 체결편(42)과 체결되는 체결공(44)과, 밀폐된 커버(8)를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열기 위한 개방부재(14)로 구성하며, 상기 커버(8)에 형성된 결합공간부(18)에는 본체(4)에 보관된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팩(24)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터치 동작에 의해 밀폐용기의 커버를 개폐할 수 있어 편리하며, 커버에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세척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밀폐용기의 상부나 하부에 냉각팩을 적층하여 결합함에 따라 더운 실외에서 밀폐용기 내에 보관중인 음식물이 쉽게 변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팩의 상하부에 각각 밀폐용기가 결합되어 냉각효율이 우수하며, 다수의 냉각팩과 밀폐용기를 적층할 수 있어 수납과 취급이 용이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보관용 밀폐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보관용 밀폐용기의 개폐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품보관용 밀폐용기의 상부에 냉각팩을 결합한 도면,
도 5a는 도 4의 단면 구성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팩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밀폐용기를 적층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커버와 냉각팩의 결합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체와 커버의 결합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식품보관용 밀폐용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용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의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밀폐용기(2)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본체(4)와, 상기 본체(4)를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8)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4)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이나 사각형 등 어떤 형태의 본체(4)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체(4)의 형태에 따라 커버(8)의 형태도 정해질 것이다.
상기 본체(4)의 상부 테두리에는 커버(8)가 결합될 수 있는 걸이부(6)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8)의 가장자리에는 본체(4)와 커버(8)의 결합시 본체(4) 내부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한 실링부재(16)가 빙 둘러 구비되며, 커버(8)의 끝단에는 직선상으로 마주하는 위치에 커버(8)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부(10)를 구성한다.
또한, 커버(8)의 가장자리에는 빙둘러서 가이드부(40)를 형성하고 있어 커버(8)를 본체(4)의 상부에 위치시킬 경우 커버(8)가 자연스럽게 체결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부(40)는 본체(4) 상부테두리의 바깥쪽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체(4)의 내측 하부로 돌출되어 본체(4)의 내측벽이 닿아 커버(8)의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경우에는 보관된 음식물과 닿을 수 있어 위생상 좋지 않음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과 닿지 않도록 바깥쪽으로 가이드부(40)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10)는 커버(8)의 양측,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하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고정부(10)를 커버(8)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10)의 내측에는 본체(4)와의 결합시 걸이부(6)와 체결되는 걸림편(12)이 돌출형성되며, 단부에는 밀폐된 용기를 쉽게 개방할 수 있도록 커버(8)를 열기 위한 개방부재(14)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밀폐용기(2)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쉽게 커버(8)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며,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밀폐용기(2)의 개폐방법을 설명한다.
도 3a는 본체(4)의 상부에 커버(8)를 결합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는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3a의 (a)와 같이 커버(8)를 본체(4)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3a의 (b)와 같이 손으로 커버(8)를 누르면 양측에 돌출된 고정부(10)의 걸림편(12)이 본체(4)의 걸이부(6)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고정부(10)가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8)를 더 누르게 되면 걸림편(12)이 걸이부(6)를 지나 내측으로 들어와 걸이부(6)와 걸림편(12)이 걸림상태가 되며, 커버(8)가 고정되면서 커버(8)의 실링부재(16)가 본체(4) 테두리와 밀착되어 내부가 밀폐되는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여 커버(8)를 개방하는 구성을 살펴보면, 커버(8)의 개방시 개방부재(14)와 본체(4) 사이의 이격 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개방부재(14)를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걸이부(6)와 걸림편(12)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고정부(10)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개방부재(14)를 계속적으로 당기게 되면 고정부(10)에 의해 본체(4)의 상부 테두리와 실링부재(16)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어 공기가 유입되면서 자연스럽게 커버(8)가 개방될 수 있으며, 양측의 고정부(10) 중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10)만을 개방하면 타측의 고정부(10)는 자연스럽게 걸림이 해제되어 커버(8)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밀폐용기(2)를 개폐함에 있어 한 손으로 커버(8)를 누르거나 어느 한쪽의 개방부재(14)를 당기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커버(8)를 개폐할 수 있어 밀폐용기(2)의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밀폐용기(2) 내에 보관된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여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밀폐용기(2)의 일측에 냉매가 주입된 냉각팩(2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밀폐용기(2)의 상부에 냉각팩(24)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는 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커버(8)에는 냉각팩(24)을 위치시키기 위한 결합공간부(18)를 형성하고, 결합공간부(18)의 내측벽에는 결합되는 냉각팩(24)을 끼움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출편(22)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한 쌍 이상의 제1 돌출편(22)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8)의 상부에 위치하는 냉각팩(24)의 측면에는 제1 돌출편(22)과 대응하는 제2 돌출편(26)을 형성하며, 냉각팩(24)의 결합시 커버(8)의 제1 돌출편(22)과 냉각팩(24)의 제2 돌출편(26)이 억지끼움으로 걸리게 되어 고정된다.
즉, 냉각팩(24)도 커버(8)와 같이 상부에서 눌러주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커버(8)의 결합공간부(18)에 안착될 수 있어 결합이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8)의 결합공간부(18)에 안착되는 냉각팩(24)의 상부를 평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평면을 이루는 냉각팩(24)의 상부면에는 캐릭터나 글자 등을 형성할 수 있어 디자인적인 측면과 취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팩(24)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용기(2)와 함께 다수개를 적층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냉각팩(24)의 상부에 홈부(36)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36)의 내측벽에는 제4 돌출편(38)을 형성한다.
본체(4)의 하부 외측에는 냉각팩(24)에 형성된 홈부(36)에 맞춰 끼워질 수 있도록 빙 둘러 다리부(32)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부(32)의 양단에는 홈부(36)에 형성된 제4 돌출편(38)과 억지끼움되어 결합되는 제3 돌출편(34)을 형성하여 다수의 밀폐용기(2)와 냉각팩(24)을 적층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밀폐용기(2)의 본체(4)를 유리 재질로 형성할 경우 다리부(32)가 미끄러워 사용시 불편할 수 있음에 따라 다리부(32)의 하부 또는 본체(4)의 바닥부 접촉면에 실리콘과 같은 마찰력이 높은 소재를 구비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3,제4 돌출편(34)(38)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끼움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돌출편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밀폐용기(2)를 냉장보관하거나 빈 밀폐용기를 수납하여 보관하는 경우와 같이 냉각팩(24)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b와 같이 밀폐용기(2)만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커버(8)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간부(18)에 적층할 밀폐용기(2)의 본체(4) 하부에 형성된 다리부(32)를 위치시키고, 커버(8)의 제1 돌출편(22)과 다리부(32)의 제3 돌출편(34)을 끼움결합함으로써 밀폐용기를 다수 적층할 수 있어 보관과 취급이 용이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커버(8)와 냉각팩(24)을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8)에 형성된 제1 돌출편(22)과 맞춤결합되는 오목부(28)를 냉각팩(24)의 일측에 제1 돌출편(22)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오목부(28)의 하부로는 제1 돌출편(22)과의 결합시 가이드역할을 하는 경사면(30)을 형성한다.
이를 설명하면, 커버(8)와 냉각팩(24)의 결합시 제1 돌출편(22)과 오목부(28)를 끼움결합하기 위해 냉각팩(24)을 상부에서 누르게 되고, 제1 돌출편(22)은 오목부(28)에 끼움결합되기 전에 경사면(30)을 타고 자연스럽게 오목부(28)로 유도되어 맞춤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30)은 제1 돌출부(22)가 오목부(28)에 바로 끼워지지 않고 경사면(30)을 타고 서서히 압력이 가해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체결이 용이한 것이며, 끼움 결합에 따른 제1 돌출부(22)의 마모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냉각팩(24)의 결합뿐만 아니라 커버(8)와의 분리시에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결합공간부(18)의 바닥면 중심부가 돌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냉각팩(24)이 설치된 결합공간부(18)의 바닥면을 가운데가 볼록하게 돌출부(20)를 형성한다.
커버(8)의 결합공간부(18)에 냉각팩(24)이 위치한 상태에서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0)를 기준으로 냉각팩(24)의 어느 한쪽을 눌러주게 되면 도 8의 (b)와 같이 반대쪽 냉각팩(24)의 걸림이 해제되며, 한쪽의 걸림이 해제된 냉각팩(24)은 커버(8)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0은 커버(8)에 냉각팩(24)을 결합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8)의 내측 테두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편(48)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8)의 결합공간부(18)에 결합되는 냉각팩(24)의 하부에는 돌출편(48)과 맞춤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홈(50a)(50b)을 형성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커버(8)와 냉각팩(24)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면, 먼저 도 10의 (a)와 같이 냉각팩(24)을 커버(8)의 결합공간부(18)에 위치시키면서 돌출편(48)이 끼움홈(50a)(50b)의 끼움위치에 놓이도록 하여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10의 (b)와 같이 냉각팩(24)을 전방으로 밀어서 돌출편(48)이 끼움홈(50a)(50b) 내측에 위치하도록 끼움결합하여 냉각팩(24)의 움직임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도 끼움홈(50a)(50b)과 돌출편(48)의 끼움결합은 밀착력있게 끼워져 쉽게 돌출편(48)이 끼움홈(50a)(50b)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체(4)와 커버(8)를 결합하는 구성을 보여준다.
이를 참조하면, 본체(4)의 상부 가장자리에 외측방으로 돌출된 체결편(42)을 형성하고, 커버(8)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고정부(10)에는 상기 체결편(42)을 끼움결합하기 위한 체결공(4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편(42)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체(4)를 사각 통체로 형성할 경우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한 쌍의 체결편(4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체결의 편의성을 위해 단부를 라운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2의 (a)와 같이 커버(8)를 본체(4)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방으로 누르면 도 12의 (b)와 같이 고정부(10)가 체결편(42)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체결편(42)이 체결공(44)에 끼움결합되어 본체(4)와 커버(8)가 밀착된다.
밀폐용기(2)가 밀폐된 상태에서 커버(8)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양측의 고정부(10) 중 일측의 고정부(10)에 형성된 개방부재(14)를 당기게 되면 공기가 일부 본체(4)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자연스럽게 커버(8)가 열리게 된다.
이때, 체결공(44)에 끼워진 체결편(42)이 쉽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체결편(42)의 크기보다 체결공(44)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체결편(42)이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이격된 공간부를 두어 여유공간이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커버(8)의 분리시 체결편(42)이 체결공(44)에 꽉 끼이게 되면 한손으로 체결편(42)이 쉽게 빠지지 않아 커버(8)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체결편(42)과 체결공(44)의 끼움결합시 이격된 공간부를 둠으로써 체결편(42)이 쉽게 벗져질 수 있도록 하여 원터치 동작으로 커버(8)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체결편(42)과 체결공(44)의 끼움결합시 여유공간인 공간부를 두어 체결편(42)이 체결공(44)에 꽉 끼이지 않더라도 체결편(42)이 체결공(44)에 끼움결합되면서 커버(8)를 본체(4)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커버(8)가 쉽게 분리되지는 않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밀폐용기 (4)-- 본체
(6)-- 걸이부 (8)-- 커버
(10)-- 고정부 (12)-- 걸림편
(14)-- 개방부재 (16)-- 실링부재
(18)-- 결합공간부 (20)-- 돌출부
(22)-- 제1 돌출편 (24)-- 냉각팩
(26)-- 제2 돌출편 (28)-- 오목부
(30)-- 경사면 (32)-- 다리부
(34)-- 제3 돌출편 (36)-- 홈부
(38)-- 제4 돌출편 (40)-- 가이드부
(42)-- 체결편 (44)-- 체결공
(48)-- 돌출편 (50a)(50b)-- 끼움홈

Claims (8)

  1. 밀폐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본체(4)와, 상기 본체(4)를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8)로 구성하며,
    상기 본체(4)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빙 둘러 걸이부(6)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8)의 가장자리에는 빙 둘러 실링부재(16)를 구비함과 함께 커버(8)가 본체(4) 상부의 결합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40)를 형성하며, 마주하는 위치에는 커버(8)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커버(8)를 누르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걸이부(6)와 걸림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10)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10)는 걸이부(6)와 체결되는 걸림편(12)과, 밀폐된 커버(8)를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열기 위한 개방부재(14)로 구성하며,
    상기 커버(8)에 형성된 결합공간부(18)에는 본체(4)에 보관된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팩(24)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2. 밀폐용기에 있어서,
    음식물을 담아 보관하기 위한 본체(4)와, 상기 본체(4)를 덮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8)로 구성하며,
    상기 본체(4)의 상부에는 외측방으로 돌출된 체결편(42)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커버(8)의 가장자리에는 빙 둘러 실링부재(16)를 구비함과 함께 커버(8)가 본체(4) 상부의 결합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40)를 형성하며, 마주하는 위치에는 커버(8)와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에서 커버(8)를 누르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걸림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10)를 형성하되, 상기 고정부(10)는 본체(4)의 체결편(42)과 체결되는 체결공(44)과, 밀폐된 커버(8)를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열기 위한 개방부재(14)로 구성하며,
    상기 커버(8)에 형성된 결합공간부(18)에는 본체(4)에 보관된 음식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팩(24)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간부(18)의 측벽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출편(22)을 형성하고, 냉각팩(24)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돌출편(22)과 억지끼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출편(26)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간부(18)의 측벽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출편(22)을 형성하고, 냉각팩(24)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돌출편(22)이 끼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28)를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28)의 하부에는 제1 돌출편(22)의 끼움을 안내하는 경사면(3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간부(18)의 바닥면에는 냉각팩(24)의 일측을 상부에서 누르는 원터치 동작에 의해 분리하기 위한 돌출부(2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의 하부에 형성된 다리부(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돌출편(34)을 형성하고, 냉각팩(24)의 상부에 형성된 홈부(36)의 내측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4 돌출편(38)을 형성하며, 상기 제3 돌출편(34)을 냉각팩(24)의 제4 돌출편(38)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여 다수의 냉각팩(24)과 밀폐용기(2)를 적층보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의 결합공간부(18)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편(48)을 형성하고, 냉각팩(24)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편(48)과 끼움결합되는 끼움홈(50a)(50b)을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하여 커버(8)와 냉각팩(24)을 결합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의 하부에 형성된 다리부(3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 돌출편(34)을 형성하고, 커버의(8)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간부(18)의 내측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출편(22)을 형성하며, 상기 제3 돌출편(34)을 커버(8)의 제1 돌출편(22)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여 다수의 밀폐용기(2)를 적층보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1020150141053A 2015-09-07 2015-10-07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101793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387A KR20150108341A (ko) 2015-09-07 2015-09-07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1020150126387 2015-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912A true KR20150120912A (ko) 2015-10-28
KR101793903B1 KR101793903B1 (ko) 2017-11-06

Family

ID=542463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387A KR20150108341A (ko) 2015-09-07 2015-09-07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1020150141053A KR101793903B1 (ko) 2015-09-07 2015-10-07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387A KR20150108341A (ko) 2015-09-07 2015-09-07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1083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1971B2 (en) * 2021-02-25 2023-10-31 Omielife, Inc. Interlocking containers
KR102598677B1 (ko) * 2021-06-11 2023-11-07 주식회사 한성컴퍼니 밀폐용기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001188U (ko) 2021-12-03 2023-06-12 주식회사 삼원무역 식품 저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003Y1 (ko) * 2007-04-16 2008-09-29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다단적층이 가능한 음식물 보관용기
JP2011177080A (ja) * 2010-02-26 2011-09-15 Panasonic Corp 保鮮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903B1 (ko) 2017-11-06
KR20150108341A (ko)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903B1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US10562690B2 (en) Valve assembly for a food storage container
US20120248120A1 (en) Food container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US8632144B2 (en) Food storage drawer and container
KR101494254B1 (ko) 밀폐용기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1722235B1 (ko) 다양한 크기의 밀폐용기를 크기와 결합방향에 상관없이 다양한 배열로 적층결합되는 다단적층밀폐용기
KR20170003972U (ko) 보관된 음식물이 눅눅해 지거나 상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습이나 냉각기능을 갖는 밀폐용기
US8839491B2 (en) Handle assembly for an airtight container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101682293B1 (ko) 이물질의 끼임 방지와 다단적층이 가능한 밀폐용기
KR100992046B1 (ko) 식품용기
KR2005008134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200406689Y1 (ko) 결합형 밀폐용기
KR102074369B1 (ko) 밀폐용기 겸용 냄비
KR200487921Y1 (ko) 식품 포장용기
KR100826317B1 (ko) 뚜껑의 착탈이 용이한 김치통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KR101564638B1 (ko) 적층된 사이로 냉기가 순환되는 다단 적층형 밀폐용기
KR101574714B1 (ko) 냉장고용 용기 보관함 세트
KR200491542Y1 (ko) 조리 용기의 밀폐구조
KR101460757B1 (ko) 일회용 밀폐용기
JP4195602B2 (ja) 密閉式仕切り容器
KR200311485Y1 (ko) 식품 냉장 및 가열용 밀폐 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